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드라마 줄인말에 대한 내용은 부부의 세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부세(부세조기) 大黄魚 | Large yellow croaker | |
학명 | Larimichthys crocea Richardson, 1846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
열 | 에우페르카리아열Eupercaria |
과 | 민어과Sciaenidae |
속 | 조기속Larimichthys |
종 | 부세L. crocea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민어과에 속하는 어류. 참조기와 마찬가지로 주로 굴비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보통 부세조기라고 부르지만 표준명은 부세이며, 간혹 짝퉁 조기라고 불리기도 한다.2. 생태
회유성 어종으로 우리나라에는 겨울철 제주도 남해에서 월동하다 봄에 북상한다. 여름에는 서해안의 연안까지 회유하다 가을에 남쪽으로 이동한다. 산란기는 봄과 가을에 하는데, 이 시기엔 소리를 내곤 한다.육식성이므로 치어기에는 요각류, 새우류, 게류, 갯가재류 등을 먹고 살며, 성어가 되면 갑각류 및 작은 물고기도 사냥한다.
3. 특징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몸높이는 평범하며, 몸 뒤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최대 길이는 50cm지만, 시장에선 보통 30cm급이 많다.[1] 입은 크고 양 턱에는 크고 작은 이빨이 위턱에 2줄, 아래턱에 1줄로 나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가운데가 뒤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왔다.국내에선 참조기의 하위호환이란 인식이 많지만, 중국과 일본에선 수분이 풍부하고 덩치가 크며, 살도 많아 인기가 좋다. 구우면 껍질이 별미다.
4. 조기?
두 물고기는 애초에 속까지 같은 사촌지간이라 유사하다. 그러나 명백히 종이 다르고 가격이 다르므로 구입할 때 유의해야 한다. 참조기와 부세를 구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크기
참조기는 30cm까지 자라나 보통 15~20cm가 시장에서 풀리고, 부세는 30cm급이 시장에서 많이 풀린다.
부세가 더 크며, 흔히 '체고'[2]가 넓다고 표현한다. 참조기는 체형이 날씬하고 체고가 좁다.
- 대가리의 형태.
참조기는 대가리가 전체적으로 둥글고 매끈한 반면, 부세는 자세히 보면 대가리에 살짝 굴곡이 있다.
- 대가리 중앙의 돌기 유무.
부세조기는 대가리 중앙에 마름모꼴의 유상돌기가 없다. 참조기는 대가리에 마름모꼴의 유상돌기가 있다. 다만 조기가 작을 때는 이것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 꼬리지느러미의 모양.
참조기는 꼬리지느러미가 다소 거칠며 끝이 갈라졌지만, 부세는 지느러미가 부채꼴 모양에 매끄러운 편이다.[3] - 지느러미 가시 개수.
참조기와 부세는 2개의 등지느러미가 있는데, 머리 쪽 등지느러미만 보면 된다. 참조기는 10개 정도로 다소 많지만, 부세는 8개 정도만 가진다. 주의할 건 앞쪽의 굵은 가시부터 세는 게 아니라, 더 앞에 있는 가는 가시까지 세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 측면에 있는 선.
측선은 어류의 대가리에서 꼬리까지 이어진 선으로, 수온과 수압, 조류 등을 파악하는 역할을 하는 감각기이다.
부세와 참조기 모두 줄이 하나지만, 참조기의 측선은 측선 주변이 밝아서 더 굵게 보이거나 2줄로 보인다.
5. 멸종 위기
국내에서는 참조기 대신 이걸 속여 파는 경우가 많아 취급이 좋지 못하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전부터 부세가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황금색을 띠고 있어 중국의 부세 수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때문에 지금은 참조기와 더불어 중국의 불법 조업의 표적이 되는 상황.어업으로 의해 멸종 직전 상태이지만, 동물이라기보다는 음식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서 보전 계획 따위도 전혀 없고[4] 많은 동아시아인들이 계속 생각없이 멸종시키고 있다.[5] 남방참다랑어보다 한 단계 높은 등급인데, 그나마 참다랑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이 잘 알려졌고 국제 사회에서 보호받고 있는 상황이지만[6] 부세는 그마저도 없으니 더 미래가 어두운 종이다.
6. 기타
부세를 굴비로 만들면 '보리굴비'라고도 하는데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자세한 것은 굴비항목 참조. 전라남도 영광군의 경우 근해의 조기가 거의 잡히지 않아 부세로 대체한다고 한다. 다만 상술했다시피 부세도 요즘 가격이 뛰는 상황이라 이마저도 쉽지 않을 듯하다. 2019년 현재에는 참조기에 비해 부세의 도매가가 더 높은 실정이다.[1] 여느 해산물과 마찬가지로 크기가 커질수록 맛이 없어져서 이 정도 크기면 제삿상에 장식용으로 올라간다.[2] 등지느러미부터 배까지의 길이를 잰 것.[3] 사실 형태 자체는 비슷하나 조업 과정이 달라서 차이를 보인다.[4] 큰민어, 틸라피아와 마찬가지로 짝퉁 생선이라는 인식이 강하고,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경각심이 부족한 것도 있다.#, #, #[5] 사실, 동아시아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종 바닷물고기를 멸종위기 동물이 아니라 음식으로만 생각해서 법적 규제가 한참 부족하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서양대구, 자바리(제주 다금바리), 붉바리, 뱀장어, 유럽뱀장어, 병어, 큰민어, 까치상어등이 좋은 예.[6] 이것마저도 잡히는 양에 규제를 건 수준이지, 흔히 멸종위기종 보호에 생각하는 포획 금지 같은 것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