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19:43:50

버마비단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가나다 순으로 항목 정렬
※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 문서명 뒤에 #가 붙어있는 동물은 아종
야생 절멸 (EW)
바바리사자# · 벨로리빗사 · 사불상 · 칼상어 · 케이프사자#
위급 (CR)
가는부리대머리수리 · 가래상어 · 가비알 · 갠지스상어 · 거친우산문어 · 검은머리촉새 · 검은볏긴팔원숭이 · 검은짧은꼬리원숭이 · 검은코뿔소 · 검자주복 · 고비불곰# · 구티 사파이어 오너멘탈 · 귀천산갑 · 긴코악어 · 나배사난쟁이왕뱀 · 남중국장수도롱뇽 · 남중국호랑이# · 넓적부리도요 ·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 · 다마가젤 · 대모잠자리 · 대서양혹등돌고래 · 동수구리 · 동부고릴라 · 동부로랜드고릴라# · 두건독수리 · 둥근귀코끼리 · 디윈턴황금두더지 · 레드테일블랙샤크 · 레무르잎개구리 · 로드하우대벌레 · 루펠독수리 · 말레이천산갑 · 매부리바다거북 · 메콩자이언트메기 · 멕시코늑대# · 모래뱀상어 · 목화머리타마린 · 민도로물소 · 밀러버드 · 바베이도스실뱀 · 바키타 · 반텡 · 방사거북 · 베타 루틸란스 · 베타 미니오핀나 · 베타 부르디갈라 · 베타 심플렉스 · 베타 오메가 · 베타 크라켄스 · 베타 클로로파링스 · 베타 푸스카 · 베타 핑귀스 · 베타 헨드라 · 벵골대머리수리 · 보르네오오랑우탄 · 보르네오코끼리# · 보트롭스 인술라리스 · 부세 · 북부흰코뿔소#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늑대 · 붉은머리독수리 · 붉은정강이두크 · 뿔제비갈매기 · 사막왕도마뱀 · 사올라 · 산닭 · 샴악어 · 서부고릴라 · 서부긴코가시두더지 · 서부로랜드고릴라# · 서부침팬지# · 서인도양실러캔스 · 세가시투구게 · 세네갈사자 · 소앤틸리스이구아나 · 수마트라오랑우탄 · 수마트라코뿔소 · 숲상어 · 스캘로프드보닛헤드상어 · 스쿱헤드상어 · 시베리아철갑상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아닥스 · 아라비아표범# · 아무르표범# · 아시아대왕자라 · 아시아치타# · 아시아큰거북 · 아치개구리 · 아프리카야생당나귀 · 아프리카펭귄 · 아홀로틀 · 안고노카거북 · 알프레디리코리스구라미 · 앤더슨도롱뇽 · 야생쌍봉낙타 · 양쯔강대왕자라 · 양쯔강돌고래 · 양쯔강악어 · 여울마자 · 에스키모쇠부리도요 · 오르나티카우다리코리스구라미 · 오리노코악어 · 원앙사촌 · 유럽밍크 · 유럽뱀장어 · 유리금강앵무 · 유황앵무 · 이리오모테삵# · 이집트땅거북 · 이토 · 인도독수리 · 인도차이나표범# · 인도큰느시 · 자바코뿔소 · 자이언트바브 · 작은눈귀상어 · 장완흉상어 · 전자리상어 · 중국장수도롱뇽 · 중국줄무늬목거북 · 징기스칸 · 철갑상어 · 카카포 · 카스피해늑대# · 칼루가철갑상어 · 캘리포니아콘도르 · 켐프각시바다거북 · 쿠바악어 · 쿠프레이 · 크로스강고릴라# · 큰귀상어 · 큰머리거북 · 큰철갑상어 · 타파눌리오랑우탄 · 트리스탄알바트로스 · 팔라완천산갑 · 팬케이크거북 · 페르시아놀란도마뱀붙이 · 피지원숭이얼굴박쥐 · 필리핀수리 · 필리핀악어 · 홍살귀상어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 흰등독수리 · 흰머리독수리 · 흰수마자 · 히롤라
위기 (EN)
가벨라아칼랏 · 가벨라헬멧때까치 · 가이양 · 갈라파고스물개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 갈라파고스펭귄 · 강거두고래 · 개리 · 개상어 · 갠지스강돌고래 · 검은다람쥐원숭이 · 검은발족제비 · 검은잎원숭이 · 검은코상어 · 고래상어 · 고리도롱뇽 · 골리앗개구리 · 굴토끼 · 굿펠로우나무타기캥거루 · 귀머거리도마뱀 · 그레비얼룩말 · 그물무늬기린 · 금빛허리코끼리땃쥐 · 긴칼뿔오릭스 · 까치상어 · 나무타기천산갑 · 나이지리아-카메룬침팬지# · 나일리추에 · 난쟁이도요타조 · 날개머리상어 · 남방참다랑어 · 남부돼지꼬리원숭이 · 남생이 · 납작머리삵 · 낫지느러미레몬상어 · 노란눈펭귄 · 노란배측범잠자리 · 노란뺨긴팔원숭이 · 뉴질랜드장어 · 느시 · 단순청상아리 · 달마수리 · 대왕고래 · 대왕쥐가오리 · 돌묵상어 · 돔발상어 · 동부침팬지# · 돼지코거북 · 드릴 · 디블러 · 딩기소 · 따오기 · 떡붕어 · 레드슬레이트오너멘탈 · 레서판다 · 로즈라인바브 · 리코리스구라미 · 림가젤 · 마사이기린 · 마운틴가젤 · 마운틴리드벅 · 말레이가비알 · 말레이맥 · 말레이큰박쥐 · 말레이호랑이# · 머튼스왕도마뱀 · 멕시코프레리도그 · 몽골야생말# · 무어원숭이 · 문조 · 바바리원숭이 · 바위뉴질랜드굴뚝새 · 발루치스탄흑곰# · 방가이카디날 · 뱀잡이수리 · 뱀장어 · 버마승냥이# · 베이사오릭스 · 베어드맥 · 베타 리비다 · 베타 만도르 · 베타 안토니 · 베타 알비마르기나타 · 베타 칸노이데스 · 베타 키니 · 베타 투시아이 · 베타 파토티 · 베타 페르세포네 · 베타 포이르스키 · 베타 피 · 베타 힙포시데로스 · 벵골호랑이# · 별상어 · 볏왕관펭귄 · 보노보 · 보닛헤드상어 · 보르네오황금고양이 · 보리고래 · 보세마니무지개고기 · 부안종개 · 북미흰두루미 · 북방긴수염고래 · 북부바위뛰기펭귄 · 붉바리 · 붉은무지개고기 · 붉은볼따오기 · 붉은스틴브라스 · 붉은어깨도요 · 블래키스톤물고기잡이부엉이 · 사고왕도마뱀 · 사부비단뱀# · 사이마고리무늬물범# · 사자꼬리원숭이 · 산니알라 · 산악고릴라# · 산악맥 · 산호두꺼비고기 · 산호상어 · 상괭이 · 설카타거북 · 세인트루시아보아 · 수원청개구리 · 수달사향고양이 · 수마트라승냥이# · 수마트라호랑이# · 스리랑카느림보곰# · 스텔렛철갑상어 · 스피키가젤 · 승냥이 · 시베리아호랑이# · 아라비아늑대# · 아마존강돌고래 · 아마미검은토끼 · 아시아사자# · 아시아아로와나 · 아시아코끼리 · 아이아이 · 아프리카들개 · 아프리카코끼리 · 안데스산고양이 · 알락꼬리마도요 · 알락꼬리여우원숭이 · 알렉산드라비단제비나비 · 암스테르담알바트로스 · 야생말 · 야생물소 · 얼룩말상어 · 얼룩매가오리 · 에티오피아늑대 · 오네이트파라다이스피쉬 · 오스트레일리아폐어 ·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 오카피 · 왕눈물떼새 · 우수리승냥이# · 이집트독수리 · 인도양혹등돌고래 · 인도차이나호랑이# · 인도천산갑 · 임실납자루 · 자바공작 · 자바뿔매 · 자바뿔찌르레기 · 자바표범# · 작은이빨과일박쥐 · 저어새 · 점박이거북 · 조프루아거미원숭이 · 주름얼굴독수리 · 주머니개미핥기 · 중국악어도마뱀 · 중부침팬지# · 쥐가오리 · 청다리도요사촌 · 청상아리 · 초원수리 · 침팬지 · 카구 · 카리브암초상어 · 카스피물범 · 케아 · 케이프가넷 · 코모도왕도마뱀 · 코주부원숭이 · 쿠바솔레노돈 · 퀸스왕도마뱀 · 큰긴팔원숭이 · 큰민어 · 큰수달 · 큰양놀래기 · 큰천산갑 · 타카헤 · 탕가니카선농어 · 태즈메이니아데블 · 토바베타 · 토쿠원숭이 · 투르크멘쿨란# · 페르시아다마사슴 · 페르시아표범# · 푸른나무왕도마뱀 · 푸른무지개고기 · 푸른바다거북 · 프랑수아랑구르 · 플레임테트라 · 피그미멧돼지 · 피그미하마 · 필리핀원숭이 · 하르베이리코리스구라미 · 하와이몽크물범 · 해달 · 헨다손매 · 호랑이 · 호사비오리 · 환도상어 · 황금도마뱀붙이 · 황금들창코원숭이 · 황금볏과일박쥐 · 황금왕도마뱀 · 황새 · 회색관두루미 · 후흔 · 흉상어 · 흑상어 · 흰뺨상어 · 흰손긴팔원숭이 · 흰점배무늬수리 · 히말라야잉어
취약 (VU)
가봉북살무사 · 가시고기 · 갈라파고스땅거북 · 갈라파고스육지이구아나 · 갈색지빠귀 · 감돌고기 · 갑상선가젤 · 개꿩 · 개복치 · 거거 · 검은관두루미 · 검은등맹그로브왕도마뱀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발고양이 · 고기잡이삵 · 고대갈매기 · 고라니 · 고슴도치해마 · 고퍼거북 · 구름표범 · 귀뿔논병아리 · 귀상어 · 그리스거북 · 그린란드상어 · 금개구리 · 긴꼬리천산갑 · 긴수염올빼미 · 꼬치동자개 · 나그네알바트로스 · 난쟁이복어 · 난쟁이악어 · 남방호랑고양이 · 남방흰입술비단뱀 · 남부대머리따오기 · 남부땅코뿔새 · 남부바위뛰기펭귄 · 남아메리카맥 · 넓적부리황새 · 네뿔영양 · 노랑부리검둥오리사촌 · 노랑부리백로 · 녹색혹비늘돔 · 누른도요 · 눈다랑어 · 눈표범 · 뉴기니강상어 ·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 · 느림보곰 · 늪악어 · 닐기리담비 · 다이아몬드거북 · 대만흑곰# · 대머리우아카리 · 대서양대구 · 대서양타폰 · 덴텍스 · 도르카스가젤 · 동굴영원 · 동남아프리카치타# · 돛새치 · 두루미 · 듀공 · 레몬상어 · 마사이사자# · 마카로니펭귄 · 말레이곰 · 매가오리 · 맨드릴 · 메가칠레 플루토 · 메추라기도요 · 목탁수구리 · 몽골늑대# · 무태상어 · 미얀마짧은꼬리비단뱀 · 미호종개 · 미흑점상어 · 바가리우스 야렐리 · 바다꿩 · 바다이구아나 · 바다코끼리 · 바라싱가 · 바바리양 · 백기흉상어 · 백상아리 · 버마비단뱀 · 범수구리 · 베이라영양 · 베타 덴니시옹기 · 베타 디미디아타 · 베타 마크로스토마 · 베타 미다스 · 베타 브로우노룸 · 베타 시모룸 · 베타 우베리스 · 베타 이바노룸 · 베타 코키나 · 볏도마뱀붙이 · 보넷원숭이 · 보르네오구름표범 · 본테복 · 볼망태두루미 · 부채머리수리 · 북극곰 · 북방물개 · 북부기린 · 북부돼지꼬리원숭이 · 북중국표범# · 불도롱뇽 · 붉은가슴기러기 · 붉은갯도요 · 붉은얼굴원숭이 · 붉은이마가젤 · 붉은해오라기 · 비단수달 · 비악상어 · 비악흰입술비단뱀 · 빈투롱 · 뿔쇠오리 · 사무라이개미 · 사바나천산갑 · 사자 · 사향노루 · 산양 · 산얼룩말 · 삼바 · 샛별돔 · 샴싸움고기 · 서인도제도매너티 · 섬개개비 · 세가락갈매기 · 세동가리혹돔 · 셸리수리부엉이 · 소말리아동굴고기 · 소말리아타조 · 소코가오리 · 송곳부리도요 · 순록 · 숲꺅도요 · 스네어스펭귄 · 스리랑카표범# · 시로 · 실버샤크 · 싱구강가오리 · 쑥새 · 아라비아오릭스 · 아마존매너티 · 아메리카악어 · 아시아흑곰 · 아카메 · 아프리카매너티 · 아프리카황금고양이 · 아프리카표범# · 악어거북 · 안경곰 · 안데스콘도르 · 안데스홍학 · 알다브라땅거북 · 알락뜸부기 · 알류샨제비갈매기 · 알바트로스 · 야자집게 · 얼룩상어 · 연지느러미상어 · 오렌지러피 · 우수리흑곰# · 웨카 · 유럽멧비둘기 · 은상어 · 은지느러미상어 · 이낵세시블뜸부기 · 이베리아스라소니 · 이베리아늑대# · 이주갈색가오리 · 이탈리아늑대# · 인도네시아흉상어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 인도느림보곰# · 인도들소 · 인도별거북 · 인도차이나흑곰# · 인도코뿔소 · 인도태평양혹등돌고래 · 일본반달가슴곰# · 일본장수도롱뇽 · 자라 · 자바리 · 자이언트일런드 · 작은미국노랑발도요 · 작은발톱수달 · 장수거북 · 재두루미 · 제왕나비(이주성 아종)# · 좀수수치 · 죄머링가젤 · 줄꼬리뱀 · 중국물도마뱀 · 중국살쾡이 · 지중해몽크물범 · 차화도마뱀붙이 · 참고래 · 참수리 · 창이빨상어 · 청두루미 · 청호반새 · 체리바브 · 치사상어 · 치아파스메기 · 치타 · 칠성상어 · 칼꼬리영원 · 케이프독수리 · 코뿔바다오리 · 코뿔새 · 코뿔소살무사 · 코알라 · 코드코드 · 콜로라도파이크미노우 · 쿼카 · 퀴비에가젤 · 큰갑옷도마뱀 · 큰개미핥기 · 큰넓은부리쏙독새 · 큰눈환도상어 · 큰빌비 · 큰코뿔새 · 클라크가젤 · 킹코브라 · 타이멘 · 타킨 · 턱자바리 · 토피영양# · 티모르비단뱀 · 티베트흑곰# · 틸라피아 · 파란농어 · 파타고니아해마 · 파푸아수리 · 판다 · 팔색조 · 펜두상어 · 포사 · 표범 · 푸른눈테해오라기 · 필리핀수리부엉이 · 하마 · 하트만산얼룩말 · 항라머리검독수리 · 해밀턴개구리 · 향유고래 · 헤르만거북 · 헨더슨과일비둘기 · 헬벤더 · 호랑고양이 · 호스필드거북 · 호주쏘가리 · 호주혹등돌고래 · 황갈색수리 · 황금타킨# · 황소상어 · 황제영원 · 회색얼굴코끼리땃쥐 · 훔볼트펭귄 · 흑기흉상어 · 흑두루미 · 흰날개큰박쥐 · 흰배환도상어 · 흰선두꺼비고기 · 흰올빼미 · 흰점박이두꺼비고기 · 흰죽지 · 흰죽지수리 · 흰철갑상어 · 히말라야흑곰#}}}}}}}}}

비단뱀과 현존 생물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비단뱀속 <colbgcolor=#fff,#1c1d1f> 공비단뱀 · 앙골라비단뱀 · 인도비단뱀 · 중앙아프리카비단뱀 · 남아프리카비단뱀 · 버마비단뱀 · 붉은비단뱀 · 수마트라짧은꼬리비단뱀 · 미얀마짧은꼬리비단뱀 · 보르네오짧은꼬리비단뱀
말레이시아비단뱀속 그물무늬비단뱀 · 티모르비단뱀
모렐리아속 초록나무비단뱀 · 북부초록나무비단뱀 · 브레들비단뱀 · 거친비늘비단뱀 · 융단비단뱀 · 남서부융단비단뱀
시말리아속 볼린비단뱀 · 자수정비단뱀 · 호주자수정비단뱀 · 타님바비단뱀 · 몰루칸비단뱀 · 할마헤라비단뱀
흰입술비단뱀속 북부흰입술비단뱀 · 남부흰입술비단뱀 · 비악흰입술비단뱀
리아시스속 물비단뱀 · 올리브비단뱀 · 맥클롯비단뱀
안타레시아속 칠드런비단뱀 · 점박이비단뱀 · 파푸아점박이비단뱀 · 난쟁이비단뱀· 스팀슨비단뱀
아스피디테스속 워마비단뱀 · 검은머리비단뱀
아포도라속 파푸아비단뱀
보트로킬루스속 비스마르크고리비단뱀
}}}}}}
버마비단뱀(버마왕뱀, 미얀마비단뱀, 버미즈파이톤)
Burmese python
파일:버마비단뱀.jpg
<colcolor=#000> 학명 Python bivittatus
(Kuhl, 1820)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파충강 Reptilia
뱀목 Squamata
아목 뱀아목 Serpentes
비단뱀과 Pythonidae
비단뱀속 Python
버마비단뱀 P. bivittat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
파일:python water.jpg
버마비단뱀의 전신

1. 개요2. 특징
2.1. 서식지2.2. 천적과 사냥
3. 사육법4. 유전변이5. 교잡종6. 기타

1. 개요

비단뱀속에 속하는 비단뱀의 일종. 미얀마비단뱀, 버미즈파이톤으로도 불리우며 학명은 파이톤 비비테터스(Python bivittatus)다.

2. 특징

세계 5대 대형뱀[1]에 속하는 덩치 큰 비단뱀이다. 대부분 뱀과 마찬가지로 암컷이 수컷보다 길며, 야생에선 5m까지 자란다.
파일:18040781202_6e01996bef_z.jpg 파일:bigburmbaby.jpg
굵은 버마비단뱀 역대 최중 개체인 '베이비'
정말 굵게 자라는 뱀으로, 가히 그린아나콘다랑 맞먹을 정도로 뚱뚱해서 정말 큰 개체는 육지에선 몸이 퍼져서 살 접힌 게 보일 정도다.

역대 최장 개체 기록은 2023년 7월 10일 플로리다에서 잡힌 5.79m짜리 개체다. 역대 최중 개체는 거니 서펜트 사파리에서 27년간 사육 되었다가 죽었던 위의 베이비라는 개체로, 5.76m, 183kg에 육박했다고 한다.

공식 기록으론 역사상 가장 무거운 뱀이기 때문에 그린아나콘다를 제치고 가장 큰 뱀인 셈이다.[2]
파일:adsasdf.jpg 파일:20210111_011329.jpg
버마비단뱀의 머리 문양[3] 새끼 버마비단뱀[4]

2.1. 서식지

파일:버마비단뱀 서식지.png
버마비단뱀의 서식지
이름처럼 미얀마에서는 당연히 서식하고, 인도 동부, 네팔 남동부, 부탄 서부, 방글라데시 남동부,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북부, 중국 남부(푸젠성, 장시성, 광둥성, 하이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윈난성), 홍콩, 인도네시아자바섬, 술라웨시섬 남부, 발리섬, 숨바와섬에도 분포한다. 해당지역의 초지, 삼림지, 물 근처에 터를 잡는다.

현재 미국플로리다주에서는 애완동물로 키우던 개체들이 유기된 후 플로리다에 적응해 거북부터 물새, 악어까지 잡아먹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탓에 주정부에서 비단뱀 사냥대회를 열어 미국 전토의 땅꾼들을 모으는 건 물론 비단뱀 사냥 방법 매뉴얼까지 배포하고 있다.
파일:ㅂㅁㅂㄷㄱㄹㅇ.jpg
물을 즐기는 버마비단뱀
대형 뱀들이 다 그렇긴 하지만 을 몹시 좋아하며 악어처럼 콧구멍만 내놓고 물 속에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다.

2.2. 천적과 사냥

주로 , 같은 소형 조류와 포유류를 먹지만 종종 양서류와 파충류도 먹는다. 대형 개체들은 돼지나 염소와 같이 큰 먹이도 사냥하며, 플로리다에선 미시시피악어와 사슴을 사냥하는 것이 포착되었다.

천적으로는 아시아에서는 바다악어, 벵골호랑이, 표범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밝혀진 바는 없다. 북미에서는 미시시피악어가 천적이다. 버마 비단뱀이 동족포식을 하는 영상도 있다.

3. 사육법

성체 기준, 1마리 사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사육시설등록 필요함.
사이테스 부속서 2급, 서류 필요.
멸종위기등급 최소관심(LC).
최저 분양가 65만원[5].
렉 사육장 규격 사용을 권하지 않음.
포맥스 사육장 규격 5자 광폭[6].
기타 사육장 규격 가로 1500cm 이상, 세로 600cm 이상 높이 400cm 이상.
열원 상부열원[7].
핫존 온도 28~32도.
쿨존 온도 24~26도.
바스킹존 온도 32~34도.
UVA/UVB 필요함.
습도 50~60%.
바닥재 신문지, 키친타올, 배변패드, 바크, 아스펜 배딩.
물그릇 신체가 모두 잠길만한 크기.
먹이[8] 쥐, 병아리, 닭, 중형 포유류.
먹이 주는 주기 2~3주[9].
구조물 해주지 않아도 무방함.
신체 악화 증상 마이트, 감기.
수컷 성 성숙 기간 36~48개월.
암컷 성 성숙 기간 36~48개월.
평균 수명 20~30년.
평균 성격 온순함.
주의 사항 밥을 먹고 난 후 4일정도는 소화 기간이기 때문에 만지지 않는 것을 권한다.

온순하고 까다롭지 않아 대형 뱀 중에서는 사육하기 쉬운 종이다.[10]
동물원의 파충류관에서도 이 뱀은 거의 빠지지 않고 볼 수 있고 온순한 성격 덕분에 뱀 만져보기 체험에도 많이 쓰인다.

대형뱀의 대표 격으로 각광받아 한때는 매우 인기종이었으나 현재는 사육시설등록종에 지정되어 매우 희귀해졌다. 다만 곧 사육시설등록에 해제될 예정이라 이제 사육자들이 꽤나 늘어날것으로 보인다.
파일:레전드버마사육1.png 파일:레전드버마사육2.png
버마비단뱀의 잘못된 사육 예시
버마비단뱀이 습지에서 살고 물 좋아하는 것도 맞지만, 아나콘다같은 물뱀이 아닌 이상 웬만하면 물사육은 추천하지 않는다. 저기다 아나콘다를 키운다 쳐도 육지가 너무 작기에 육지 비중이 더 커야 한다. 혹자는 저 짤을 두고 왕도마뱀처럼 사육시설등록 제도가 있어야 저런 빌런이 안 생긴다며 필요악법 취급을 하기도 한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 머슬스, 크러셔, 마돈나라는 버마비단뱀 3마리를 길렀다. 그 중 마돈나는 알비노였다.

4. 유전변이

파일:알비노버마.jpg 파일:알비노그레닛버마.jpg 파일:블론드버마.jpg
아멜라니스틱 아멜라니스틱+그라닛 블론드
파일:그레닛버마.jpg 파일:그린그레닛버마.jpg 파일:스파이더버마.jpg
그라닛 그린+그라닛 스파이더
파일:루시스틱버마.jpg 파일:페이더버마.jpg 파일:스트라이프버마.jpg
루시스틱 페이더 스트라이프

초대형 뱀들 중 유전변이가 많이 개발된 편에 속한다. 다만, 유전변이가 들어간 버마비단뱀의 분양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흰 바탕에 노란 무늬가 있는 알비노 버마비단뱀은 파충류 체험장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비단뱀 종류이다.[11]

5. 교잡종

파일:범볼파이톤 머리.jpg 파일:범볼파이톤.jpg
범공비단뱀1 범공비단뱀2
파일:버마그물무늬비단뱀 다른 모프.jpg 파일:버마그물무늬비단뱀.jpg
버마그물무늬비단뱀1 버마그물무늬비단뱀2

6. 기타

2018년 9월 4일 경기 화성에서 출몰한 비단뱀이 알비노 버마비단뱀으로 추정된다.기사 링크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영화판에서 해리가 동물원에 풀어놓은 뱀이 바로 버마비단뱀이며[12] 심지어 대사도 있다![13]

가끔씩 악어와 만나 싸우는 데 이때 악어를 먹다가 악어를 살아있는 채로 삼켰는데 악어가 너무 커서 위가 터져 죽기도 한다.[14]

[1] 그린아나콘다, 그물무늬비단뱀, 중앙아프리카비단뱀, 옐로우아나콘다가 속한다.[2] 다만 이는 사육 개체에서 측정된 무게인데 사육 개체들은 무한정 공급되는 먹이, 비만 등으로 인해 야생 개체들보다 비정상적으로 무거운 경우가 있다.[3] 머리 위의 화살표 모양이 특징으로, 중앙아프리카비단뱀과 비슷하지만 화살표 안 사각형이 뚜렷한 편이다.[4] 비단뱀답게 새끼 땐 나름 귀엽게 생겼다.[5] 60만, 70만, 100만 등 천차만별이다.[6] 가로 1500cm, 세로 600cm, 높이 400cm[7] 50w 전구와 포맥스 사육장의 자동온도조절 기능 이용 추천.[8] 개체의 몸무게와 크기에 맞는 먹이를 선별해서 줄 것.[9] 새끼는 7일[10] 아나콘다나 레틱파이톤, 락파이톤은 상대적으로 사납다. 특히 락파이톤은 정말 답이 없을 정도로 개차반이다.[11] 어찌나 많은지 원본보다 찾기가 더 쉬운 편일 정도이다. 물론 큰 파충류 전시관이라면 평범한 버마비단뱀도 충분히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걱정은 접어두자.[12] 원작에서는 브라질산 보아뱀.[13] 해리가 풀어준 후 "고마워."라고 한 마디 한다. 웃긴 건 해리는 눈 하나 깜짝 안하고 "천만에"라고 태연히 답한다.[14] 하지만 악어 역시 질식당해 죽었으며 결국 이 둘은 지나가던 더 큰 악어의 먹이가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