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손긴팔원숭이(흰손기번) 白掌長臂猿 | Lar gibbon, White-handed gibbon | |||
학명 | Hylobates lar (Linnaeus, 1771)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상목 | 영장상목(Euarchontoglires) | ||
목 | 영장목(Primates) | ||
과 |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 | ||
속 | 긴팔원숭이속(Hylobates) | ||
종 | 흰손긴팔원숭이(H. lar) | ||
멸종위기등급 | |||
| |||
아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 | 흰손긴팔원숭이, 흰손기번 | |
영어 | White-handed Gibbon | ||
태국어 | ชะนีมือขาว | ||
말레이어 | Ungka Tangan Putih | ||
중국어 | 白掌長臂猿 | ||
일본어 | シロテテナガザル |
[clearfix]
1. 개요
긴팔원숭이의 일종.2. 특징
성별에 상관없이 체중 5~6kg 정도이며, 검은색, 갈색, 노란색, 흰색 등 다양한 털색과 흰색 손을 가지고 있다. 구부러진 손가락, 길쭉한 손, 몸길이의 2배가 넘어가는 긴 팔과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 엉덩이엔 검은색 굳은살이 있다.3. 생태
과거에는 중국 남부에도 살았지만 해당 지역에서는 절멸되었고, 현재에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지역의 삼림 관목림에 서식한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긴팔을 이용하여 나무에서 나무로 단번에 뛰어 넘을 수 있다.흰손긴팔원숭이들의 서식지 |
일반적으로 하루 평균 8.7시간 동안만 활동하며 일출 무렵 잠자리를 떠나 일몰 3.4시간 전에 잠자리에 든다. 평균적으로 하루를 먹이(32.6%), 휴식(26.2%), 여행(24.2%), 사회 활동(11.3%), 발성(4.0%), 집단 간 만남(1.9%)에 보낸다.[1]
일부일처제로, 무리는 암수 한 쌍과 새끼로 구성된다. 새끼는 성적으로 성숙하면 가족에서 추방된다. 다만 태국의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 진행된 장기 연구에 따르면, 몇몇은 일부다처제를 이루기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식단의 50%를 무화과같은 과일로 구성하지만, 잎(29%) 또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곤충(13%)과 꽃(9%)도 먹는다. 신선한 과일과 잎을 구하기 어려운 여름철에는 곤충 소비가 겨울에 비해 20배나 증가한다.
천적은 호랑이[2], 인도차이나표범, 구름표범, 아시아황금고양이, 승냥이[3], 악어[4], 그물무늬비단뱀, 버마비단뱀, 관수리 등이 있다. 천적이 나타나면 평소보다 날카로운 소리를 내며 대피한다.
짝짓기는 일년 중 언제나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교미는 3월의 건기에 일어나고, 10월의 우기에 출산이 가장 많다. 평균적으로 암컷은 야생에서 약 11세에 처음으로 번식하며, 임신 기간은 평균 6개월이고,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약 2년 동안 젖을 먹고, 완전히 성숙하는 데는 약 8년이 걸린다. 야생의 기대 수명은 약 25년이다.
4. 동물원 보유 현황
우리 나라에서는 서울동물원의 동양관, 에버랜드의 알버트 스페이스 센터, 국립생태원의 에코케어센터에서 흰손긴팔원숭이를 사육중이고 해외에서는 일본 아사히야마동물원, 마루야마동물원, 도부동물공원, 우에노동물원, 타마동물공원, 히가시야마동식물원, 후쿠오카시동식물원에서 흰손긴팔원숭이를 사육중이다.5. 기타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을 부르는 정글에 나온 원숭이들의 모티브가 이 종으로 추정된다.플래닛 주의 열대 팩 DLC를 대표하는 동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