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뱀과 현존 생물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비단뱀속 | <colbgcolor=#fff,#1c1d1f> 공비단뱀 · 앙골라비단뱀 · 인도비단뱀 · 중앙아프리카비단뱀 · 남아프리카비단뱀 · 버마비단뱀 · 붉은비단뱀 · 수마트라짧은꼬리비단뱀 · 미얀마짧은꼬리비단뱀 · 보르네오짧은꼬리비단뱀 |
말레이시아비단뱀속 | 그물무늬비단뱀 · 티모르비단뱀 | |
모렐리아속 | 초록나무비단뱀 · 북부초록나무비단뱀 · 브레들비단뱀 · 거친비늘비단뱀 · 융단비단뱀 · 남서부융단비단뱀 | |
시말리아속 | 볼린비단뱀 · 자수정비단뱀 · 호주자수정비단뱀 · 타님바비단뱀 · 몰루칸비단뱀 · 할마헤라비단뱀 | |
흰입술비단뱀속 | 북부흰입술비단뱀 · 남부흰입술비단뱀 · 비악흰입술비단뱀 | |
리아시스속 | 물비단뱀 · 올리브비단뱀 · 맥클롯비단뱀 | |
안타레시아속 | 칠드런비단뱀 · 점박이비단뱀 · 파푸아점박이비단뱀 · 난쟁이비단뱀· 스팀슨비단뱀 | |
아스피디테스속 | 워마비단뱀 · 검은머리비단뱀 | |
아포도라속 | 파푸아비단뱀 | |
보트로킬루스속 | 비스마르크고리비단뱀 |
버마비단뱀(버마왕뱀, 미얀마비단뱀, 버미즈파이톤) Burmese python | |
| |
<colcolor=#000> 학명 | Python bivittatus (Kuhl, 1820) |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파충강 Reptilia |
목 | 뱀목 Squamata |
아목 | 뱀아목 Serpentes |
과 | 비단뱀과 Pythonidae |
속 | 비단뱀속 Python |
종 | 버마비단뱀 P. bivittatus |
멸종위기등급 | |
|
|
버마비단뱀의 전신 |
1. 개요
비단뱀속에 속하는 비단뱀의 일종. 미얀마비단뱀, 버미즈파이톤으로도 불리우며 학명은 파이톤 비비테터스(Python bivittatus)다.2. 특징
세계 5대 대형뱀[1]에 속하는 덩치 큰 비단뱀이다. 대부분 뱀과 마찬가지로 암컷이 수컷보다 길며, 야생에선 5m까지 자란다. | |
굵은 버마비단뱀 | 역대 최중 개체인 '베이비' |
역대 최장 개체 기록은 2023년 7월 10일 플로리다에서 잡힌 5.79m짜리 개체다. 역대 최중 개체는 거니 서펜트 사파리에서 27년간 사육 되었다가 죽었던 위의 베이비라는 개체로, 5.76m, 183kg에 육박했다고 한다.
공식 기록으론 역사상 가장 무거운 뱀이기 때문에 그린아나콘다를 제치고 가장 큰 뱀인 셈이다.[2]
| |
버마비단뱀의 머리 문양[3] | 새끼 버마비단뱀[4] |
2.1. 서식지
|
버마비단뱀의 서식지 |
현재 미국의 플로리다주에서는 애완동물로 키우던 개체들이 유기된 후 플로리다에 적응해 거북부터 물새, 악어까지 잡아먹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탓에 주정부에서 비단뱀 사냥대회를 열어 미국 전토의 땅꾼들을 모으는 건 물론 비단뱀 사냥 방법 매뉴얼까지 배포하고 있다.
|
물을 즐기는 버마비단뱀 |
2.2. 천적과 사냥
주로 닭, 쥐 같은 소형 조류와 포유류를 먹지만 종종 양서류와 파충류도 먹는다. 대형 개체들은 돼지나 염소와 같이 큰 먹이도 사냥하며, 플로리다에선 미시시피악어와 사슴을 사냥하는 것이 포착되었다.천적으로는 아시아에서는 바다악어, 벵골호랑이, 표범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밝혀진 바는 없다. 북미에서는 미시시피악어가 천적이다. 버마 비단뱀이 동족포식을 하는 영상도 있다.
3. 사육법
성체 기준, 1마리 사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사육시설등록 | 필요함. |
사이테스 부속서 | 2급, 서류 필요. |
멸종위기등급 | 최소관심(LC). |
최저 분양가 | 65만원[5]. |
렉 사육장 규격 | 사용을 권하지 않음. |
포맥스 사육장 규격 | 5자 광폭[6]. |
기타 사육장 규격 | 가로 1500cm 이상, 세로 600cm 이상 높이 400cm 이상. |
열원 | 상부열원[7]. |
핫존 온도 | 28~32도. |
쿨존 온도 | 24~26도. |
바스킹존 온도 | 32~34도. |
UVA/UVB | 필요함. |
습도 | 50~60%. |
바닥재 | 신문지, 키친타올, 배변패드, 바크, 아스펜 배딩. |
물그릇 | 신체가 모두 잠길만한 크기. |
먹이[8] | 쥐, 병아리, 닭, 중형 포유류. |
먹이 주는 주기 | 2~3주[9]. |
구조물 | 해주지 않아도 무방함. |
신체 악화 증상 | 마이트, 감기. |
수컷 성 성숙 기간 | 36~48개월. |
암컷 성 성숙 기간 | 36~48개월. |
평균 수명 | 20~30년. |
평균 성격 | 온순함. |
주의 사항 | 밥을 먹고 난 후 4일정도는 소화 기간이기 때문에 만지지 않는 것을 권한다. |
온순하고 까다롭지 않아 대형 뱀 중에서는 사육하기 쉬운 종이다.[10]
동물원의 파충류관에서도 이 뱀은 거의 빠지지 않고 볼 수 있고 온순한 성격 덕분에 뱀 만져보기 체험에도 많이 쓰인다.
대형뱀의 대표 격으로 각광받아 한때는 매우 인기종이었으나 현재는 사육시설등록종에 지정되어 매우 희귀해졌다. 다만 곧 사육시설등록에 해제될 예정이라 이제 사육자들이 꽤나 늘어날것으로 보인다.
| |
버마비단뱀의 잘못된 | 사육 예시 |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 머슬스, 크러셔, 마돈나라는 버마비단뱀 3마리를 길렀다. 그 중 마돈나는 알비노였다.
4. 유전변이
| | |
아멜라니스틱 | 아멜라니스틱+그라닛 | 블론드 |
| | |
그라닛 | 그린+그라닛 | 스파이더 |
| | |
루시스틱 | 페이더 | 스트라이프 |
초대형 뱀들 중 유전변이가 많이 개발된 편에 속한다. 다만, 유전변이가 들어간 버마비단뱀의 분양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흰 바탕에 노란 무늬가 있는 알비노 버마비단뱀은 파충류 체험장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비단뱀 종류이다.[11]
5. 교잡종
- 범공비단뱀(Burm ball python)
공비단뱀과의 교잡종. 흔히 범공비단뱀/범볼파이톤이라고 부른다.
파일:범볼파이톤 머리.jpg | |
범공비단뱀1 | 범공비단뱀2 |
- 버마그물무늬비단뱀(Burm retic python)
그물무늬비단뱀과의 교잡종. 흔히 버마그물무늬비단뱀/범레틱파이톤이라고 부른다.
파일:버마그물무늬비단뱀 다른 모프.jpg | |
버마그물무늬비단뱀1 | 버마그물무늬비단뱀2 |
6. 기타
2018년 9월 4일 경기 화성에서 출몰한 비단뱀이 알비노 버마비단뱀으로 추정된다.기사 링크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영화판에서 해리가 동물원에 풀어놓은 뱀이 바로 버마비단뱀이며[12] 심지어 대사도 있다![13]
가끔씩 악어와 만나 싸우는 데 이때 악어를 먹다가 악어를 살아있는 채로 삼켰는데 악어가 너무 커서 위가 터져 죽기도 한다.[14]
- 2022년경 대전광역시의 한 실내동물원에서 동물 만져보기 체험코스에서 6살 여자아이가 이 버마비단뱀을 만지는 체험을 하던 도중 갑자기 뱀이 아이의 오른손을 물어버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성인 4명이 와서 뱀을 떼어내려했지만 뱀의 힘이 워낙 세서 소용이 없었고 보다 못한 아이의 아버지가 힘을 보태고 나서야 상황은 종료됐다. 2분 가량 지속된 뱀과의 씨름 끝에 아이의 오른손엔 전치 3주의 깊은 상처가 생겼고, 아이는 병원으로 옮겨저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 사건 이후에도 아이는 부모와 떨어지면 불안증세를 보였다고 한다.
[1] 그린아나콘다, 그물무늬비단뱀, 중앙아프리카비단뱀, 옐로우아나콘다가 속한다.[2] 다만 이는 사육 개체에서 측정된 무게인데 사육 개체들은 무한정 공급되는 먹이, 비만 등으로 인해 야생 개체들보다 비정상적으로 무거운 경우가 있다.[3] 머리 위의 화살표 모양이 특징으로, 중앙아프리카비단뱀과 비슷하지만 화살표 안 사각형이 뚜렷한 편이다.[4] 비단뱀답게 새끼 땐 나름 귀엽게 생겼다.[5] 60만, 70만, 100만 등 천차만별이다.[6] 가로 1500cm, 세로 600cm, 높이 400cm[7] 50w 전구와 포맥스 사육장의 자동온도조절 기능 이용 추천.[8] 개체의 몸무게와 크기에 맞는 먹이를 선별해서 줄 것.[9] 새끼는 7일[10] 아나콘다나 레틱파이톤, 락파이톤은 상대적으로 사납다. 특히 락파이톤은 정말 답이 없을 정도로 개차반이다.[11] 어찌나 많은지 원본보다 찾기가 더 쉬운 편일 정도이다. 물론 큰 파충류 전시관이라면 평범한 버마비단뱀도 충분히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걱정은 접어두자.[12] 원작에서는 브라질산 보아뱀.[13] 해리가 풀어준 후 "고마워."라고 한 마디 한다. 웃긴 건 해리는 눈 하나 깜짝 안하고 "천만에"라고 태연히 답한다.[14] 하지만 악어 역시 질식당해 죽었으며 결국 이 둘은 지나가던 더 큰 악어의 먹이가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