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8:55:34

대만/문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1차 · 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동아시아문화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대만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몽골 북한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홋카이도 도기.svg
일본 중국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89b271763a.jpg
<colbgcolor=#fe0000><colcolor=white> 중국사대명저[1]
파일:Greatest-Chinese-philosophers-of-all-time.jpg
중국 철학
파일:Chinese-Cuisine-1.jpg
중국 요리
파일:image_91a.jpg
경극
파일:external/kbin.danah.kr/740814744_x0MRClg8_-6-7B8E9BCD2B8B2BBE7_B1B9C1A6_B9ABB4EB_C1F8C3E2.jpg
쿵푸
파일:차이잉원 사진.jpg
대만 원주민 복장을 한 차이잉원 대만 총통
파일:대만 요리.png
대만 요리
파일:잉마주.jpg
도교의 마조 신을 모시는 행사[2]
파일:대만어.jpg
대만어를 구사하는 아시아흑곰 캐릭터
中華民國文化 | Culture of Taiwan
1. 개요2. 특징
2.1. 중국 전통 문화의 영향2.2. 일본 문화의 영향2.3. 미국 문화의 영향
3. 전통 문화
3.1. 의식주
3.1.1. 식문화3.1.2. 의복 문화3.1.3. 주거 문화
3.2. 전통 음악3.3. 미술3.4. 문학
4. 표현의 자유5. 언어6. 해음과 금기
6.1. 숫자6.2. 선물6.3. 예절
7. 대중문화
7.1. 영화7.2. 드라마7.3. 음악
7.3.1. 문서가 있는 대만 가수 목록
7.4. 아이돌 산업7.5. 만화7.6. 서브컬처7.7. 게임
7.7.1. 게임계의 타이완 뉴 웨이브
7.8. 고민거리
8. 언론9. 스포츠10. 종교
10.1. 불교10.2. 도교10.3. 민간신앙10.4. 그리스도교10.5. 이슬람
11. 성 문화
11.1. 성 산업
11.1.1. AV산업
11.2. 성 소수자
12. 총기13. 과학14. 기타1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중화권으로 분류되는 대만의 문화는 중국 각 지역에서 이주해 온 한족 외성인들의 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중국 전 지역의 전통 문화가 강하게 남아있다. 그리고 재한 화교, 홍콩인, 중국계 싱가포르인중화민국 본적 화교들의 영향도 받았다. 여기에 푸젠, 광둥 출신의 한족 본성인, 객가, 대만 원주민들의 문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일치시기에 유입된 일본 문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입된 미국 문화의 영향력도 있어서 중화권이지만 중국 본토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대만인들은 자신들이 중화권의 전통 문화를 계승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당시 장제스의 전통 문화 사랑으로 인해 국부천대 당시 문화재, 고서, 미술품 등을 타이베이로 공수한 것, 정체자 고수 원칙, 쿵더청 영입, 중화문명부흥운동 실시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반대로 중화인민공화국마오쩌둥유물론에 영향을 받고 봉건주의 타파를 목표로 하며 문화대혁명이라는 중화권 역사상 초유의 반달리즘을 저질렀다. 현재 전통 문화에서 중국이 여전히 부진한 것을 보면 대만의 중국 전통 문화 보전은 매우 높게 평가받는다.

물론 여기에는 대만어, 광동어, 객가어국부천대 이전에 있었던 지역 문화와 대만 원주민의 문화는 거의 경시되거나 억압되었던 모습 등 어두운 면도 있었다.[3]

반면에 21세기 초반에 들어서 타이커(臺客)라는 문화가 젊은이들 사이에 유행하기도 했는데, 이는 샌들을 신고 빈랑 열매를 질겅거리는 전형적인 도시 대만인의 이미지가 하나의 문화적 상징이 된 것. 또 대만어로 된 노래나 영화도 예전에 비해서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

즉 대만 문화는 중국 전통 문화 보존을 통해 '정통적인 중국'을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 지역 내 한족 본성인들과 대만 원주민들의 문화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공존하는 모습이며 미국일본 등지에서 유입되는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

2. 특징

2.1. 중국 전통 문화의 영향

전근대에는 대만에 이주한 푸젠, 광동 지역의 주민, 객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이들과 원주민들의 문화가 교류하면서 본토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1949년 국민당 정부가 피난을 온 후 대만에 자리를 잡게 되자 중국 각지의 외성인들과 국외에 있는 화교들이 대거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 때부터 표준 중국어가 공용어로 지정되기 시작했고, 중국 각지의 전통 문화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당시 국립고궁박물원에는 중국 황실과 귀족들이 이용한 유물, 미술품들이, 국립대만도서관에는 중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고서들이 유입되었다.

중국 각지의 요리가 유입되면서 대만 내에서 기존의 대만 요리 외에도 복건 요리, 광동 요리, 산동 요리, 사천 요리, 강소 요리, 안휘 요리, 절강 요리, 호남 요리, 북경 요리, 상해 요리를 맛볼 수 있었고 만한전석, 중국 궁중 요리나 귀족 요리, 주류 문화 역시 문화대혁명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었다.

중국 고전 문학, 중국 내 경극, 한시 등 중국 문학, 유교, 도교, 대승 불교, 중국 신화, 전통 악기중국 전역의 미술, 문학, 음악, 종교 및 철학 문화 역시 대만에 이식되면서 문화대혁명으로부터 자유롭고 잘 보존되었다. 그리고 문화대혁명, 천안문 6.4 항쟁중국역사 역시 대만 쪽에서 더 잘 보존되었다

중국의 전통 건축 양식이 도입되면서 명나라를 그대로 옯겨놓은 타이난의 건축물은 기본이고 자금성을 본뜬 충렬사, 국가음악청, 국가희극원과 국부기념관, 중정기념당, 국립고궁박물원 등이 건설되었다. 더 나아가 당시 역사 교육 역시 중국사 위주로 수업했다.

한편 이러한 중화권 문화는 지역 환경 덕에 재해석되어 대만 특유의 문화가 되었다. 우육면 역시 란저우식도 있지만 대만에서 재해석한 것 역시 주목을 받고 있고, 버블티, 소롱포 역시 현지화 되었다. 월병을 재해석한 펑리수와 같이 대만 내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도 있다.[4]

2.2. 일본 문화의 영향

일치시기를 거치면서 일본 문화가 유입되었다. 대만은 당시 독자적 민족 의식이 거의 희박했었고 2.28 사건 때문에 일본에 대한 평가가 나쁘지 않은 축에 속한다.

물론 국민당외성인, 객가, 화교, 대만 원주민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등으로 인해 반일 감정이 심하고 일본 제국이 물러서고 난 뒤에는 반일 감정이 고조된 적이 있었다.

당시 일본 문화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를 취한 적도 있었고 학부모들이 일본 만화를 선정적이고 폭력적이며 비현실주의적인 묘사가 많다고 불매운동을 벌인 역사가 있다.

그렇지만 일본과 교류가 많았는 터라 일본 애니메이션, 일본 드라마, 일본 영화의 인기가 많았고, 온천 문화도 비슷하다보니 대만에도 료칸과 비슷한 호텔이 많다.

2.3. 미국 문화의 영향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미군대만에 주둔하기 시작하면서 미국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당시 중국계 미국인, 대만계 미국인들의 유입과 이들과의 교류 역시 미국 문화 전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만영어 교육은 미국식 영어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대만의 더치페이 문화, 연령에 대한 관대한 문화,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태도 역시 미국 문화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은 것이다.

3. 전통 문화

대만의 전통 문화는 남부 지역은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 객가 이주민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북부와 중부 지역은 저장성, 장쑤성, 상해 등 화동 지역이나 산둥성, 북경, 화베이, 산서성중국 각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1. 의식주

3.1.1. 식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만에서는 의식주라는 말 대신 식의주(食衣住)라는 말이 쓰이기도 하는 등 음식을 중요하게 여긴다.
3.1.1.1.
중화권답게 소비량이 많다. 중국 각지의 차 문화가 있으며 녹차, 일월담 홍차, 우롱차 등이 대표적인 차로 뽑힌다. 광동, 푸젠, 장쑤, 베이징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홍콩, 싱가포르의 영향을 받아 밀크티도 많이 소비한다.

더불어 중화권에서는 결혼식을 할 때에도 서로의 부모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려 차를 교환하며 마신다고도 한다.

3.1.2. 의복 문화

전통 의상은 한푸, 치파오 문서 참고.

그러다가 1920년대에서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인민복을 일상적으로 많이 입었지만 1949년 국부천대나 그 이전의 대만일치시기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서양식 의복을 많이 입게 되었다.

3.1.3. 주거 문화

좌식 생활을 하는 한국과 달리 입식 생활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본래 중화권한나라 때까진 좌식 생활권이었다. 유비가 돗자리 장수 출신이었다는 유명한 예도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시대를 거치며 입식생활을 하는 이민족들이 칩입해오고 그들의 입식 문화가 보편화되면서 바뀐 것이다.

3.2. 전통 음악


중화권의 전통 음악은 역사가 수천 년에 달하며 얼후, , 적자 등 전통 악기들은 그 독특한 음색 덕분에 중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애호가들이 많다. 전통 음악을 바탕으로 경극 등 극문화도 발달한 편이다. 그리고 대만 지역의 전통 인형극인 포대희도 많이 유명하다.

3.3. 미술

중국 미술 문서 참조.

3.4. 문학


고전 문학은 한시고전소설, 근현대 문학은 문예사 관련 정보 문서 참조.

중화권 문학의 시대 구분 기준은 한국과 다르다. 청대까지의 문학을 고대 문학, 1840년 아편 전쟁부터 1919년 5.4 운동까지의 문학을 근대 문학, 5.4 운동 이후의 문학을 현대 문학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중국 본토 지역에서 유입된 고대 문학, 근대 문학과 대만 지역 내 문학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일본의 가부키와 노가 서구로 일찍부터 번역되어 영향을 준 것과 마찬가지로 서상기, 모란정, 도화선, 장생전 같은 중국 고전 희곡들도 동양의 셰익스피어란 찬사를 들으며 서구에 번역되어 읽혀졌다.

4. 표현의 자유

장제스 - 장징궈 독재 시기에는 대만에서 표현의 자유라는 건 눈을 씻고 찾아도 볼 수 없었다. 대만이 독재 시절에도 중화의 전통 문화를 진흥하여 대륙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통 문화가 잘 보존된 것은 사실이지만, 대만 역시 지대한 문화 탄압을 자행하였다.

장씨 독재 시절에도 대만 영화에서 타이완 뉴웨이브라는 움직임이 있어서 대만의 현실과 대만 내의 정치 사안들을 표현하자는 운동이 자주 있었다. 그 때 메이리다오 사건이 있었고 2.28 사건 진상규명이 있었다.

타이완 뉴웨이브 운동 덕분에 대만 영화인들은 중국 국민당 특무조에 끌려가서 여럿 코로 우육면을 먹곤 했다.

이후 리덩후이가 대만의 민주화를 추진하면서 상황이 변한다. 이때부터 표현의 자유 범위가 크게 넓어진다. 장씨 독재 시절의 반작용 수준이라 봐도 될 정도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를 만들어버렸다. 덕분에 대만에서 표현의 자유는 거의 미국 수정헌법 1조 수준이다. 그래도 당시는 민주화된지 얼마 안 된 시점이라 조심스럽긴 했다.

표현의 자유는 천수이볜 정부 시절부터 본격화한다. 2000년 민주진보당천수이볜이 정권을 잡으면서 탈중국적 성향이 매우 강해졌다. 그리고 천수이볜은 대만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차원에서 빈과일보의 대만 진출을 허용했는데, 이때 빈과일보가 자극적인 성향을 대만에서 터뜨리며 미쳐 날뛰기 시작한다.

그리고 다른 언론까지 빈과일보의 방식을 따라하고 천수이볜은 이 상황을 보고 즐기면서 대만 정치권에서 표현의 자유를 무제한적으로 보장하기 시작했다. 언론에서는 더욱 자극적인 소재가 필요한데, 인구 2,300만 명의 대만 내에서는 그런 소재가 많지 않았다.

그래서 대만의 언론사들은 오히려 정부한테 심의 기준을 내리라고 요구했고, 천수이볜은 이런 움직임을 강화해서 정말로 심의 기준이 엄청 완화됐다.

공공장소에서 상영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제외하면, 포르노의 제작, 판매와 공유가 완전한 합법은 아니지만 사실상 묵인되고 있다. 한국에서 폭력성 사유로 19금 딱지를 받는 녀석들은 대만에 가면 12세 정도로 심의를 받고 당당하게 팔 수 있다.

심지어 대만야동청소년 관람불가 대신 15세 관람가로 인가되며, 정말 수위가 높은 야동만 청불(17금[5])로 나온다. 팬시 프론티어에서 판매되는 에로 동인지들도 일절의 검열 없이 판매되고 있다.

게다가 포르노가 아니더라도 2010년대 이후 대만 사회에서 극단주의 세력이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여론 조작 시도가 확산되고 있을 정도로 대만의 표현의 자유가 상상 이상이다.

표현의 자유가 제대로 보장되는 덕분에 대만 정치인들은 대만 만화나 대만 게임에서 단골 소재로 등장하며, 대만 정치인들을 3컷만에 끔살시키는 5도쟁패 같은 만화나 전직 총통 천수이볜골 D. 로저로 만들어도 대만인들은 전혀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코렁탕 같이 표현의 자유를 자체검열하는 사례가 많은데 대만은 안 그런다.

2019년 비정구기구 CIVICUS가 발표하는 'People Power Under Attack' 보고서는 기본적인 자유수준을 기준으로 196개국을 개방, 축소, 방해, 억압, 폐쇄 등 5개 범주로 평가하고 있다.

여기서 아시아에선 유일하게 대만이 개방등급으로 분류되었다.한국일본은 '축소', 홍콩은 '방해', 중국, 북한은 '폐쇄' 국가로 분류했다. # # 보고서 원문

물론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표현의 자유가 너무 극심해 관련 입법 등의 대응책이 논의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는 국민당 등 야당의 거센 반발과 사실상 무제한적으로 보장되는 대만의 표현의 자유를 심각한 수준으로 훼손할 것이라는 유럽연합의 압력에 밀려서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실제로 이른바 가짜 뉴스 처벌법 역시 무기한 보류된 상태이다.[6]

5. 언어

표준 중국어, 대만어와 함께 일본어가 대만 문화의 주춧돌을 이루고 있다. 대만인들은 다양한 매체에서 표준어와 대만어를 섞어 쓰며, 일본어에 매우 친숙하다.[7]

주음부호 또한 대만 문화에서 한 자리를 차지한다. 친숙함을 강조하기 위해, 혹은 웃음 포인트를 위해 표준 중국어, 대만어 혹은 영어를 주음부호로 표기하는 사례가 많다. 的 대신 ㄉ를 쓴다던지, Youtuber 대신에 ㄩ禿ㄅ를 쓴다던지, 한자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의 대만어 어휘를 주음부호로 표기하는 등의 행위가 이에 속한다.[8]

표준 중국어와 대만어 이외의 소수 언어로는 객가인 공동체에서 쓰이는 객가어대만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대만 제어, 롄장현 주민들이 사용하는 민동어 등이 있다.

6. 해음과 금기

중국 본토와 마찬가지로 대만에서도 글자의 발음이 비슷하거나 같은 것해음(諧音)이라고 한다(숫자 4와 죽을 死 이런것들). 이로 인해 특정한 것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대체로 중국 본토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지만, 물론 시대에 따라 많은 부분이 변하기 마련이기 때문에 개인차나 세대간 차이도 어느정도 존재한다.

6.1. 숫자

아래에 나온 것처럼 다른 선호되는 숫자들도 있지만 8은 그 중에서도 특히나 선호된다. '부자가 된다'라는 단어인 發財(파차이)와 八이라는 글자의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9]

6.2. 선물

2017년 차이잉원 총통미국을 방문했을 때 텍사스 주지사 애벗으로부터 시계를 선물받아서 대만 내부에서 논란이 되었다. 그 전에 BBC에서 영국인이 대만인에게 시계를 준 건에 대한 양 측의 반응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여담으로 장제스장쉐량의 일화 중, 장쉐량이 서안 사건 후 연금되고 대만에서도 연금 되었을 때 장제스의 생일에 시계를 보낸 적이 있다.
어차피 이빨 다 빠지고 나약한 노인이 됐으니 좀 풀어줘도 되지 않냐는 뜻을 큰 결례를 범하면서 까지 내비친건데 장제스는 거기에 낚싯대로 답례했다 한다. 조용히 시간이나 낚으라는 소리.

6.3. 예절

당장 대만부터 미국의 영향을 받아서 어느 정도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고, 친한 친구라고 해서 남의 사생활이나 개인 정보에 대해 의도적으로 알려고 하면 징그럽게 볼 수도 있다.
정말 엄청 친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정도까지는 괜찮지만, 심지어 험담을 해도 싫어하는 사람에 대해서 많이 아는 것 같으면 진짜 싫어하는지 의심하거나 정신병자처럼 보기도 한다.
유방유비가 괜히 중국식 영웅의 대표가 아니다. 다들 친해지면 배포가 크고 접대도 성대하게 하며 단순 친분을 넘어 의형제를 맺는다. 의형제 단계에 가면 따거(형님) 말만 믿고 돈도 빌려준다.
그러나 일단 친한 사이라면 의심은 내보이지 않는 게 좋다. 정 거절할 일이 있으면 내가 이 돈을 당신에게 빌려주고는 싶지만 나도 가족의 일원이어서 보탬이 돼야 하고 물론 당신은 나의 형제고 당신을 위해서라면 내 목숨도 아깝지 않지만 등 당신 개인의 사정보다는 가족이나 동료 등 다른 사람을 내세우며 거절하자.
호쾌한 동네이면서도 아부가 잘 통하기 때문이다. 따꺼 되기도 쉽다. 관광 가서 야밤에 가이드랑 동네 술집 주인 셋이 술 먹고 마음 잘 맞으면 그냥 도원결의 맺는다. 게다가 1, 2년 후에 찾아가도 기억 한다.

7. 대중문화

7.1.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 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드라마

과거 대만 드라마는 홍콩과 더불어 1960, 70년대부터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인기를 끌었다. 1990년 초반까지 중국 드라마라고 한국에 알려진 작품 대부분이 대만과 홍콩에서 제작된 것들이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홍콩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많은 배우들이 홍콩을 오가며 활동했다. 특히 대만의 무협 드라마는 상당한 수준으로, 수작이라 불릴만한 시리즈들을 많이 만들었다. 신백낭자전기, 의천도룡기, 소오강호, 황제의 딸 등이 유명하고, 국내에서는 판관 포청천이 굉장한 히트를 기록했다. 강시붐이 한창 일어날 당시에는 아동용 무협 드라마도 여럿 제작해서 국내에 <쾌걸보이 아지>로 알려진 <홍고>같은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했다.

2000년대에는 중국과 대만이 공동제작한 양안합작드라마가 여럿 제작되었고 인기가 있었는데 사실 제작은 대만측에서 했고 중국방영허가를 위해 양안합작이라는 형식으로 소개되었다.

진교은이 출연한 2008년 대드 명중주정아애니가 중화권에서 인기가 높았던 마지막 대드로 알려져 있다.

현재 대만의 드라마 업계는 매우 영세한 상황이다. 중국의 시장규모가 압도적으로 성장해버려서 중화권 투자자들이 홍콩과 대만을 버리고 중국의 드라마 제작사에 투자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도 대만드라마는 많이 만들어지지만 저예산 현대극 드라마가 주를 이룬다.

중국 드라마와 차별화를 위해서 중국 드라마가 검열 때문에 쓰지 못하는 자극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선 진정령, 산하령처럼 정신적인 브로맨스 정도가 표현의 한계인데 대만에선 남자끼리 딥키스하는 BL 드라마도 만들어지고 있다.

대만은 1996년부터 중국드라마를 수입하기 시작했는데 주로 옹정왕조같은 사극을 수입했다. 2010년 중드 신삼국, 2011년 중드 견환전, 경세황비, 보보경심, 궁쇄주렴, 2014년 중드 신조협려가 대만에서도 히트했다. 2010년정도부터 사극은 중드가 대드를 완전히 압도해서 대만에서 사극드라마가 제작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20세기에는 무협 드라마를 많이 제작했지만 최근에는 전혀 제작하지 못하고 있다. 대만 내 무협의 인기가 낮아져서가 아니라 투자자가 대만 대신 중국으로 몰려들기 때문이다.

최근엔 해외 드라마 수입에 적극적인 편이다. 중화권 톱스타가 등장한 중드가 당연히 자주 수입되며 한국 드라마도 여러번 수입되었다.

7.3. 음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S.H.E.jpg

대만의 음악은 대부분 표준 중국어[12]로 불린다. 다만 일부, 특히 음악이나 독립음악 등 비주류에 속하는 장르는 대만어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노래 가사에 일본어가 자주 들어가기도 한다.

일본 문화에 익숙한 국가인지라 별로 어색한 일은 아니다. 이것도 2010년 이후로는 많이 바뀌었다. 아무래도 한류의 영향이 크다보니 노래에 영어를 많이 쓴다. 오히려 일본어를 쓰는게 촌스럽고 옛날 노래 같이 느껴진다고.

70년대에는 가수 등려군이 세계적으로 유명했다. 특히 노래 '첨밀밀', '월량대표아적심'은 당시 한국에서도 유행한 노래였다. 진숙화도 등려군 못지 않은 뛰어난 노래로 많은 활약을 했으며, 80, 1990년대 홍콩 영화의 많은 주제곡을 부른 엽천문도 유명하다.

싱가포르 출신 싱어송라이터인 손연자(孫燕姿)가 대만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많은 인기를 얻기도 했다. 잘 모르는 사람은 손연자를 대만인으로 착각할 정도였다. 사실 손연자 말고도 그동안 동남아 화교 출신 가수 지망생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이 대만이었다.

'꽃보다 남자'의 대만버전 드라마 <유성화원>에 나온 F4는 유명세를 얻자 가요계에도 진출했다. 실제로 나는 가수다의 중국판에서 대만의 가수들이 중국의 가수들을 이기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나오기도 한다.

1990년대 대한민국이 1세대 아이돌의 전성기였던 시절에 대만의 가수들이 한국 노래를 많이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대만의 톱가수로 유명한 서회옥.

대만의 대중가요계는 일본 가요의 영향을 받아 상당히 탄탄하고 저변이 넓다. 장르적으로도 댄스, 발라드, 록 음악, 힙합 등 다양한 음악이 사랑받고 있고 10대 아이돌 가수부터 중장년 가수들까지 차트 상위권에 오른다. 한국 가요계가 아이돌 그룹이 주류라면 대만 가요계는 싱어송라이터가 주류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도철(陶喆), 왕리훙(王力宏)이 인기를 얻고 2000년대 초반 주걸륜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이른바 '3대 싱어송라이터 시대'가 시작됐다. 한국이 H.O.T 등 1세대 아이돌을 시작으로 아이돌이 대를 이으며 인기를 얻었듯 대만에서는 이들의 뒤를 잇는 싱어송라이터가 줄줄이 쏟아지며 가요계를 주도하고 있다.

여성 솔로 가수로는 장혜매채의림 등이 중화권의 디바로 군림하고 있다. 록 음악도 주류 가요계에서 인기가 높으며 오월천(五月天)이라는 밴드는 십여년째 '국민 밴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3]

상대적으로 아이돌 그룹은 많지도 않거니와 인기도 그다지 없는 편이다. 그래서 홍콩과 달리 아이돌보다는 개인 가수가 많다. 그나마 2001년 데뷔한 3인조 걸그룹 S.H.E가 지금까지 꾸준히 활동하며 레전드 아이돌이 됐다.

일본, 한국의 노래들을 굉장히 많이 번안하고 있다. 과거에는 일본 가요의 비중이 절대적이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한국 가요의 번안 비율이 높아져서, 대만인들이 문화적으로 한국의 식민지가 되는거 아니냐는 식의 자조섞인 말까지 나올 지경이었고,[14] 2010년대 이후로는 매해 케이팝 번안곡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 취득도 안하고 멋대로 번안한 노래들이 많았고, 판웨이보같은 사례들이 한국에까지 알려져있었고, 대만내에서도 욕을 쳐먹기도 한다. 또한 저작권 취득도 안한곡을 안하고 번안한 곡으로 대륙에서까지 인기를 얻는 대만가수들이 있기 때문에 멋모르는 중국 대륙팬들이 한국 오리지널곡을 표절판으로 엉뚱하게 알거나 몰고가는 사례들까지 나올정도이다. 오마이걸이 파파야의 내 얘길 들어봐를 리메이크하자, 대만과 중국 대륙의 멋모르는 왕신링 팬들이 내 얘길들어봐를 가지고 시비를 거는 일이 일어날 정도다.[15] 이렇게 저작권 문제가 허술했던 이유는 대만 법원에서 국교가 단절된 나라의 저작권을 인정할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기 때문인데, 이것 때문에 굳이 저작권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져서 저런 케이팝 번안노래들이 성행했던 것이다.

여담으로 티아라Bo Peep Bo Peep을 번안한 왕채화의 'Bo Bee' 라는 곡이 엄청나게 히트를 쳤다. 링크

한국, 일본, 중국과는 달리 뮤직뱅크SBS 인기가요, 쇼! 음악중심 같은 음악 공연 TV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방송에서는 예능, 쇼 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 때문에 가수들이 예능 프로그램 등에 출연해 자기 노래 한 곡 부른 뒤 토크하는 경우가 많다.

대신에 오프라인 행사 공연이 많은 편이다. 새 앨범을 낼 때마다 簽唱會라고 하는 거리 공연과 팬싸인회를 겸하는 행사를 전국 주요 도시를 돌며 연다. 줄만 잘 서면 주걸륜이나 채의림 같은 중화권 레전드 가수들의 공연을 공짜로 코앞에서 볼 수 있는 셈이다.

2010년대에는 선셋 롤러코스터, ozi, 9m88등 인디 밴드도 비주류이나마 유명세를 타는 모양이다.

7.3.1. 문서가 있는 대만 가수 목록[16]

7.4. 아이돌 산업

대만 가요계는 싱어송라이터가 주축으로, 한국과 같은 아이돌 그룹은 철저히 비주류다. 대만 내에서도 중화권을 공략하기 위한 엔터테인먼트 아이돌 시스템이 없는 건 아니나, 대만 시장이 워낙 작고 인기도 없어서 제대로 뜨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도 한국 아이돌들한테 거의 잠식당한 상태라서 중국 시장을 보고 만든 보이그룹이나 걸그룹들도 사실상 대부분이 참패를 하고 연예 기획사들이 줄줄이 폐업하는 결과를 맞았다.

파일:941112.jpg

2016년에는 "Dears"라는 걸그룹[19]이 대만에서 인기를 많이 누리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돌 그룹은 인기가 매우 미미한 편이다. 3인그룹 드림걸즈는 상당히 고령인데다[20] 그룹 전체보다는 곽설부 개인의 인기가 높고[21], 싱가포르 출신 쌍둥이로 구성된 By2도 2010년대 후반에는 인기가 시들해졌다.

7.5.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 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6. 서브컬처

서브컬처에 대해 가장 대우가 좋은 나라로서 웬만한 작품들은 거의 다 정발되고 있다.[22] 오죽하면 Microsoft Silverlight의 각국 홍보 사이트 중에서 대만판 사이트만 특별히 일본판 사이트에도 없는 모에화 캐릭터[23]를 홍보용으로 내세울 정도다. 다만 이건 21세기부터의 일이고 1990년대까지는 서브컬처물에 대해 이미지가 썩 좋지는 못했고, 사실 일본 만화라고 하면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장면들이 막 나오는 만화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그래도 만화에 대한 정부의 인식은 2000년대부터는 괜찮은 편.

중국에 수입되는 일본 서브컬처도 대부분 대만의 중국어 번역본들을 2차 수입해온 것들이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대만이 음성 더빙을 한 작품을 중국에서 정체자들을 간체화하고 제목이나 몇 가지 자잘한 것들만 대륙식으로 수정해 발매하는 것들이 많다.

대만의 오타쿠 수백 명이 니코니코 조곡을 합창한 동영상이 뜨기도 했으며 일본에서는 그에 대한 답가까지 불러줬다. 정치인들도 일본 만화를 즐겨본다고 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다. 쿠메타 코지는 대만에서 팬사인회를 하기도 했다.

파일:tumblr_o05ur3shiX1tadqrro1_1280.jpg
파일:DSC05718.jpg
팬시 프론티어(開拓動漫祭(개척동만제))라는 동인 행사가 있으며, 대만의 최대 동인 행사이자 일본 코믹 마켓 다음으로 세계에서 큰 동인 행사이다. 흔히 FF로 줄여 부르며, 이 FF에는 정부지방자치단체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등 관심이 매우 뜨겁다. 가장 많이 수입되는 한국은 물론이고 심지어 일본에서도 서브컬처는 사회 주류에서 어느 정도 왕따되는 편이지만 대만은 다르다. 정치인들이 당당하게 덕밍아웃을 하는 곳이 바로 대만이다. 예를 들어 2010년 대만 대만 지방공직인원 선거(신베이 시장)와 2016년 제14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에서 일합을 겨뤘던 중국 국민당주리룬민주진보당차이잉원(2016년 당선된 중화민국 총통) 둘 다 오타쿠다![24]

파일:qwrfetrwtrwerwe.png
파일:CZ8FJn8VIAAlOyR.jpg
파일:CZ7z-YGUMAAItKm.jpg
파일:CZ77X8_UMAIX0eU.jpg


2016년 1월 30일 팬시 프론티어차이잉원 총통 당선인이 직접 방문하면서 오타쿠 인증을 찍었다.# 뉴스의 내용은 '차이잉원이 키리시마를 닮았다'는 내용(...).

다만 이와 같은 행보는 젊은층의 표를 의식한 행동이라고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25] 일반 대중의 오타쿠에 대한 시선은 한국에서 오타쿠에 대한 시선과 별반 다르지 않다. 젊은층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분위기로 인해 존중하는 편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지 어떤지는 개개인마다 온도차가 있다. 심지어 2020년 총선에서 코스프레 출신이 당선되는 일도 있었다.

인구수는 적으나 한국에 비해 큰 규모의 서브컬처 산업이 유지되고 있다. 이는 정치 외교적으로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이유가 크다. 한국의 경우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에는 애니메이션(TV판 한정)이나 게임[26]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은 수입이 금지되거나 제한되어 있었고, 1970년대 이래로 만화영화 제작비 부담 문제나 인식 부재 등의 요인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이 정기적으로 방송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최소한 일본 만화의 공식적인 수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선(?)은 유지한데 반해서[27] 사실 대만도 일본 만화의 수입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상당했던 데다가 일본 만화에 대해 선정성이나 폭력성 등으로 문제시하기도 했지만, 이미 1960년대부터 일본 만화가 정식 수입되면서 일본 만화한테 시장을 꽤나 많이 내주기도 했던 역사가 긴 데다가 검열 문제나 비교적 적은 인구수 때문에 자체 애니메이션 같은 것도 제작이 제대로 이루어질 틈이 없는 등의 요인이 겹쳤고, 90년대 이후로 일본 만화출판사 제휴잡지들도 늘어나며 만화시장 대다수를 일본에게 내주는 판이다 보니까 일본 만화의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기도 했다.


대만 오타쿠들은 이미 2011년경부터 이미 이런 오타게를 일본 오타쿠들에게 받아들여 추고 있었다.

7.7. 게임

게임 제작 또한 많이 하며, 대만의 비디오 게임 제작 역사는 비디오게임의 여명기인 1980년대 초반 부터 이어져 내려올 정도로 역사가 깊다.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대만제 게임들로는 RPG 풍운(風雲之天下會), 슈팅 게임 던 레이더, SRPG 용의 기사 2, 3D 롤플레잉 게임초시공영웅전설(超時空英雄傳說), 풍색환상(風色幻想), 환세록(幻世錄), 워락(魔法軍團 Warlocks), 대전액션게임 삼국지 무장쟁패, 오락실 액션 게임 삼국전기 등이 있다. 대만제 게임들은 주로 패키지 게임이 흥했던 1990년대에 대거 들어와 한국 게이머들에게 인상을 남겼다. 덕분에 던 레이더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글화 정발로 발매될 수 있었다.[28] 특히 삼국전기는 오락실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국내에 한글화 정발되었다. 1990년대 당시만 해도 대만산 게임은 동아시아권에서 IBM PC 호환기종용 패키지 게임 시장의 강자이기도 했었다. 다만 한국 못지 않게 일본 게임의 아류가 많은 편이며 2000년대 이전에는 이미테이션 게임도 많이 나왔으나, 의외로 1990년대에 만들어진 대만산 이미테이션 게임 중에서도 저작권 문제만 제외한다면 퀄리티가 제법 좋은 것들이 제법 있었다.

1990년대 대만에서 PC게임을 주로 제작 발매하던 회사로는 소프트 스타[29], 팬더, ACCEND 등이 있었다.

자체 개발 콘솔 게임기는 1991년에 발매된 휴대용 게임기 GAMATE와 1995년 UMC의 자회사인 Funtech 주도로 개발된 Super A'can이 있다. Super A'can의 성능은 4세대 게임기 중 최강이었지만[30] 발매 시기가 매우 늦은데다가 가격경쟁력도 없어서 11개의 게임만 발매되고 1년만에 단종되어 흑역사로 남게 되었고, 이후 대만의 자체 콘솔 게임기는 더 이상 발매되지 않았다.

아케이드 게임 제작의 강국. IGS에서 제작한 데몬 프론트, 삼국전기 시리즈가 국내에서 정식 한글화 출시되어 큰 인기를 끌었으며, 체감형 카레이싱 게임 火线狂飙DX (OVERTAKE DX), SPEED RIDER 시리즈[31], MONSTER EYE[32] 등은 한국 오락실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FPS 게임의 경우 의외로 동북아 국가중에서는 90년대에 한국이나 일본보다 한두개 더 많은 상용 FPS게임 타이틀을 개발한 전적이 있다.[33] 비록 무허가 사용이지만 1994년 빌드 엔진으로 무협지인 칠협오의의 FPS게임화를 개발한 적이 있으며[34], 종극전사라는 게임도 1997년에 만들었다.[35] 다만 플레이어의 경우라면 실력은 좀 약한 것으로 보인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건, 퀘이크 시리즈건, 배틀필드 시리즈건, 날고 기는 한중일 플레이어들의 기량에 밀려 인간탑재 봇 노릇을 하는게 일상 다반사다. 다만 A.V.A의 경우 준우승을 하기도 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는 어느 정도 하는 편이다. 대만 출신의 게임단 타이페이 어새신스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었고, 이 후에 플래시 울브즈ahq와 같은 쟁쟁한 명문팀들을 배출하며 대만 롤의 자부심을 지켜왔다. 롤판의 1부 리그라 할 수 있는 LPL에서도 많은 대만 선수들이 뛰고 있다. 하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부터 계속해서 대만 팀들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성적만을 보이고 있어,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 결국 계속되는 실력 저하와 승부조작 논란까지 겹쳐 대만 롤 리그인 LMS는 2020년, 동남아시아 리그와 통합되어 PCS로 재탄생되는 결과까지 맞이하게 됐다. 이러한 여파로 대만 롤의 자부심이자 명문팀이었던 플래시 울브즈와 롤드컵 진출 경력이 있던 G-RexMAD Team와 같은 팀들이 해체되기까지 했다.

오락실도 꽤 있고 태고의 달인 시리즈 같은 게임이 인기가 많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처럼 게임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게 가능할 정도로 시장규모가 제법 큰 몇 안 되는 나라이다. 그 일례로 코나미의 아케이드용 네트워크 시스템인 e-amusement가 최초로 개통한 해외시장이 바로 이 대만시장.

Cytus, DEEMO 등의 모바일 리듬 게임으로 유명한 게임 제작사 Rayark 또한 대만 소재 개발사이다. 2011년 9월 설립된 신생회사지만 절륜한 퀄리티로 모바일 게임계의 신성으로 자리잡고 있는 중.

강철소녀라는 게임도 만들었다.[36]

일루전 커넥트도 국내에 서비스 중이다.

매년 1월에는 타이베이에서 대형 게임쇼인 타이베이 게임쇼(TGS)가 개최되고 있다. 도쿄 게임쇼와 약칭이 같아서 타이베이 게임쇼는 TpGS라고 구분한다. 다양한 신작 공개 및 중문화 게임의 발표도 이루어지고 있다. 콘솔 게임의 측면으로 봤을 때는 한국의 지스타보다도 더 알찬 느낌. 하지만 어디까지나 콘솔 게임에 한한 것이고, 온라인 게임 부분과 게임의 다양성 부분에서는 많이 부족하다.

대만의 게임 시장은 한국과 달리 모바일 > 콘솔 > PC이다. 모바일 > PC > 콘솔인 한국과 꽤 다르다. 이 역시 일본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리라 여겨진다. 대만의 콘솔 게임 시장 형성 또한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 다음으로 빨랐는데, 1982년에 대만산 아타리 2600 호환기종이 만들어지면서 대만의 콘솔 게임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이듬해인 1983년에는 대만산 콜레코비전 호환기종과 SG-1000 호환기종도 만들어지면서, 이때 부터 대만산 콘솔 게임들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가장 왜색이 짙은 게임을 만드는 나라이다. 단순히 일본색이 좀 난다는 것을 넘어서 아예 캐릭터 이름, 복식, 건축, 인테리어, 음식, 생활 문화 등 전반적인 면을 전체적으로 일본식으로 만드는 일도 적지 않다. 누가 보면 완전한 일본 게임인 줄 알거나, 최소한 대만이 일본과 똑같은 문화를 공유한다고 외국인들이 착각할 정도이다. 한국 같았으면 바로 이러한 이유로 논란이 일었겠지만 대만-일본 관계가 모종의 정치적 연유로 매우 긴밀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대만은 중국과 달리 검열도 매우 수위가 낮아서 그만큼 중국의 반대급부로 더더욱 일본과 연대하려는 경향의 반영일 수도 있다.[37]

파일:r3wefrweftwetwert.jpg

미연시도 은근 많이 만드는데, 위의 사진은 우항(雨港)이라는 별명이 있는 지룽항을 소재로 한 우항지룽(雨港基隆)이라는 미연시다(...).

과거에는 인구라는 한계 탓에 수요가 기대 이하인 시장으로 여겨져 외면받던 경우도 있었으나, 2014년 쯤을 전후로 대만에 번체 중문화된 해외 게임이 정식 발매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대만 자체 내 수요보다 많은 수량이 유통되고 있다. 이는 각종 규제와 심의 문제로 중문 게임 출시가 안 되어 곤란해하던 중국 게이머들이 이런 면에서 자유로운 대만에서 출시되는 번체 중문화 타이틀을 직구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일종의 우회 판매이다.

닌텐도, 소니(플레이스테이션), 코나미 등 일본 콘솔 게임사들의 지역 코드 분류에서는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동아시아 이름으로 한 데 묶여서 관리되고 있다.(일본은 별도) 마이크로소프트Xbox 360에서는 대만, 홍콩, 마카오만 묶여있고 한국은 별도. 이 때문에 대만 게임계에서는 한국에 게임이 정발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대만에도 정발되겠다는 의견이 생긴다. 스팀에서는 각 국가별로 다 코드가 다르게 부여되어 있으니 제외.

요즘은 반교 -Detention-환원 -Devotion-의 잇따른 성공으로 작품성도 인정받는 중이다.

7.7.1. 게임계의 타이완 뉴 웨이브

대만게임들은 한국의 게임과 달리 자국의 근대, 현대 역사를 담아내서 만드는 사례가 많다. 앞서 말한 반교 -Detention-(장제스 시대), 환원 -Devotion-(장징궈 시대) 시리즈는 물론이고 위에 나오는 지룽소녀라는 미연시 야겜조차 대만일치시기에서 국부천대 사이의 대만 내부의 상황을 다루고 있다. 대만의 게임들은 어떻게든 최대한 정치적인 메시지를 넣어서 만든다. 이는 1980년대 초반 대만 영화에서 시작된, 앞서 말한 타이완 뉴 웨이브가 대만 문화 전반으로 퍼졌기 때문이다. 대만 만화에서도 현대 정치를 가지고 소재로 쏟아내는 판에 대만 게임이라한들 크게 다를 바 없다.

대만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심의 기준이 널널하고, 정치적 문제가 되는 물건을 막 만들어도 표현의 자유가 폭넓게 보장되다 보니 정치인들도 태클을 걸지 않는다. 이런 움직임에서 이미 소재가 고갈되어 가는 각종 판타지를 소재로 해도 타이완 뉴웨이브를 접목하여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만 게임에서는 실험적인 작품이 많이 나온다.

7.8. 고민거리

대만 문화 산업계의 고민거리는 주변국(한국, 일본, 중국 등) 문화에 영향력을 잠식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만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이미 문화 경쟁력을 잃었으며 현재까지도 한중일에 비하면 자생력이 확연히 떨어진다.

예를 들자면 한국 영화, 일본 영화, 중국 영화는 2001년 이후로 자국에서 점유율 40%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지만 대만 영화는 자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1990년대 이래로 하락일로로 들어서서 높아봐야 20% 미만이고, 2018년에는 아예 대만 영화 시장에서 대만의 자국 영화 비중은 6.90%에 불과하다. 남아메리카에서 베네수엘라 영화와 비슷한 수준.

텔레비전 방송도 방송 시장 개방 이후로는 너무 많은 채널이 허용되다 보니 경쟁력을 상실했고, 수많은 채널들이 난립하다 보니 돈 많이 들어가는 대형 프로그램을 제작할 역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보도부분의 경우에는 지나친 선정성 경쟁으로 가짜뉴스, 왜곡 보도 확산이 이미 대만 내에서도 수많은 비판과 지적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다 보니 대만 내부에서조차 종편과 보도 채널을 너무 많이 허용해주어서 방송이 막장이 되었다고 한탄하는 목소리가 많고, 제작 인력이나 노하우도 중국으로 빠져나가서 아예 중국에 종속되는 판이라는 목소리도 많다. 한국은 한류 열풍이 1990년대 말에 생겨나기 시작한 이래로 영화,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 꾸준히 수출되고 있고, K-POP도 세계적으로 흥행하는 등[38] 문화 수출국의 면모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지만 대만은 이런 것들이 전혀 없다. 만화와 게임은 어느 정도 자생력이 있지만 애니메이션은 한국보다도 시궁창이라, 애니메이션 보조지원 제도가 있다고는 하지만 주요 방송사 재정이 대만에 비해 훨씬 풍족한 한국조차도 TV 애니메이션 제작이 활발하지 못한데 대만의 TV 애니메이션 제작이 활발할 리가 없다.[39] 사실 애니메이션 제작 역사 자체는 한국보다 빨랐고, TV 애니메이션 제작도 대만이 1985년 <샤오핑과 샤오안(小平與小安)>이 시작점으로 한국보다 2년 정도 빨랐지만 제작 여건이 시궁창이니 그만큼 발전이 뒤쳐진 것이다. 의외로 방송시장이 개판이 된 2000년대 이후로도 합작 형태로 꽤 제작은 되고 있지만 역시 현실은 시궁창이다.

대만의 문화 산업은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이 몇 배는 더 농축되었고, 제작 인프라는 개판이며, 세계에서 돌풍같은 것도 별로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러다 보니 대만의 영화 업계나 방송 업계에서 한국을 부러워하는 의견이 많아 한류에 대해 질투 어린 시선으로 보는 경우도 종종 있다.[40] 대만에는 한국 문화와 일본 문화의 영향력이 강해 뉴스만 틀면 해당 국가의 연예계 소식이 주요 뉴스로 나오는 수준이다. 길거리를 거닐면 거리에서는 한국 노래가 나오는데 간판은 일본어와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이 도배된 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대만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자체적인 소프트 파워를 자랑하던 나라였는데, 사실 타이완 뉴웨이브로 세계 영화계에서 나름대로 호평을 받기도 했고, 홍콩 영화와 교류를 활발히 하여 대만 영화대만 드라마도 그 영향을 받아 어느 정도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받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 대만 방송 시장의 파편화와 1990년대 초부터 진행된 자체 영화 산업의 몰락이 겹쳐 연예계 영화계의 고급 인력이 대부분 같은 언어권인 중국 대륙으로 블랙홀처럼 빨려들어가 속 빈 강정이 되었다. 자체적인 소프트 파워를 잃어버려 미국영국에게 의존하게 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의 연예계, 영화계와 비슷하다.

8. 언론

8.1. 신문

대만은 1949년 대만 계엄령이 선포된 이래로 1980년대 중반까지는 현재의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과 싱가포르가 그렇듯이, 혹은 비슷한 시기의 한국이 그렇듯 언론들은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아야 했다. 우선 주요 기사는 국민당의 검열을 받아야 했고, 신문발행 지면도 1970년대 중반부터 1987년도까지는 1일 12면으로 제한되었으며 1950년대 중반부터 1987년까지 신규 언론사의 등록도 막혀있는지라 자연히 언론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다. 당시 대만 언론자유 수준이 어땠는지 알 수 있는 사건이 자유중국 사건이다.

1988년 대만 계엄령 해체와 더불어 언론자유화가 시행됨에 따라 신문 발행이 자유화되었고 이후로 홍콩의 상대적인 추락과 더불어 중화권에서 가장 언론자유가 보장되는 국가/지역으로 거듭났고, 동아시아에서도 독보적인 수준으로 성장했다. 대만의 4대 일간지의 평균 발행부수는 50~100만 부 내외로 인구에 비하면 좀 많이 발행하는 편.

대표적인 신문으로는 중국시보(中國時報), 연합보(聯合報), 자유시보(自由時報), 빈과일보(蘋果日報)[41]가 있다. 이중 중국시보와 연합보는 친 국민당 성향, 자유시보는 친 민진당 성향으로 분류된다. 과거의 빈과일보는 정치적인 스탠스에 있어서 기존의 3대 신문사와는 다르게 정당에 구애받는 성향은 아니지만 반중공 성향을 강하게 띄고 있었다. 이외에도 1966년부터 2006년까지 발간된 <중앙일보(中央日報)>도 있었는데 중국국민당의 기관지이다. 한때는 1위 신문사의 자리를 굳건히 지킨 때도 있었지만 1980년대 후반-90년대의 민주화 바람으로 중국시보, 연합보는 물론이고 자유시보에게도 밀리는 처지가 되었고 2000년대에 적자가 누적되어 결국엔 2006년에 종이신문 발행을 중단했다.[42]

대만의 신문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신문이 굉장히 알록달록하다는 것이다.

파일:external/www.infotimes.com.tw/20091216B01AA1_600.jpg

대만 중앙일간지(민국 98년(2009) 12월 16일자 중국시보)의 모습. 이게 찌라시가 아니라 전국 대상 중앙일간지다. 심지어 이 정도면 대만에서도 약과에 속한다.[43]

파일:external/images.plurk.com/7c089b988f63b74117f295af02f9a86f.jpg

지금은 볼 수 없는 홍콩 출신 일간지인 빈과일보 대만판. 2003년 발행분이다.

사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대만의 신문은 지금에 비하면 꽤나 깔끔한 편이었다. 현재와 같이 신문이 난잡해진 것은 홍콩 빈과일보의 대만 진출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빈과일보가 홍콩에서 창간되었을 때부터 전면 컬러 인쇄와 자극적인 제목 선정으로 독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지만 신문의 노골적인 상업화와 연성화로 비판이 많았는데, 대만의 빈과일보도 이를 답습했고 첫 판매부수만 56만 부를 찍는 등 대박을 치면서 2000년대 초반에 창간했음에도 수위권의 언론사에 등극했다. 반면에 지방언론사들이 속속 파산하고 메이저급 언론사들도 불황에 허덕이자 다른 일간지들도 판매 부수를 늘리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극적인 편집을 하게 된 것. 한때 대만 빈과일보에서 넥스트TV(壹電視)라는 보도채널을 운영한 적이 있었는데 모(母)기업인 빈과일보로 인해 자극적인 BGM 남발과 온갖 현란한 자막 효과로 뉴스를 도배했고 이후 넥스트TV가 다른 채널에 매각되었음에도 그 영향이 이미 모든 뉴스 채널로 확산되어 대만의 텔레비전 뉴스(지상파든 종편이든 전문채널이든)를 보면 굉장히 어지럽다.

여하간 대만 언론은 자유화와 함께 상업주의적인 노선을 대놓고 걷다 보니까 언론 자유도가 높은 것과는 별개로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상당히 낮은 편이다.# 검열이 심각하며 현재도 자행되고 있는 중국과 다른 방향으로 막장인 셈이다. 실제로, 중국 텔레비전 등 친중 성향 언론의 경우 중국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보도로 외면을 받고 있으며, 반중 성향 언론의 경우 NTD TV 친일, 극우성향 매체에 해당한다면 화독, 대만독립파를 중심으로 대만 내에서도 믿고 거른다는 의견이 많다.

한 가지 특징을 더 꼽자면 2013년 가로쓰기로 전향한 중국시보를 제외하면 대체로 일본처럼 세로쓰기를 유지하고 있다.

8.2. 방송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20894> 지상파 TTV (TTV · TTV NEWS · TTV Finance · TTV 종합) | CTV (CTV · CTV NEWS · CTV Classic · CTV Bravo) | TBS (CTS · CTS Education Sports Culture · CTS NEWS · 의회1 · 의회2 · | FTV (FTV · FTV ONE · FTV NEWS · FTV Taiwan) | PTS · PTS Taiwan Language · PTS3 · Hakka TV Main Channel) | IPCP (TITV)
보도전문채널 ERA 뉴스, EBC 동삼신문, EBC 동삼재경신문, CTi 뉴스, FTV News Channel, SET News Channel, TVBS-NEWS, 비범신문, NEXT TV, TTV NEWS, CTV News Channel, CTS News Information Channel, SET iNEWS
종합유선채널 BLTV, 대애전시, 위래종합, GTV 제일방송, GTV 종합방송, SET 도회방송, 위시중문, EBC 동삼종합, EBC 동삼초시, CTi 버라이어티, Azio TV, 연대MUCH, TOP TV, TVBS, 위래육락, JET 종합방송, FOX, NTDTV, 아시아 관광 방송
다큐멘터리채널 Discovery, National Geographic Channel (NGC), TLC, Animal Planet
어린이채널 Disney Channel, EBC YOYO, MOMO 친자
애니메이션채널 카통빈도, Animax
대만어전문채널 SET 대만방송, PILI TV, Taiwan Arts & Culture Television (TACT), 대만종합방송
오락채널 TVBS 환락, CTI 오락, GTV 오락
드라마채널 EBC 동삼희극, GTV 희극, 위래희극
일본프로그램채널 위래일본, Gold Sun TV (GSTV), Z채널
영화전문채널 STAR Chinese Movies, EBC 동삼전영, VideoLand Movie
서양영화전문채널 HBO, EBC 동삼양편, AXN, STAR Movies, Cinemax
스포츠전문채널 VL Sports, FOX Sports, FOX Sports 2, FOX Sports 3, Eleven Sports Network
음악전문채널 MTV
외국어전문채널 CNN International, NHK 월드 프리미엄, BBC World News, STAR World
금융전문채널 비범신문
종교전문채널 GOOD TV, Hwazan Satellite TV
IPTV 방송 대만미식망로전시, 빈분대만망로전시, Golden TV, 환우신문2, 환우재경, 미식성구, Smart지식, 니극국제아동빈도 (nickelodeon), 신당인아시아태평양방송, Animax HD
IPTV 외국어방송 TV5MONDE, Arirang 전시, 팽박전시, NHK환구광파망, Deutsche Welle (DW-TV ASIEN), 덕국지성, 반도전시, CNBC ASIA, 유럽신문, TFC, Channel News Asia (CNA), FOX NEWS, FRANCE24, LUXE TV
IPTV 고화질방송 FOX FOX HD, FX HD, FOX Sports 3 HD, tvN HD, STAR Chinese Movies HD (SCM HD), STAR Movies HD, Star Entertainment Channel (SEC), Star World HD, Channel V HD, Nat Geo People, Nat Geo Wild, Baby TV, Sky News
HBO HBO HD, HBO HiTS, HBO Signature, HBO Family
Discovery Discovery HD World, DMAX, Discovery Science, eve
BBC BBC Earth, BBC Lifestyle
대만우시매체과기 대만HD종합, 대만HD희극, 대만HD아동
NEXT TV 일신문, 일종합
SET 삼립전시 SET 종합방송, SET 희극방송, SET iNEWS
ELTA TV ELTA 체육방송, ELTA 영극방송, ELTA 종합방송, ELTA 육락방송
GOOD TV 호소식일방송, 호소식진리조취방송
DaAi 2 HD, 위래정채방송, History, Eurosport, TVBS 정채방송, Outdoor HD, Fashion TV, MY KIDS TV, MY 101
위성방송 FOX FOX HD, FX HD, FOX Family Movies HD, tvN HD, Star Movies HD, Star World HD, Nat Geo HD, Nat Geo People, Nat Geo Wild, Sky News, FOX NEWS
HBO HBO HD, HBO HiTS, HBO Signature, HBO Family, Cinemax
Discovery Discovery HD World, DMAX, Discovery Science, Discovery Kids, eve
Travel Channel, Warner Channel, CNN
같이보기 : 대만의 라디오 방송
중국어권 둘러보기
중국의 TV 채널 | 중국의 라디오 채널 | 마카오 | 홍콩의 지상파 방송국 | 홍콩의 위성 및 인터넷 방송 | 홍콩의 유료방송 및 OTT 플랫폼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의 라디오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M 라디오 全景電台
淡水河電台
健康電台
大樹下電台
佳音電台
台北勞工教育電台 Bravo FM 홈페이지,
청취하기
台北流行廣播電台 POP Radio 홈페이지,
청취하기
飛碟電台 UFO Radio 홈페이지,
청취하기
台北廣播電台 타이베이
시영 라디오
홈페이지,
청취하기
寶島客家電台 홈페이지,
청취하기
警察廣播電台 경찰
라디오 방송
홈페이지
原住民族廣播電台 원주민 라디오 방송 Alian 96.3 홈페이지,
청취하기
綠色和平電台 그린피스 대만
문화 라디오
홈페이지
台灣全民廣播電台 대만
국립 방송국
News98 홈페이지,
청취하기
好事989電台 Best Radio 홈페이지,
청취하기
愛樂電台 홈페이지,
청취하기
ICRT 외국인 대상 홈페이지,
청취하기
教育電台 국립교육방송 National Education Radio (NER) 홈페이지,
청취하기
中國廣播公司
流行調頻廣播網
중국방송공사 (BCC) I like radio 홈페이지,
청취하기
正聲廣播電台 홈페이지,
청취하기
警察廣播電台 경찰
라디오 방송
홈페이지,
청취하기
講客廣播電台 홈페이지,
청취하기
漢聲廣播電台 한성
라디오 방송
홈페이지,
청취하기
台北之音 HitFM 홈페이지,
청취하기
心動音樂電台 Pulse 홈페이지,
청취하기
亞洲電台 아시아 방송 ASIA FM! 홈페이지,
홈페이지,
청취하기
亞太電台 태평양 방송
AM 라디오 中國廣播公司 중국방송공사 (BCC) I GO 531 홈페이지,
청취하기
中國廣播公司
新聞調幅廣播網
BCC 뉴스 라디오 홈페이지
中國廣播公司
鄉親調幅廣播網
BCC 시골 라디오 홈페이지
復興廣播電台
第一網
홈페이지,
청취하기,
청취하기
復興廣播電台
第二網
漢聲廣播電台 한성
라디오 방송
홈페이지,
청취하기
世新廣播電台 홈페이지
正聲廣播電台 홈페이지,
청취하기
民本廣播電台
天南廣播電台
中華廣播電台 중화 방송 홈페이지
台北廣播電台 타이페이
시영 라디오
홈페이지,
청취하기
華聲電台 홈페이지
台灣廣播公司 대만방송공사 홈페이지
復興崗廣播電台
教育廣播電台 국립교육방송 National Education Radio (NER) 홈페이지,
청취하기
漁業廣播電臺 대만어업방송 Fishery Radio Station (FRS) 홈페이지
같이보기 : 대만의 TV 방송
중국어권 같이보기
중국/TV
중국/라디오
마카오 홍콩/지상파 홍콩/위성 및
인터넷 방송
홍콩/유료방송 및
OTT 플랫폼
}}}}}}}}} ||


1962년에 대만 최초의 TV 방송국인 TTV가 개국하였으며 중화권에서는 세 번째로 개국했다.[44] 이후 수십년 내내 대만 TV의 주요 채널에서는 각종 국내외 영상 작품들이 방영되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도 그에 편승해 속속 방영되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을 자체제작하기에는 돈이 너무 많이 든다는 이유도 있고 비교적 수입판권료가 싸다는 이유 때문에 일찍부터 수입되면서 대만에서 폭발적 인기를 얻어오면서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이 수입되었고 애니덕후들의 팬카페도 다수 생겨났다. 蔣中正到龍猫的取代(장제스를 토토로로 대체하자)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45] 오죽하면 1970년대에 일본만화 유해론이 나와서 논쟁거리가 되었을 정도였고 이게 1990년대까지도 이어졌다. 하지만 한국이 그렇듯이 대만도 마찬가지로 TV애니메이션의 자급자족에는 실패하면서 현재까지도 일본 애니메이션이 잘 방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대만은 경제력이 한국을 능가했던 관계로 TV방송 시작이 늦었음에도 TV가 한국보다는 일찍 보급되었으며 국영방송이 주류였음에도 타이완 성 정부, 중앙정부, 국민당에서 각자 따로 방송국을 운영하던 관계로 일찍부터 경쟁체제가 갖춰져 있었기 때문에[46] 상업성 경쟁도 상당했고, 한국과 다르게 중간광고를 대대적으로 집어넣을 정도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전에는 사실상 국영방송이 주류였음에도[47] 불구하고 과도한 광고, 국영독점다운 친정부 일색의 성향과 과도한 정부 선전, 산악 지형으로 인한 난시청지역이 많은 국토의 특성 등으로 인해 일찍이 본성인들을 중심으로 케이블 TV가 보급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비디오 레코더가 널리 보급되면서 외국에서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녹화 방영하거나 자체제작 프로그램을 방영하기 시작한 케이블 방송도 등장하게 되자, 위협을 느낀 국민당 정부에선 케이블 TV를 불법으로 지정하고 탄압에 나섰지만 케이블 TV의 확산을 막을 수 없었고 결국 리덩후이 정부하에서 케이블 TV 양성화 정책과 채널 수 확대[48] 정책을 폈다.

이 시기 방송에 대해 대대적인 규제 완화를 하면서 채널 수가 급속히 늘어나고 이에 따라 방송시장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지만 TV 채널이 시장 규모에 맞지 않게 너무 과도하게 많아지는 바람에 채널당 분배되는 파이가 너무 적어지고 설상가상으로 국산TV 프로그램의 방영 쿼터제가 폐지되면서 케이블 방송사들은 앞다투어 외국의 TV 프로그램을 잇따라 수입하면서 외국 TV 프로그램에 의존하게 되었고, 기존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들은 광고 수입이 크게 줄어듬에 따라 중국과 합작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또한 방송사 재정 기반의 부실화에 따라 자체제작 프로그램의 제작비도 급속히 줄어드는 바람에 프로그램의 저질화도 가속화되어 국민당 1당 독재시절과 다른 의미로 방송계는 막장이 되고 말았다. 어느정도의 수준이나면 지상파 채널이 15개에(물론 MMS 시행으로 채널 수가 15개인 것이다.) 종합편성채널이 20개나 허용되어있고 24시간 보도채널이 한국은 2개(YTN, 연합뉴스TV) 정도인데 반해 대만은 9개씩이나 된다. 거기에다가 중국처럼 각 방송사에서 채널을 여러 개 소유하고 있는 건 기본이다. 이러니 제 살 깎아먹기 식으로 경쟁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자체 제작 기반을 유지하는 방송사들이 상당수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 해도 한국 수준으로 제작기반이 잘 유지된 것은 아니다.

인구가 한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이미 기존의 광고 규제도 느슨했다 보니 아무리 규제 완화를 한다 해도 한계치가 있는데 이런 사정을 감안하지 않고 방송 규제를 완화하면서 엄청난 부작용에 시달리게 되었던것이다.[49] 지상파 방송이 몰락한 건 덤으로 5대 지상파 방송사 시청 점유율을 합해도 전체 시청 점유율의 1/5에 못 미치는 수준이 되었다.

그나마 수입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이 문제가 되면서 국산 프로그램 방영 쿼터제를 부활시키기는 했고, 이러한 쿼터제를 확대하려는 움직임까지 일고 있지만 그런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재정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기에 앞으로도 나아지기는 힘들 듯하다. 재정이 얼마나 막장화가 되었냐면 명색이 지상파 방송국이라는데가 케이블 종편사에 얹혀 살고 있는 곳도 있으며 부동산 수익으로 겨우겨우 연명하고 있는 방송사들도 있다.

심지어 뉴스에서조차 간접광고를 내보내 대만 언론의 질을 떨어트린다는 원인 중 하나라는 한탄이 나오는 중. 게다가 경쟁이 심각하다보니 보도 부문의 막장화도 나타나 한국의 종합편성채널에서 보이는 선정적인 뉴스 경쟁도 대만은 이미 2000년대 초부터 등장했다. 심지어 선거 개표도 선관위 공식집계보다 훨씬 이르게 발표하는 일까지도 벌어지는데, 이 때문에 2004년 총통선거 때의 혼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비단 이 사례뿐만 아니더라도 공정성이나 심층성보다는 선정성과 시청률을 추구하다보니 자막과 CG로 떡칠된 화면 구성이나 잡담으로 때우는 경우가 많은 시사 토크쇼 등으로 인해서 프로그램의 질 측면에서도 별로 좋은 소리는 못 듣고 있다. 게다가 취재 행태도 기자들이 무례하거나 엉뚱한 질문 정도는 날리는 정도는 애교인 수준으로 처참하다.

한국에서도 언론사들과 기자들이 베껴쓰기 및 떨어지는 자질, 광고료와 정치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논조 등으로 비판을 받으며 평판이 나쁘지만, 방송사에서 최소한의 공익성을 강조하는 규제는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리미터가 완전히 풀리지 않았다는 느낌이라면 대만은 PTS 같은 소수의 방송국들을 제외하면 그조차도 완전히 풀렸다는 느낌이다. 대만인들이 한국 뉴스프로그램을 볼 때 적어도 한국 뉴스 프로그램이 대만보다는 훨씬 깔끔하고 신뢰가 간다고 평할 정도. 공산당 관련 소식이나 성장, 시장 소식부터 나오는 중국과 다른 의미로 막장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 이후 대만 예능이 다른 의미로 인기가 있는데, 유튜브의 SET, FTV 등에서 업로드된 대만 예능프로그램의 노출수위가 한국이나 중국보다 상당히 높아서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대만 예능의 위엄'으로 화제가 되기도 한다.

9. 스포츠

대만/스포츠 항목 참조.

치어리더의 사회적 위상이 세계에서 제일 높은 국가이다. 한국에서 인기 걸그룹이 받는 대우를 대만에서는 치어리더들이 받고 있다.

10. 종교

대만은 헌법 제 13조에 따라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종교의 자유가 가장 잘 지켜지는 나라 중 하나이다.

2005년 대만 내정부 통계에 따르면 대만에서 신자가 많은 종교는 불교와 도교로 각각 인구 중 각각 35%, 33%가 스스로를 불교 신자, 도교 신자로 인식한다. 그 뒤를 이어 그리스도교(3.9%)와 기타 소수 종교 등이 있으며, 무종교인은 약 18%이다. 자료 출처

대만의 전통적인 종교는 불교도교, 유교, 그리고 이 세 가지가 혼합된 민간종교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사원은 이름에 쓰이는 글자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사(寺)’자를 사용하는 불교의 대표적인 사원은 룽산쓰(龍山寺), ‘궁(宮)’자를 사용하는 도교의 대표적인 사원은 즈난궁(指南宮), ‘묘(廟)’자를 사용하는 유교의 대표적인 사원은 쿵쯔먀오(孔子廟)이다.

2005년의 자료에 의하면 대만 정부에 등록된 재단법인 혹은 사단법인의 종교는 불교, 도교,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이슬람, 일관도 등 16개가 있다. 2000년 내정부 통계에 의하면 대만 지역에 등록 사찰이 9,413개이고 전국적인 종교 재단법인은 145개, 사단법인은 300개이다. 이와 같이 많은 사찰과 종교 단체가 일하고 있는 곳이 대만이다. 그러나 실상 寺, 宮, 廟 안에 들어가면 유교, 불교, 도교만 합쳐진 것이 아니라 민간 종교까지 혼합되어 있다.

대만인들은 주변 나라 사람들처럼 종교를 신념적인 면에서보다는 세속적인 면에서 받아들이고 이해한다. 세계에서 가장 편의점이 잘 되고 가장 많은 나라가 대만이다. 먼저 실질적으로 편리해야만 뭐라도 된다. 우선 싸야 되고, 편리해야 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야 한다. 종교 또한 예외일 수 없다. 생활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종교는 결국 대만인의 삶 속에 영향력을 주지 못하는 것이다. 시장이 사찰이나 궁 앞에서 시작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이는 불공을 드리면서 시장도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위해서이다. 이들은 현재의 생활과 삶에 직접적인 것을 이야기할 때 관심을 가지고 귀를 기울인다. 그러나 종교가 세상과 무관한 이야기를 할 때마다 이들은 종교와 멀어지기 마련이다.

10.1. 불교

불교18세기 한족의 대만 이민을 통해 자리잡았다. 이 때 여러 산에 관세음보살 신앙을 근거로 한 산사들이 들어섰다. 전체 인구의 35%가 불교신자이다.

대만일치시기에는 일본의 불교 교파도 유입되어 1945년 패전 직전에는 8개 종단의 14개 교파가 대만에 자리잡았다고 한다. 일본 불교는 대만을 새로운 시장(?)으로 보고 자신들의 불교 신앙을 열심히 전파했으며, 패전으로 일본인들이 대만에서 대거 쫓겨난 이후로도 일본 불교의 교파들은 일부 남아있다.

2차대전 이후 국민정부가 대만을 지배하고, 국부천대가 이루어지면서 중국 대륙의 수많은 승려들이 대만으로 건너왔다. 중국 대륙에서 건너온 불교 승려들은 대승 불교를 기반으로 하여 신앙을 전파했다. 이렇게 중국 대륙에서 건너온 불교 승려들의 노력으로 1983년에 80만 명에 지나지 않았던 불교 신자는 현재 800만 명을 넘어섰다. 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불교 승려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소외된 사람들이 불교에서 위안을 찾고자 하는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한다. 대만의 불교는 1980년대 중반부터 점차적으로 국민당 철권통치가 완화되고 민주화가 추진되면서 자유로워진 사회 분위기를 타고 여러 사회운동을 전개해나갔고, 이러한 활동들이 많은 대만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분석도 있다. 1980년대 대만의 불교 인사들은 이를 토대로 중국에 건너가 문화대혁명 이후 뿌리가 뽑히다시피 한 중국의 불교를 진흥하는 데도 기여했다고 한다.

불자들은 주로 정토종이나 선종을 믿지만, 대만 불교가 다양화됨에 따라 중국 불교 뿐 아니라 티베트 불교일련정종 등 비(非) 중국불교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티베트 불교의 경우 사라 프레이저(Sarah E. Fraser) 하이델베르크대 교수가 2018년 연구에서 인용한 가장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대만 내 티베트 불교 신자 수는 약 50만~60만여 명에 달한다. #

10.2. 도교

도교 역시 한족의 전통 신앙으로서 18세기에 유입되었다. 대만의 도교는 전진교정일교가 주요 종파이다. 중국 대륙에서 문화대혁명으로 도교 제례 의식 전통이 큰 타격을 받은 것과는 달리 대만에서는 도교 의식이 많이 남아 있고 행해지고 있다.

전체 인구의 33%가 도교 신자이다.

10.3. 민간신앙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종교는 유교, 불교, 도교이지만, 민간에 직접적으로 깊이 파고들어 그들의 풍속과 인생관, 가치관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바로 민간 신앙이다. 이는 민간신앙이 대만 사회의 주요한 문화현상이며 사람들의 정신을 안정되게 하는 문화 종교의 구실도 하는 이유에서이기 때문이다. 개인의 신념만큼이나 사람마다 믿는 민간신앙의 종류는 신, 사람, 귀신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민간신앙을 믿는 사람이나 종류를 쉽게 숫자로 파악할 수는 없다. 그리고 대만 사람들은 민간 신앙이 불교, 도교와 서로 통하는 면이 있어 종종 자신이 믿는 종교가 민간신앙이 아니라고 말하는 경우도 적지 않아 그 종류를 파악하기도 힘들다. 신앙의 대상들은 천지, 일월성신, 인류, 사회, 국가, 민족에 중요한 공헌을 한 위인 각종 종족의 조상 이외에도 직능에 따라 개척 신, 토지 신, 향토 신 등으로 구분을 한다. 이는 도교가 후한 때 장도릉이 창건한 하나의 고대 정령 신앙이었고, 노자의 사상과 유가, 불교가 섞인 종교로서, 오랜 변천 과정을 거쳐 남방 도교가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만의 민간 신앙은 도교의 영향을 크게 받아 도교의 색채가 짙고 민간 신앙과 도교를 혼동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10.4.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 인구는 대만 전체의 약 3.9%이다. 이 중 약 2/3이 개신교이고 1/3이 가톨릭이다. 대만은 16세기 타이완 섬을 지배했던 네덜란드스페인으로부터 선교사가 유입되어 기독교를 처음으로 접하였다.

주변 국가들처럼 대만도 그리스도교 인구는 많지 않으며, 많은 대만인들에게 그리스도교는 여전히 생경한 종교/문화로 인식된다. 그리스도교는 대만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꽤 불편한 종교이다. 교회에서 정한 시간에 정해진 장소로 가서 미사/예배를 드려야 하고, 당장 실생활에 그리 큰 유익을 주는 것 같지도 않고, 각종 종교 행사나 교회 모임 등의 신앙 생활이 일상과는 동떨어져 있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대만에서 제헌절이 12월 25일인 이유는 장제스와 장징궈가 기독교 신자라 일부러 제헌절을 성탄절에 맞췄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기독교 선교사들은 대만 내 기독교 전파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게 만드는 요소로 불교, 도교 등 전통 종교 뿐 아니라 조상의 위패, 재물신 등의 사당을 차려놓고 복을 구하는 다신교적 사상을 손꼽는다. 절대 다수의 대만인들은 자신이 모시는 신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하며,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역시 여러 많은 신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즉 "당신이 믿는 신도 좋고, 내가 믿는 신도 좋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신앙이 확산되기 어려운 것이다. 이 같은 배경으로 인해 특별히 그리스도교에 대한 배척이 없지만, 유일신 사상을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아울러 그리스도교로 개종했을 경우, 조상신을 섬길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선뜻 신앙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온 집안 식구들이 수시로 사원을 찾아서 절을 하며 조상을 숭배하는데, 이를 거부하면 가족 눈치를 보게 되는 일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조상 숭배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조상에 대한 배반이라는 생각이 이들의 사상에 짙게 깔려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실생활과 동떨어진 종교는 대만인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

대만의 그리스도교 현황은 이러한 상황을 함께 이해해야 한다. 영국령이었던 홍콩이나 포르투갈령이었던 마카오처럼 서양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한국처럼 기복신앙이 되거나 민간신앙과 섞인 것도 아니다. 현세의 세세한 일상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고, 내세와 구원을 말하며 절대신에게 순종할 것을 요구하는 종교를 별로 선호하지 않는 것.

10.4.1. 개신교

대만의 개신교 신자는 전체 인구의 2.6%이다. 대만은 청나라 지배 이전까지 네덜란드 세력이 자리잡았던 곳이기 때문에 가톨릭보다는 개신교의 포교가 더 활발히 이루어졌다. 네덜란드 선교사들은 당시 타이완 섬에 있었던 소수의 한족과 원주민에게 개신교를 전파했다. 그러나 정성공이 네덜란드 세력을 타이완 섬에서 쫓아내면서 개신교의 전통은 일시적으로 끊기게 된다.

19세기에 서양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다시 타이완 섬에 들어와 개신교를 전파했다. 그들은 성경민남어와 각종 원주민 언어로 번역했는데,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 민남어 백화자로 현재에도 대만어로마자 표기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원주민 언어들의 로마자 표기도 이를 계기로 확립된 것이 많다.

대만의 개신교인들은 장로회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대만기독장로교회(台灣基督長老教會)는 1865년[50]에 설립되어 활동해왔는데, 이들은 본성인대만 원주민 선교에 큰 비중을 두었다. 장로회는 대만일치시기에도 대만인의 권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해왔으며, 국민정부의 횡포에 대해서도 본성인들을 대변해 적극적으로 저항해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대만이 UN에서 쫓겨나는 등 국제적 입지가 급격히 축소되던 1970년대에 대만 정부는 장로회를 빨갱이 집단으로 보고 집중 탄압한 바 있다. 그럼에도 1977년 8월 16일에는 단체로서 최초로 대만 독립을 공개적으로 촉구하는 등 저항을 이어나갔다. 이러한 이유로 민주화된 오늘날 장로교 인사들은 범록연맹의 주요 지지세력 중 하나이다. 공식적으로 대만의 장로회는 특정 정치세력을 지원하지는 않으나, 장로회 인사들 중에는 범록연맹 지지자나 범록연맹 측에서 활동하는 인물이 많다. 대표적으로 리덩후이 전 총통이 있다. 또한 장로회는 원주민의 권익 신장과 권리 보장에도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노력 덕에 원주민들 중 64%가 장로교 신자이다.

물론 외성인 중에서도 개신교인들은 있다. 중국 대륙에서 공산주의 이념에 의거해 종교인들을 탄압하다보니 많은 수의 개신교인들이 대만으로 넘어왔다. 국가 지도층 중에서도 중화민국의 국부인 쑨원을 비롯해 헌정 초대 총통 장제스, 장징궈, 쑹메이링, 등이 개신교인이었다.

10.4.2. 가톨릭

가톨릭은 개신교에 비해 교세가 크지 못하다. 16세기에 타이완 섬 북부를 잠깐 지배했던 스페인에서 가톨릭을 전파했지만, 얼마 못가 네덜란드에 쫓겨나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했다. 대만 가톨릭에서는 19세기에 도미니코회 수도자들이 필리핀에서 대만으로 들어온 것을 대만 가톨릭 역사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대만에는 1913년에 중국 대륙으로부터 교구가 분리되어 독자적인 교구가 설치되었다.

하지만 국민정부 지배 이전까지 대만에는 가톨릭 신자가 그리 많지 않았다. 가톨릭 신자가 급격히 늘어나게 된 계기는 국부천대중국 대륙의 종교 탄압 과정에서 수많은 대륙 가톨릭 신자들이 대만으로 망명해온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외성인들이 초기부터 교회의 주류였는데, 현재까지 배출된 3명의 추기경 모두 중국 본토 출신이었다. 자연히 대만 가톨릭도 국민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 반대 급부인지 대만의 가톨릭은 개신교에 비해 민주화 운동에 소극적이었고, 오늘날에도 이것이 대만에서의 가톨릭 부진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대만 가톨릭은 대만 전역에 8개 교구를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가톨릭 신자는 마잉주 전 총통이 있다.

10.5. 이슬람

오늘날 대만 내 무슬림의 대다수는 동남아시아에서 이주노동자로 온 인도네시아인들이다. 국공내전 직후에는 중국 본토에서 이주해 온 후이족이나 위구르인 등등이 중심이 되었지만,[51] 이들은 대만 내에서 현지 한족들과 대부분 그대로 동화되었고, 아직 이슬람 신앙을 보존하고 있는 일부 역시 인도네시아인들과 서로 소 닭보듯 하는 사이이다.

국민당이 국공내전에서 패배하면서 1949년 바이충시를 중심으로 약 2만여 명의 무슬림들이 대만으로 피난하였고 1953년 미얀마의 판사이 수천여 명이 대만으로 피신하였으나, 이들 대다수는 현지 한족들과 그대로 완전히 동화되어 무슬림으로서의 정체성을 상실하였다. 중일전쟁의 명장이자 후이족을 대표하는 위인 중 하나인 바이충시의 경우, 바이충시 본인은 작전 지역에서 절이나 도교 사원들을 다 파괴하고 다닐 정도로 이슬람의 우상숭배 금지 교리에 철저하였으나, 정작 그의 아들은 아버지가 그렇게도 싫어하고 무시하던 불교로 개종하였다. 유사사례로 천안문 사태 당시 미국으로 망명했다 대만으로 이주한 위구르인 우얼카이시 둬라이티 역시 기독교로 개종했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으며, 현재는 종교 관련해서 공개 석상에서 일체 발언을 하지 않고 있다. 후이족이나 무슬림 후손에 해당하는 인구는 적지는 않을테지만 이들 중 이슬람교 신앙을 보존한 인구가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이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이주노동자를 제외한 대만인 중 대략 5~6만 명 정도가 무슬림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만 정부가 자국 내 종교 비율을 직접 집계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것이 정확한 수치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중국 본토의 무슬림 소수민족에서 유래한 무슬림 공동체가 현재 대만 내에서 완전히 사멸한 것은 아니다. 현재도 국부천대 때 건너오거나 국부천대 때 유입된 외성인 무슬림들에 의해 재결성된 이슬람교 단체인 중국회교협회나 중국회교청년회와 같은 단체가 활동하고는 있고, 국부천대 직후에 외성인 무슬림들을 위해 건립된 모스크들이 현재도 운영되고 있다. 유명한 외성인 무슬림으로는 1999년터 2008년까지 입법위원을 지낸 류원슝(劉文雄, 1954 ~ 2017)[52]이 있다.

같은 이슬람 순니파이긴 하지만 인도네시아인들은 샤피이파이고, 그나마 극소수 남은 후이족들이나 위구르인 무슬림들은 하나피파이기 때문에 예배법이나 율법 등이 다르다.[53] 대만만 이런 것은 아니고 유사 사례로 일본의 경우도 러시아 내전을 거치며 건너온 타타르인바시키르인 난민을 위해 20세기 초반에 지어진 하나피파 모스크들과[54] 20세기 후반 이후 지어진 인도네시아인 이주노동자들이 다니는 샤피이파 모스크가 사실상 서로 따로 놀며, 핀란드의 경우도 러시아 지배 시절 들어온 타타르인 무슬림들[55]과 소말리아에서 핀란드로 난민이 되어 이주한 소말리인 무슬림들이[56] 서로 따로 논다.

11. 성 문화

11.1. 성 산업

의외로 국민당 일당독재 시절에 공창제가 시행되었기 때문에 성매매가 합법이었고[57] 수도인 타이베이도 1990년대 초중반까지는 태국방콕과 더불어서 유흥과 향락으로 유명했으며 베이터우 온천 일대가 특히 매춘으로 유명했다.[58] 당시 타이베이 이발소의 상당수가 음성적으로 퇴폐영업을 했을 정도다. 성매매 업자들은 국민당과 유착되어 있어 정치적인 문제가 되기도 했다.

매춘이 불법화된 건 민진당천수이볜타이베이 시장으로 취임하고 부정부패를 척결하겠다면서 사창가를 쓸어내기 시작하고 양지에서 활동하던 성매매 업소들이 줄줄이 폐쇄조치를 당하면서부터이다. 이러한 조치가 여론의 지지를 얻으면서 1999년에 공창제 폐지법안이 통과되었고 2년 후인 2001년에 공창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그러나 공창제 폐지 이후에 매춘업소가 오히려 음지로 숨어드는 바람에 부작용이 속출하여 2011년에 지자체가 성매매 특구로 지정되길 원하면 그 지역에서 성매매를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매춘이 다시 합법화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성매매 특구가 지정되지 않아 실질적으로는 불법이었다가 타이중 일부 행정구역에서 허용하여 실질적으로 다시 허가되었다. 대만의 매춘 항목 참조. 물론 당연히 그와 별개로 성매매에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 사람들이 대다수다.

길가(특히 야시장)에서 외설스런 복장을 입고 뭔가를 파는 젊은 여성들을 가끔 볼 수 있는데, 빈랑에다가 향료 따위를 넣고 파는 빈랑소녀들로 빈랑서시(檳榔西施)라 한다.[59] 대부분은 복장만 야할 뿐 그냥 팔고 끝나지만 가끔 빈랑을 팔면서 가벼운 스킨십을 하는 여자들도 있고 빈랑을 팔면서 매춘이 이뤄지는 곳도 있다고는 한다. 빈랑이 육체노동자나 운전기사 등을 상대로 잘 팔리기 때문에 돈은 꽤 되는데 제품 그 자체로는 차별화가 거의 안 되다보니 경쟁이 심해서 이런 외설적 마케팅 수법이 등장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1990년대 중후반에는 유흥업소 단속과 함께 매춘부들이 빈랑서시로 전직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일자리를 잃었는데 자신들의 직업노하우를 살릴 수 있는 것이 빈랑서시라서 그런 것. 아무튼 담배가 그렇듯 빈랑 복용자들은 대체로 저학력 노동자들이기에 빈랑서시도 대도시보다는 근교 지역이나 시골에서 잘 찾아볼 수 있다. 빈랑서시들의 모습(후방주의)

11.1.1. AV산업

2006년 대법원은 음란물에 대한 해석을 새로이 정의하여 AV산업을 사실상 합법화했다.

AV산업이 한중일에 비하면 매우 개방적이다. AV제작, 유통이 사실상 합법인데 모자이크도 없기 때문에 제도적으로는 일본보다 우수하다.

하지만 AV제작사들이 영세해 영상 퀄리티가 떨어지고 적은 인구, 문신의 일반화[60], AV결제방법의 부재[61], 낮은 임금 때문에 여배우들의 수준이 낮은 것이 단점이다. 그래서 일본 유명 AV여배우들이 대만행사에 초청되거나 대만AV메이커들이 일본으로 가서 일본AV여배우와 작품을 촬영하기도 한다.

몇몇 제작사는 이미 AI영상기술을 도입했을 정도로 영상기술에서는 일본을 앞서고 있다.

대만 AV여배우 타이니(胎尼)의 인터뷰에 의하면 대만의 유명 AV제작사들은 중국투자자들의 돈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영상에 광고를 많이 넣는다고 한다.

대만 AV감독 옌즈위(圤智雨)는 여배우 몸에 광고를 붙이는 것, 소품에 광고를 붙이는 것, 대사에 성인사이트 광고를 넣는 것, 여배우들의 수준낮은 연기력, 문신한 여배우가 너무 많아서 청순한 학생, 새댁 역할에 어울리는 여배우가 없다는 단점 때문에 대만AV는 일본AV를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일본의 DMM같은 스트리밍사이트가 대만에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불법다운이 일반적이라 벗방보다도 돈이 안되기에[62] 활동하는 여배우들의 수준이 낮고 남자배우들도 문신이 많고 사생활도 클린하지 않아[63] 일본처럼 퀄리티있는 AV를 만들어 낼 수 없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대만 AV여배우가 채무자이며 성매매를 겸하고 있다고 한다.

작품내 광고가 너무 많아서 대만내에서도 대만AV는 AV가 아니라 광고라고 평가받기도 한다. 광고없이 작품을 만들 경우 3작품중 1작품만 손익분기점을 넘는다고 한다.

성인박람회가 매년 열리는데 TAE와 TRE가 있다. TAE는 성인용품에 초점이 맞춰진 박람회이고 TRE는 AV배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TRE기간에는 대부분의 일본 유명AV여배우들이 초대된다.

지역적 특성상 야외작품은 바닷가나 요트에서 촬영되는 경우가 많다.

유명한 대만AV여배우로는 트위터 팔로워 46만명의 수창, 40만명의 우멍멍, 20만명의 타이니가 있다.

2024 TRE 台北國際成人展 (영어: 2024 Taipei Red Expo) 2024년 8월 9일 11:00 ~ 2024년 8월 11일 19:00까지 한다고 한다 시간있으면 가보길 바란다. https://jkface.net/events/82/공식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jkforum.net/공식 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jkfofficial/공식 인스타그램이다.

11.2. 성 소수자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의외로 동성애자, 양성애자임을 공개한 사람들이 많은 나라다. 2003년에 동성결혼 합법화를 검토한 적이 있었지만, 이 때는 민진당이 입법원에서 과반을 차지하고 있을 때도 아니고 반대 여론이 커서 무산되었다. 그래도 이 때 당시에 많은 개혁이 이루어지기는 해서 동성애자에 대해 많이 관대해진 것도 사실. 그리고 2016년 대선에서 차이잉원이 총통 선거에서 압승하고 입법원에서도 민진당이 과반을 훌쩍 넘어 적어도 2010년대 후반에는 동성결혼 합법화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대부분의 대만인 젊은 세대는 그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있다. 2015년부터 타이베이, 타이중시, 가오슝시에서 동성커플을 공인하고 증명서를 발급하거나, 원한다면 호적에 기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2016년 2월 1일부터 신베이, 타이난에서도 가능해졌다. 물론 장노년층들은 동성애에 대해 썩 관용적인 편은 아니고, 사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이 꽤 존재하기는 했다.

2016년에는 대만의 국회인 입법원에 동성결혼 합법화를 골자로 한 민법 개정안이 제출되었으며 2017년 5월 23일에 대만 사법원에서도 동성결혼을 불허하는 현행법에 위헌 판결을 내리고 2년 이내에 법을 개정하도록 요구하였다. #

또한 2016년에 트랜스젠더 여성인 탕펑이 디지털 담당 정무위원에 취임하면서 세계 최초의 트랜스젠더 각료가 대만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8년 지방선거와 함께 시행된 동성결혼을 제도화하는 민법 개정에 대한 국민투표에서는 반대가 더 많이 나왔다.(출처) 그래서 민법 자체를 고치지는 못하고, 결국 2019년 5월 17일 동성결혼 합법화를 위한 특별법이 가결되며 아시아 최초 동성결혼 합법 국가가 되었다. 민법 개정을 못하니까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식으로 구제조치를 한 것이다. 대만 민법에 따르면 혼인은 무효라서 혼인신고서를 통한 동성결혼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사실혼 관계의 동거임을 입증하는 서류를 각 지방 관청에 비치해서 작성한 이후, 법원에 "동성결혼 특별법에 따른 구제조치를 신청"하고 그것을 법원이 허가하는 방식으로 동성결혼의 합법화가 시행되었다. 이런 조치에 반발하는 반동성애 진영에서는 2022년 지방선거 때를 목표로, 동성결혼 특별법의 효력을 정지하는 2차 국민투표를 준비하고 있다.

대만 법원이 대만인과 마카오인의 동성결혼을 허용하는 판결을 내렸다.#

12. 총기

기본적으로 대만은 총기 소지가 불법인 국가이다. 그러나 대만의 삼합회들은 총 가지고 싸우며, 대만 정치인들도 자기 보디가드 뿐만 아니라 본인 스스로도 총을 챙기고 다닐 수 있다.

현직 국회의원이나 장관 등이 관할 직할시청이나 현청을 통해 신분을 증명하고 총기 사용 면허를 따면 총을 구입해서 다닐 수 있다. 때문에 삼합회나 정치인들에 의한 총기사고가 잊을 만 하면 한 번씩 나곤 한다.

2004년 총통선거 와중에 천수이볜총에 맞기도 하고 2010년 대만 지방공직인원 선거선거 유세를 하던 롄성원이 총에 맞기도 했다.

대신 에어소프트건 제작이 활발하다. 초창기에는 도쿄 마루이와 같은 일본제 에어소프트건의 아류작 취급에 엉망인 품질 관리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지만, 현재는 일본제 못지않은 우수한 순정 품질과 가성비, 확장성 등으로 상당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13. 과학

인공위성을 발사하며, NSPO에서 인공위성을 개발 중이다. 1999년 1월 27일에 Formosat-1을 발사했고, Formosat-5는 2017년 스페이스X에서 발사되었으며, Formosat-8#은 2023년 발사될 예정이다.

가오돤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을 개발했다.

14. 기타

야시장으로 유명한 대만이지만, 늦은 밤~새벽까지 술 마시며 돌아다니고 노는 사람들은 한국에 비해 많지 않다. 큰 야시장들도 자정쯤 되면 폐장 분위기고 시먼띵 같은 번화가조차도 열두시~새벽 한두시 정도만 되면 대부분은 썰렁해진다. 서울이나 부산 같은 한국 대도시에 비해 심야버스도 부실하고 지하철 첫차도 한 시간 정도 늦다.

중국과 이래저래 연관이 많지만 사실상 다른 나라라 중국/대만 쪽으로 진출하는 기업은 항상 상표 등록, 사이트 제작 등 모든 부분을 중국 쪽과 대만 쪽으로 따로 신경써줘야 한다. 하다못해 게임 사이트나 서버조차도 따로 지정해 주어야 한다.

일례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은 중국 웹사이트와 대만 웹사이트를 따로 제작했는데, 그것도 그냥 글자만 각자의 언어에 맞춰 바꾼 정도가 아니라 아예 별개의 디자인으로 생판 다른 사이트들을 만들어 놓았다. 이래저래 진출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귀찮은 상황이다.

현지인 대부분이 더치페이에 엄청 신경 쓰는 편이다. 1원이나 10원 정도의 작은 돈도 다른 사람이 내주겠다고 하면 거절한다. 정말로 잔돈이 없어서 다른 사람이 내주는 경우에도 미안하다고 하면서 1원이라도 나올 때까지 온 짐을 뒤진다.

원래 중화권에서는 개인주의자들로 철저히 네 것은 네 것, 내 것은 내 것이라고 생각하며 미국의 영향을 받아 서구화된 대만은 그 경향이 더 강하다. 홍콩이나 마카오, 싱가포르의 중국인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만 친한 사이끼리는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하기도 한다.

『타이완』[64]에 따르면 호기심이 많아서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이라 사생활 침해로 느껴지는 질문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는 '렌칭웨이(인정미)'라는 특유의 문화 때문이다. 렌칭웨이는 상대방의 진짜 입장을 알기 위해 세 번까지 물어 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물질적인 대접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서로 호의호식하고 싶다는 입장인지 돕기 싫다는 입장인지[65]를 표현하는 포괄적인 문화라고 한다.

대만의 제헌절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크리스마스와 같은 12월 25일이 대만의 제헌절이라 한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레바논, 필리핀과 함께 아시아에서 크리스마스가 공휴일인 나라였다. 지금은 교회 관련 기관•학교를 제외하고는 쉬지 않는다.[66]

뉴스가 동아시아 국가들 중 제일 재미 없다고 한다. 어느 정도냐면 "타이베이 경찰서장이 자기 집 반려견을 잃어버렸는데 6시간 만에 찾았다"가 뉴스 거리라고... 대만 사회는 그만큼 치안이 안정됐다는 뜻인데 마찬가지로 치안이 안정적인 한국이나 일본보다 인구도 훨씬 적으니 그만큼 뉴스거리가 적은 모양이다. 그러나 가끔씩 연쇄살인이 터져서 대만의 모든 뉴스 채널을 몇 주 동안 도배하는 경우가 많다. 대만은 사회가 매우 안정된 국가라서 e스포츠 관련 뉴스가 메인 뉴스에 튀어나올 정도이다. 그리고 대만 내부에서 롤 승부조작이 터졌을 때(2016년) 또 몇 달 동안 이걸로 정치 패널들을 데려다 놓고 토론을 했을 지경이다.

오토바이가 주 교통수단으로,[67] 대만에 살고 있는 현지인에 의하면 바깥에서 잠시 돌아다녔을 뿐인데 집에 돌아와서 세수를 해보니 시커먼 먼지가 많이 묻어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길거리 주변을 걷다 보면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심지어 배달 문화가 발달된 한국, 일본과는 달리 직접 오토바이를 타고 가서 사먹거나 포장해올 정도라고 한다.

의외로 한류의 원조격인 국가이기도 하다. 한국 가수 클론이 대만에서 크게 히트했기 때문. 한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대만 화교들은 한류를 좋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핸드폰이나 MP3에 한국 노래를 넣고서 듣고 다닌다. 한국 연예인에 전혀 관심 없는 한국인도 이들과 같이 있으면 자연스레 알게 될 정도다.

타이베이 시내를 걷다 보면 구룡성채 마냥 벽에 때가 덕지덕지 낀 건물이 굉장히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오래되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워낙 습기가 많고 더워서 페인트칠을 해도 얼마 안 가 다 벗겨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실 이건 태국 등 동남아 국가들과 오키나와현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만큼 덥기 때문에 어딜 가나 에어컨을 빵빵하게 놓는데 전기 요금이 그리 비싸진 않기 때문에 24시간 틀어 놓아도 큰 부담은 없다고 한다.

해태 타이거즈가 전지훈련지로 주로 선택했던 곳이다.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한 김성한이 말하길 선수들은 음식이 도통 입에 맞지 않았는데 김응용 감독만은 대만 음식이 입에 잘맞아 큰 접시에 담긴 요리를 독식했다고 밝혔다. 선수들은 급기야 식당에 제공된 밥 대신 각자의 방에서 김치찌개, 라면을 끓여 먹었고 대만 청소부들이 기겁하자 김응용 감독이 객실에서 금식령을 내렸다고 했다.

15. 관련 항목


[1]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 순서로 수호전, 홍루몽, 서유기, 삼국지연의이다. 중국사대기서라고 하면 홍루몽대신 금병매가 들어간다.[2] 迓媽祖(ngiâ má-tsóo)라는 행사이다[3] 다만 한족 본성인들의 토착 문화에 한하자면 푸젠과 큰 차이점이 없다. 본성인들 대부분이 푸젠에서 온지 생각보다 오래 지나지 않았기(1600-1700년대) 때문이다.[4] 이안음식남녀에서 잘 묘사되어 있다.[5] 대만은 성년을 18세로 간주하기 때문에 대만에서 청불은 17금이다.[6] 대만유럽연합자유무역협정을 추진중인데 유럽연합에서 내건 조건이 표현의 자유 무제한 보장, 사형 폐지이다.[7] 米納桑(皆さん), 歐吉桑(お爺さん)[8] 그 유명한 국수이름 뱡 자도 ㄅㄧㄤˋ으로 표기한다.[9] 八이 부채꼴,즉 뻗어나가는 모양이어서 사업이 잘 풀린다는 의미도 있다.[10] 이러한 점은 현대 대만에만 그런 것이 아니다. 사실 고사성어, 사자성어, 속담만 봐도 이게 오늘날의 얘기가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중국 역사에서 원래 충과 효는 부수적인 것이었다.[11] 흔히 우리나라에서도 서로 알고 지내지만 엄청 친하지는 않은, 지인 정도의 사이에서 ‘언제 한 번 보자’, ‘밥 한번 같이 먹자’랑 비슷한 뉘앙스라고 보면 된다.[12] 대만에서는 '국어', '중문'이라고 한다.[13] 음악적 성향은 일본 밴드와 비슷하다.[14] 이 당시에는 대만의 대중문화계 자체가 자국 드라마가 점차 약세로 돌아사면서 수입 드라마의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대만 영화도 점유율이 1~2%대에 불과해서 인재들이 대륙으로 떠나가거나 광고업계로 빠져나가고, 만화도 자체 만화잡지들은 폐간하고 일본계 만화잡지로 채워지는 것이 현실이던 그야말로 한숨 나오던 시절이었다. 비록 오프라인 음반시장은 쇠락의 길을 걸었던 시절이라지만 동시에 다수의 노래가 동아시아권과 동남아권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한 한국 가요계나 자국영화 점유율이 50%를 넘고, 가을동화, 겨울연가, 대장금, 주몽, 궁 등의 인기드라마들은 해외로 수출되고, 만화도 잡지만화와 대본만화는 몰락의 길을 걷고있을지언정 학습만화와 웹툰으로 돌파구를 찾는 등 한국 대중문화계와 비교하면 정말 눈물이 나오던 시절이었다.[15] 파파야의 내얘길 들어봐 영상 가운데 2000년대 초반 당시에 중국어 자막이 붙은 영상이 있는 것을 보면 중국에서도 들여왔지만, 세대차이가 있기도 하고, 딱히 기억에 남을 정도로 크게 인기를 끈 노래도 아니다보니 벌어진 해프닝이었다.[16] 트와이스쯔위는 엄연한 대만인이지만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으므로 논외.[17] 홍콩 출신이지만, 대만에서도 매우 큰 인기를 얻은 가수이므로 서술한다.[18] 쯔위 사태 이후 매국노로 단단히 낙인찍혔다.[19] 2인조 걸그룹으로, Alfa Music Entertainment에 소속되어있다. 좌측은 Dewi Chien(간정예)이고 우측은 Dabe Chen이다. Dewi Chien의 경우, '대만 세 자매', '대만 현아 닮은 꼴' 등으로 알려져 있다.[20] 한국인 멤버 송미진은 결혼해서 애까지 있다.[21] 이마저도 실력보다는 비주얼로 먹고 산다는 평가가 많다.[22] 그런데도 한국만큼은 아니다. 일본 서브컬처 작품의 한국 정발은 굉장히 문턱이 낮아서, 오죽하면 일본에서도 한국에 수출하는 정도로는 세계 진출로 치지 않는 수준이다(...).[23] 아이자와 히카루라는 캐릭터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24] 다만 정치인이 젊은층 많이 모이는 동인 행사장에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어릴 적 즐겼다." 정도의 발언이 오타쿠 인증인지 표심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지는 개인의 판단에 맡긴다. 일단 차이잉원은 실제로도 오타쿠임이 밝혀진 바 있다.[25] 특히 차이잉원 총통이 속한 민주진보당의 경우 다른 국가에서 진보주의 계열로 분류될 만한 행보를 하며 젊은층의 지지율이 높기 때문에...[26] 오락실 게임이나 패미컴 게임이었는데 초창기에는 해적판이 대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에 공식수입이라고 하기에도 뭐했다.[27] 그렇지만 수입이 아주 안 이루어졌던 것은 아니고 당시에도 들어올 일본 만화는 들여오기는 했다. 주요 어린이 잡지에서도 일본 만화를 실었다거나 아니면 일본 만화를 표절한 만화가 수위 조절 과정을 통해서 출판되는 식이었다.[28] 특히 PC게임 유통사인 유한회사 지관은 이러한 대만제 IBM-PC게임을 주로 수입하였으며 한글화도 해서 대만 게임으로 꽤 재미를 봤었다.[29] 별모양에 아이얼굴이 그려진 로고로 유명하다. 한자로 쓰면 大宇인데, 대우그룹과는 우연의 일치다.[30] CPU는 메가드라이브와 같은 모토로라 MC68000이었으나 클럭이 더 높은 10MHz였고, 그래픽 성능은 슈퍼 패미컴 보다도 우위에 있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늦은 출시로 인하여 제 실력을 전혀 발휘하지 못했다.[31] 현재 최신작은 3 DX[32] 현재 최신작 2편[33] 1998년까지 국산 상용작 FPS가 하데스(게임)뿐이고, 일본도 마찬가지로 일본물산이 개발한 익스퍼트 정도가 일본산 상용작 FPS의 전부였다.[34] 한국에서도 임꺽정이라고 개명되어 정발되었었다.[35] 정체불명의 엔진으로 만든 2.5D FPS로 대만 이외에서 Mars3D라는 제목으로 알려져있다. 플레이 영상. 최종보스로 프레데터를 도용했다.[36] 전함 모에화작품으로 함대 컬렉션보다 만화로 먼저 나왔으며 게임으로는 함대컬렉션, 전함소녀보다 늦게 서비스됐다. 국내에서는 밀리터리 모에화 게임으로는 강철의 왈츠, 소녀함대에 이여 3번째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전함모에화로는 두 번째로 서비스 중이다. 2018년 12월 현재 중국, 본진인 대만 서버가 종료되고 국내 서버가 동년 8월 1일 종료되면서 완전히 게임이 종료되었다.[37] 양국이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중국-대만이나 남한-북한 같은 관계 속에서 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런 관계 속에서 어느 한 쪽은 반대쪽 성향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일부러라도 강하게 나아가는 경향을 보여서, 외부에서 보면 지나칠 정도로 비춰지는 일이 종종 있다. 대한민국에서 북한 때문에 한편으로 신자유주의를 지나칠 정도로 추구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이 그 예이다.[38] 물론 2012년 강남스타일 이전에는 영미권에서 비주류이기는 했다만 그럼에도 대만보다는 사정이 훨씬 나았다.[39] 애니메이션이 차지할 지분을 포대희가 먹고 있는 이유도 있다.[40] 트와이스의 멤버 쯔위가 K-POP 걸그룹이 되었다는 소식이 대만에 알려졌을 때의 반응이 우리가 능력만 있었다면 저런 애들이 외국으로 나갈 일은 없었을 텐데...였다. 여러 모로 씁쓸한 현실이다.[41] 홍콩에 있는 그 빈과일보가 맞다. 2003년 대만판 발행을 시작했다가 2021년 5월 17일부로 대만에서도 종이신문 발행이 중단되었고, 2022년 폐간.[42] 한동안 인터넷 홈페이지는 계속 운영했지만 2023년 현재는 접속 불가해 사실상 폐간.[43] 중국시보는 3대 일간지 중 처음으로 2013년 8월부터 가로쓰기로 전환했다.[44] 국영방송이기는 했지만 운영형태는 민영방송에 가까운 방식으로 운영되었고, 방송국 설립 비용의 상당수를 금융회사나 일본 회사들로부터 끌여들였기 때문에 지분의 상당수를 금융회사나 일본 회사들이 차지하던 형태였다.[45] 中正은 장제스의 본명[46] 태국도 마찬가지로 국영방송국이 주류임에도 국영방송국들이 사실상의 상업방송국처럼 운영되고 있다.[47] 운영형태상으로는 민영방송이었다. 1980년대 당시 KBS와 MBC가 실질적인 운영형태는 국영방송이었음에도 공식적으로는 공영방송으로 운영되었던 것과 비슷하다.[48] 민간전민 텔레비전PTS의 방송이 시작된 것도 이 시기다.[49] 프랑스와 이탈리아, 서독 등에서 방송규제를 완화하면서 방송시장의 규모가 크게 성장했던 선례가 있지만 기존의 광고규제가 엄격한데다가(특히 광고를 하루에 몇십분 이내로 할 수 있다는 규정이 광고시장 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채널도 2-3개 정도였다보니까 광고가 얼마할 수 없어서인 점이 컸고, 대만과 같은 환경이라면 인구수가 일정수준되지 않는 이상 당연히 경쟁과다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50] 한국보다 20년이나 먼저 설립된 개신교 교단이다.[51] 본래 청대에 대만으로 이주한 후이족들의 공동체가 소규모로 존재했지만, 일치시기 당시 대만 내 무슬림들은 탄압을 받아 사멸하였다. 물론 일본의 이슬람 탄압은 대만에 한정되어 있었고, 점령지인 싱가포르나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함부로 이슬람을 탄압했다가는 현지인들을 다 적으로 돌리는 수가 있으므로 자제하던 편이었다.[52] 본적은 저장성 원저우시다. 1999년에 국민당 소속으로 지룽시 입법위원에 당선된 후, 친민당이 창당되자 친민당으로 당적을 옮겨 지룽시에서 두 차례 재선되었다.[53] 인도네시아 샤피이파에서는 여성 할례 같은 극단적인 악습을 아직도 보존하고 있으나, 반면 후이족이나 위구르인들 같은 경우에는 전근대부터 이슬람권 기준으로 여성 인권이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54] 도쿄 자미, 고베 모스크 등 문서 참조[55] 러시아계 핀란드인 문서 참조. 참고로 이들도 하나피파이다.[56] 참고로 이들도 샤피이파이다.[57] 국민당은 1945년 일본으로부터 대만을 접수한 후 대만의 성매매 관습을 일제 잔재로 보고 척결하고자 성매매를 불법화하나, 정작 국민당군은 공창제를 시행하는 모순을 보였다. 그리고 1956년에 공창제를 다시 도입한다.[58] 21세기에야 베이터우 일대가 첩운이 들어오면서 상당부분 재개발되어 호텔과 아파트가 대거 들어오고 관광지로 재개발이 잘 되어 있지만, 그 이전 단수이신이선 시절만 해도 베이터우는 매춘으로 유명한 곳이었다.[59] 빈랑이 아니라 데킬라 같은 걸 파는 여성들도 많다.[60] 대만은 문신이 매우 일반화되어 있다. 물론 상류층은 문신을 하지 않지만 상류층이 AV배우가 될 이유는 없으니...[61] 대만AV의 매출은 도박사이트 광고비의 비중이 크고 시청자에 의한 매출은 작다[62] 보통의 회사원보다는 훨씬 많이 번다[63] 실제로 조폭이 많다고 한다.[64] 우 링리, 크리스 베이츠, 정해영 옮김, 가지[65] 공무원의 관행 중 시보떡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66] 사실은 일부러 맞춘 거다. 장제스도 개신교 신자였다.[67] 심지어 오토바이 관련 문제를 다루는 정당인 중화민국 기차당이 있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