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4760, #546285 20%, #546285 80%, #3d476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임시정부 | |||
중화민국 임시대총통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
쑨원 | 위안스카이 | |||
북양정부 | ||||
중화민국 대총통 | ||||
<rowcolor=#fff> 초대 | 대행 | 제2대 | ||
위안스카이 | 리위안훙 | 펑궈장 | 쉬스창 | |
<rowcolor=#fff> 대행 | 제3대 | |||
저우쯔치 | 리위안훙 | 가오링웨이 | 차오쿤 | |
<rowcolor=#fff> 대행 | ||||
황푸 | ||||
임시집정 · 육해군대원수 | ||||
<rowcolor=#fff> 초대 | 대행 | |||
돤치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
<rowcolor=#fff> 대행 | 육해군대원수 | |||
구웨이쥔 | 장쭤린 | |||
국민정부 주석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장제스 | }}} }}}}}} |
중화민국 북양정부 국무총리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탕사오이 | 루정샹 | 자오빙쥔 | 슝시링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쉬스창 | 루정샹 | 쉬스창 | 돤치루이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돤치루이 | 리징시 | 돤치루이 | 왕스전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돤치루이 | 첸넝쉰 | 진윈펑 | 진윈펑 | |
<rowcolor=#fff>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진윈펑 | 량스이 | 옌후이칭 | 탕사오이 | |
<rowcolor=#fff>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왕충후이 | 왕대섭 | 장소증 | 쑨바오치 | |
<rowcolor=#fff>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옌후이칭 | 황푸 | 허세영 | 쟈더야오 | |
<rowcolor=#fff>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
옌후이칭 | 구웨이쥔 | 판푸 | ||
국가원수 | }}}}}}}}} |
중화민국 집정 권한대행 | ||
정체 | 顧維鈞 | |
간체 | 顾维钧 | |
한국식 독음 | 고유균 | |
영문 | Gù Wéijūn | |
자 | 소천(少川) | |
영어명 | V.K. Wellington Koo | |
출생 | 1888년 1월 29일 | |
청나라 강소성 가정현 | ||
사망 | 1985년 11월 14일 (향년 97세) |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
국적 | [[청나라| ]][[틀:국기| ]][[틀:국기| ]]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컬럼비아 대학교 공법학, 외교학 박사 | |
직업 | 외교관, 정치가 | |
집정대행 재임 기간 | 1926년 10월 1일 ~ 1927년 6월 16일 | |
국무총리 재임 기간 | 대행 1924년 7월 2일 ~ 1924년 9월 14일 대행 1926년 10월 1일 ~ 1927년 1월 12일 30대 1927년 1월 12일 ~ 1927년 6월 16일 |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의 국무총리, 외교관. 웰링턴 쿠라는 서양식 이름으로도 유명하다.2. 생애
1888년 강소성 가정에서 태어났다. 1904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905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12년 귀국하여 탕사오이의 추천으로 위안스카이 대총통의 영문 비서 겸 국무원 총리 비서를 맡았으나 탕사오이가 국무총리에서 하야한 이후 그도 그만두었다. 1912년 컬럼비아 대학 공법학 및 외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915년 주 멕시코 중국 대사, 최연소 주 미국 중국 대사를 지냈다.1916년 예일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세인트존 대학, 애버딘 대학교, 버밍햄 대학, 맨체스터 대학에서 명예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미 중국 공사로 재직하다가 외교총장 루정샹, 주영 중국공사 스자오지, 주 벨기에 중국공사 위진조 등과 함께 1919년~1920년 파리 강화 회의에 중국 대표단으로 참여하여 중국의 이권 회수를 위해 노력했고 주영 중국공사로 이임한 이후 주미 중국공사 스자오지, 대리원 원장 왕충후이 등과 함께 1921년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서 국권 수호에 앞장서 명성을 떨쳤다.
1922년 8월부터 2차 탕사오이 내각의 외교총장에 임명되어 3개월 동안 역임했다. 1923년 4월 장소증 내각에서도 외교총장에 임명되어 10월까지 역임했고 1924년 7월 장소증 내각이 사퇴하자 국무총리 서리를 겸했다. 1924년 5월 31일, 주중 소련 전권대표 레프 카라한과 <중소 현안해결대강 협정>, <중동로철도 임시관리 협정>을 체결하면서 중소 수교를 이끌어냈다. 1924년 북경정변 이후 장쭤린, 펑위샹, 돤치루이의 초청을 받고 북상한 쑨원이 그의 집에서 마지막 날을 보내다가 사망하기도 했다.
1926년 5월부터 10월까지 재정총장을 지냈으며 국무총리 대행 두시구이가 퇴진한 이후 1926년 10월부터 국무총리 서리 겸 외교총장을 지냈다. 30대 후반의 나이로 중화민국에서 손꼽히는 법률, 외교 전문가이자 중요 인재로 꼽혔다.
1926년 12월, 장쭤린이 안국군 대원수에 취임하여 안국군 정부를 조직하자 양위팅의 주장으로 1927년 1월 12일 정식으로 국무총리에 임명되었지만 어디까지나 장쭤린의 군비를 조달하기 위한 '외교 부속 기관' 취급이라 실권은 없었고, 장쭤린은 구웨이쥔을 높이 평가하긴 했지만 자신의 파벌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느껴 권력을 주지 않았다.
1927년 6월 16일 장쭤린이 중화민국 육해군 대원수에 추대되자 눈치가 빨랐던 구웨이쥔은 당일로 사직 의사를 밝혔다.
이제 본인은 본직과 각 직책에서 물러나길 원합니다. 잠시 휴식을 취하고 지병을 치료하고자 합니다. |
이에 후웨이더가 국무총리 대행을 맡았고 6월 18일 장쭤린이 대원수에 취임한 이후에는 판푸가 국무총리에 임명되었다. 1928년 6월 중국국민당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동북역치를 통해 장쉐량의 항복까지 받아내 천하를 장악하자 처음에 그에 대한 체포령이 하달되어 파리로 도주했으나 동북역치로 국민정부에 합류한 장쉐량의 중재로 체포령이 취소되었다. 이후 국민정부에 합류하여 일본 제국의 침략으로부터 중국의 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외교전을 벌였다.
1931년 만주사변이 터지자 국제연맹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리튼 조사단을 수행했고 11월 23일부터 12월 30일까지 외교부장 대리를 지냈다.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일본측과 교섭하여 송호정전협정을 이끌어냈다. 1932년 8월 5일 주불 중국 공사로 임명되었으며 1933년 열하사변에서 허잉친을 위시로 한 군부가 굴욕적인 당고정전협정을 맺자 크게 반발하며 결사항전론을 주장했다. 1932년 8월 16일부터 1933년까지 국제연맹 중국대사를 지냈으며 1936년부터 주불 중국 대사로 승격되었다. 1941년 5월 9일까지 9년 가까이 프랑스 대사를 지냈다.
1946년 주미 중국대사에 임명되었으며 미국에서 차관을 얻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1956년 총통부 자정에 임명되었다. 1957년부터 1967년까지 헤이그의 국제사법재판소에서 재판관을 지냈다. 1967년 은퇴한 이후 뉴욕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1985년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97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여담
일생 동안 결혼을 총 네 번 하였다. 첫 결혼은 1908년에 장윤아(張潤娥)라는 여성과 하였으나 1914년에 이혼하였고, 두 번째 결혼은 1914년 탕사오이의 딸인 당보모(唐寶瑁)와 하여 1남 1녀를 두었으나, 1918년에 스페인 독감으로 인해 상처하였다. 세 번째 결혼은 인도네시아의 화교로 설탕으로 거부가 된 황중함(黃仲涵)의 딸 황혜란(黃蕙蘭)과 하였는데, 1920년에 결혼하여 2남을 두었으나 1956년에 이혼했다. 마지막 결혼은 국제사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던 1959년에 하였는데, 상대는 양광생(楊光泩)의 전 부인 엄유운(嚴幼韻)이었다. 두 사람은 구웨이쥔이 사망하던 1985년까지 해로하였고, 엄유운은 비교적 최근인 2017년 5월 24일에 11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두 번째 부인 당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고덕창(顧德昌, 영문명 Teh-chang Koo)은 1916년에 태어나 1998년에 사망하였고, 딸 고국진(顧菊珍, 영문명 Patricia Koo Tsien)은 1917년에 태어나 2015년에 9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세 번째 부인 황혜란과의 사이에 태어난 두 아들 구유창(고유창顧裕昌, 영문명 프리맨 쿠 Freeman Koo)과 구푸창(고복창顧福昌, 영문명 웰링턴 쿠 2세Wellington Koo, Jr.)은 각각 필리핀 화교사회와 룩셈부르크에 정착해 거부가 되었지만 100세 전후로 장수한 부모와는 달리 모두 50대의 나이에 사망하였다.[1]
소설 단(丹)의 실존 주인공인 봉우 권태훈(權泰勳)이 젊은 시절 왕정팅의 소개로 이 인물을 만난 적이 있다고 증언하였는데, 그는 구웨이쥔을 두고 “조각인물”이라 평하였다. 언행을 할 때만 움직일 뿐 그 외에는 쓸데없는 행동거지가 없는 것이 마치 조각과 같아서 붙인 평이었다.[2]
말년에 펴낸 구술 회고록으로 《구웨이쥔 회억록(顧維鈞回憶錄)》이 있다. 총 13권으로, 1960년에 구술을 시작하여 1976년에 완성하였다.
4. 주요 경력
난징 국민정부 역대 외교부장 | |||||||
5대 | → | 대행 | → | 6대 | |||
스자오지 | → | 구웨이쥔 (1931년 11월 23일 ~ 1931년 12월 30일) | → | 천유런 |
역대 주미 중국공사 | |||||||
3대 공사 | → | 4대 공사 | → | 5대 공사 | |||
하해복 | → | 구웨이쥔 (1915년 10월 25일 ~ 1920년 10월 21일) | → | 스자오지 | |||
4대 대사 | → | 5대 대사 | → | 6대 대사 | |||
웨이다오밍 | → | 구웨이쥔 (1946년 6월 27일 ~ 1956년) | → | 동현광 |
역대 주영 중국공사 | |||||||
3대 공사 | → | 4대 공사 | → | 5대 공사 | |||
스자오지 | → | 구웨이쥔 (1920년 9월 29일 ~ 1922년 8월 5일) | → | 주조신 | |||
1대 대사 | → | 2대 대사 | → | 3대 대사 | |||
궈타이치 | → | 구웨이쥔 (1941년 5월 9일 ~ 1946년 7월 17일) | → | 시조기 |
5. 참고문헌
- 만주군벌 장작림, 쉬처, 아지랑이.
- 중화민국과 공산혁명, 신승하, 대명출판사.
- 중국현대정치사론, 장옥법, 고려원.
- 만주사변기 중일외교사, 유신순, 고려원.
-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까지, 가토 요코, 어문학사.
- 삼천리 중국 근현대사 3권 혁명과 내셔널리즘(1925~1945)
- 만주사변 이후 남경국민정부 직업 외교관의 역할 연구 : 1931-1936, 석미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塘沽停戰協定 이후 국제정세와 職業外交官의 항전 입장, 중국사연구 83권 83호, 중국사학회.
- 滿洲事變 以後 南京國民政府 職業外交官의 부상에 대한 硏究, 석미자, 중국사연구 89권 89호, 중국사학회.
- 滿洲事變 以後 職業外交官의 對日 强硬態度와 國內活動 硏究, 석미자, 중국사연구 95권 95호, 중국사학회.
[1] 구유창과 구푸창 형제는 구웨이쥔의 프랑스 공사 재임시절 프랑스에서 그리스 왕가의 자손이었던 필립 마운트배튼과 같은 학교에 다녔다. 이들은 같은 외지인 신세였던 필립과 친하게 지냈는데, 필립을 비롯한 다른 친구들은 이들 형제를 칭칭 차이나맨이라고 불렸다고.[2] 그러나 권태훈의 이러한 증언에 대해서는 인물에 대한 사실관계가 아예 맞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취사선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안휘군벌 니쓰충 및 권태훈 계열에서 원선불(原仙佛)이라 부르는 일본 근대의 고승 하라 탄잔(原坦山, 1819~1892)에 대한 증언이 그러하다. 본문에서는 이 인물에 대한 증언 자체가 희소하므로 일단 부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