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L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리랑카의 T20 크리켓 리그(LPL T20)에 대한 내용은 랑카 프리미어 리그 문서, 미국의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LockPickingLawyer 문서
참고하십시오.현재 진행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2025 LoL Pro League Split 1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 | LoL e스포츠 지역 리그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대 리그 | |||||||||
대한민국 LCK | 중국 LPL | 아메리카 LTA | 유럽·중동·아프리카 LEC | 아시아 태평양 LCP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LTA 하위 컨퍼런스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북아메리카 LTA North | 남아메리카 LTA Sul | }}} | ||||||||
LCP 하위 리그 | ||||||||||
일본 LJL | 대만·홍콩·마카오 PCS | 베트남 VCS | ||||||||
ERL 인증 리그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파일:LVP_SL_logo.png | |||||||||
프랑스 LFL | 독일 PRM | 스페인 SL | 튀르키예 TCL | }}} | ||||||
국제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
역대 입상팀 | LPL All-Pro Team | LPL 연간 어워드 | Demacia Cup |
<colbgcolor=#f50909><colcolor=#fff> 英雄联盟职业联赛[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 ||
한글 명칭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 | |
출범 연도 | 2013년 ([age(2013-01-01)]주년) | |
지역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운영 주체 | 텐징 스포츠 | |
컬러 | ■ | |
약칭 | LPL | |
최고 파트너 | 메르세데스-벤츠 | |
특별 파트너 | 인텔 | |
경기장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PL Arena[2] | |
최근 우승팀 | Bilibili Gaming DreamSmart (2024 Summer) | |
최다 우승팀 | Edward Gaming Hycan (6회) | |
최다 우승자 | Clearlove (6회) | |
하위 대회 | LoL Development League | |
1. 개요2. 상세3. 참가팀4. 역대 기록
4.1. 역대 대회4.2. 역대 참가팀4.3. 역대 우승팀 및 순위4.4. 역대 우승자 및 입상자4.5. 역대 LPL 연간 어워드4.6. 역대 LPL All-Pro Team4.7. 역대 풀세트 5전제4.8. 역대 퍼펙트 게임4.9. 역대 펜타킬4.10. 국제 대회 관련 기록
5. 특징6. 역사 및 위상7. 실버 드래곤 컵8. 경기장9. 여담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4.10.1. 역대 FST 진출 LPL 팀4.10.2. 역대 MSI 진출 LPL 팀4.10.3. 역대 RR 진출 LPL 팀4.10.4. 역대 Worlds 진출 LPL 팀4.10.5. 역대 All-Star 출전 LPL 선수4.10.6. 역대 SKE 출전 LPL 선수
4.11. 경기 관련 기록[clearfix]
1. 개요
Crazy is Our Game |
2. 상세
2013 스프링 시즌을 시작으로 개최되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최초로 지역 연고지를 실시한 리그다. 2025년 기준으로 무려 16개나 되는 팀들이 있고, 장기적으로 여전히 팀들이 늘어날 예정인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명실상부한 메이저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리그이다.[5] 여러모로 LPL의 규모를 당해낼 리그가 많지 않다는 것이 지배적이고, 소위 슈퍼 리그에 가장 가까운 리그이다.다른 메이저 리그들을 보면 LCS는 자본력은 풍부하나[6] 답이 없는 핑 문제로 인한 최악의 솔로랭크 환경, 부족한 솔로랭크 인구 등으로 인해 인적 인프라와 실력에서 평가가 좋지 못하며, LCK는 손에 꼽을 정도로 뛰어난 인터넷망 보급 수준에 힘입은 최적의 솔로랭크 환경으로 인해 유망주나 스타 플레이어를 가장 많이 배출하면서 오랫동안 세계 롤판의 패왕으로 군림하며 실력적으로도 인정받지만 메이저 리그 국가 중 가장 인구 수가 적으면서 LEC와 비견될 정도로 자본력이 빈약하고, LEC는 자본력 원툴인 LCS와는 달리 솔로랭크 인구도 많고 여러모로 잠재력이 풍부하지만 프랜차이즈 이후 급속도로 성장해 자본력도 강화되었음에도 인재 유출 문제가 심각하며, 자본력이 강화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LCK와 비견되는 수준이다.
반면 LPL은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을 바탕으로 차이나 머니로 비롯된 엄청난 자본 및 인프라를 가지고 있으며[7], 최적의 솔로랭크 환경을 가진 LCK와 지근거리에 있어[8] 1, 2군 선수들이 슈퍼 계정을 받고 한국 솔로랭크에서 실력을 단련하기도 하는 등 환경 역시 나쁘지 않고 LCK 선수를 빅 사이닝으로 영입할 수 있는[9] 자본의 차이를 기반으로 인정받는 한국인 특급 선수부터 한국인 솔로랭크 유망주까지 사들일 수 있는 여러모로 최적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외에서의 접근성이 아주 높지는 않은 편이다.[10]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단 한국에서는 중국의 폐쇄적인 정책 때문에 2015년까지 LPL 경기는 한국에서 시청할 수가 없었다. LPL이 글로벌 중계를 송출하는 현재도 LCK와 시간대가 겹치는데다 무려 17팀이 시즌에 총 136경기를 치르는 무시무시한 일정에, 심지어 3판 2선승제기 때문에 한 시즌에 최소 272판에서 최대 408판의 경기가 진행되다 보니 아무리 전문 중계진이나 분석가여도 모든 경기를 챙겨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팀의 숫자가 많은 만큼 각 팀들의 전력 차이도 엄청난 수준이라 하위권 팀들 간의 대결은 해외 팬 입장에선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점도 크다.[11] 그래도 2018 MSI부터 2020 MSC까지 LPL이 최고의 리그의 자리를 유지했고, 2021년부터 국제 대회의 패권을 거머쥘 정도로 몇몇 강팀들[12]이 국제 대회에서도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으면서 정규시즌 강팀들과의 경기나 플레이오프 정도는 챙겨보는 팬들이 점점 늘고 있다. 2025년 기준으로 유튜브에서 스트리밍을 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SOOP이 중계권 계약을 맺고 LPL만 전문적으로 중계하고 분석하는 아뚱같은 방송인이 있어 접근성이 괜찮은 편이다.
3.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P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Weibo Gaming TapTap | Top Esports | LNG Ninebot Esports | |
Anyone's Legend | Ninjas in Pyjamas | JDG Intel Esports | FunPlus Phoenix | |
LGD Gaming | Thunder Talk Gaming | Oh My God | Invictus Gaming | |
Edward Gaming Hycan | Ultra Prime | Team WE | Royal Never Give Up | |
LD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
3.1. 참가팀 로스터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Pro League/참가팀 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대 기록
4.1. 역대 대회
LPL 역대 로고 | |||
2013 ~ 2015 | 2016 | 2017 ~ 2020 | 2020 ~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3 스프링 | 서머 | 2014 스프링 | 서머 | 2015 스프링 | 서머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
2025 스플릿 1 | 스플릿 2 | 스플릿 3 | 시즌 플레이오프 | }}}}}}}}} |
4.2. 역대 참가팀
기준은 2025 시즌 시작 전 시점으로 작성 방식은 아래와 같다.- 정렬 기준은 1) 참가 시즌 수→ 2) 첫 참가 시즌→ 3) 최고 성적 순.
- 해체를 공식 발표하지 않는 한 별개의 팀으로 취급한다. 해체하지 않고 멤버만 교체한 경우는 해당 팀의 커리어를 그대로 계승한다.
- 현재 참가하는 팀은 볼드체로 표시한다. 2018 시즌부터 LPL은 승강전을 폐지하고 프랜차이즈제를 시행하기에 참가 팀들은 당분간 고정된다.
현재 팀명 | 참가 시즌 수 | 첫 참가 시즌 | 연속 참가 기록 | 최고 성적 | 변혁 역사 |
Oh My God | 24 | 2013 스프링 | 진행 중 (2013 스프링 ~ ) | 우승 (1회) | Oh My God : 2013 스프링 ~ 현재 |
Invictus Gaming | 24 | 2013 스프링 | 진행 중 (2013 스프링 ~ ) | 우승 (1회) | Invictus Gaming : 2013 스프링 ~ 현재 |
Team WE | 24 | 2013 스프링 | 진행 중 (2013 스프링 ~ ) | 우승 (1회) | Team WE : 2013 스프링 ~ 현재 |
Edward Gaming Hycan | 22 | 2014 스프링 | 진행 중 (2014 스프링 ~ ) | 우승 (6회) | Edward Gaming : 2014 스프링 ~ 2022 스프링 Edward Gaming Hycan : 2022 서머 ~ 현재 |
LGD Gaming | 22 | 2014 스프링 | 진행 중 (2014 스프링 ~ ) | 우승 (1회) | LGD Gaming : 2014 스프링 ~ 현재 |
LNG Ninebot Esports | 19 | 2015 스프링 | 진행 중 (2015 스프링 ~ ) | 준우승 (1회) | Snake Esports : 2015 스프링 ~ 2019 스프링 LNG Esports : 2019 서머 ~ 2023 서머 LNG Ninebot Esports : 2024 스프링 ~ 현재 |
Royal Never Give Up | 19 | 2015 서머 | 진행 중 (2015 서머 ~ ) | 우승 (5회) | Royal Never Give Up : 2015 서머 ~ 현재 |
Rare Atom | 19 | 2015 스프링 | 2018 스프링 ~ 2024 서머 14회 연속 진출 | 5위 (1회) | Vici Gaming : 2015 스프링 ~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 2020 서머 Rare Atom : 2021 스프링 ~ 2024 서머 2024년 11월 팀 해체 |
JDG Intel Esports | 16 | 2017 스프링 | 진행 중 (2017 스프링 ~ ) | 우승 (4회) | QG Reapers : 2017 스프링 JD Gaming : 2017 서머 ~ 2022 스프링 JDG Intel Esports Club : 2022 서머 ~ 2024 서머 JDG Intel Esports : 2024 서머 ~ 현재 |
Top Esports | 13 | 2017 서머 | 진행 중 (2017 서머 ~ ) | 우승 (1회) | DAN Gaming : 2017 서머 Topsports Gaming : 2018 스프링 ~ 2019 스프링 Top Esports : 2019 서머 ~ 현재 |
Weibo Gaming TapTap | 13 | 2017 서머 | 진행 중 (2017 서머 ~ ) | 준우승 (1회) | Suning Gaming : 2017 서머 ~ 2018 서머 Suning : 2019 스프링 ~ 2021 서머 Weibo Gaming : 2022 스프링 Weibo Gaming FAW Audi : 2022 서머 ~ 2024 스프링 Weibo Gaming TapTap : 2024 서머 ~ 현재 |
FunPlus Phoenix | 13 | 2018 스프링 | 진행 중 (2018 스프링 ~ ) | 우승 (1회) | FunPlus Phoenix : 2018 스프링 ~ 현재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13 | 2018 스프링 | 진행 중 (2018 스프링 ~ ) | 우승 (2회) | Bilibili Gaming : 2018 스프링 ~ 2020 서머 Bilibili Gaming Pingan Bank : 2021 스프링 ~ 2023 서머 Bilibili Gaming : 2024 스프링 Bilibili Gaming DreamSmart : 2024 서머 ~현재 |
Anyone's Legend | 13 | 2018 스프링 | 진행 중 (2018 스프링 ~ ) | 3위 (1회) | Rogue Warriors : 2018 스프링 ~ 2021 서머 Anyone's Legend : 2022 스프링 ~ 현재 |
Thunder Talk Gaming | 12 | 2019 스프링 | 진행 중 (2019 스프링 ~ ) | 6위 (1회) | SinoDragon Gaming : 2019 스프링 Dominus Esports : 2019 서머 ~ 2020 서머 Thunder Talk Gaming : 2021 스프링 ~ 현재 |
Ninjas in Pyjamas | 12 | 2019 스프링 | 진행 중 (2019 스프링 ~ ) | 3위 (1회) | Victory Five: 2019 스프링 ~ 2022 서머 Ninjas in Pyjamas : 2023 스프링 ~ 현재 |
Ultra Prime | 10 | 2020 스프링 | 진행 중 (2020 스프링 ~ ) | 7위 (1회) | eStar Gaming : 2020 스프링 ~ 2021 스프링 Ultra Prime : 2021 서머 ~ 현재 |
Newbee | 8 | 2013 스프링 | 2015 서머 ~ 2017 서머 5회 연속 진출 | 우승 (1회) | Positive Energy : 2013 스프링 ~ 2014 스프링 Qiao Gu Reapers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Newbee : 2016 서머 ~ 2017 서머 2017년 12월 팀 해체 |
Royal Club | 5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2015 스프링 5회 연속 진출 | 3위 (1회) | 2015 스프링 이후 Royal Never Give Up의 2부 팀으로 강등 |
Team WE Academy | 4 | 2014 서머 | 2014 서머 ~ 2016 스프링 4회 연속 진출 | 8위 (2회) | Team WE Academy : 2014 서머 Masters 3 : 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
Energy Pacemaker | 3 | 2013 서머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2회 연속 진출 | 7위 (1회) | Energy Pacemaker.HK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Energy Pacemaker : 2015 스프링 2015년 12월 팀 해체 |
Game Talents | 3 | 2016 스프링 | 2016 스프링 ~ 2017 스프링 3회 연속 진출 | 7위 (1회) | Energy Pacemaker.All : 2016 스프링 Game Talents : 2016 서머 ~ 2017 스프링 2019년 1월 Team WE Academy와 합병 |
I May | 3 | 2016 서머 | 2016 서머 ~ 2017 서머 3회 연속 진출 | 3위 (1회) | 2017년 12월 팀 해체 |
Young Glory | 2 | 2013 서머 | 2013 서머, 2014 서머 | 7위(2회) | 2017년 12월 팀 해체 |
Joy Dream | 2 | 2015 스프링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2회 연속 진출 | 7위(1회) | Team King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Saint Gaming | 2 | 2016 스프링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2회 연속 진출 | 10위 (2회) | Hyper Youth Gaming : 2016 스프링 Saint Gaming : 2016 서머 2017년 4월 팀 해체 |
Team Livemore | 1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6위 | 2014년 2월 팀 해체 |
Wings of Aurora | 1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7위 | 2015년 3월 팀 해체 |
Wayi Spider | 1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8위 | 2013년 9월 팀 해체 후 LMS의 Team Mist를 인수하며 재창단 |
Phoenix1 | 1 | 2013 서머 | 2013 서머 | 6위 | LMQ : 2013 서머 2013 서머 이후 LCS로 지역 이전 2018 LCS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
Gamtee | 1 | 2015 스프링 | 2015 스프링 | 11위 | 2015년 5월 팀 해체 |
D7G Esports Club | 1 | 2015 서머 | 2015 서머 | 10위 | Unlimited Potential : 2015 서머 2020년 2월 팀 해체 |
- 2013 스프링부터 2024 서머까지 24시즌 동안 LPL에 참가한 팀은 총 31팀이다. 그 중 2시즌 이상 참가한 팀은 25팀이다.
- 첫 시즌인 2013 스프링부터 개근한 팀은 Oh My God, Invictus Gaming, Team WE 3팀이다.
4.3. 역대 우승팀 및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Oh My God ★ | Positive Energy ★ | Edward Gaming ★ ★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Edward Gaming ★ ★ ★ | LGD Gaming ★ | Royal Never Give Up ★ | Edward Gaming ★ ★ ★ ★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Team WE ★ | Edward Gaming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Invictus Gaming ★ | FunPlus Phoenix ★ | JD Gaming ★ | Top Esports ★ |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Royal Never Give Up ★ ★ ★ ★ | Edward Gaming ★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 Bilibili Gaming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
- [ LPL 2013~2015 시즌 별 순위 ]
Tencent LoL Pro League 시즌 별 순위 순위 2013 2014 2015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1 OMG PE EDG LGD 2 PE OMG IG OMG LGD QG 3 IG WE OMG SHR IG 4 WE RYL WE LGD SS EDG 5 RYL IG LGD WE OMG SS 6 LM LMQ RYL IG VG 7 WOA YG EP YG KNG OMG 8 WS EP PE WEA WE M3 9 8팀 체제 M3 RNG 10 SHR UP 11 GT WE 12 EP KNG
- [ LPL 2016~2018 시즌 별 순위 ]
Tencent LoL Pro League 시즌 별 순위 순위 2016 2017 2018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A조 B조 A조 B조 A조 B조 A조 B조 동부 서부 동부 서부 1 RNG EDG WE EDG RNG 2 EDG RNG EDG IG 3 WE IM EDG IG RW JDG 4 QG WE OMG WE IG RW 5 SS IM OMG SS EDG 6 VG NB BLG TOP 7 IG GT QGR SN JDG SN 8 LGD IG SS WE FPX 9 EPA OMG NB LGD SS VG IM JDG SN FPX LGD SS 10 M3 HYG SAT OMG LGD GT DAN LGD OMG BLG WE 11 12팀 체제 TOP VG OMG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시즌 별 순위 | |||||||||||||||||||
순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
1 | IG | FPX | JDG | TES | RNG | EDG | RNG | JDG | BLG | ||||||||||
2 | JDG | RNG | TES | JDG | FPX | FPX | TES | BLG | LNG | TES | WBG | ||||||||
3 | FPX | TES | FPX | SN | EDG | WE | V5 | EDG | BLG | JDG | TES | ||||||||
4 | TOP | BLG | IG | LGD | TES | LNG | JDG | LNG | OMG | TES | NIP | LNG | |||||||
5 | RNG | EDG | V5 | JDG | RA | LNG | V5 | LNG | WBG | FPX | AL | ||||||||
6 | SDG | LNG | WE | IG | SN | RNG | WBG | RNG | WBG | EDG | WBG | NIP | |||||||
7 | WE | IG | ES | WE | TES | EDG | WBG | TES | OMG | LNG | JDG | ||||||||
8 | EDG | SN | RNG | FPX | RA | BLG | BLG | FPX | RNG | NIP | WE | FPX | |||||||
9 | BLG | WE | VG | RNG | IG | SN | RA | OMG | TT | RNG | OMG | LGD | |||||||
10 | SN | JDG | BLG | EDG | LNG | OMG | FPX | BLG | WE | IG | TT | ||||||||
11 | LGD | DMO | SN | VG | BLG | LGD | OMG | AL | IG | FPX | AL | OMG | |||||||
12 | SS | V5 | OMG | BLG | V5 | JDG | UP | TT | RA | IG | LGD | RA | |||||||
13 | V5 | RW | RW | LNG | TT | IG | AL | IG | NIP | TT | IG | ||||||||
14 | OMG | LGD | DMO | OMG | LGD | RW | IG | LGD | UP | RNG | EDG | ||||||||
15 | RW | VG | LGD | RW | OMG | UP | WE | UP | FPX | RA | UP | ||||||||
16 | VG | OMG | LNG | ES | TT | LGD | RA | AL | EDG | WE | |||||||||
17 | 16팀 체제 | V5 | DMO | RW | V5 | TT | WE | UP | LGD | UP | RNG |
4.4. 역대 우승자 및 입상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선수 |
2013 | 스프링 | Gogoing · LoveLin · Cool · san · bigpomelo | ||
서머 | Canines · Jing · Ziv · JoJo · NaMei · Sicca | |||
2014 | 스프링 | Koro1 · Clearlove · Fireloli · U · NaMei · Fzzf | ||
서머 | ||||
2015 | 스프링 | Koro1 · Mouse · Clearlove · Blackloli · PawN · U · Deft · Meiko | ||
서머 | Acorn · Flame · TBQ · GODV · imp · Pyl | |||
2016 | 스프링 | Looper · LetMe · Mlxg · inSec · Xiaohu · NaMei · Wuxx · Sask · Mata · Ley | ||
서머 | Mouse · Koro1 · Clearlove · Scout · PawN · Deft · Meiko | |||
2017 | 스프링 | 957 · Condi · xiye · Mystic · Raison · Ben · Zero | ||
서머 | Mouse · Audi · Clearlove · Iceloli · Scout · iBoy · Zet · Meiko | |||
2018 | 스프링 | Letme · Zz1tai · Mlxg · Karsa · Xiaohu · Uzi · Able · y4 · PiPiXuAn · Ming | ||
서머 | Letme · Zz1tai · Mlxg · Karsa · Xiaohu · Uzi · Able · Ming | |||
2019 | 스프링 | TheShy · Duke · Ning · Rookie · JackeyLove · West · Baolan | ||
서머 | GimGoon · Tian · Xinyi · Doinb · Lwx · Crisp | |||
2020 | 스프링 | Zoom · 705 · Kanavi · Yagao · LokeN · LvMao · Peace | ||
서머 | 369 · Moyu · Karsa · knight · JackeyLove · yuyanjia · QiuQiu | |||
2021 | 스프링 | Xiaohu · Xiaobai · Wei · XLB · Cryin · GALA · Ming · Lele | ||
서머 | Flandre · Xiaoxiang · JieJie · Clearlove · JunJia · Scout · Viper · Hope · Meiko | |||
2022 | 스프링 | Bin · Wei · Xiaohu · GALA · Ming · Bunny | ||
서머 | 369 · Kanavi · Yagao · Yimeng · Hope · Missing | |||
2023 | 스프링 | 369 · Kanavi · knight · Lzq · Ruler · MISSING | ||
서머 | ||||
2024 | 스프링 | Bin · Xun · knight · Elk · ON · LvMao | ||
서머 | Bin · Xun · Wei · knight · Elk · ON · LvMao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 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스태프 |
2013 | 스프링 | Tsukasa | ||
서머 | Smallorc | |||
2014 | 스프링 | Aaron | ||
서머 | ||||
2015 | 스프링 | |||
서머 | Chris | |||
2016 | 스프링 | Fly | ||
서머 | Maokai · RapidStar | |||
2017 | 스프링 | HooN · Homme | ||
서머 | NoFe · Hermes | |||
2018 | 스프링 | Kezman · Heart | ||
서머 | ||||
2019 | 스프링 | Karam · Mafa | ||
서머 | Warhorse · Despa1r | |||
2020 | 스프링 | Homme · Huge | ||
서머 | Crescent · Ggoong · Tselin | |||
2021 | 스프링 | Tabe · Poppy | ||
서머 | KenZhu · Maokai · CorGi | |||
2022 | 스프링 | KenZhu · Tabe · Xiaobai | ||
서머 | Homme · Xiasu | |||
2023 | 스프링 | Homme · Viod · Vus5o | ||
서머 | ||||
2024 | 스프링 | BigWei · Xiasu · zyb | ||
서머 | BigWei · Xiasu · Easyhoon · zyb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정규시즌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Doinb 김태상 QG | MID | Xiaohu 리위안하오 RNG | MID | Rookie 송의진 IG | MID | Doinb 김태상 FPX | MID |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
Knight9 줘딩 TES | MID | Kanavi 서진혁 JDG | JGL | knight 줘딩 TES | MID | Viper 박도현 EDG | BOT | Doinb 김태상 FPX | MID |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
Rookie 송의진 V5 | MID | Tian 가오톈량 TES | JGL | Scout 이예찬 LNG | MID | knight 줘딩 BLG | MID | ||
2024 서머 | 2025 윈터 | 2025 스프링 | 2025 서머 | 2026 윈터 | |
Tian 가오톈량 TES | JGL | |||||
LPL이 공식적으로 관계자 투표 등을 통해 MVP 시상을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이다. LPL 항목에 있는 그 이전까지의 기록은 국내로 치면 POG 최다 득표자를 써놓은 일종의 비공식 MVP다.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파이널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Condi 샹런제 WE | JGL | Scout 이예찬 EDG | MID | Uzi 젠쯔하오 RNG | ADC | Uzi 젠쯔하오 RNG | BOT | TheShy 강승록 IG | TOP |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
Crisp 류칭쑹 FPX | SPT | LvMao 쭤밍하오 JDG | SPT | knight 줘딩 TES | MID | GALA 천웨이 RNG | BOT | Scout 이예찬 EDG | MID |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
Bin 천쩌빈 RNG | TOP | Yagao 쩡치 JDG | MID | Ruler 박재혁 JDG | BOT | knight 줘딩 JDG | MID | Elk 자오자하오 BLG | BOT | |
2024 서머 | 2025 윈터 | 2025 스프링 | 2025 서머 | 2026 윈터 | |
knight 줘딩 BLG | MID | |||||
LPL이 공식적으로 관계자 투표 등을 통해 MVP 시상을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이다. LPL 항목에 있는 그 이전까지의 기록은 국내로 치면 POG 최다 득표자를 써놓은 일종의 비공식 MVP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신인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ShiauC 류자하오 ES | SPT | Jiumeng 자오자하오 WE | BOT | Viper 박도현 EDG | BOT | Creme 린젠 OMG | MID | Wayward 황런싱 TES | TOP |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shanji 덩쯔젠 OMG | TOP | Leave 후훙차오 EDG | BOT | Tangyuan 린위훙 RNG | MID | milkyway 차이쯔쥔 FPX | JGL |
LPL이 공식적으로 관계자 투표 등을 통해 MVP 시상을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이며, 그 이전까지의 기록은 국내로 치면 POG 최다 득표자를 써놓은 일종의 비공식 MVP다.
<rowcolor=#fff> 시즌 | MVP | ID | 팀명 | 포지션 | |
2013 스프링 | 유자진 | Cool | Oh My God | MID | |
2013 서머 | 주지아웬 | NaMei | Positive Energy | ADC | |
2014 스프링 | 후빈 | Xiyang | Oh My God | MID | |
2014 서머 | 유자진 | Cool | Oh My God | MID | |
2015 스프링 | 정규시즌 | 김혁규 | Deft | Edward Gaming | ADC |
플레이오프 | 김혁규 | Deft | Edward Gaming | ADC | |
2015 서머 | 정규시즌 | 밍카이 | Clearlove | Edward Gaming | JGL |
플레이오프 | 구승빈 | Imp | LGD Gaming | ADC | |
2016 스프링 | 정규시즌 | 송의진 | Rookie | Invictus Gaming | MID |
플레이오프 | 리위안하오 | Xiaohu | Royal Never Give Up | MID | |
2016 서머 | 정규시즌 | 류스위 | Mlxg | Royal Never Give Up | JGL |
플레이오프 | 김혁규 | Deft | Edward Gaming | ADC | |
2017 스프링[13] | 정규시즌 | 김태상 | Doinb | QG Reapers | MID |
플레이오프 | 샹런제 | Condi | Team WE | JGL | |
2017 서머 | 정규시즌 | 리위안하오 | Xiaohu | Royal Never Give Up | MID |
플레이오프 | 이예찬 | Scout | Edward Gaming | MID | |
2018 스프링 | 정규시즌 | 송의진 | Rookie | Invictus Gaming | MID |
플레이오프 | 젠쯔하오 | Uzi | Royal Never Give Up | ADC | |
2018 서머 | 정규시즌 | 송의진 | Rookie | Invictus Gaming | MID |
플레이오프 | 젠쯔하오 | Uzi | Royal Never Give Up | BOT | |
2019 스프링 | 정규시즌 | 김태상 | Doinb | FunPlus Phoenix | MID |
플레이오프 | 강승록 | TheShy | Invictus Gaming | TOP | |
2019 서머 | 정규시즌 | 줘딩 | Knight9 | Top Esports | MID |
플레이오프 | 류칭쑹 | Crisp | FunPlus Phoenix | SPT | |
2020 스프링 | 정규시즌 | 서진혁 | Kanavi | JD Gaming | JGL |
플레이오프 | 쭤밍하오 | LvMao | JD Gaming | SPT | |
2020 서머 | 정규시즌 | 줘딩 | knight | Top Esports | MID |
플레이오프 | 줘딩 | knight | Top Esports | MID | |
2021 스프링 | 정규시즌 | 박도현 | Viper | Edward Gaming | BOT |
플레이오프 | 천웨이 | GALA | Royal Never Give Up | BOT | |
2021 서머 | 정규시즌 | 김태상 | Doinb | FunPlus Phoenix | MID |
플레이오프 | 이예찬 | Scout | Edward Gaming | MID | |
2022 스프링 | 정규시즌 | 송의진 | Rookie | Victory Five | MID |
플레이오프 | 천쩌빈 | Bin | Royal Never Give Up | TOP | |
2022 서머 | 정규시즌 | 가오톈량 | Tian | Top Esports | JGL |
플레이오프 | 쩡치 | Yagao | JDG Intel Esports Club | MID | |
2023 스프링 | 정규시즌 | 이예찬 | Scout | LNG Esports | MID |
플레이오프 | 박재혁 | Ruler | JDG Intel Esports Club | BOT | |
2023 서머 | 정규시즌 | 이예찬 | Scout | LNG Esports | MID |
플레이오프 | 줘딩 | knight | JDG Intel Esports Club | MID | |
2024 스프링 | 정규시즌 | 줘딩 | knight | Bilibili Gaming | MID |
플레이오프 | 자오자하오 | Elk | Bilibili Gaming | BOT | |
2024 서머 | 정규시즌 | 가오톈량 | Tian | Top Esports | JGL |
플레이오프 | 줘딩 | knight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MID |
4.5. 역대 LPL 연간 어워드
자세한 내용은 LPL 연간 어워드 문서 참고하십시오.LPL 연간 어워드 관련 틀 | ||||||||||||||||||||||||||||||||||||||||||||||||||||||||||||||||||||||||||||||||||||||||||||||||||||||||||||||||||||||||||||||||||||||||||||||||||||||||||||||||||||||||||||||||||||||||||||||||||||||||||||||||||||||||||||||||||||||||||||||||||||||||||||||||||||||||||||||||||||||||||||||
|
연도 | 최고의 팀 | MVP | 최고의 용병 | 최고의 신인 | 최고 인기상[14] |
2014년 | Oh My God | 젠쯔하오 | 최인석 | 류스위 | - |
2015년 | Edward Gaming | 밍카이 | 허원석 | 톈예 | 밍카이 |
2016년 | Edward Gaming | 김혁규 | 강하운 | 레꽝주이 | 젠쯔하오 |
2017년 | Royal Never Give Up | 리위안하오 | 송의진 | 스썬밍 | 젠쯔하오 |
2018년 | Invictus Gaming | 송의진 | 송의진 | 위원보 | 강승록 |
2019년 | FunPlus Phoenix | 김태상 | 김태상 | 쩡궈하오 | 강승록 |
2020년 | Top Esports | 레꽝주이 | 레꽝주이 | 천쩌빈 | 강승록 |
2021년 | Edward Gaming | 이예찬 | 박도현 | 추이샤오쥔 | 자오리제 |
2022년 | JDG Intel Esports Club | 바이자하오 | 서진혁 | 덩쯔젠 | 강승록 |
2023년 | JDG Intel Esports Club | 줘딩 | 박재혁 | 양추이헝 | 강승록 |
연도 | 최고의 TOP | 최고의 JGL | 최고의 MID | 최고의 BOT | 최고의 SPT |
2014년 | 가오디핑 | 인러 | 유자진 | 젠쯔하오 | 윤경섭 |
2015년 | 리쉬안쥔 | 밍카이 | 허원석 | 구승빈 | 톈예 |
2016년 | 장형석 | 류스위 | 리위안하오 | 김혁규 | 톈예 |
2017년 | 커창위 | 류스위 | 리위안하오 | 젠쯔하오 | 톈예 |
2018년 | 강승록 | 가오전닝 | 송의진 | 젠쯔하오 | 스썬밍 |
2019년 | 강승록 | 가오톈량 | 김태상 | 젠쯔하오 | 류칭쑹 |
2020년 | 천쩌빈 | 레꽝주이 | 줘딩 | 위원보 | 쭤밍하오 |
2021년 | 리위안하오 | 자오리제 | 이예찬 | 박도현 | 톈예 |
2022년 | 바이자하오 | 서진혁 | 쩡치 | 천웨이 | 톈예 |
2023년 | 천쩌빈 | 서진혁 | 줘딩 | 박재혁 | 러우윈펑 |
4.6. 역대 LPL All-Pro Team
자세한 내용은 LPL All-Pro Team 문서 참고하십시오.4.7. 역대 풀세트 5전제
역대 플레이오프에서 3:2 경기가 펼쳐진 5전제(Bo5), 일명 실버 스크랩스 경기 기록이다.4.8. 역대 퍼펙트 게임
순서 | 달성 팀 | 스코어 | 상대 팀 | 일자 | 경기 | |||||
경기 시간 | 킬 | 타워 | 드래곤 | 전령 | 바론 | |||||
1 | Invictus Gaming | 25:44 | 10:0 | 8:0 | 3:0 | - | 1:0 | Team King | 2015.06.20 | 2015 서머 60경기 2세트 |
2 | EDward Gaming | 32:44 | 13:0 | 11:0 | 3:0 | 0:0 | 1:0 | Team WE | 2017.04.08 | 2017 스프링 B조 25경기 1세트 |
3 | JD Gaming | 24:38 | 4:0 | 10:0 | 2:0 | 1:0 | 1:0 | Oh My God | 2017.08.18 | 2017 서머 B조 27경기 1세트 |
4 | JD Gaming | 25:11 | 17:0 | 11:0 | 3:0 | 1:0 | 1:0 | Suning | 2018.01.29 | 2018 스프링 East Region 16경기 3세트 |
5 | Rogue Warriors | 32:12 | 9:0 | 11:0 | 4:0 | 0:0 | 2:0 | EDward Gaming | 2018.02.28 | 2018 스프링 인터리그 18경기 2세트 |
6 | Invictus Gaming | 32:32 | 13:0 | 10:0 | 4:0 | 1:0 | 1:0 | FunPlus Phoenix | 2018.07.14 | 2018 서머 인터리그 4경기 1세트 |
7 | Topsports Gaming | 22:12 | 10:0 | 10:0 | 2:0 | 1:0 | 1:0 | Oh My God | 2019.01.26 | 2019 스프링 22경기 2세트 |
8 | Victory Five | 25:19 | 19:0 | 11:0 | 3:0 | 1:0 | 1:0 | Rogue Warriors | 2019.03.09 | 2019 스프링 74경기 2세트 |
9 | Team WE | 29:12 | 12:0 | 9:0 | 4:0 | 2:0 | 1:0 | Oh My God | 2020.04.20 | 2020 스프링 135경기 3세트 |
10 | Suning | 23:28 | 14:0 | 11:0 | 3:0 | 2:0 | 1:0 | TT Gaming | 2021.03.02 | 2021 스프링 81경기 2세트 |
퍼펙트 게임 조건인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상대팀에게 하나 이상 내줬어도 상대팀의 킬 스코어가 0인 게임을 말하며, 만약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모두 내주지 않았을 경우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와 동시에 자동으로 위에 있는 퍼펙트 게임이 성립된다.
순서 | 일자 | 경기 | 블루 팀 | 킬스코어 | 레드 팀 | 경기 시간 | 퍼펙트 게임 달성여부 |
1 | 2014.08.24 | 2014 서머 결승전 1세트 | EDward Gaming | 10 : 0 | Oh My God | 22:09 | X(타워) |
2 | 2015.06.20 | 2015 서머 60경기 2세트 | Team King | 0 : 10 | Invictus Gaming | 25:44 | 퍼펙트 게임 1호 |
3 | 2015.07.19 | 2015 서머 96경기 1세트 | Snake Esports | 9 : 0 | Oh My God | 26:38 | X(타워, 드래곤) |
4 | 2015.08.07 | 2015 서머 123경기 1세트 | Unlimited Potential | 0 : 11 | EDward Gaming | 23:00 | X(타워) |
5 | 2015.08.12 | 2015 서머 플레이오프 2라운드 3세트 | Vici Gaming | 0 : 12 | Oh My God | 25:31 | X(타워, 드래곤) |
6 | 2016.06.17 | 2016 서머 인터리그 3경기 2세트 | Team WE | 15 : 0 | Game Talents | 28:02 | X(타워) |
7 | 2017.03.11 | 2017 스프링 인터리그 16경기 2세트 | Snake Esports | 11 : 0 | Vici Gaming | 31:10 | X(타워, 드래곤) |
8 | 2017.04.08 | 2017 스프링 B조 25경기 1세트 | EDward Gaming | 13 : 0 | Team WE | 32:44 | 퍼펙트 게임 2호 |
9 | 2017.04.15 | 2017 스프링 A조 29경기 2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6 : 0 | I May | 30:56 | X(드래곤) |
10 | 2017.06.23 | 2017 서머 B조 12경기 1세트 | Royal Never Give Up | 7 : 0 | Suning | 36:16 | X(타워, 드래곤) |
11 | 2017.06.24 | 2017 서머 A조 14경기 2세트 | I May | 0 : 19 | Snake Esports | 28:18 | X(드래곤) |
12 | 2017.06.25 | 2017 서머 B조 14경기 1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2 : 0 | JD Gaming | 36:29 | X(타워, 드래곤) |
13 | 2017.07.16 | 2017 서머 인터리그 경기 1세트 | EDward Gaming | 12 : 0 | Oh My God | 29:36 | X(타워, 드래곤) |
14 | 2017.07.30 | 2017 서머 인터리그 경기 2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6 : 0 | Team WE | 24:16 | X(타워, 드래곤) |
15 | 2017.08.12 | 2017 서머 B조 25경기 3세트 | Oh My God | 0 : 10 | Royal Never Give Up | 32:08 | X(타워) |
16 | 2017.08.18 | 2017 서머 B조 27경기 1세트 | JD Gaming | 4 : 0 | Oh My God | 24:38 | 퍼펙트 게임 3호 |
17 | 2018.01.17 | 2018 스프링 East Region 4경기 1세트 | JD Gaming | 7 : 0 | LGD Gaming | 31:20 | X(전령) |
18 | 2018.01.29 | 2018 스프링 East Region 16경기 3세트 | JD Gaming | 17 : 0 | Suning | 25:11 | 퍼펙트 게임 4호 |
19 | 2018.02.02 | 2018 스프링 West Region 18경기 2세트 | EDward Gaming | 6 : 0 | Vici Gaming | 29:34 | X(타워) |
20 | 2018.02.05 | 2018 스프링 인터리그 1경기 3세트 | Royal Never Give Up | 7 : 0 | Bilibili Gaming | 30:17 | X(드래곤) |
21 | 2018.02.25 | 2018 스프링 인터리그 12경기 3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1 : 0 | Team WE | 25:34 | X(전령) |
22 | 2018.02.28 | 2018 스프링 인터리그 18경기 1세트 | Rogue Warriors | 8 : 0 | EDward Gaming | 36:47 | X(타워) |
23 | 2018.02.28 | 2018 스프링 인터리그 18경기 2세트 | EDward Gaming | 0 : 9 | Rogue Warriors | 32:12 | 퍼펙트 게임 5호 |
24 | 2018.07.14 | 2018 서머 인터리그 4경기 1세트 | Invictus Gaming | 13 : 0 | FunPlus Phoenix | 32:32 | 퍼펙트 게임 6호 |
25 | 2018.07.18 | 2018 서머 인터리그 경기 1세트 | Suning | 0 : 9 | Oh My God | 37:43 | X(타워, 드래곤) |
26 | 2018.08.10 | 2018 서머 West Region 26경기 2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2 : 0 | Vici Gaming | 33:57 | X(타워) |
27 | 2019.01.10 | 2019 스프링 3경기 1세트 | EDward Gaming | 12 : 0 | SinoDragon | 30:18 | X(타워) |
28 | 2019.01.26 | 2019 스프링 22경기 2세트 | Oh My God | 0 : 10 | Topsports Gaming | 22:12 | 퍼펙트 게임 7호 |
29 | 2019.03.09 | 2019 스프링 74경기 2세트 | Victory Five | 19 : 0 | Rogue Warriors | 25:19 | 퍼펙트 게임 8호 |
30 | 2019.03.29 | 2019 스프링 114경기 1세트 | Snake Esports | 0 : 16 | LGD Gaming | 32:03 | X(드래곤) |
31 | 2019.04.04 | 2019 스프링 플레이오프 1라운드 1세트 | JD Gaming | 16 : 0 | Team WE | 29:02 | X(타워, 드래곤) |
32 | 2019.09.01 | 2019 서머 플레이오프 3라운드 2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1 : 0 | Top Esports | 26:58 | X(드래곤) |
33 | 2020.03.21 | 2020 스프링 49경기 1세트 | Oh My God | 9 : 0 | Dominus Esports | 25:50 | X(타워, 드래곤) |
34 | 2020.04.01 | 2020 스프링 80경기 2세트 | LNG Esports | 0 : 19 | Dominus Esports | 27:33 | X(타워) |
35 | 2020.04.18 | 2020 스프링 130경기 1세트 | Royal Never Give Up | 11 : 0 | Suning | 29:06 | X(타워) |
36 | 2020.04.20 | 2020 스프링 135경기 2세트 | Team WE | 12 : 0 | Oh My God | 25:19 | 퍼펙트 게임 9호 |
37 | 2020.06.29 | 2020 서머 50경기 2세트 | Victory Five | 0 : 9 | FunPlus Phoenix | 28:14 | X(타워, 드래곤) |
38 | 2021.02.27 | 2021 스프링 73경기 3세트 | LGD Gaming | 12 : 0 | Rogue Warriors | 31:12 | X(타워, 바론) |
39 | 2021.03.02 | 2021 스프링 81경기 2세트 | TT Gaming | 0 : 14 | Suning | 23:28 | 퍼펙트 게임 10호 |
40 | 2021.03.10 | 2021 스프링 100경기 1세트 | Rogue Warriors | 0 : 11 | Suning | 26:07 | X(타워) |
41 | 2021.04.04 | 2021 스프링 플레이오프 2라운드 3세트 | Team WE | 0 : 14 | Suning | 25:57 | X(타워) |
42 | 2022.02.13 | 2022 스프링 51경기 1세트 | Rare Atom | 0 : 16 | Anyone's Legend | 25:53 | X(타워, 드래곤) |
43 | 2022.02.21 | 2022 스프링 72경기 1세트 | Top Esports | 18 : 0 | FunPlus Phoenix | 25:30 | X(타워) |
44 | 2022.06.26 | 2022 서머 35경기 1세트 | Invictus Gaming | 15 : 0 | Anyone's Legend | 26:13 | X(전령) |
45 | 2022.07.25 | 2022 서머 95경기 1세트 | Rare Atom | 0 : 16 | Royal Never Give Up | 25:37 | X(타워) |
46 | 2022.08.25 | 2022 서머 플레이오프 4라운드 패자 4세트 | Edward Gaming Hycan | 14 : 0 | LNG Esports | 26:14 | X(타워) |
47 | 2023.01.15 | 2023 스프링 4경기 1세트 | LGD Gaming | 17 : 0 | Rare Atom | 33:48 | X(타워, 드래곤, 전령) |
48 | 2023.02.06 | 2023 스프링 30경기 2세트 | Anyone's Legend | 0 : 12 | JDG Intel Esports Club | 24:15 | X(타워) |
49 | 2023.06.14 | 2023 서머 41경기 2세트 | LGD Gaming | 0 : 20 | Weibo Gaming FAW Audi | 25:26 | X(타워, 전령) |
50 | 2023.06.17 | 2023 서머 50경기 1세트 | Invictus Gaming | 0 : 15 | Oh My God | 25:19 | X(전령) |
51 | 2023.07.14 | 2023 서머 127경기 1세트 | Royal Never Give Up | 0 : 15 | Weibo Gaming FAW Audi | 25:19 | X(타워, 드래곤) |
52 | 2024.04.03 | 2024 스프링 플레이오프 2라운드 4세트 | Weibo Gaming Faw Audi | 0 : 16 | LNG Ninebot Esports | 28:32 | X(타워, 전령, 바론) |
53 | 2024.07.13 | 2024 서머 등봉조 10경기 1세트 | Weibo Gaming Faw Audi | 13 : 0 | Ninjas in Pyjamas | 25:46 | X(타워, 드래곤) |
4.9. 역대 펜타킬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0909><colcolor=#fff> 2013 시즌 | youmeng 다이원제 1호 · San 궈쥔량 2호 · PDD 류머우 3호 · F1sh 위루이 4호 |
2014 시즌 | Styz 취쯔량 5호 · AmazingJ 섹와이호 6호 · Ruo 텅양톈샤 7호 · U 쩡룽 8호 · inSec 최인석 9호 · WeiXiao 가오쉐청 10호 · Ninja 노건우 11호 · Uzi 젠쯔하오 12호 | |
2015 시즌 | Assassin 저우이샹 13호 · Tale 자오샤오위 14호 · kRYST4L 양판 15호 · hu1 레이후이궈 16호 · Kid 거옌 17호 · Deft 김혁규 18호 · TnT 위루이 19호 · Hetong 왕빈 20호 · Cool 위자쥔 21호 · GODV 웨이전 22호 · Uzi 젠쯔하오 23호 · SmLz 한진 24호 | |
2016 시즌 | Deft 김혁규 25호 · Uzi 젠쯔하오 26호 · Endless 쑤하오 27호 · NaMei 주자원 28호 · kRYST4L 양판 29호 · Condi 샹런제 30호 · V 바오보 31호 · Easyhoon 이지훈 32호 | |
2017 시즌 | West 천룽 33호 · Barrett 쉬추빈 34호 · Mystic 진성준 35호 · xiye 쑤한웨이 36호 | |
2018 시즌 | Lwx 린웨이샹 37호 · Guoguo 쩡쥔리 38호 · Xiaohu 리위안하오 39호 · xiye 쑤한웨이 40호 · Uzi 젠쯔하오 41·42호☆ · Zz1tai 류즈하오 43호 · Smlz 한진 44호 · Angel 샹타오 45호 | |
2019 시즌 | ZWuji 메이훙후이 46호 · xiye 쑤한웨이 47호 · Jay 천보 48호 · Flandre 리쉬안쥔 49호 | |
2020 시즌 | LokeN 이동욱 50호 · huanfeng 탕환펑 51호 · Doinb 김태상 52·59호☆ · Hope 왕제 53호 · Photic 잉치선 54호 · Rookie 송의진 55호 · Yuuki 후하오밍 56호 · Cryin 위안청웨이 57호 · Jiumeng 자오자하오 58호 · Betty 루위훙 60호 · Smlz 한진 61호 · FoFo 주쥔란 62호 | |
2021 시즌 | Lwx 린웨이샹 63호 · Cryin 위안청웨이 64호 · Angel 샹타오 65호 · iBoy 후셴자오 66호·74호☆ · Viper 박도현 67호·69호☆ · Light 왕광위 68호 · Puff 딩왕 70호·73호☆ · Doinb 김태상 71호·75호☆ · GALA 천웨이 72호 · Weiwei 웨이보한 76호 · SamD 이재훈 77호 · Jiejie 자오리제 78호 | |
2022 시즌 | Elk 자오자하오 79호 · Hope 왕제 80호·84호 ☆ · Photic 잉치선 81호·82호·87호 ★ · 369 바이자하오 83호 · Lwx 린웨이샹 85호 · GALA 천웨이 86호·88호 ☆ · JackeyLove 위원보 89호·90호 ☆ | |
2023 시즌 | Ruler 박재혁 91호·106호 ☆ · Qing 후자쥐 92호·93호 ☆ · Doggo 추쯔취안 94호 · Light 왕광위 95호·97호 ☆ · GALA 천웨이 96호·102호☆ · Ahn 안산예 98호 · Ale 후자러 99호 · zhiqiuyi 가오즈쉬안 100호 · Elk 자오자하오 101호·105호 ☆ · LP 리페이 103호 · Scout 이예찬 104호 | |
2024 시즌 | Prince 이채환 107호 · Creme 린젠 108호 · Light 왕광위 109호 · Tian 가오톈량 110호 · GALA 천웨이 111호·112호 · Elk 자오자하오 113호 | |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펜타킬 기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50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1호 | 다이웬지 (youmeng) | ADC | 2013. 03.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pring 정규시즌 17경기 | 영상 | |||||
2호 | 궈쥔량 (San) | ADC | 2013. 03.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pring 정규시즌 18경기 | 영상 | |||||
3호 | 류머우 (PDD) | TOP | 2013. 05.11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pring 정규시즌 100경기 | 영상 | |||||
4호 | 유루이 (F1sh) | ADC | 2013. 07.13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ummer 정규시즌 6경기 | 영상 | |||||
5호 | 큐진리앙 (Styz) | ADC | 2014. 03.15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pring 정규시즌 19경기 1세트 | 영상 | |||||
6호 | 섹와이호 (AmazingJ) | TOP | 2014. 04.06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pring 정규시즌 39경기 2세트 | 영상 | |||||
7호 | 텡양티안차 (Ruo) | JGL | 2014. 04.12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pring 정규시즌 44경기 1세트 | 영상 | |||||
8호 | 청룽 (U) | MID | 2014. 06.14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2경기 1세트 | 영상 | |||||
9호 | 최인석 (inSec) | JGL | 2014. 06.27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12경기 2세트 | 영상 | |||||
10호 | 가오쉐청 (WeiXiao) | ADC | 2014. 07.11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24경기 1세트 | 영상 | |||||
11호 | 노건우 (Ninja) | MID | 2014. 07.11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24경기 2세트 | 영상 | |||||
12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4. 08.10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51경기 2세트 | 영상 | |||||
13호 | 저우이샹 (Assassin) | 파일:380px-Team_King.png | MID | 2015. 01.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17경기 1세트 | 영상 | ||||
14호 | 자오샤오유 (Tale) | ADC | 2015. 02.01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33경기 2세트 | 영상 | |||||
15호 | 양판 (kRYST4L) | ADC | 2015. 02.01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35경기 2세트 | 영상 | |||||
16호 | 레이후이궈 (hu1) | JGL | 2015. 02.27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62경기 2세트 | 영상 | |||||
17호 | 거얀 (Kid) | ADC | 2015. 04.25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3,4위전 2세트 | 영상 | |||||
18호 | 김혁규 (Deft) | ADC | 2015. 04.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결승전 5세트 | 영상 | |||||
19호 | 유루이 (TnT) | ADC | 2015. 05.22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3경기 1세트 | 영상 | |||||
20호 | 왕빈 (Hetong) | MID | 2015. 05.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12경기 1세트 | 영상 | |||||
21호 | 위자쥔 (Cool) | MID | 2015. 05.29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16경기 1세트 | 영상 | |||||
22호 | 웨이전 (GODV) | MID | 2015. 06.05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28경기 1세트 | 영상 | |||||
23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5. 06.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62경기 1세트 | 영상 | |||||
24호 | 한진 (SmLz) | ADC | 파일:380px-Team_King.png | 2015. 06.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73경기 1세트 | 영상 | ||||
25호 | 김혁규 (Deft) | ADC | 2016. 02.18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1경기 2세트 | 영상 | |||||
26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6. 03.10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19경기 1세트 | 영상 | |||||
27호 | 쑤하오 (Endless) | ADC | 2016. 03.20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36경기 2세트 | 영상 | |||||
28호 | 주지아웬 (NaMei) | ADC | 2016. 03.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B조 20경기 3세트 | 영상 | |||||
29호 | 양판 (kRYST4L) | ADC | 2016. 04.08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A조 26경기 1세트 | 영상 | |||||
30호 | 샹런제 (Condi) | JGL | 2016. 04.15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세트 | 영상 | |||||
31호 | 바오보 (V) | TOP | 2016. 07.08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22경기 1세트 | 영상 | |||||
32호 | 이지훈 (Easyhoon) | MID | 2016. 08.04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정규시즌 B조 27경기 3세트 | 영상 | |||||
33호 | 천롱 (West) | ADC | 2017. 03.03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4경기 1세트 | 영상 | |||||
34호 | 수퀴우빈 (Barrett) | ADC | 2017. 06.18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정규시즌 B조 10경기 1세트 | 영상 | |||||
35호 | 진성준 (Mystic) | ADC | 2017. 07.22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25경기 1세트 | 영상 | |||||
36호 | 쑤한웨이 (xiye) | MID | 2017. 08.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3,4위전 2세트 | 영상 | |||||
37호 | 린웨이샹 (Lwx) | ADC | 2018. 01.19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West Region 4경기 3세트 | 영상 | |||||
38호 | 쩡쥔리 (Guoguo) | MID | 2018. 01.23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West Region 8경기 2세트 | 영상 | |||||
39호 | 리위안하오 (Xiaohu) | MID | 2018. 01.23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East Region 10경기 1세트 | 영상 | |||||
40호 | 쑤한웨이 (xiye) | MID | 2018. 03.06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28경기 3세트 | 영상 | |||||
41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8. 03.28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East Region 32경기 2세트 | 영상 | |||||
42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8. 04.21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플레이오프 4강 2세트 | 영상 | |||||
43호 | 류즈하오 (Zz1tai) | BOT | 2018. 07.13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2경기 1세트 | 영상 | |||||
44호 | 한진 (Smlz) | BOT | 2018. 07.14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5경기 3세트 | 영상 | |||||
45호 | 샹타오 (Angel) | MID | 2018. 07.18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13경기 2세트 | 영상 | |||||
46호 | 메이훙후이 (ZWuji) | BOT | 2019. 02.1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pring 정규시즌 40경기 2세트 | 영상 | |||||
47호 | 쑤한웨이 (xiye) | MID | 2019. 03.2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pring 정규시즌 113경기 2세트 | 영상 | |||||
48호 | 천보 (Jay) | MID | 2019. 08.13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 정규시즌 109경기 1세트 | 영상 | |||||
49호 | 리쉬안쥔 (Flandre) | TOP | 2019. 08.25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 플레이오프 4강 3세트 | 영상 | |||||
50호 | 이동욱 (LokeN) | BOT | 2020. 03.09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6경기 2세트 | 영상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1~100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51호 | 탕환펑 (huanfeng) | BOT | 2020. 03.12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5경기 1세트 | 영상 | |||||
52호 | 김태상 (Doinb) | MID | 2020. 03.17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39경기 1세트 | 영상 | |||||
53호 | 왕제 (Hope) | BOT | 2020. 03.23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56경기 1세트 | 영상 | |||||
54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0. 03.25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1경기 1세트 | 영상 | |||||
55호 | 송의진 (Rookie) | MID | 2020. 03.31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79경기 1세트 | 영상 | |||||
56호 | 후하오밍 (Yuuki) | MID | 2020. 04.09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1경기 1세트 | 영상 | |||||
57호 | 위안청웨이 (Cryin) | MID | 2020. 04.11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8경기 1세트 | 영상 | |||||
58호 | 자오자하오 (Jiumeng) | BOT | 2020. 04.22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1라운드 1경기 2세트 | 영상 | |||||
59호 | 김태상 (Doinb) | MID | [[라이즈 | ]] | 2020. 04.25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2세트 | 영상 | |||
60호 | 루위훙 (Betty) | BOT | 2020. 06.06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경기 1세트 | 영상 | |||||
61호 | 한진 (Smlz) | BOT | 2020. 07.15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81경기 1세트 | 영상 | |||||
62호 | 주쥔란 (FoFo) | MID | 2020. 07.28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07경기 2세트 | 영상 | |||||
63호 | 린웨이샹 (Lwx) | BOT | 2021. 01.19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1경기 2세트 | 영상 | |||||
64호 | 위안청웨이 (Cryin) | MID | 2021. 01.21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6경기 1세트 | 영상 | |||||
65호 | 샹타오 (Angel) | MID | 2021. 01.28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0경기 1세트 | 영상 | |||||
66호 | 후셴자오 (iBoy) | BOT | 2021. 01.31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5경기 2세트 | 영상 | |||||
67호 | 박도현 (Viper) | BOT | 2021. 02.23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5경기 1세트 | 영상 | |||||
68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1. 02.28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76경기 1세트 | 영상 | |||||
69호 | 박도현 (Viper) | BOT | 2021. 03.13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7경기 2세트 | 영상 | |||||
70호 | 딩왕 (Puff) | BOT | 2021. 03.22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24경기 3세트 | 영상 | |||||
71호 | 김태상 (Doinb) | MID | 2021. 04.05.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3라운드 1경기 4세트 | 영상 | |||||
72호 | 천웨이 (GALA) | BOT | 2021. 04.18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결승전 3세트 | 영상 | |||||
73호 | 딩왕 (Puff) | BOT | 2021. 06.21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32경기 2세트 | 영상 | |||||
74호 | 후셴자오 (iBoy) | BOT | 2021. 06.26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1경기 3세트 | 영상 | |||||
75호 | 김태상 (Doinb) | MID | 2021. 06.26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3경기 2세트 | 영상 | |||||
76호 | 웨이보한 (Weiwei) | JGL | 2021. 07.22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00경기 2세트 | 영상 | |||||
77호 | 이재훈 (SamD) | BOT | 2021. 07.29.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13경기 1세트 | 영상 | |||||
78호 | 자오리제 (Jiejie) | JGL | 2021. 08.05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29경기 1세트 | 영상 | |||||
79호 | 자오자하오 (Elk) | BOT | 2022. 01.16.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3경기 2세트 | 영상 | |||||
80호 | 왕제 (Hope) | BOT | 2022. 02.15.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56경기 2세트 | 영상 | |||||
81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2. 02.16.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59경기 2세트 | 영상 | |||||
82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2. 02.27.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87경기 1세트 | 영상 | |||||
83호 | 바이자하오 (369) | TOP | 2022. 06.17.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5경기 1세트 | 영상 | |||||
84호 | 왕제 (Hope) | BOT | 2022. 06.27.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38경기 2세트 | 영상 | |||||
85호 | 린웨이샹 (Lwx) | BOT | 2022. 06.29.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1경기 1세트 | 영상 | |||||
86호 | 천웨이 (GALA) | BOT | 2022. 07.03.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51경기 1세트 | 영상 | |||||
87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2. 07.10.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64경기 1세트 | 영상 | |||||
88호 | 천웨이 (GALA) | BOT | 2022. 07.15.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74경기 1세트 | 영상 | |||||
89호 | 위원보 (JackeyLove) | BOT | 2022. 07.29.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03경기 2세트 | 영상 | |||||
90호 | 위원보 (JackeyLove) | BOT | 2022. 08.05.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17경기 1세트 | 영상 | |||||
91호 | 박재혁 (Ruler) | BOT | 2023. 01.14.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3경기 3세트 | 영상 | |||||
92호 | 후지아주 (Qing) | MID | 2023. 02.0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2경기 2세트 | 영상 | |||||
93호 | 후지아주 (Qing) | MID | 2023. 02.1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5경기 1세트 27분 23초 | 영상 | |||||
94호 | 추쯔취안 (Doggo) | BOT | 2023. 02.1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5경기 1세트 33분 24초 | 영상 | |||||
95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3. 02.21.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4경기 1세트 | 영상 | |||||
96호 | 천웨이 (GALA) | BOT | 2023. 03.11.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3경기 1세트 | 영상 | |||||
97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3. 03.1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7경기 1세트 | 영상 | |||||
98호 | 안산예 (Ahn) | BOT | 2023. 03.19.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21경기 2세트 | 영상 | |||||
99호 | 후자러 (Ale) | TOP | 2023. 04.11.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패자 결승 5세트 | 영상 | |||||
100호 | 가오즈쉬안 (zhiqiuyi) | BOT | 2023. 05.29.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경기 3세트 | 영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1~150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101호 | 자오자하오 (Elk) | BOT | 2023. 06.27.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79경기 2세트 | 영상 | ||||
102호 | 천웨이 (GALA) | BOT | 2023. 06.29.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85경기 2세트 | 영상 | ||||
103호 | 리페이 (LP) | BOT | 2023. 06.29.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89경기 3세트 | 영상 | ||||
104호 | 이예찬 (Scout) | MID | 2023. 07.10.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15경기 1세트 | 영상 | ||||
105호 | 자오자하오 (Elk) | BOT | 2023. 07.26. | 2023 LoL Pro League Summer 플레이오프 4라운드 1경기 4세트 | 영상 | ||||
106호 | 박재혁 (Ruler) | BOT | 2023. 07.27. | 2023 LoL Pro League Summer 플레이오프 4라운드 2경기 3세트 | 영상 | ||||
107호 | 이채환 (Prince) | BOT | 2024. 01.26.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9경기 1세트 | 영상 | ||||
108호 | 린젠 (Creme) | MID | 2024. 02.03.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9경기 1세트 | 영상 | ||||
109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4. 02.21.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8경기 2세트 | 영상 | ||||
110호 | 가오톈량 (Tian) | JGL | 2024. 02.26.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2경기 1세트 | 영상 | ||||
111호 | 천웨이 (GALA) | BOT | 2024. 03.12.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99경기 3세트 | 영상 | ||||
112호 | 천웨이 (GALA) | BOT | 2024. 07.10. | 2024 LoL Pro League Summer 럼블 스테이지 등봉조 6경기 1세트 | 영상 |
}}}}}}}}} ||
4.10. 국제 대회 관련 기록
역대 메이저 국제 대회 통산 BO5 전적 LPL vs LEC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기 | LPL | 결과 | LEC | 역대 전적 |
2013 Worlds 4강 | RYL | 3:1 | FNC | 1:0 | |
2015 Worlds 8강 | EDG | 0:3 | FNC | 1:1 | |
2017 MSI 4강 | WE | 1:3 | G2 | 1:2 | |
2017 Worlds 8강 | RNG | 3:1 | FNC | 2:2 | |
2018 MSI 4강 | RNG | 3:0 | FNC | 3:2 | |
2018 Worlds 8강 | RNG | 2:3 | G2 | 3:3 | |
EDG | 1:3 | FNC | 3:4 | ||
2018 Worlds 4강 | IG | 3:0 | G2 | 4:4 | |
2018 Worlds 결승 | IG | 3:0 | FNC | 5:4 | |
2019 Worlds 8강 | FPX | 3:1 | FNC | 6:4 | |
2019 Worlds 결승 | FPX | 3:0 | G2 | 7:4 | |
2020 Worlds 8강 | TES | 3:2 | FNC | 8:4 | |
2022 Worlds 8강 | JDG | 3:0 | RGE | 9:4 | |
2023 MSI 브래킷 하위권 2R | BLG | 3:1 | G2 | 10:4 | |
2024 MSI 브래킷 하위권 2R | TES | 0:3 | G2 | 10:5 |
역대 메이저 국제 대회 통산 BO5 전적 LPL vs LCS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기 | LPL | 결과 | LCS | 역대 전적 |
2017 Worlds 8강 | WE | 3:2 | C9 | 1:0 | |
2019 MSI 4강 | IG | 1:3 | TL | 1:1 | |
2022 MSI 4강 | RNG | 3:0 | EG | 2:1 | |
2023 MSI 브래킷 상위권 1R | BLG | 3:0 | C9 | 3:1 | |
JDG | 3:0 | GG | 4:1 | ||
2023 Worlds 8강 | WBG | 3:0 | NRG | 5:1 | |
2024 MSI 브래킷 상위권 1R | TES | 3:0 | TL | 6:1 |
4.10.1. 역대 FST 진출 LPL 팀
<rowcolor=#45002B>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 | - | - | - |
역대 First Stand Tournament LPL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25 | - | - | - |
4.10.2. 역대 MSI 진출 LPL 팀
<rowcolor=#fe0000>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Royal Never Give Up | 4회 | 2016 2018 2021 2022 | 우승(2018, 2021, 2022) 4강(2016)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2회 | 2023 2024 | 준우승(2023, 2024) |
Edward Gaming Hycan | 1회 | 2015 | 우승(2015) |
Team WE | 1회 | 2017 | 4강(2017) |
Invictus Gaming | 1회 | 2019 | 4강(2019) |
JDG Intel Esports Club | 1회 | 2023 | 우승(2023) |
Top Esports | 1회 | 2024 | 브래킷 하위권 2R(2024) |
역대 Mid-Season Invitational LPL 출전 팀 & 최종 성적 | |||||||
<rowcolor=#000>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15 | Edward Gaming | 10-3 | 우승 | ||||
2016 | Royal Never Give Up | 9-5 | 4강 | ||||
2017 | Team WE | 8-6 | 4강 | ||||
2018 | Royal Never Give Up | 14-4 | 우승 | ||||
2019 | Invictus Gaming | 10-4 | 4강 | ||||
2021 | Royal Never Give Up | 21-6 | 우승 | ||||
2022 | Royal Never Give Up | 20-4 | 우승 | ||||
2023 | JDG Intel Esports Club | 12-3 | 우승 | ||||
Bilibili Gaming Pingan Bank | 17-9 | 준우승 | |||||
2024 | Bilibili Gaming | 11-11 | 준우승 | ||||
Top Esports | 9-7 | 브래킷 하위권 2R |
4.10.3. 역대 RR 진출 LPL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Royal Never Give Up | 2회 | 2017 2018 | 우승(2017, 2018) |
Edward Gaming Hycan | 2회 | 2017 2018 | 우승(2017, 2018) |
Invictus Gaming | 2회 | 2018 2019 | 우승(2018) 준우승(2019) |
Team WE | 1회 | 2017 | 우승(2017) |
Oh My God | 1회 | 2017 | 우승(2017) |
Anyone's Legend | 1회 | 2018(RW) | 우승(2018) |
JDG Intel Esports Club | 1회 | 2019 | 준우승(2019) |
FunPlus Phoenix | 1회 | 2019 | 준우승(2019) |
Top Esports | 1회 | 2019 | 준우승(2019) |
역대 리프트 라이벌즈 LPL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17 | Team WE | 3-2 | 우승 | ||||
Royal Never Give Up | 3-1 | ||||||
Edward Gaming | 1-3 | ||||||
Oh My God | 1-3 | ||||||
2018 | Royal Never Give Up | 3-1 | 우승 | ||||
Edward Gaming | 2-1 | ||||||
Rogue Warriors | 2-1 | ||||||
Invictus Gaming | 2-1 | ||||||
2019 | Invictus Gaming | 2-1 | 준우승 | ||||
JD Gaming | 2-2 | ||||||
FunPlus Phoenix | 3-1 | ||||||
Top Esports | 2-2 |
4.10.4. 역대 Worlds 진출 LPL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Edward Gaming Hycan | 7회 | 2014 2015 2016 2017 2018 2021 2022 | 우승(2021) 8강(2014, 2015, 2016, 2018, 2022) 그룹 스테이지(2017) |
Royal Never Give Up | 6회 | 2016 2017 2018 2019 2021 2022 | 4강(2017) 8강(2016, 2018, 2021, 2022) 그룹 스테이지(2019) |
Invictus Gaming | 4회 | 2012 2015 2018 2019 | 우승(2018) 4강(2019) 8강(2012) 그룹 스테이지(2015) |
JDG Intel Esports Club | 3회 | 2020 2022 2023 | 4강(2022, 2023) 8강(2020) |
Top Esports | 3회 | 2020 2022 2024 | 4강(2020) 그룹 스테이지(2022) |
Weibo Gaming TapTap | 3회 | 2020(SN) 2023 2024 | 준우승(2020, 2023) |
LNG Ninebot Esports | 3회 | 2021 2023 2024 | 8강(2023) 그룹 스테이지(2021) |
Team WE | 2회 | 2012 2017 | 4강(2017) 8강(2012) |
Royal Club | 2회 | 2013 2014 | 준우승(2013, 2014) |
Oh My God | 2회 | 2013 2014 | 4강(2014) 8강(2013) |
LGD Gaming | 2회 | 2015 2020 | 그룹 스테이지(2015, 2020) |
FunPlus Phoenix | 2회 | 2019 2021 | 우승(2019) 그룹 스테이지(2021)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2회 | 2023 2024 | 준우승(2024) 4강(2023) |
I May | 1회 | 2016 | 그룹 스테이지(2016) |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LPL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우승 | 준우승 | 4강 | 8강 | 그룹 & 스위스 | ||
2012 | WE[#1] | ||||||
IG[#2] | |||||||
2013 | RYL[#1] | OMG[#2] | |||||
2014 | SHR[#2] | OMG[#3] | EDG[#1] | ||||
2015 | EDG[#2] | LGD[#1] | |||||
IG[#3] | |||||||
2016 | EDG[#1] | IM[#3] | |||||
RNG[#2] | |||||||
2017 | RNG[#2] | EDG[#1] | |||||
Team WE[#3] | |||||||
2018 | IG[#2] | RNG[#1] | |||||
EDG[#3] | |||||||
2019 | FPX[#1] | IG[#3] | RNG[#2] | ||||
2020 | SN[#3] | Top Esports[#1] | JDG[#2] | LGD[#4] | |||
2021 | EDG[#1] | RNG[#3] | FPX[#2] | ||||
LNG[#4] | |||||||
2022 | JDG[#1] | EDG[#3] | TES[#2] | ||||
RNG[#4] | |||||||
2023 | - | WBG[#4] | JDG[#1] | LNG[#3] | - | ||
BLG[#2] | |||||||
2024 | - | BLG[#1] | WBG[#4] | TES[#2] | - | ||
LNG[#3] |
4.10.5. 역대 All-Star 출전 LPL 선수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LPL 출전 선수 | |||||||
시즌 | 출전 선수 | 비고 | |||||
2013 | 류머우 MinPdd | 밍카이 Troll | 위징시 Misaya | 가오쉐청 WeiXiao | 쑨야룽 XiaoXiao | 감독으로 WE 소속 Aaron 참가 | |
IG | WE | IG | |||||
2014 | 가오디핑 Gogoing | 어우양 웨이치 Pomelo | 후빈 Xiyang | 궈쥔량 San | 인러 Allen | 올스타 챌린지에 WE 소속 CaoMei와 WeiXiao 참가 | |
OMG | |||||||
2015 | 퉁양 Koro1 | 밍카이 Clearlove | 송의진 Rookie | 젠쯔하오 Uzi | 천보 Pyl | 식스맨으로 LGD 소속 PAinEvil 참가 | |
EDG | IG | OMG | LGD | ||||
2016 | 천위하오 Mouse | 밍카이 Clearlove | 웨이전 We1less | 젠쯔하오 Uzi | 조세형 Mata | ||
EDG | LGD | RNG | |||||
2017 | 커창위 957 | 류스위 Mlxg | 쑤한웨이 xiye | 젠쯔하오 Uzi | 톈예 Meiko | 코치로 RNG 소속 FireFox 참가 | |
WE | RNG | WE | RNG | EDG | |||
2018 | 젠쯔하오 Uzi | 류스위 Mlxg | 송의진 Rookie | 리그 파트너로 Fireloli, Godlike, Gz, JieZou, Lao Yunxi, Sao Nan, Zhao Shuri 참가 | |||
RNG | IG | ||||||
2019 | 김태상 Doinb | 강승록 TheShy | 가오톈량 Tian | 젠쯔하오 Uzi | 유명인사로 1996Zzr, WEIXIAO, shuyi, Fireloli, saonan, Qingwa, cat, Godlike, Misaya, xiaoze, HONGLIAN, Kongmen, YUyuanyuan 참가 | ||
FPX | IG | FPX | RNG | ||||
2020 | 바이자하오 369 | 훙하오쉬안 Karsa | 송의진 Rookie | 위원보 JackeyLove | 왕류이 Baolan | 전설적인 선수로 Gogoing, Mlxg, Zz1tai, WeiXiao, Pyl 인플루언서로 余小C, 宫本狗雨, 智勋, kRYST4L, Xiyang 참가 | |
TES | IG | TES | IG |
4.10.6. 역대 SKE 출전 LPL 선수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LPL 출전 선수 | ||||||
시즌 | 팀 | 출전 선수 | ||||
2023 | Make It Possible | 천천 Breathe | 이승용 Tarzan | 저우스하오 Harder | 왕제 Hope | 톈예 Meiko |
RNG | LNG | AL | WE | EDG | ||
Remeber Our Name | 덩쯔젠 shanji | 가오전닝 Ning | 줘딩 knight | 린웨이샹 Lwx | 셰진산 Jinjiao | |
OMG | UP | JDG | FPX | LGD | ||
Time to Show | 바이자하오 369 | 루줴 Leyan | 송의진 Rookie | 탕환펑 huanfeng | 왕쉬줘 Zhuo | |
JDG | RA | TES | TT | NIP | ||
Create Our Legacy ★ | 강승록 TheShy | 리샤오룽 XLB | 쩡치 Yagao | 위원보 JackeyLove | 장루이 Wink | |
WBG | NIP | BLG | TES | IG |
4.11. 경기 관련 기록
- 역대 LPL 최장시간 세트: 2014 서머 정규리그 Match 6 1세트 Team WE vs Oh My God (2014.06.20 / 68분 50초)
- 역대 LPL 최단시간 세트: 2018 서머 2라운드 4세트 Topsports Gaming vs Royal Never Give Up (2018.09.07 / 15분 38초)
- 역대 LPL 최장시간 Bo3 매치 : 2017 스프링 인터리그 Match 13 Edward Gaming vs Invictus Gaming(2017.03.10 / 152분 5초)
- 역대 LPL 최단시간 Bo3 매치 : 2021 서머 정규리그 Match 2 FunPlus Phoenix vs Rogue Warriors(2021.06.07 / 39분 58초)
- 역대 LPL 최장시간 Bo5 매치 : 2016 서머 준결승 Royal Never Give Up vs I May(2016.08.14 / 207분 26초)
- 역대 LPL 최단시간 Bo5 매치 : 2021 스프링 1라운드 Suning vs LNG Esports(2021.04.02 / 73분 26초)
4.11.1. 역대 LPL 팀들의 승패 관련 기록
- 역대 LPL 최다 매치/세트 연승
- 매치 최다 연승 : 21연승
Edward Gaming - 2016 서머 A조 Match 1 vs Newbee ~ 2017 스프링 B조 Match 8 vs Newbee - 단일 정규 시즌 매치 최다 연승 : 18연승 / 2018 스프링
Invictus Gaming - 2018 스프링 East Region Match 6 vs Rogue Warriors ~ 2018 스프링 East Region Match 40 vs LGD Gaming - 세트 최다 연승 : 21연승
Invictus Gaming - 2018 스프링 East Region Match 6 vs Rogue Warriors ~ 2018 스프링 East Region Match 36 vs Suning
- 역대 LPL 최다 매치/세트 연패
- 매치 최다 연패 : 16연패
- Victory Five - 2020 스프링 Match 7 vs Edward Gaming ~ 2020 스프링 Match 128 vs Vici Gaming 단일 시즌(MAX)
- Victory Five - 2021 서머 Match 6 vs LNG Esports ~ 2021 서머 Match 131 vs LGD Gaming 단일 시즌(MAX)
- Team WE - 2022 서머 Match 10 vs Top Esports ~ 2022 서머 Match 135 vs Ultra Prime 단일 시즌(MAX)
- 세트 최다 연패 : 23연패
Victory Five - Match 40 vs LNG Esports 3세트 ~ 2020 스프링 Match 128 vs Vici Gaming
4.11.2. 역대 LPL 챔피언 밴픽 기록
- LPL 역사상 한 번도 픽/밴이 되지 않은 챔피언 : 티모, 워윅, 나피리, 브라이어
- LPL 역사상 한번도 밴이 되지 않은 챔피언 : 티모, 워윅, 일라오이, 나피리, 브라이어
- LPL 역사상 한번도 픽이 되지 않은 챔피언 : 티모, 워윅, 나피리, 브라이어
- 상세 기록(펼치기 / 닫기)
- 최초 챔피언 17인 및 동시 출시 챔피언들의 순서는 나무위키 서술 순서에 따라 기록하였다.
LPL 2013 스프링(2013.03.16) 시작 이전 출시 챔피언들 순서 챔피언 출시일 첫 밴 첫 픽 날짜 사용자 승패 1 누누와 윌럼프 2009.02.21 2013.07.13 2013.03.30
4경기dragon 패 2 라이즈 2009.02.21 2013.03.16 2013.03.16
1경기Mortred 패 3 마스터 이 2009.02.21 2018.06.12 2013.04.13
3경기JoJo 승 4 모르가나 2009.02.21 2014.03.28 2014.03.16
1경기 2세트Dada7 승 5 사이온 2009.02.21 2013.08.24 2013.08.23
4경기Misaya 승 6 소라카 2009.02.21 2014.05.24 2013.03.30
2경기Rui 패 7 시비르 2009.02.21 2014.02.23 2013.11.20
4깅 1경기 1세트san 승 8 알리스타 2009.02.21 2014.08.08 2013.08.18
4경기Fzzf 승 9 애니 2009.02.21 2013.08.18 2013.03.16
2경기Leaf 패 10 애쉬 2009.02.21 2016.06.16 2013.05.04
2경기Jun 패 11 워윅 2009.02.21 - - - - 12 잭스 2009.02.21 2013.08.24 2013.03.17
3경기Yi 패 13 케일 2009.02.21 2013.03.16 2013.03.17
1경기Cool 패 14 트리스타나 2009.02.21 2015.01.23 2013.03.24
1경기SS 패 15 트위스티드 페이트 2009.02.21 2013.03.16 2013.03.17
3경기Zz1tai 승 16 티모 2009.02.21 - - - - 17 피들스틱 2009.02.21 2013.11.20 2013.03.30
1경기HaoKai 패 18 신지드 2009.04.18 2013.03.16 2013.03.16
3경기Aluka 패 19 질리언 2009.04.18 2014.08.03 2013.03.22
1경기Cool 패 20 이블린 2009.05.01 2013.03.22 2013.03.23
3경기Troll 승 21 트린다미어 2009.05.01 2022.01.12 2013.11.20
4강 1경기 2세트CaoMei 패 22 트위치 2009.05.01 2013.08.04 2013.03.23
3경기WeiXiao 승 23 카서스 2009.06.12 2013.03.24 2013.03.16
3경기Zz1tai 승 24 아무무 2009.06.26 2014.05.24 2014.04.20
2경기 1세트Ruo 승 25 초가스 2009.06.26 2015.03.13 2013.03.23
1경기Wayoff 승 26 람머스 2009.07.10 2013.09.01 2013.04.21
1경기Jing 승 27 애니비아 2009.07.10 2013.03.16 2013.03.23
2경기Mortred 패 28 베이가 2009.07.24 2015.02.27 2014.08.16
1경기 2세트DianGun 승 29 카사딘 2009.08.07 2013.03.22 2013.03.16
4경기Wh1t3zZ 패 30 갱플랭크 2009.08.19 2016.01.14 2013.03.22
3경기Yi 패 31 타릭 2009.08.19 2013.03.17 2013.03.16
2경기Jun 패 32 말파이트 2009.09.02 2013.03.17 2013.03.16
2경기Gogoing 승 33 문도 박사 2009.09.02 2014.03.01 2013.03.30
4경기bigpomelo 승 34 블리츠크랭크 2009.09.02 2013.03.24 2013.06.16
4강 2경기 3세트bigpomelo 승 35 잔나 2009.09.02 2015.01.16 2013.03.16
4경기Rui 패 36 카타리나 2009.09.19 2017.01.21 2015.03.20
4경기 2세트PawN 승 37 코르키 2009.09.19 2015.01.30 2013.08.03
4경기Kid 패 38 나서스 2009.10.01 2013.07.12 2013.03.23
3경기CaoMei 승 39 샤코 2009.10.10 2013.03.16 2013.03.17
2경기Wayoff 패 40 하이머딩거 2009.10.10 2018.06.12 2018.06.19
2경기 2세트Chelly 패 41 우디르 2009.12.02 2015.04.12 2013.04.28
2경기Lucky 승 42 니달리 2009.12.17 2014.02.22 2013.03.30
2경기Uzi 패 43 뽀삐 2010.01.13 2016.01.14 2015.08.02
4경기 2세트inSec 패 44 그라가스 2010.02.02 2013.07.19 2013.03.29
4경기Zz1tai 패 45 판테온 2010.02.02 2013.03.16 2013.03.22
3경기HaoKai 패 46 모데카이저 2010.02.24 2018.06.15 2018.06.11
1경기 1세트YaGao 패 47 이즈리얼 2010.03.16 2013.03.16 2013.03.17
4경기SS 패 48 쉔 2010.03.24 2013.03.17 2013.03.16
1경기Dreams 승 49 케넨 2010.04.08 2013.05.17 2013.03.24
2경기Aluka 패 50 가렌 2010.04.27 - 2015.03.22
1경기 2세트AmazingJ 패 51 아칼리 2010.05.11 2017.07.01 2017.03.10
1경기 2세트Doinb 패 52 말자하 2010.06.01 2016.07.14 2016.07.08
1경기 1세트Athena 패 53 올라프 2010.06.09 2014.02.28 2013.09.01
4경기CaoMei 승 54 코그모 2010.06.24 2013.04.05 2013.03.16
4경기WeiXiao 승 50 신 짜오 2010.07.13 2013.03.16 2013.03.16
2경기BSYY 패 56 블라디미르 2010.07.27 2015.04.03 2013.03.22
2경기Gogoing 패 57 갈리오 2010.08.10 2016.04.16 2015.04.05
4경기 1세트Acorn 승 58 우르곳 2010.08.24 2015.04.03 2013.04.05
2경기NaMei 승 59 미스 포츈 2010.09.08 2013.04.07 2013.03.17
3경기Kid 승 60 소나 2010.09.21 2013.03.16 2013.03.16
4경기Fzzf 승 61 스웨인 2010.10.05 2016.05.27 2013.07.21
3경기Zz1tai 승 62 럭스 2010.10.19 2013.03.31 2013.03.22
1경기Leaf 패 63 르블랑 2010.11.02 2014.03.14 2014.02.23
1경기 2세트Rena 패 64 이렐리아 2010.11.16 2014.08.15 2013.04.26
4경기CaoMei 승 65 트런들 2010.12.01 2014.04.19 2013.04.21
4경기illuSioN 승 66 카시오페아 2010.12.14 2015.04.18 2013.03.24
4경기Zz1tai 승 67 케이틀린 2011.01.04 2013.03.23 2013.03.16
4경기Uzi 패 68 레넥톤 2011.01.18 2013.03.16 2013.03.16
2경기Easy 패 69 카르마 2011.02.01 2014.04.25 2014.03.22
1경기 1세트Pyl 승 70 마오카이 2011.02.16 2014.08.02 2013.05.17
1경기Wayoff 패 71 자르반 4세 2011.03.01 2013.03.16 2013.03.16
1경기Hensen 패 72 녹턴 2011.03.15 2017.06.18 2013.03.31
2경기BSYY 패 73 리 신 2011.04.01 2013.03.31 2013.03.22
1경기BSYY 패 74 브랜드 2011.04.12 2017.06.23 2014.07.11
1경기 2세트Zero 패 75 럼블 2011.04.26 2013.03.16 2013.03.16
1경기Yi 패 76 베인 2011.05.10 2013.08.02 2013.05.04
2경기san 승 77 오리아나 2011.06.01 2013.03.29 2013.03.24
2경기Cool 승 78 요릭 2011.06.22 2013.08.04 2013.08.03
1경기LoveLing 승 79 레오나 2011.07.08 2013.04.12 2013.03.22
1경기Rui 승 80 오공 2011.07.26 2020.04.01 2013.05.12
2경기Leaf 패 81 스카너 2011.08.09 2014.07.20 2014.07.11
1경기 1세트illuSioN 패 82 탈론 2011.08.24 2017.03.16 2014.03.08
2경기 1세트Zz1tai 승 83 리븐 2011.09.14 2014.02.22 2013.04.14
3경기PDD 승 84 제라스 2011.10.05 2013.03.31 2013.03.24
1경기Mortred 승 85 그레이브즈 2011.10.19 2013.05.11 2013.03.16
3경기Kid 승 86 쉬바나 2011.11.01 2013.08.10 2013.05.04
3경기Jing 패 87 피즈 2011.11.15 2013.05.04 2013.05.03
2경기HaoKai 승 88 볼리베어 2011.11.29 2013.03.30 2013.03.16
4경기Lucky 패 89 아리 2011.12.13 2013.07.21 2013.03.17
3경기Mortred 패 90 빅토르 2011.12.29 2013.05.03 2013.04.28
2경기HaoKai 패 91 세주아니 2012.01.17 2015.04.03 2013.03.29
4경기bigpomelo 승 92 직스 2012.02.01 2014.02.23 2014.02.22
1경기 2세트U 승 93 노틸러스 2012.02.14 2013.07.13 2013.05.18
1경기Troll 승 94 피오라 2012.02.29 2013.03.29 2015.08.23
결승전 2세트Acorn 승 95 룰루 2012.03.20 2013.03.16 2013.03.16
1경기HaoKai 패 96 헤카림 2012.04.18 2013.03.17 2013.03.16
1경기Wayoff 승 97 바루스 2012.05.08 2013.04.26 2013.03.16
1경기F1sh 패 98 다리우스 2012.05.23 2017.02.09 2013.04.06
4경기PDD 승 99 드레이븐 2012.06.05 2015.02.07 2013.05.10
1경기NaMei 패 100 제이스 2012.07.07 2013.03.23 2013.03.16
3경기JoJo 패 101 자이라 2012.07.24 2013.03.22 2013.03.16
1경기dragon 승 102 다이애나 2012.08.07 2013.03.23 2013.03.22
2경기Misaya 승 103 렝가 2012.08.21 2013.08.30 2013.08.23
3경기LoveLing 패 104 신드라 2012.09.13 2013.11.20 2013.03.29
2경기Mortred 패 105 카직스 2012.09.27 2013.03.22 2013.03.16
3경기PDD 승 106 엘리스 2012.10.26 2013.03.22 2013.03.16
4경기GoDlike 패 107 제드 2012.11.13 2013.03.16 2013.03.16
1경기Snowy 승 108 나미 2012.12.07 2014.06.15 2013.06.23
결승전 3세트bigpomelo 승 109 바이 2012.12.19 2013.03.22 2013.03.16
2경기bigpomelo 승 110 쓰레쉬 2013.01.23 2013.03.16 2013.03.16
2경기LoveLin 승 111 퀸 2013.03.01 2013.03.16 2013.03.22
4경기Zz1tai 승 LPL 2013 스프링(2013.03.16) 시작 이후 출시 챔피언들 순서 챔피언 출시일 첫 밴 첫 픽 날짜 사용자 승패 112 자크 2013.03.29 2013.04.27 2013.04.26
1경기Gogoing 승 113 리산드라 2013.04.30 2013.08.02 2013.05.18
1경기HaoKai 패 114 아트록스 2013.06.13 2018.06.13 2013.08.10
2경기Otto 패 115 루시안 2013.08.22 2013.11.20 2013.11.24
결승전 1세트san 승 116 징크스 2013.10.10 2015.04.04 2014.04.19
2경기 1세트San 승 117 야스오 2013.12.13 2014.03.14 2014.03.22
2경기 2세트Zz1tai 패 118 벨코즈 2014.02.27 2018.06.26 2014.04.18
2경기 2세트Conan 승 119 브라움 2014.05.12 2014.06.14 2014.06.15
2경기 2세트Conan 승 120 나르 2014.08.14 2015.01.16 2015.01.16
3경기 2세트AmazingJ 패 121 아지르 2014.09.16 2015.01.16 2015.01.16
2경기 2세트BAKA 승 122 칼리스타 2014.11.20 2015.02.13 2015.01.30
3경기 2세트imp 승 123 렉사이 2014.12.11 2015.01.16 2015.01.16
4경기 1세트ClearLove 승 124 바드 2015.03.12 2016.02.18 2015.04.03
2경기 2세트Pyl 패 125 에코 2015.05.28 2015.06.12 2015.06.12
1경기 2세트dade 패 126 탐 켄치 2015.07.09 2016.01.14 2016.01.14
1경기 1세트Koro1 패 127 킨드레드 2015.10.14 2016.01.14 2016.01.15
1경기 2세트Eimy 패 128 일라오이 2015.11.24 - 2018.01.17
1경기 1세트Mouse 승 129 진 2016.02.01 2016.03.26 2016.03.10
2경기 2세트S1mlz 패 130 아우렐리온 솔 2016.03.24 2018.06.26 2016.07.30
1경기 1세트Otto 패 131 탈리야 2016.05.18 2016.07.07 2016.06.16
2경기 1세트Rookie 패 132 클레드 2016.08.10 2017.01.19 2017.01.19
1경기 1세트Letme 패 133 아이번 2016.10.06 2017.02.09 2017.02.09
2경기 1세트Eimy 승 134 카밀 2016.12.07 2017.01.19 2017.01.21
1경기 1세트Funny 패 135 자야 2017.04.19 2017.06.18 2017.06.08
1경기 2세트wuxx 패 136 라칸 2017.04.19 2017.06.25 2017.06.16
1경기 3세트Yoon 패 137 케인 2017.07.12 2019.01.21 2017.08.26
3,4위전 2세트Ning 패 138 오른 2017.08.23 2018.01.15 2018.01.15
1경기 1세트Duke 승 139 조이 2017.11.21 2018.01.15 2018.01.15
2경기 1세트Knight 승 140 카이사 2018.03.07 2018.04.02 2018.03.24
1경기 1세트Smlz 승 141 파이크 2018.05.31 2018.06.23 2018.06.11
1경기 1세트LvMao 패 142 니코 2018.12.05 2019.01.21 2019.01.21
1경기 2세트Chelly 승 143 사일러스 2019.01.25 2019.02.15 2019.02.16
1경기 2세트ADD 패 144 유미 2019.05.15 2019.06.02 2019.06.01
2경기 1세트Crisp 승 145 키아나 2019.06.28 2019.07.16 2019.07.12
1경기 1세트Kuro 승 146 세나 2019.11.10 2020.01.17 2020.01.13
1경기 1세트Puff 승 147 아펠리오스 2019.12.11 2020.01.13 2020.01.13
2경기 1세트Kramer 승 148 세트 2020.01.14 2020.03.09 2020.01.17
2경기 1세트Flandre 패 149 릴리아 2020.07.23 2013.08.06 2020.07.31
1경기 2세트Xiaopeng 패 150 요네 2020.08.06 2021.01.09 2021.01.15
2경기 2세트FoFo 패 151 사미라 2020.09.21 2021.01.09 2021.01.09
1경기 1세트JackeyLove 패 152 세라핀 2020.10.30 2021.01.17 2021.01.17
1경기 2세트Teeen 승 153 렐 2020.12.10 2021.01.24 2021.01.23
1경기Zhuo 승 154 비에고 2021.01.21 2021.06.08 2021.06.07
1경기 3세트SofM 패 150 그웬 2021.04.16 2021.06.07 2021.06.07
2경기 1세트Nuguri 승 156 아크샨 2021.07.23 2022.01.12 2022.01.15
3경기 1세트Bin 승 157 벡스 2021.09.24 2022.01.10 2021.01.10
1경기 1세트Captain 패 158 제리 2022.01.21 2022.02.10 2022.02.10
2경기 2세트Xing 패 159 레나타 글라스크 2022.02.18 2022.03.01 2022.03.02
1경기 2세트Jinjiao 패 160 벨베스 2022.06.10 2022.07.08 2022.07.08
2경기 2세트Kanavi 승 161 닐라 2022.07.14 2022.08.14 2022.08.14
2경기 2세트Assum 승 162 크산테 2022.11.04 2023.01.14 2023.01.14
1경기 1세트Xiaolaohu 패 163 밀리오 2023.03.23 2023.05.29 2023.05.29
1경기 1세트SwordArt 패 164 나피리 2023.07.21 - - - - 165 브라이어 2023.09.14 - - - - 166 흐웨이 2023.12.07 2024.02.18 2024.02.05
1경기 1세트FoFo 승 167 스몰더 2024.02.01 2024.03.03 2024.03.01
1경기 1세트Elk 승 168 오로라 2024.07.18 2024.08.10 2024.08.10
1세트Rookie 승
4.11.3. LPL 경기 달성 선수 일람
LPL 900전 달성 선수 일람메이코 샤오후 루키
LPL 800전 달성 선수 일람
메이코 샤오후 루키 스카웃
LPL 700전 달성 선수 일람
메이코 샤오후 루키 스카웃 플랑드레 크리스프
LPL 600전 달성 선수 일람
메이코 샤오후 루키 스카웃 플랑드레 크리스프 야가오 밍 재키러브 도인비 LWX 나이트 진자오
4.11.4. LPL 승리 달성 선수 일람
400승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톈예|톈예★ Meiko ]] | SPT | 2021.06.12 | 진행 중 | |||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 MID | 2022.01.23 | 진행 중 | |||
[[송의진|송의진★ Rookie ]] | MID | 2022.03.23 | 진행 중 | |||
[[김태상|김태상 Doinb ]] | N/A | MID | 2022.08.12 | 411승 | ||
[[이예찬|이예찬★ Scout ]] | MID | 2023.02.19 | 진행 중 | |||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 BOT | 2024.04.11 | 진행 중 | |||
[[쩡치|쩡치 Yagao ]] | MID | 2024.06.07 | 진행 중 | |||
[[줘딩|줘딩 knight ]] | MID | 2024.06.18 | 진행 중 | |||
[[리쉬안쥔|리쉬안쥔 Flandre ]] | TOP | 2024.06.24 | 진행 중 | |||
[[류칭쑹|류칭쑹 Crisp ]] | SPT | 2024.08.15 | 진행 중 | |||
,, ID : 현 LPL 소속ID : 은퇴/무소속/타 리그 소속☆ : 450승 달성 선수 ★ : 500승 달성 선수,, |
4.11.5. LPL 킬 달성 선수 일람
2000킬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젠쯔하오|젠쯔하오☆ Uzi ]] | N/A | BOT | 2018.04.14 | 2869킬 | ||
[[송의진|송의진★ Rookie ]] | MID | 2020.03.11 | 진행 중 | |||
[[한진(프로게이머)|한진 Smlz ]] | N/A | BOT | 2020.08.01 | 2158킬 | ||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 TOP | 2021.01.14 | 진행 중 | |||
[[쑤한웨이|쑤한웨이 xiye ]] | N/A | MID | 2021.06.20 | 2185킬 | ||
[[김태상|김태상 Doinb ]] | N/A | MID | 2021.07.31 | 2345킬 | ||
[[이예찬|이예찬★ Scout ]] | MID | 2022.01.15 | 진행 중 | |||
[[린웨이샹|린웨이샹☆ Lwx ]] | N/A | BOT | 2022.01.26 | 2695킬 | ||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 BOT | 2022.08.27 | 진행 중 | |||
[[줘딩|줘딩☆ knight ]] | MID | 2022.09.01 | 진행 중 | |||
[[쩡치|쩡치 Yagao ]] | MID | 2024.03.07 | 진행 중 | |||
[[천웨이|천웨이 GALA ]] | BOT | 2024.03.08 | 진행 중 | |||
[[자오자하오|자오자하오 Elk ]] | BOT | 2024.04.11 | 진행 중 | |||
,, ID : 현 LPL 소속ID : 은퇴/무소속/타 리그 소속☆ : 2500킬 달성 선수 ★ : 3000킬 달성 선수,, |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 ID | 당시 소속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젠쯔하오|젠쯔하오★ Uzi ]] | 은퇴 | ADC | 2015.04.17 | ||
위자쥔☆ Cool | 은퇴 | MID | 2015.07.03 | ||
거옌 Kid | 은퇴 | ADC | 2015.07.17 | ||
주자원 NaMei | 은퇴 | ADC | 2016.04.09 | ||
[[류즈하오|류즈하오 Zz1tai ]] | 은퇴 | TOP | 2016.06.05 | ||
[[밍카이|밍카이 Clearlove ]] | 은퇴 | JGL | 2016.07.17 | ||
[[김혁규|김혁규 Deft ]] | ADC | 2016.08.14 | |||
[[웨이전|웨이전 GODV ]] | 은퇴 | MID | 2017.03.18 | ||
[[구승빈|구승빈☆ imp ]] | 은퇴 | ADC | 2017.04.01 | ||
[[송의진|송의진★ Rookie ]] | MID | 2017.04.13 | |||
[[한진(프로게이머)|한진★ Smlz ]] | N/A | ADC | 2017.07.20 | ||
[[진성준(프로게이머)|진성준☆ Mystic ]] | 은퇴 | ADC | 2017.07.22 | ||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 MID | 2017.08.20 | |||
[[쑤한웨이|쑤한웨이★ xiye ]] | N/A | MID | 2017.08.25 | ||
[[이예찬|이예찬★ Scout ]] | MID | 2019.01.18 | |||
[[김태상|김태상★ Doinb ]] | N/A | MID | 2019.02.17 | ||
[[리쉬안쥔|리쉬안쥔☆ Flandre ]] | TOP | 2019.03.22 | |||
[[셰톈위|셰톈위☆ icon ]] | 은퇴 | MID | 2019.03.24 | ||
[[셰진산|셰진산 Jinjiao ]] | 은퇴 | BOT | 2019.06.24 | ||
[[린웨이샹|린웨이샹★ Lwx ]] | N/A | BOT | 2019.07.24 | ||
[[이동욱(프로게이머)|이동욱 LokeN ]] | 은퇴 | BOT | 2020.07.06 | ||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 BOT | 2020.07.11 | |||
[[후셴자오|후셴자오☆ iBoy ]] | N/A | BOT | 2020.08.07 | ||
[[줘딩|줘딩★ knight ]] | MID | 2020.08.08 | |||
[[쩡치|쩡치★ Yagao ]] | MID | 2021.02.26 | |||
[[레꽝주이|레꽝주이 SofM ]] | N/A | JGL | 2021.06.11 | ||
[[천웨이|천웨이★ GALA ]] | BOT | 2022.01.23 | |||
[[훙하오쉬안|훙하오쉬안 Karsa ]] | JGL | 2022.02.21 | |||
[[강승록|강승록 TheShy ]] | N/A | TOP | 2022.02.26 | ||
[[자오자하오|자오자하오★ Elk ]] | BOT | 2022.03.11 | |||
[[샹타오|샹타오☆ Angel ]] | MID | 2022.06.10 | |||
[[탕환펑|탕환펑 huanfeng ]] | BOT | 2022.06.21 | |||
[[가오톈량|가오톈량☆ Tian ]] | JGL | 2022.07.02 | |||
[[서진혁|서진혁☆ Kanavi ]] | JGL | 2022.07.18 | |||
[[왕광위|왕광위☆ Light ]] | BOT | 2022.08.17 | |||
[[바이자하오|바이자하오☆ 369 ]] | TOP | 2023.02.02 | |||
[[천천|천천 Breathe ]] | TOP | 2023.02.12 | |||
[[왕제(프로게이머)|왕제☆ Hope ]] | BOT | 2023.02.28 | |||
[[천쩌빈|천쩌빈 Bin ]] | TOP | 2023.06.01 | |||
[[가오전닝|가오전닝 Ning ]] | N/A | JGL | 2023.06.12 | ||
[[옌양웨이|옌양웨이 Wei ]] | JGL | 2023.06.13 | |||
[[주쥔란|주쥔란 FoFo ]] | MID | 2023.06.21 | |||
[[다이즈춘|다이즈춘 Able ]] | BOT | 2023.07.22 | |||
[[후자러|후자러 Ale ]] | TOP | 2023.07.22 | |||
[[잉치선|잉치선 Photic ]] | ADC | 2024.02.04 | |||
[[펑리쉰|펑리쉰 Xun ]] | JGL | 2024.02.24 | |||
[[양즈하오|양즈하오 H4cker ]] | JGL | 2024.06.08 | |||
[[웨이보한|웨이보한 Weiwei ]] | JGL | 2024.06.26 | |||
[[자오리제|자오리제 JieJie ]] | JGL | 2024.07.16 | |||
[[추이샤오쥔|추이샤오쥔 Shanks ]] | MID | 2024.07.18 | |||
[[린젠|린젠 Creme ]] | MID | 2024.07.20 | |||
,, ID : 현 LPL 소속ID : 은퇴/무소속/타 리그 소속☆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
4.11.6. LPL 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7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톈예|톈예★ Meiko ]] | SPT | 2022.07.21 | 진행 중 | |||
,, ID : 현역ID : 은퇴/무소속☆ : 7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8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6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톈예|톈예★ Meiko ]] | SPT | 2021.06.19 | 진행 중 | |||
[[류칭쑹|류칭쑹 Crisp ]] | SPT | 2024.07.18 | 진행 중 | |||
,, ID : 현역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6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7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5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톈예|톈예★ Meiko ]] | SPT | 2020.04.15 | 진행 중 | |||
[[스썬밍|스썬밍☆ Ming ]] | SPT | 2022.07.20 | 진행 중 | |||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 MID | 2023.03.07 | 진행 중 | |||
[[류칭쑹|류칭쑹★ Crisp ]] | SPT | 2023.06.14 | 진행 중 | |||
[[송의진|송의진☆ Rookie ]] | MID | 2023.07.05 | 진행 중 | |||
[[러우윈펑|러우윈펑☆ MISSING ]] | SPT | 2024.02.27 | 진행 중 | |||
,, ID : LPL 소속ID : 은퇴/무소속/타 리그 소속☆ : 5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6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4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톈예|톈예★ Meiko ]] | SPT | 2019.01.18 | 진행 중 | |||
천보 Pyl | 은퇴 | SPT | 2019.08.13 | 4,014어시스트 | ||
[[스썬밍|스썬밍★ Ming ]] | SPT | 2021.06.30 | 진행 중 | |||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 MID | 2021.07.10 | 진행 중 | |||
[[송의진|송의진★ Rookie ]] | MID | 2021.08.07 | 진행 중 | |||
[[류스위(1997)|류스위☆ COLD ]] | 은퇴 | SPT | 2022.01.24 | 4,546어시스트 | ||
[[김태상|김태상☆ Doinb ]] | 은퇴 | MID | 2022.02.27 | 4,525어시스트 | ||
[[류칭쑹|류칭쑹★ Crisp ]] | SPT | 2022.03.12 | 진행 중 | |||
[[쭤밍하오|쭤밍하오 LvMao ]] | SPT | 2022.08.21 | 진행 중 | |||
[[러우윈펑|러우윈펑★ MISSING ]] | SPT | 2023.03.02 | 진행 중 | |||
[[이예찬|이예찬☆ Scout ]] | MID | 2023.04.04 | 진행 중 | |||
[[리쉬안쥔|리쉬안쥔 Flandre ]] | TOP | 2024.02.24 | 진행 중 | |||
[[쩡치|쩡치 Yagao ]] | 은퇴 | MID | 2024.03.16 | 진행 중 | ||
[[가오톈량|가오톈량 Tian ]] | JGL | 2024.04.20 | 진행 중 | |||
[[링쉬|링쉬 Mark ]] | SPT | 2024.07.17 | 진행 중 | |||
,, ID : 현 LPL 소속ID : 은퇴/무소속/타 리그 소속☆ : 4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5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3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밍카이|밍카이☆ Clearlove ]] | 은퇴 | JGL | 2017.03.18 | 3750어시스트 | ||
천보★ Pyl | 은퇴 | SPT | 2017.08.10 | 4014어시스트 | ||
[[톈예|톈예★ Meiko ]] | SPT | 2017.08.19 | 진행 중 | |||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 MID | 2019.08.25 | 진행 중 | |||
[[송의진|송의진★ Rookie ]] | MID | 2020.03.19 | 진행 중 | |||
[[류스위(1997)|류스위★ COLD ]] | 은퇴 | SPT | 2020.03.31 | 4546어시스트 | ||
[[스썬밍|스썬밍★ Ming ]] | SPT | 2020.04.23 | 진행 중 | |||
[[왕류이|왕류이 Baolan ]] | N/A | SPT | 2020.07.20 | 3495어시스트 | ||
[[김태상|김태상★ Doinb ]] | N/A | MID | 2020.08.09 | 4525어시스트 | ||
[[리쉬안쥔|리쉬안쥔★ Flandre ]] | TOP | 2021.03.01 | 진행 중 | |||
[[류칭쑹|류칭쑹★ Crisp ]] | SPT | 2021.03.12 | 진행 중 | |||
[[쭤밍하오|쭤밍하오★ LvMao ]] | SPT | 2021.03.14 | 진행 중 | |||
[[레꽝주이|레꽝주이☆ SofM ]] | N/A | JGL | 2021.07.09 | 3697어시스트 | ||
[[쑤한웨이|쑤한웨이 xiye ]] | N/A | MID | 2021.08.06 | 3151어시스트 | ||
[[이예찬|이예찬★ Scout ]] | MID | 2021.08.22 | 진행 중 | |||
[[러우윈펑|러우윈펑★ Missing ]] | SPT | 2022.03.20 | 진행 중 | |||
[[훙하오쉬안|훙하오쉬안 Karsa ]] | JGL | 2022.06.25 | 3408어시스트 | |||
[[쩡치|쩡치★ Yagao ]] | MID | 2023.02.04 | 진행 중 | |||
[[가오톈량|가오톈량★ Tian ]] | JGL | 2023.02.28 | 진행 중 | |||
[[링쉬|링쉬★ Mark ]] | SPT | 2023.03.04 | 진행 중 | |||
[[린웨이샹|린웨이샹 Lwx ]] | N/A | BOT | 2023.03.13 | 3332어시스트 | ||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 BOT | 2023.04.02 | 진행 중 | |||
[[줘딩|줘딩☆ knight ]] | MID | 2023.06.27 | 진행 중 | |||
[[젠쯔하오|젠쯔하오 Uzi ]] | N/A | BOT | 2023.06.28 | 3182어시스트 | ||
[[궈펑|궈펑☆ ppgod ]] | SPT | 2024.01.23 | 진행 중 | |||
[[셰진산|셰진산☆ Jinjiao ]] | SPT | 2024.01.30 | 진행 중 | |||
[[푸밍항|푸밍항☆ Hang ]] | SPT | 2024.03.02 | 진행 중 | |||
[[서진혁|서진혁 Kanavi ]] | JGL | 2024.03.14 | 진행 중 | |||
[[러원쥔|러원쥔☆ ON ]] | SPT | 2024.04.06 | 진행 중 | |||
[[양즈하오|양즈하오 H4cker ]] | JGL | 2024.06.01 | 진행 중 | |||
[[바이자하오|바이자하오 369 ]] | TOP | 2024.06.26 | 진행 중 | |||
[[자오리제|자오리제 JieJie ]] | JGL | 2024.07.05 | 진행 중 | |||
[[옌양웨이|옌양웨이 Wei ]] | JGL | 2024.07.30 | 진행 중 | |||
,, ID : LPL 소속ID : 은퇴/무소속/타 리그 소속☆ : 3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4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5. 특징
- 리그 기반이 취약했던 2015 시즌 이전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굉장히 전투지향적이고 한타에 특화돼있던 리그라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초중종반을 가리지 않는 교전 중심적인 기조는 곧 LPL의 아이덴티티이자 게임의 메타를 주도하거나 관통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 이런 잦은 교전이 발생하는 게임 흐름에서 한타의 핵이 되는 포지션인 바텀 라이너, 소위 원거리 딜러 선수들이 큰 두각을 나타낸 경우가 많다. 가장 대표적으로 중국 최고의 스타였던 우지가 그 예시. 또한 2015 시즌에 리그 오브 레전드 엑소더스로 한국인 용병들이 LPL로 대거 이적했고, 삼성 왕조의 바텀 라이너인 임프와 데프트, 이외에도 미스틱 등이 LPL에서 활약하면서 전반적인 LPL 원딜러들의 수준은 상당히 상향평준화 되었다. 그리고 재키러브, Lwx, 갈라 등 이후 세대에 접어들면서 데뷔한 선수들이 메타를 막론하고 전체적인 그만큼 잘 잘린다는 단점과 더불어 매우 전투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고, 바이퍼, 룰러와 같이 리스크를 줄이면서 다재다능함을 뽐내는 세계구급 용병 선수도 있다.[57]
- 초반 교전을 설계하는 정글러들도 다양한 인재가 많다. 클리어러브, Mlxg, 콘디, 닝, 티안, 지에지에, 웨이처럼 역대를 통틀어 세계 수준에 걸맞은 정글러들이 매 시즌 한명씩 발굴되고 있고, 2018년 이후에는 그러한 성향이 매우 강해졌다. 특히 중국인 정글러들의 초반 교전 능력은 타 리그와 비교해도 월등히 뛰어나다. 한국인 정글러들이 메카닉에 비해 상대적으로 팀파이팅에 특화돼있고 서구권 정글러들은 하드웨어에 비해 소프트웨어가 딸린다면, 중국인 정글러들은 메카닉과 단독 캐리 능력을 지녔다. 심지어 2018년 이전까지의 중국인 정글러들에 대한 대부분의 평가가 역시 운영 능력의 부재라는 약점을 가지고 있었고, 애초에 운영형 정글러 자체가 한국인과 후세대에 들어서 실력을 뽐낸 선수들을 제외하면 외에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 특이 케이스이다.[58]
- 그리고 2014년도부터 시작된 교전 중심 메타의 정글러의 기조가 고착화되고 그러한 유형의 선수들이 범람하면서 LPL의 메타를 피지컬에만 의존하도록 고착시켰고 이로 인해 오브젝트 컨트롤과 라인 스왑, 스플릿 등 서구권과 한국에서 Lotation, 혹은 턴 개념이라 불리는 운영에서는 완전히 도태되었다고 평가되었던 적이 있었고. 이에 대한 나비효과로 순혈 중국인 탑솔러들은 팀 파이팅에만 올인하는 소위 탑승형 선수들만 남게 되는 결과를 야기했다.[59]
- 거기에 LPL은 한동안은 LCK가 무소불위의 패권을 휘두르던 시절에는 Koro1을 제외하면 명함 자체를 쉽게 낼 만한 선수가 없었고, 2021 EDG의 플랑드레가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기 이전까지는 지속적으로 탑솔흉가라는 간판을 달았던 적이 대부분이었는데, 그 중 LPL의 첫 MSI 우승 팀인 렛미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평가가 뒤틀리다가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이었던 2018 IG에서 당시 탑솔러인 더샤이가 소위 역체탑으로 추앙받거나 LPL의 관계자들이 중국 탑솔러의 성향과 기조를 바꾼 혁명적인 선구자적인 선수이자 고평가를 받게 되는데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치게 되었다.
- 요약하면 과거에는 자본력이 받쳐주는 리그이자 탑솔 흉가, 운영보다 교전에 특화된 리그. 자본력이 4대 리그 중 압도적으로 열악한 동시에 탑솔 명가이자, 교전보다는 운영에 특화된 LCK와는 정반대인 셈이다.[60]
- 그간 '운영 할 줄 모르고 싸움만 한다'고 비판과 비난받던 스타일을 수년 간 꾸준히 유지하다보니 리그 자체의 피지컬이 상향평준화 되었으며, 초중반 소규모 난전부터 후반 한타에 이르기까지 숙련도와 대처 능력이 굉장히 높아졌다. LCK에서 주로 정돈된 5:5 한타 싸움이 자주 발생한다면 LPL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난전이 자주 일어난다는 것이 차이점. 여기에 한국인 출신 지도자들이 LPL 특유의 난전 중심 메타에서도 운영 능력을 이식함에 따라, 운영 할 줄 모르고 싸움만 할줄 아는 리그 에서 교전을 중심으로 펼치는 운영 능력을 크게 키우게 되었다. 거기에 막강한 교전력을 중심으로 LPL 출신의 첫 월즈 우승팀으로 거듭난 2018 IG의 사례, 뛰어난 설계와 교전만이 아닌 운영으로 세계를 제패한 2019 FPX 같은 팀의 사례, 그 중간의 기조를 가진 2021 EDG와 같은 사례도 존재하고 있다.
- 또한, 초반 난전을 극도로 중시하게 되다 보니 이전의 하체 중심의 플레이 대신 상체 쪽 선수들이 더욱 두각을 드러내게 되었고, 특히 IG의 더샤이를 비롯한 상체의 공격적인 라인전 능력이 리그의 새로운 무기가 되었다. 줌 등 자국 내 우수한 탑 인재들도 나타나면서 더이상 탑 흉가로 평가받지도 않는다.[61]
- 2022 시즌 기준으로 무려 17개나 되는 팀들이 있고, 장기적으로 20팀까지 늘어날 예정이다. 때문에 해외 리그는 보통 8~10개 팀 체제로 운영되는 리그가 많은데 LPL은 플레이오프 마지노선이 10위까지 된다. 때문에 서로 엇비슷하게 비비는 비교적 탄탄한 전력을 갖춘 중위권 팀들이 꽤 많은 편. 대신 그 아래로 최악의 전력을 가진 '깔아주는 팀들' 도 여럿 있는데 이 팀들의 전력은 CK에서도 상위권을 장담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아 전력 불균형이 엄청나다. 즉 '월즈 패권을 노릴만한 최강급 팀 3~4팀' '플레이오프 진출을 노려볼만한 팀 5~6팀' '탈꼴찌를 목표로 바닥을 깔아주는 팀 3~6팀' 정도로 전력불균형이 심하다.
- 이렇게 팀이 많은데 월즈 출전권은 2020 시즌 이전에는 3장, 이후로도 4장 뿐이라서 제법 이름값 있는 팀을 만들어도 월즈 진출하기가 매우 난이도 높은 편이다. 특히나 도인비는 2016년 데뷔 이래로 2018년까지 LPL 내에서 꾸준히 정상급 미드 라이너였지만, 무려 4년 동안 월즈에 출전조차 하지 못했다가 2019년에 첫 출전하여 로열 로드 우승에 성공했다. 루키 역시 2015 월즈에 진출해서 별 성과를 못 거둔 후 2018 월즈에 다시 출전해 우승하기까지 2년을 넘었다. 고로 최정상급 팀들이 월즈를 나가는 편이긴 하지만 중상위권의 '다크호스 팀' 들은 월즈 나가기가 여러모로 어려운 환경이다. 특히나 LPL은 자체적인 경쟁에서 큰 우위를 가지지 못하는 이상 우승과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크게 장담할 수가 없는 수준이다.
- LPL의 전성기가 시작된 2018 시즌 이후 국제대회의 특징으로 본다면 소위 판짜기로 불리는 다전제 플랜과 밴픽 준비 능력이 탁월하다는 점이다. LCK 팬들조차도 '왜 계속 상대는 OP 픽을 잘 가져가고 우리는 서커스, 차력쇼를 시작부터 하는 거냐?' 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인게임 플레이나 카운터 픽 1~2개로 타 리그 팀들을 당황시킨 이후에 OP픽을 쓸어가서 승리하는 패턴은 전성기라는 2018~2019시즌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잘 살려서 국제대회 기간이 짧아 메타 파악 능력이 중요한 MSI의 강세로 이어지는 중이다.[62] 다만 전성기 IG가 존재한 2018~2019시즌 이후 팀들의 체급이 타 리그 팬들의 생각보다 약해진 점이 단점으로 발목을 잡고 있다.[63] 전성기가 종료된 2020시즌 부터 LCK와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는데 압도적인 체급으로 LPL을 제외한 리그의 팀들에게 절대적 우위를 보여주는 LCK와는 다르게 낮아진 체급의 한계로 LPL은 LEC, LCS 심지어 마이너 리그 팀들에게도 인게임 플레이에서 흔들리며 패배하는 경우가 매 국제대회에서 보여지며 Worlds에서 2020년대 들어서며 우승을 차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근본적이 원인으로 지적받는다.[64]
- 중국 정서 상, 외국인 선수는 로컬 자격을 고려하더라도 3인 이상 주전으로 쓰는 팀이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컬 자격을 가진 외국인 선수가 나오곤 하는데, 구 LMS 지역이 규정 상으로는 타 지역으로 취급되지만, 하나의 중국 정서 상으로는 외국인 선수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 리치, 루키, 카사 이 셋은 2022년에 Victory Five에서 한솥밥을 먹었는데, 카사는 대만 출신이라 타 지역 선수로 취급되지만 외국인은 아니고, 루키는 한국인이지만 로컬 자격을 취득했기에, 타 지역 선수가 셋 있는 것도 아니고, 외국인 선수가 셋 있는 것도 아니라 셋이 같이 한솥밥을 먹을 수 있었던 것. 비슷한 사례로 2022년 대만인 준지아를 기용할 때의 EDG(용병 준지아, 로컬 스카웃, 바이퍼)와 역시 2022년 대만인 소드아트를 기용할 때의 웨이보 게이밍(용병 소드아트, 로컬 SofM, 더샤이)이 존재하나 준지아와 소드아트는 시즌 전체로 보면 주전이 아니기는 했다. 한편 2020년 Lwx의 결장이라는 긴급상황에 포지션을 파괴하여 로컬인 도인비를 필두로 김군과 서브였던 칸 3명의 한국인이 출전한 적이 있으나, 긴급상황이 아니고서는 여전히 팬층의 여론을 감안했을 때 쉽지 않은 선택일 것으로 예상된다.
- 2015년 후반기나 2012년 정도를 제외하면 LPL을 앞선 적이 적은 리그인 LMS 출신들이 중국어를 무기로 LPL 코치진으로 활발히 활동하는데, 사실 평이 크게 좋지는 않은 편이다.[65] 이는 이들과 비슷한 연배의 전직 LPL 선수들이 코칭 커리어에 적극적이지 않은 탓이 크다.[66] 스타 출신 LPL 선수들이 13억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방송 수입이 워낙 높아서 코칭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당시의 열악하고 비전이 썩 밝지도 않았던 LPL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이 기본적으로 중국 기준으로도 금수저들이 많은 탓이 근본적으로 더 크다고 한다.[67]
- 팀 이름이 스폰서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서 팀명이 길고, 그래서 대부분의 팀들이 팀명이 아닌 팀의 약자로 로고를 포함한 브랜딩을 한다. 그래서 팬들이나 선수들, 코치진, 해설진 모두 팀명보다는 팀의 약자(TTG, LNG, EDG, RNG 등)를 부르는 데 훨씬 익숙하고 팀명을 불러주는 경우(징동, 웨이보 등)은 팀명의 발음 글자 수가 약자의 알파벳보다 적은 경우 뿐이다. 약자는 그냥 약자이지 큰 의미가 없고 대부분 정식 팀명을 부르는 데 훨씬 익숙한 LCK와는 정반대. 그리고 17팀 중 10팀이 LCK에서는 거의 사라진 “OO 게이밍” 이라는 포맷을 사용하는 것도 특이할만한 점.
6. 역사 및 위상
6.1. 태동기
LCS EU와 2부리그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 했던 시절이다.6.1.1. 2015년 이전
LoL e스포츠 초창기에는 EU 스타일을 창시한 유럽과 CLG, TSM을 중심으로 한 북미 등이 가장 주목 받았다.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에서 TPA가 뜬금 우승을 차지했고, 그 이후부터 한동안은 중화권이 세계 최고라는 평이 많았다.
이유가 있는데, 지금이야 월즈가 최고 위상의 대회지만 당시에는 큰 대회긴 해도 아직 그 정도까지 권위가 잡히지 않았으며, 비슷하게 평가받는 다른 대회들이 많았다. 시즌2 월즈는 무려 3연 재경기나 눈맵, 귀맵이 빈번하는 등의 사건사고가 많았을 정도로 아마추어적인 느낌이 강했다. 그리고 월즈가 끝난 뒤 얼마 되지 않아 펼쳐진 IPL 5에서 LPL의 WE는 순조롭게 우승하면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후 웨이샤오나 미사야 등이 세계 정상급의 선수로 평가 받았고 WE나 IG 같은 팀이 세계적인 강호로 인정 받았다.
이 시기 LPL의 특징은 지금 생각하면 놀랍게도 초반에 싸움을 피하고 최대한 파밍만 하면서 성장만 하고 나중에 5:5 정식 꽝 한타였다. 교전을 피하고 성장하며 운영 위주로 게임을 한다는 평을 받는 LCK보다도 한술 더 뜰 정도의 노잼 메타가 특징이었다. 당시 세체원으로 이름이 높았던 웨이샤오의 대단함을 이야기 할 때나 미사야 등의 선수를 칭찬할 때 자주 나오던 말이 '분당 CS' 등등이었다. 초반부터 교전으로 승부 보는게 아니라 CS 잘 먹고 성장 격차를 벌리고 이기던 스타일이었다.
앞서 말한 초창기 LPL이 노잼 메타였다는 것과 더불어 최근 시점에서 보면 놀라운 또 하나의 사실은, 초창기 LPL은 극악한 박봉이었다는 점이다. 2013 월즈 당시 타베의 인터뷰 한달에 1,000불, 대략 120만원 받고 사는 수준이었고, 자기 티셔츠를 팔면서 수익을 얻는 더블리프트에게 부러움을 표시하며 북미 시장이 중국 시장보다 훨씬 발전했다고 말하는 부분도 있다.
이렇게 중화권 팀들에 대한 고평가가 높았던 상태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3이 펼쳐졌고, 여기서 LCK 팀이 그야말로 완승을 거두고 중화권 팀을 비롯해 전세계 팀들을 상대로 압승하면서 그런 평가도 사그라들었다. 엄밀히 말하면 IG와 WE 연합으로 구성된 당시 LPL 올스타는 이미 자국 리그 내에서는 OMG에게 헤게모니를 빼앗기던 시점으로 시즌2가 대부분 자신들의 전성기였던 지는 해였긴 했다. 그와 별개로 "LCK 팀들이 강하긴 강한 것 같은데, 설레발 치다가 TPA 쇼크 당한 시즌2 월즈의 트라우마도 있으니 저런 팀들 상대로도 먹히긴 할까." 같은 의문점을 완전히 해소시켰다는 데 의미가 있을듯.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에서 LCK가 강세를 보이는 등 세계 정상의 헤게모니는 완전히 LCK로 이동했다.
한편 LPL 내에서는 시즌2에서 명성을 떨친 WE와 IG가 기세가 꺾이는 가운데 새로운 강자로 OMG가 등장했는데, LPL 역사를 서술하면서 이 OMG가 중요한 것이 LPL의 메타를 현재의 교전 위주로 만든 팀이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했듯 이전의 LPL은 최대한 라인전을 길게 하면서 극한으로 파밍으로 마지막에나 싸우는 파밍 메타였는데, OMG는 적극적인 로밍을 바탕으로 한 난전과 이로 인한 스노우볼링으로 LPL 내의 메타를 변화시켰다.
원딜인 웨이샤오가 유명하던 WE와는 다르게 OMG는 LPL 팀 치고 바텀이 딱히 인상이 적은 팀이었고, 반대로 탑 미드인 고고잉과 쿨이 자국 리그 기준으로 강력했고 정글러인 LoveLing에서 국제대회에서 제법 활약하는 가락을 보여준 실력자로 상체 캐리 팀이었기에 그랬던듯한 모양. 이 OMG가 자신들의 스타일로 2013 스프링부터 2014 월즈까지 장장 2년여 가량 꾸준히 호성적을 거두면서 LPL의 다른 팀들도 여기에 대응해야 했고, 결국은 리그의 메타 자체가 집요한 교전 위주로 바뀌게 되는 결과를 야기시켰다.[68]
6.1.2. 2015 ~ 2016 시즌
한편 시즌3 중반 이후 세계 최고로 인정 받은 LCK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에서 삼성 갤럭시 화이트를 중심으로 그야말로 타 지역과 이제 비교 자체가 어려울 정도의 압도적인 격차를 벌리게 되었다. 물론 나진 화이트 실드의 졸전 같은 불상사가 없지는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게임을 읽는 운영 측면에서 확연하게 다른 격차를 보여준 것이다.
그런데 LCK는 이미 실력적으로는 세계에서 압도적인 정상에 올랐지만 반대로 리그 규모는 많이 빈약했다.[69] 세계 무대를 압도적으로 우승한 삼화 선수들조차 연봉 협상에서 1억도 받지 못하는 수준이었다고 한다.
반면 초창기만 해도 눈물 젖은 빵을 먹으며 게임 해야 했던 중국 롤 시장은 자본적인 면에서 급속도로 팽창 하고 있었다. 게임단 쪽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중국 내 재벌 2세들이 전통의 명문 WE나 IG도 아닌 비교적 신생팀인 Royal Club이 한국인 용병인 제로와 인섹 등을 우지와 조합하여 월즈 결승까지 가는 모습 등에 큰 영감을 받았고, 부를 과시하는 용도로 게임단을 운영하면서 앞을 다투어 한국인 선수를 사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이른바 리그 오브 레전드 엑소더스라고 불리게 된 사태였다.
롤 프로 팀에 투자하던 중국 젊은 갑부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성은.[70]
2014 월즈에서 성적을 낸 삼성팀의 멤버들이 죄다 LPL으로 넘어가게 되는 사태가 발생했고, 순식간에 어지간한 팀에 월드클래스 레벨의 한국 선수들이 자리를 차지하는 상황이 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그 선수들이 비어버린 LCK는 훵하게 되어버렸다. 2014 시즌 기준으로 1, 2순위 팀이었던 삼성 갤럭시 블루와 삼성 갤럭시 화이트는 아예 멤버들 전부가 LPL로 가버렸고, 3, 4순위라고 할 수 있는 kt와 나진 역시 루키, 카카오, 세이브 등의 선수들이 모조리 LPL로 건너가 버리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2014 월즈를 우승했던 2014 시즌 세체미 폰과 화려한 캐리력을 가진 데프트를 영입한 EDG는 당대 최고의 중국인 인기스타 클리어러브와 함께 LPL을 대표하는 최고의 팀으로 떠오르게 된다. 2014 시즌에는 분명 성적은 잘 나왔지만 뭔가 다른 LPL 강팀들에 비해 다소 저평가 받는 팀이었는데[71] 2015 시즌부터는 확실히 당대 LPL을 대표하는 명문팀으로 자리매김 했다.
팀이라고는 8팀 있던 당시 LCK에서 하위권도 아니고 상위 4팀이 공중분해 되거나 대격변을 맞이해버린 상황이었고, LCK에 비하면 많이 수준이 떨어졌지만 그래도 2년 연속 월즈 결승에 진출했던 LPL에서는 LCK 최고 레벨의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게 되니 자연히 균형추가 이상해졌다. 심지어 이 당시 LPL에서는 스타 선수들 뿐만 아니라 한국인 코칭 스태프를 비롯해서 당시 한국 솔랭에서 이름 좀 있던 유망주들까지 싹 쓸어가버렸다. 2014 시즌 말 ~ 2015 시즌 초에 아마추어 신분으로 LPL에 건너가 세계적인 선수가 된 예시가 바로 더샤이와 도인비가 있다.[72]
이렇게 되니 국내 팬들은 패닉에 빠지게 되고, LPL 쪽은 반대로 대번에 기세등등해졌다. 여기에 더해 소위 IEM 쇼크라고 불리는 사태가 발생했는데, LPL 최하위 팀인 WE에게 CJ가 패배하고, LCK 1위 GE 역시 역전패 당한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한마디로 LPL 최하위팀에게 LCK 1, 2위팀이 격파 당했다. 이 때문에 당시 LPL이 세계정상급이고 LCK는 우물 안 개구리라는 반응도 나왔으며, 2015 Mid-Season Invitational에서 당대 최고의 선수로 꼽히던 페이커의 SKT가 EDG에게 잡혀 준우승을 하는 결과까지 나왔다.
이러다보니 LCK의 위기감도 극심했고, 몹시 공격적이고 저열한 방식으로 선수들에게 비난을 퍼붓는 일 등에 대한 피로감도 대단했으며, 해외팀을 인정하는 수준을 넘어서 '5부 리그에서 상위권이어봤자 LPL 최하위팀 오면 정리됨' 같은 극단적인 중국뽕, 유럽뽕도 심한 수준의 대혼란이었다. 어쨌건 MSI에서 EDG가 우승하면서 '돈으로 최고의 선수를 모아서 팀을 꾸리면 최강이 된다'는 생각이 공고해졌고, 그런 EDG도 꺾는 LGD가 등장하면서 LPL이 최고 수준의 리그라고 모두가 믿어 의심치 않았다.
분명 LCK 입장에서 보면 세계 정상을 호령했던 선수들이 순식간에 빠져나간건 어떻게 보아도 인적 손실이 적지 않았고, 2015 시즌 초창기 시점에서는 일시적으로 수준이 떨어졌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IEM은 그런 현실을 보여준 사례였고, EDG와 풀세트 끝에 패배한 MSI는 이를 극복해가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인재 유출에도 불구하고 LCK의 인재풀은 생각 이상으로 막강했다. 엑소더스에도 불구하고 주축들이 남아있던 SKT를 중심으로, 중고 신인들이 반란을 일으킨 KOO 타이거즈 등이 있었고, LCK 특유의 극도로 경쟁적인 분위기와 더불어 이 팀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력해졌고 새로운 인재들도 나왔다. 반면 LPL 팀은 많은 돈으로 클래스 있는 선수들을 모아 일단 멤버 개개인은 강한 팀을 꾸렸고, 2015 시즌의 초반에서 중반부까지는 이름빨 팀이 먹혀들어갔지만 다른 팀들이 팀으로서 완성되는 월즈 시점에서는 되려 소통 부재의 모습을 보이면서 몰락해갔다. 여타 팀들이 운영 능력을 강화할때 압도적인 클래스를 가진 용병 선수들의 피지컬 만으로 이기곤 하다보니 운영을 기르게 되지도 못하게 되었다.
여기에 더불어 스타크래프트 시절부터의 문화로 경쟁적인 LCK와는 달리 아직 프로다운 모습도 부족해서 연습랑도 부족했으며, 리그에 돈이 갑자기 많이 들어오고 선수들이 스트리밍 만으로도 크게 돈을 벌 수 있었다보니 대회에 임하는 자세도 형편 없었다. 자연히 변화하는 메타 적응도 느렸으며, 그렇게 실속은 왕창 떨어져가는 가운데 자신감과 자만심, 팬들의 기대감만 하늘을 찌르다보니 자연히 엉망진창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한 해의 마지막 농사이자 가장 중요한 2015 월즈에서 LPL 팀은 몰락했다. 서머 우승팀인 LGD가 2승 4패, IG가 2승 4패로 조별 예선 수준에서 멸망했고, EDG마저 8강에서 프나틱을 상대로 비비다가 떨어진 것도 아니라 0:3의 압도적인 패배로 끝나고 말았다.
이에 반면 LCK는 24승 3패, 8강 이후부터는 다른 지역에 한번도 패하지 않고 본인들끼리만 싸워서 떨어지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화려하게 최강으로 복귀했다. 1년 내내 겪었던 위기감과 더불어 워낙에 극심했던 중뽕, 유럽뽕 등의 해외뽕이 박살나게 되는 순간이라 국내 롤판의 환호는 절정에 달했고, 그에 대한 대비로 LPL은 하루 아침에 3부, 4부, 5부 리그로 추락하며 팬덤 내에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는 까야 제맛 수준의 막장 리그로 추락하고 말았다. 그 이전까지 추켜세우는 말들이 많았던 만큼 몰락했을 때 감정적인 비난도 매우 강력했으며, 국내 팬덤 내에서는 LPL을 돈밖에 없는 중동 축구 리그라고 봐야하지 않느냐고 말할 정도였다.
2015 월즈의 쇼크 이후, 이후 IEM 산호세에서도 LGD가 TSM의 급조된 라인업에 0:2로 완패하는 굴욕을 당했다. 다음 대회인 IEM 쾰른에서는 결승에 QG를 보내긴 했지만 결승전에서 CK 팀 ESC Ever에게 석패하여 아직도 갈길이 멀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016 시즌에도 LPL의 대체적인 기조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전년도 월즈를 압도적으로 우승한 SKT에서 마린과 이지훈을 영입하는 등 여전히 빅네임 선수들을 영입했고, KeSPA Cup과 IEM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Ever의 아테나 같은 두각을 나타낸 유망주도 바로바로 영입하는 등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면에서는 갈길이 멀었다. 2016 Mid-Season Invitational에서 RNG가 제법 매서운 모습을 보여주며 LPL의 희망으로 떠올랐지만 LCK의 벽은 여전히 벽은 높았다. 조별 리그에서 1위를 하며 분전한 RNG는 조별 리그를 4위로 겨우 통과한 SKT를 상대로 1세트를 뺏으며 기세를 탔지만, 이후 압살당하며 허무하게 탈락해버렸다. 뒤이어 이어진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별 리그에서 3번 시드 I May가 SKT에게 털리며 광탈했다. 그나마 전년도가 가히 쇼크 수준으로 몰락이었기에 2015 시즌에 비하면 8강에 EDG, RNG 2팀을 올리며 좀 나았던 수준인데, 그 2팀도 폼에 의문부호가 있었고 둘다 2위로 진출했다. 그리고 2위로 진출하는 바람에 8강에서 LCK 팀들을 만났고, 둘다 1:3 스코어로 박살났다. 3팀 다 LCK 팀들을 만나서 압살당하는 모습만 보여주면서 격차가 크다는 걸 보여줬다. 탑 쪽은 LCK는 고사하고 다른 지역들과의 대결에서도 밀리면서 탑솔 흉가의 악명이 강해졌고, 미드는 기복이 극심했다. 바텀은 그나마 제몫을 해주긴 했으나 격차를 좁히기는 어려웠다.
또 한가지 집고 넘어가야 할 점은, 당시 LPL이 굉장히 돈을 많이 투자하며 공격적인 선수 영입을 보여주긴 했으나, 이때까지는 기반이 잡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제대로 된 투자라기보다는, 돈이 많은 재벌 2세들의 돈지랄에 가까웠다. 때문에 리그에 흐르는 돈이 규모가 많은 점과는 별개로 선수 관리 같은 매니지먼트에서 최악의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잦았다. '도인비 - 스위프트 사태' 로 유명한 16 QG의 내분 같은건 LoL e스포츠판 태동기에나 일어날 법한 촌극이었다. 그 이전 15 OMG 역시 프런트의 입김과 선수들간의 알력 다툼으로 나름 자국 리그에서 한 시대를 누렸던 팀이 완전히 풍비박산나고 말았다. 중국이 '1가구 1자녀' 정책이 시행될때 태어난 콧대높은 LPL 선수들은 이제 막 LPL 내에 자리를 잡은 한국인 코칭 스태프의 지시를 제대로 따르지 않는 프로답지 못한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
한마디로 말해서 이 당시까지 LPL은 오고가는 돈에 비해 아마추어적인 모습이 많았다. 또한 이런 아마추어적인 매니지먼트로 인한 악영향이 있는데, 당시 프로 연습생은 물론이고 솔랭 유망주까지 경쟁적으로 LPL 팀들이 쓸어담았고 이는 LPL 1부 팀뿐만 아니라 2부, 3부 팀들까지도 그럴 정도였는데, 이런 주먹구구적인 환경에서 나이도 어리고 뭣도 모르던 여러 한국인들이 넘어갔다가 제대로 뛰지도 못하거나, 고생만 죽도록 하거나, 이상한 계약에 묶여버리거나 하는 일들이 잦았다.
이 당시 얼마나 LPL 쪽에서 선수 영입을 죽어라 했는지, 프로 경력 있는 선수들은 물론이거니와 어느정도 실력 방송 느낌으로 인터넷 방송만 하는 스트리머들 중에서도 2015 ~ 2016 시즌 무렵 LPL 2부, 3부 팀에 소속된 경력이 있는 사람을 찾는게 어렵지 않다. 그리고 거진 대부분은 그다지 좋지 못한 추억으로 회고하는 편.
6.1.3. 2017 시즌
이런 기조는 2017 시즌부터 조금씩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일단 중국 정부에 의한 한한령으로 인해, LPL 팀들이 한국인 선수 영입에 다소 소극적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로컨이나 크라이와 같은 중량감 있는 한국인 유망주를 영입하기도 했지만 기존의 에이스들이 LCK로 돌아가기도 했고 해외 진출을 선언한 LCK 즉전감 선수들도 LPL이 아닌 LCS를 택하는 경우가 증가했다.
이전처럼 마구잡이로 한국인 용병을 수입하지 못하는 상황이 자의반 타의반 일어난 상황에서, LPL은 스프링 무렵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발표했다. 2017 서머부터 강등제를 없애고, 전체적으로 체계적인 시스템을 잡고 리그의 규모를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이전이 돈 많은 재벌 2세들의 돈장난 같은 느낌이었다면, 이때부터는 제대로 된 '프로 대회'로 변모하기 시작한 것. 아이러니하게도 분명 세계를 호령하던 선수들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사오는 일이 줄어들게 되었는데, 이 시점부터 LPL은 갑작스레 발전상을 보이게 된다.
이전까지는 돈은 많더라도 소위 리그의 때갈이라는 측면에서 '촌티'같은 면도 적지 않았으나 여러모로 개선되며 리그 자체가 좀 더 세련된 분위기로 바뀌게 되었고[73] 말이 프로지만 아마추어스러운 느낌이 적지 않았던 여러 팀들이 제대로 된 프로팀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처음 진출했을 때 콧대 높은 LPL 선수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던 한국인 코칭 스태프들이었지만, 몇년간의 시행착오 끝에 리그 내에 그런 지도 방식이 자연스레 자리를 잡게 되고 이에 따라 LPL 선수들의 프로 의식도 훨씬 개선되고 경쟁적인 분위기가 자리를 잡게 되었다.
2017 Mid-Season Invitational에 출전한 WE는 4강에서 특유의 기복을 보이며 LCS EU의 G2에게 난데없이 덜미를 잡히고 말았고, 근 몇년간 LPL의 국제 대회 추태의 연장선으로 비아냥을 많이 받기는 했으나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일정상의 시차 문제에도 불구하고[74] 7승 3패의 호성적을 거두었다. 3패도 시차 문제가 겹치던 초반부에 몰아서 당한 패배들. 5전제에서 뒷심이 부족한 승부사로의 약점은 보였으나 어느 정도 체급적인 면에서는 많이 올라왔다고 볼 수 있었다. 다만 2015 ~ 2016 시즌에도 MSI에서는 LPL이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 적이 많아서 그 이상의 뭔가를 보여줬냐하면 그건 아니었다.
그리고 이후 2017 리프트 라이벌즈 레드 리프트 결승전에서 LCK에 3:1로 승리하였다. 사실 LMS와의 준결승전까지만 해도 LPL은 좋지 못한 모습이 많았고, 반면 LMS는 FW를 필두로 홈팬들 앞에서 기세를 살리고 있어 여러모로 더 이상 물러날 수 없는 혈전 끝에 올라온 참이었다.[75] LCK 쪽의 자신감은 넘쳐났고 반면 LPL에 대해서는 조롱이 하늘을 찔렀다. 그런데 엔트리 대결에서 이겼건 간에 정작 5전제나 되는 승부에서 졌다는 것은 LCK가 LPL에게 아직 밀린다고 할건 없어도, 아무렇지도 않게 상대할 수 있는 수준은 지났다는 위기의식을 느낄만한 사건이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에서 LPL 팀은 여러모로 이전과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LPL의 희망으로 떠오른 Royal Never Give Up이 LCK 팀인 Samsung Galaxy를 2번이나 이기고 LCK 팀이 포함된 조에서 조 1위로 진출하는가 하면, WE 역시 LCS EU와 LMS의 팀들이 포함된 조에서 그룹 스테이지를 어렵지 않게 돌파했다.[76] 죽음의 조에 걸린 EDG는 결국 그룹 스테이지에서 떨어졌지만 이전같지 않은 폼이어도 천하의 SKT를 상대로 제법 매섭게 몰아치기도 했다. 8강에서도 RNG와 WE는 LCS EU와 NA 팀들을 물리치고 4강에 두 팀이 진출했다. 홈에서 LPL vs LPL 결승전이 펼쳐질 수도 있었던 상황이었으나, 결과적으로 삼성이 WE를 상대로 완승하고 SKT가 혈전끝에 RNG를 꺾으면서 되려 중국 땅에서 LCK vs LCK 결승전이 펼쳐지는 결과로 끝나게 되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여전히 자국 리그는 여포여도 계속된 국제전 부진으로 기대치가 점점 떨어져간 EDG의 존재감이 약해지기 시작했고, 반면 RNG가 그 뒤를 잇는 'LPL 대표팀' 의 이미지를 가져가게 되었다. RNG는 초창기에 월즈 2연속 준우승을 한 근본도 있고[77] 2015 시즌에 최악의 모습을 보였다가 2016 스프링 우승 이후 출전한 MSI에서 보여준 제법 날카로운 모습, 그리고 2017 시즌 용병을 배제하고 중국인 선수들로만 구성된 순혈팀[78]을 만들면서 이 팀이 월즈에서 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LPL 내부나 해외에서 가장 인상적이고 경계하는 팀으로 인식 되었다. 물론, LPL 최고 인기 스타로, 초창기부터 이름을 날렸지만 2015 시즌 전체 ~ 2016 시즌 초반 무렵 OMG와 QG에서 끔찍한 시간을 겪으며 커리어에 부침이 있다가 RNG와 함께 다시 화려하게 비상한 우지의 지분이 굉장히 컸다.
해외 축구를 즐기는 리그 오브 레전드 팬들은 LPL을 프리미어 리그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어마어마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국제 대항전을 평정하나 싶었으나 최근 몰락 일로를 걷는 EPL의 특성은 LPL과 꽤 유사한 편이다. EPL은 외국인 선수 의존도가 너무 심해서 '홈그로운 제도'라는 토종 장려 정책을 신설할 정도인데, LPL이 이런 면에 맞닿아 있으며 리그의 심각한 용병 의존으로 인해 토종 선수들의 질이 나락으로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는 것도 같다.
물론 LCS NA도 대다수 상위권 팀이 한국인 한두 명을 주전으로 기용하고 있지만, LPL은 한국인을 필수적으로 기용하는 것을 넘어 팀 내 의존도가 압도적이라는 점, 급이 다른 현질로 최상위권 선수들을 쓸어간다는 점이 다르다. 실제로 LPL로 진출한 선수들은 LCS NA로 진출한 선수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이름값이 확실히 높으며, 이들은 클리어러브가 있는 EDG 쪽을 제외하면 예외 없이 고통을 받았다.
즉, 크게 봤을 때 '엄청난 자금력을 통한 용병 영입', '심각한 용병 의존도', '웃음후보' 이 3가지로 주 공통점을 정리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이 세가지는 전부 LCS NA에도 해당된다. 한국에서는 LPL을 EPL로 부른다면 레딧에서는 LCS NA를 EPL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LPL이 아래의 플레이 스타일 면에서 추가적인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면 LCS NA는 축구 종가인 모 나라처럼 롤 종주국이라 카더라.
한편 LCS NA는 비슷하게 과거의 영광 속에 살아가면서 EPL과 치열하게 경쟁하는 세리에 A, ahq가 LCS NA와 LPL 팀 때려잡는 LMS는 파리 생제르맹 FC 하나 믿고 가는 리그 1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ahq = PSG 드립은 레딧 서양 팬들의 작품인데, 그쪽에서는 현질하고 안 풀리는 LCS NA를 EPL이라고 까고 있다. 팬이 G2의 깜짝 우승을 논하면서 레스터 시티에 비유했는데, LCS EU는 EPL만큼 위상 낮은 리그가 아니라는 칼 같은 반박이 들어오기도 했다.
2016 시즌에는 운영을 보강했는데 운영도 개인 기량도 한타도 애매한 모습으로 LCK에게 참패하면서 그냥 거품 리그로 평가받는 중. 그리고 데프트를 제외한 모든 한국 용병들이 기대 이하인 것을 보면 EPL이 아니라 중국 슈퍼 리그가 맞는 듯하다. 월즈가 SKT의 우승으로 끝난 직후 LPL 쪽에서 한국 프로게이머들에게 백지 수표를 내밀며 영입을 시도하고 있다는 카더라 통신도 돌기는 하지만, 어찌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2017 시즌의 결과만 놓고 보면 LCK 팀들이 중국에서 LPL 팀들을 꺾는 망신을 준 셈이었지만, 애초에 LCK와 LPL의 격차에 대한 세간의 평들을 놓고 보면 그런 결과를 내는 것 자체는 당연한 일이었는데, 의외로 그 과정이 쉽지 않았고 저항 역시 생각 보다 더 격렬했다. 특히 SKT와 RNG의 풀세트 경기는 국내 팬덤 사이에서 페이커 5연갈로 전설처럼 남아 있는데, 거꾸로 생각하면 그만큼 빡세고 힘들었다는 소리. 이전까지 LCK와 LPL의 위상을 생각하면 그것만으로도 상당한 의미가 있었고, LPL의 수준이 상당히 올라왔다는 전조 증상이었다고 볼 수 있었다.
어쨌든 2017 시즌 종료 시점에서 보면 LPL에게 2부 리그 및 미래 양강의 잠재력이 있는 것은 맞다. 솔로랭크 선수풀은 넓으나 통합되지 않은 문화권 및 사회민주주의 사회의 부족한 상업성으로 인한 프로 리그 인프라의 부재에 발목잡힌 유럽, e스포츠 흥행은 중국만큼 폭발적이고 자폰도 빵빵하지만 정작 MMORPG 시대부터 고질적으로 부족한 개인 기량이나 사회의 의외로 보수적인 분위기로 인해 스타급 선수들이 잘 배출되지 않는 북미, 도타 시절부터 쌓아온 선수풀과 팬층을 바탕으로 의외의 선전을 보여주지만 전체적인 인구의 한계를 절감하는 대만 등과 비교하면 중국은 분명 자본력과 선수층이 전부 빵빵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행적을 보면 개싸움 메타의 2015 MSI나 향로 메타의 2017 월즈를 제외하면 메이저 대회 실적이 2부 리그라고 보기도 힘들 정도로 형편없는데, 2017 시즌 말의 상승세가 메타빨이 아닌 리그 전체의 질적 향상임을 증명하려면 이후 꾸준한 국제전 성적을 낼 필요가 있다. 그리고...
6.2. 전성기
我们是冠军! 我们又是冠军! 我们总是冠军!
우리가 챔피언입니다! 우리가 또 다시 챔피언입니다! 앞으로도 우승하겠습니다!
LPL의 2018~2019 월즈 우승 당시 중국 중계진 코멘터리
우리가 챔피언입니다! 우리가 또 다시 챔피언입니다! 앞으로도 우승하겠습니다!
LPL의 2018~2019 월즈 우승 당시 중국 중계진 코멘터리
6.2.1. 2018 ~ 2020 상반기
그리고 2018 시즌이 되자마자 RNG가 킹존을 압도하면서 2018 MSI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 개개인의 기량은 물론 밴픽과 전략, 약점으로 지목받던 운영 능력은 향상시키고 장점이던 한타 능력은 더더욱 끌어올려 세계 최고의 팀다운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2018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그룹 스테이지 1위를 달성, 결승에 직행했다. 결승에서 LCK와 5전제까지 가는 혈투끝에 우승하며 명실상부 세계 최고의 리그임을 증명했다. 사실상 과거 LCK가 가지고 있던 만능팀이라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운영 능력은 더이상 LCK와 차이가 없으며 특유의 한타력으로 불리한 상황을 역전해내는 모습을 보여줬다.그러나, 2018 시즌에서 LPL의 약진이 순수 중국인들의 힘인가는 아직은 의문이다. 리프트 라이벌즈에 출전한 4개팀중 한국인이 주전이 아닌 팀은 RNG 뿐이고 IG, EDG, RW 모두 팀의 핵심 전력은 한국인으로 구성돼있다. RNG도 감독과 코치는 한국인이다. LPL 하위팀들의 무의미한 정치 싸움등이 아직 리그의 잠재적 암으로 존재하는 만큼 진정한 중국 순혈팀이 출전하기 전까지는 기존 LCK가 가진 순혈 최강팀의 이미지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도 현실이다. RNG의 경우 처럼 중국 선수들만으로 기량을 뽐내는 케이스가 다수 나오기 전까지는 한국인 선수, 스태프들이 가져다 주는 긍정적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LPL이 2018 리프트 라이벌즈가 끝난 이 시점에서 가장 강한 리그인 것은 틀림없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어느 지역이 최강인가는 리그를 기준으로하지 국적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 IG, EDG, RW가 한국인 선수 캐리가 많던, RNG가 손대영 감독이 이끌어서 성장했건 현재 LCK보다 LPL이 강세임에는 틀림 없다. 당장에 국적을 기준으로 하는 대회는 아시안 게임[79]뿐이다.
그리고 대망의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이 한국을 결승에서 그야말로 3:1로 압도했다. 오로지 국적만을 따진 국가대표의 타이틀을 가지고 펼쳤던 승부였던만큼 순수 중국의 힘도 강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동안 LPL은 정글이나 바텀은 강하지만 솔라인은 한국인 용병들에게 의존하는 모습이 강했지만 순수 중국 선수들만으로도 강하다는 걸 입증했다. 이 대회가 중국팀에게 중요했던건 2022 아시안 게임이 중국에서 열리고 e스포츠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데 중국이 주도하여여 푸시 중이기 때문에 중국 대표팀의 성적이 그만큼 중요했다.[80] 이 때문에 단순히 스프링 상위 5팀에서 각각 지원자를 받아서 선수 선발을 하고 코치진은 단 두명만 데려간 한국팀에 비해서 중국팀은 현 최강의 팀인 RNG에서 대부분의 선수를 차출하고 손대영 감독을 비롯해 다수의 코치진을 대동한 정예의 맴버로 팀을 꾸렸다. 중국팀의 이런 과감한 투자는 MSI와 리프트 라이벌즈와는 성격이 다르고 아직 시범 종목이지만 아시안 게임 최초 금메달이라는 결실을 맺엇다.
이제 LPL이 2018 시즌 최고의 리그라는 타이틀을 가지기 위해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하나만을 남겨 두고 있다. LPL에게 이번 월즈 의미가 크다. 일단 2017 시즌 안방에서 열린 월즈의 4강에서 RNG와 WE가 SKT와 삼성 갤럭시에 패하며 화려하게 준비한 결승 무대를 LCK 내전으로 만드는 치욕을 겪었다. 2018 시즌은 반대로 한국에서 월즈가 열리는 만큼 LPL팬들은 복수 해주길 바라고 있다. 그리고 월즈는 LoL e스포츠에 있어서 최고 위상의 대회다. 비록 MSI와 리프트 라이벌즈를 우승한 LPL이지만 결국 월즈를 우승하지 못하면 2015 시즌 같이 아무도 LPL이 2018 시즌 최고의 리그라고 하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RNG를 최고의 팀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이번만큼은 언더독이 아닌 탑독의 위치에서 임하는 만큼 월즈 우승의 최고 적기라 할 수 있다.
월즈 8강까지는 의외로 LCS EU에게 고전하며 위기를 맞았다. LPL 3팀을 모두 8강에 올리며 월드 챔피언십에서 LPL이 처음으로 LCK보다 많은 8강 진출팀을 배출하는 기록을 세웠지만, 그룹 스테이지에서 IG가 프나틱에게 2번 지더니 우승 후보 RNG가 8강에서 G2에게 패해 탈락하는 이변이 일어났고 EDG마저 프나틱에게 탈락하며 4강에는 IG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그 IG가 4강에서 G2를, 결승에서 프나틱을 3:0으로 격파하며 우승하였다.
2019 시즌에는 작년 최고의 리그라는 평가가 무색하게 월즈 전까지는 국제 대회에서 부진했다. 스프링 우승팀 IG가 MSI에서 조별리그 9승 1패라는 훌륭한 성적으로 1위를 차지했으나 4강전에서 TL에게 1:3으로 패배하며 3부 리그로 위상이 떨어지더니 리프트 라이벌즈에서는 LCK에게 종합 2승 6패로 완패를 당하며 작년 1부 리그였던 LPL이 1년도 안 되어서 4부 리그 소리를 듣게 되었다.
그러나 본 무대인 월즈에서는 RNG가 죽음의 조를 만나 조별 탈락한 가운데, IG와 FPX가 8강에서 각각 그리핀, 프나틱을 꺾고 4강에서 내전을 성사시키더니 여기서 승리한 FPX가 시즌 그랜드슬램까지 한 발짝 남았던 G2를 3:0으로 격파하면서 LPL이 2년 연속 월즈 우승에 성공했다. LPL의 첫 월즈 로열 로더가 탄생한 것은 덤.
2020 Mid-Season Cup에서는 A조의 T1와 담원을 죄다 전멸시켰고, 맛이 간 IG는 전패하면서 탈락했지만 징동이 2등으로 올라가는데 성공하고, TES가 젠지를 3:0으로 박살내면서 결승 내전을 만들었고 LCK 상대 8승 4패, 2패는 맛이 단단히 간 IG라는 것을 생각하면 LCK에게 완승을 거두면서 1부 리그의 지위를 굳히는데 성공한다.
이 2년 반동안의 LPL의 위상은, 몰락한 LCK와 성장한 LEC, LCS를 모두 제쳐내고 국제대회를 쓸어담으며 단연 부정할 수 없는 1황 자리에 위치해있었다.
6.3. 과도기
6.3.1. 2020 하반기 ~ 2022 상반기
정리하자면 아킬레우스와 거북이처럼 LPL과 LCK가 치고 받지만 LPL이 근소하면서도 좁힐 수 없는 절대적인 차이로 우위를 굳혀나가고 있다.10주년 기념으로 중국에서 열린 2020 월즈에서 담원에게 LPL 최후의 팀 쑤닝이 패배하면서 LCK의 홈그라운드 한국에서 열린 2018 월즈에서 1부 리그의 지위를 넘겨받았던 것처럼 이번에는 본인들의 홈그라운드 중국에서 LCK에게 다시 1부 리그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성적만 따지면 8강 3팀, 4강 2팀, 최종 성적 준우승으로 아주 나쁘지는 않았지만, 막상 내실을 따져보면 여러 팀이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며 1부 리그 자리를 다시 내줬다. 여기에 한국인 용병이 없는 중국인 순혈팀으로는 월즈를 우승하지 못한다는 조롱만을 받게 됐다. 이전 시즌들을 거치면서 1부 리그의 운영 국가답게 중국 순혈 선수들이 많이 성장했고 용병들의 의존도를 낮췄지만, 여전히 용병 의존도가 심하며 갈 길이 멀었다는 걸 LPL 스스로 방증해 보인 셈이다. 중국인 본인들도 이를 다 인정하고 있는지 자학개그를 하기도 한다. 참고로 이 외에도 카더라에 의하면 중국 커뮤니티에서 한국인 용병에 대한 일반적인 평은 "비싼 용병의 단점은 비싸다는 것 뿐"이라고 한다.
그래도 2021 MSI에서 순혈팀 RNG가 담원과의 결승에서 5세트 접전 끝에 다시 한 번 우승을 차지하며 LPL의 자존심을 지킴과 동시에, LCK와 1부 리그를 놓고 다시 대립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럼블 스테이지를 포함하면 담원에게 5승 2패로 우위를 차지하는 등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였다. 럼블 스테이지에서 뜬금없이 PSG, C9, 매드에게 1경기씩 압살당하며 3패를 찍은 건 불안요소였지만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좋은 기량을 보여줬다. 다만 2021 MSI에서 RNG가 일정 수혜를 받으며 큰 논란이 생기기도 했다.
2021년 9월부터 중국에서 초강력 셧다운제가 실시되면서 부정적 전망이 커지고 있는데, 설상가상으로 월즈에서도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강력한 우승후보로 평가받던 FPX가 조 최하위로 떨어지는 수모를 당했고, MSI를 우승한 RNG 역시 EDG와 자강두천급 최악의 내전을 벌인 끝에 8강에서 떨어졌다. 4시드인 LNG도 본인들 스스로 8강 진출 기회를 날리고 조별 리그에서 탈락해 플레이-인에서의 고평가에 비하면 아쉬운 성적으로 마무리하면서 결국 1시드인 EDG만 생존해서 4강에 올랐다.[81] 하지만 애초에 EDG의 주축은 한국인 용병인 스카웃과 바이퍼라서 이번에도 한국인 용병 없이는 월즈 우승 못한다는 말을 피할 수 없게 되었으며, 심지어 올라오는 과정에서의 경기력조차 예전에 비해 심각하게 퇴보한 상황이라 전보다도 평이 더 안좋아진 상황이다.
그러나 4강전에서 젠지를 3:2로 꺾고, 결승전에서도 담원을 3:2로 제압하면서 1부 리그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마치 작년과 정반대인 상황으로, EDG를 제외하면 나머지 세 팀은 각각 시드 순으로 16강(조별 탈락), 8강[82], 16강이라는, 1부 리그 치고는 만족스럽지 않은 상황. 그래도 EDG는 우승을 끝내 차지하며 작년 담원이 그랬듯 LPL의 위상을 높이는데 성공했다.
2021년의 결과로 위상이 재정립되었다. 2020년 하반기 월즈를 담원에게 내주었으나 상술한 여러 상황으로 LCK는 담원 원툴이다라는 의견도 일부 있었고, 실제 그러한 담원을 MSI에서 꺾어냈지만, 월즈에선 LPL과 LCK의 역할이 작년과 정반대로 바뀌어버리며 더이상 LCK에게 담원 원툴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어쨌든 MSI와 월즈를 모두 가져오며 2021년의 1부 리그 자리를 획득했지만, 월즈에서 LCK의 재약진은 분명 그 자리가 영원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따라서 당분간은 두 리그가 1, 2부 리그 자리를 양분해나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2022 MSI에서도 LCK 전승우승팀 T1을 비록 원격참여 관련 갖은 잡음이 있었지만[83] RNG가 풀세트 접전 끝에 꺾어내면서, 1부와 2부의 격차가 크지는 않지만 그 격차는 쉽게 뒤집히지 않고 있다. 어쨌든 MSI에서는 중국/중화권 순혈 RNG가 세 번의 우승을 차지했지만, 그나마 월즈에서는 항상 3중국/2한국 용병팀들만 LPL 소속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리다 보니 선수 국적 상으로 간신히 균형이 맞춰지는 정도고 2018년 이래 LCK가 쉽게 리그 단위의 균형추를 LCK 쪽으로 당겨가지 못하는 분위기다.
6.3.2. 2022 하반기 ~ 2023 상반기
그러나 2022 월즈에서 TES는 그룹 스테이지, RNG와 EDG는 8강, JDG의 4강을 마지막으로 모든 LPL 팀이 탈락하는 대참사가 벌어지고 말았다. 2022 월즈에서 LCK 상대 전적이 세트 7승 15패, 녹아웃 스테이지 매치 3전 전패라는 심각한 성적표를 받아들이며 팀 단위로나 리그 단위로나 모두 추월당하고 말았다.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마치 2020 시즌 LCK가 "2020 담원이 유달리 강했던 것이지, 리그 전체의 수준은 LPL 이하"라는 평가를 받았던 것처럼, 2021~2022 LPL은 "2021 EDG가 유달리 강했던 것이지, 리그 전체의 수준은 LCK 이하"라는 평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84] 하다못해 2020 담원과 2021 EDG는 해당 시즌 월즈에서 우승하며 세체팀에 등극하기라도 했는데, 2022 시즌 LPL 1시드이자 유력 우승후보로 꼽혔던 JDG는 결승 진출은 고사하고 4강에서 T1에게 탈락하여 2021 시즌처럼 최소한의 체면치레조차 할 수가 없었다.
특히 디펜딩 챔피언 EDG의 8강 탈락, TES의 그룹 스테이지 탈락과 배당 3위 안에 들던 우승후보 JDG의 4강 탈락은 LPL 입장에선 실낱같은 희망조차 바스라진 악몽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RNG의 8강 탈락이야 원래 RNG는 스프링에 물이 오르고 서머만 되면 귀신같이 꼬라박는 팀이라는 인식이라도 있다. 하지만 엄연히 메이저 리그의 2시드 팀인 TES는 2021 시즌 FPX가 빙의한 것마냥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해 다데상 유력 후보로 선정되는 굴욕을 당했고, EDG는 디펜딩 챔피언임에도 LCK 4시드인 DRX를 상대로 5꽉 혈전 끝에 패배해 DRX의 경험치가 되고 말았으며 서머 우승팀인 JDG조차 LCK 2시드인 T1에게 서열정리를 당했으니 LPL 전체가 LCK에 비해 수준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가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LPL의 마지막 희망이던 JDG는 그룹 스테이지에선 담원을 상대로 순위 결정전에서 승리를 따내고 8강에선 로그를 3:0으로 박살냈지만 결국 4강에서 T1이라는 벽을 넘지 못했다. 나름 분전했지만 확연한 기량 차이를 보이며 1:3으로 패했다.
그렇게 2022 시즌에 처참하게 무너진 LPL은 LCK의 특급 원딜 룰러를 영입하는 등의 대대적인 정비 과정을 거쳤고, 실제로 2023 Mid-Season Invitational에선 LPL 팀이 모든 LCK 팀을 탈락시키는 쾌거를 이룩했다. 마치 작년 월즈에서 LCK 결승 내전을 치렀듯 MSI에서 LPL 결승 내전을 성사시키며 작년 월즈에서 입은 상처의 복수를 완벽하게 성공했다. 특히 LPL이 LCK와의 다전제 3번에서 모두 승리했고, BLG는 T1과 GEN를 완벽히 제압하는 등 LPL의 압도적인 기량을 보여줬다.
6.4. 쇠퇴기
6.4.1. 2023년 하반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5년[85] 만에 한국과 중국 국가대표팀이 맞붙었고, 중국 대표팀은 한국 대표팀에게 세트 스코어 2:0으로 압살당해 항저우 주경기장이 순식간에 항저우 도서관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한국 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한 징동 소속의 룰러와 카나비의 압도적인 퍼포먼스로 인해 LPL 입장에선 다가올 2023 월즈에 충분히 기대를 걸어볼 상황이 됐다. 실제로 2023 월즈에서는 LPL 4팀이 모두 녹아웃 스테이지 8강에 진출하며 LPL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출전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다. 게다가 LCK 1시드이자 징동의 유일한 대항마로 꼽히던 젠지가 8강에서 BLG에게 꺾였고, LPL 1시드이자 압도적인 우승 후보로 거론되며 골든 로드를 노리던 징동은 분전하던 KT를 8강에서 제압했으며 4시드 웨이보 역시 대진운 덕에 4강에 진출해 역대 최초의 4강 4LPL도 가능해졌다.하지만 T1에게 1~4시드가 모두 차례대로 패배하며 1시드 징동은 골든 로드 달성에 실패했고 LPL은 최종 준우승에 그쳐야 했다. 8강 T1전까지만 해도 LPL 역사상, 아니 월즈 역사상 단일 리그 최고 성적도 가능하다는 기대가 많았으나 T1에게 모두 패배하며 수포로 돌아가 버렸다. 그래도 LPL이 우승은 놓쳤을지언정 T1을 제외하면 LPL이 전체적인 성적을 보았을 때 LCK보다 확실히 우위에 있었다는 평가가 많다.[86] 특히 LPL의 코칭스태프의 능력이 LCK에 비해 뛰어나다는 평을 받으며 나름 긍정적인 마무리를 했다.
그러나 한편 LPL의 고질적인 문제인 한국인 용병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는 점이 부각됐다. 기대를 받던 LPL 순혈 선수들이 월즈에서 모두 무색무취의 모습을 보여준 가운데, 한국인 용병들의 쓰로잉으로 게임을 내준 경우가 꽤 있어[87] 용병을 탓하는 쪽도 있지만, 반대로 한국인 용병들의 메이킹과 캐리력이 없었다면 LPL 순혈 선수들은 승리를 가져올 만한 무언가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하다.[88]
6.4.2. 2024년
2024년 들어 중국공산당의 한한령이 심화되면서 e스포츠계에서도 LPL 내 한국인 선수의 노출을 제한하는 조치가 취해졌다. 그리고 2024 스프링에서 리그 디펜딩 챔피언 징동의 기량이 떨어지면서 리그 결승전 및 MSI 출전 팀이 2년 만에 모두 중국인 선수들로 구성되는 상황이 발생했고, 그 결과 MSI에서 LPL 1시드 BLG는 젠지에게 패배해 준우승에 그쳤고 2시드 TES는 5~6위에 머물러[89] 7년 만에 LCK에게 MSI 우승을 빼앗기게 되었다. 작년과 달리 LCK와의 격차가 벌어졌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고, 다시 한 번 중국인 순혈 팀에 대한 비판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특히 미드에서는 LCK에게 확연히 밀렸는데, 중국인 토종 미드 라이너 나이트와 크렘이 쵸비에게 라인전 체급에서부터 압도당하며 LPL 팀들이 미드는 여전히 한국인 용병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을 드러냈다. BLG는 그나마 T1을 이기며 체면을 세웠지만 TES는 T1이나 젠지도 아닌 LEC 팀 G2에게 스윕패하며 패자조에서 탈락, 2017년 이후 LPL 역사상 최악의 MSI 성적을 기록했다.이후 각 4대 리그의 MSI 진출팀들이 출전한 e스포츠 월드컵에서 BLG와 TES가 출전하였으나, 두 팀 다 T1에게 막혀 준우승을 달성하게 되었고 MSI에 이어 LPL의 국제전 악몽은 계속되었다.
2024 월즈 결승에서는 LPL 1시드 BLG가 스위스 스테이지 내내 휘청이긴 했지만 LCK 4시드이자 디펜딩 챔피언 T1을 상대하게 되었다. 만약 우승에 성공하면 3년 만에 LPL이 트로피를 탈환하게 되고, LPL의 저승사자라 불리는 T1과 페이커를 상대로 가장 높은 무대에서 첫 승리를 거두는 셈이며 그토록 바래온 중국인 선수만으로 구성된 팀의 첫 우승이라는 의미도 갖게 된다. 그러나 패배한다면 안 그래도 경제난과 스타 플레이어 부재로 상태가 좋지 않은 LPL 시장과 분위기는 크게 저하될 것이다. 결국 BLG가 풀세트 접전 끝에 또 다시 T1에게 패배하면서 LPL의 오랜 염원은 이뤄지지 못했고 LPL은 더더욱 큰 위기를 맞이하게 됐다.
안 그래도 2021년부터 시행된 중국의 청소년 게임규제로 LPL 유스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됐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프로게이머는 선수 생명이 짧고, 주로 피지컬이 좋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을 흔히 전성기로 평가하는데 주말에 정해진 1시간만 게임이 가능한 중국식 초강력 셧다운제는 유스 선수의 데뷔는 고사하고 연습조차 불가능한 환경이다.[90] 여태까지는 셧다운제 실시 이전의 경험이 있던 유망주들로 어찌저찌 버텼으나, 규제 시행 4년이 넘어가면서 새로운 루키의 등장은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2024 ASCI에서 4강에 LCK CL 팀만 4팀이 진출하면서 2군간의 수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는 의혹이 나오는 중이다. 그나마 2024 한중일 e스포츠 대회에서는 중국이 우승했지만, 중국 측에서 미성년자 나이 제한을 이유로 한국 팀 선수 2명의 출전을 거부하는 바람에 한국은 선수가 급히 교체된 데다가 중국은 단일 팀 멤버 5명을 출전시켰고 거기에 경기 중 한국 측의 발밴픽[91]이 겹치며 벌어진 참사라는 분석이 강하다.
또한 LPL의 수익에 직결되는 뷰어십 부분에서 2023 시즌의 30%까지 떨어지며 리그와 구단의 수익 부분에서 직격탄을 맞고 있다.[92] 뷰어십 하락의 원인은 2022 시즌부터 시작된 시즌 결산 대회 월즈에서 우승 실패가 지속되고 있고, 2024 시즌에는 그래도 방어하던 MSI마저 LCK에게 빼앗기며 지속적인 국제 대회 우승 실패로 리그를 이끌어갈 새로운 슈퍼스타를 탄생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93] 우지, 더샤이 등 리그의 뷰어십을 챙겨주던 슈퍼스타들이 은퇴, 휴식을 선언하는 가운데 세대교체의 실패로 뷰어십 부분에서 2024 시즌부터 고난의 행군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공산당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LPL 구단 특성상 게임은 정신적 아편이라는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과 더불어 시진핑의 '다같이 잘살자(共同富裕)' 국정 기조로 인해 프로게이머의 높은 연봉과 화려한 생활은 점점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 상술한 악재에 더불어 2020년 이후 중국의 심각한 경제난으로 구단에 붙는 스폰서쉽이 절반 이하로 급감하고, 구단들도 지출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LPL의 가장 큰 장점인 자금력이 큰 타격을 입을 것[94]으로 보인다. 아러 역시 재능 있는 신인들이 프로가 아니라 대리를 한다고 밝혔다.
결국 모든 국제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하였지만 젠지와 T1에게 MSI, e스포츠 월드컵, 월즈를 모두 내주면서 2024년도 국제 대회 3연준을 달성하는 대참사가 일어나며 LCK에게 확실히 1부 리그 자리를 내주었다.
6.4.3. 2025년
2025년은 실질적으로 LPL에게 가장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2025 월즈가 자국에서 개최되기에 2023~2024년의 실패를 겪었음에도 몇몇 LPL 팀들이 투자를 천명하여 전력 강화를 통해 월즈 우승을 위한 슈퍼팀을 만들고 싶어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었다. 실제로 드러난 윤곽으로 본다면 BLG[95], IG[96], TES[97], 징동[98], AL[99]과 같이 월즈 우승까지 노려볼 만한 강력한 로스터라는 평을 받을 정도의 팀들이 만들어졌기에 자국에서 개최되는 월즈의 결과에 따라 쇠퇴하던 분위기에 쐐기를 박게 될지, 영광을 쟁취하여 다시 살아날 발판을 마련할지 대단히 중요해질 전망이다.다만 상위 6팀에 모든 로스터가 쏠리고 LCK의 플레이-인 신설로 인한 동부 팀의 머니 게임으로 용병 유출, 셧다운제로 인한 유스 풀 멸망으로 지속적으로 우려받았던 리그 질적인 하락이 드디어 시작되어 RNG, WE, UP 등 2024 OK브리온, 2023 KOI에 맞먹는 최약체 로스터나 LGD, FPX 등의 탱킹 로스터 등이 나오면서 도인비가 한 경고가 절대 허상이 아님이 드러났다. 나머지 중하위(OMG, TT)~중위권 팀(LNG, NIP, EDG)의 전력도 그리 좋지 못하기 때문에 2025 월즈에서도 우승에 실패할 경우 2021 시즌부터 고꾸라지고 있는 LEC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LPL의 몰락은 현재 LEC의 몰락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는 LoL e스포츠에 더욱 심각한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
리그 상황과 별개로 2025년부터 리그 규모를 줄이기 위한 바이백 신청을 받았는데, 첫 번째로 RA가 선정되어 2024년 11월에 팀 해체를 선언했다. 2025년 후에는 2개 팀의 바이백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7. 실버 드래곤 컵
8. 경기장
Hangzhou LGD | Sichuan OMG | Beijing JDG Intel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저장성 항저우시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쓰촨성 청두시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베이징시 |
LGD Allied Esports Stadium Hangzhou Esports Town | DOUBLE-G Stadium Fanmate Creative Art Area | Legion JDG Esports Center 24 Hours Gear Factory C & C Park |
Suzhou LNG | Xi'an Team WE | 공용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장쑤성 쑤저우시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산시성 시안시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상하이시 |
Yangcheng International Esports Center | Xi'an Qujiang E-sports Center | Hongqiao World IE Hub - LPL Arena |
9. 여담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한 Royal Club의 서포터 웡박칸의 폭로로 인해 1류급 선수들의 연봉이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개인방송을 하는 유저의 수입보다도 적다는 등 매우 열악한 환경임이 드러났었다. 이후 팀들의 투자로 인해 선수들에 대한 대우는 전세계에서도 최상급으로 올라갔으나[100], 이것도 사실 팀에서 주는 페이라기보단 사실상 팀과 계약하고 있는 중국 내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주는 돈에 가깝다고. 이래저래 스트리밍 사이트가 지배하고 있는 판이라고 할 수 있다.[101] 하지만 날로 리그가 커지면서 LPL도 1부 리그만큼은 다른 빅리그만큼이나 안정적이고 프로페셔널한 환경과 구조를 구축하게 되었다. 큰 경기의 경우 중국 내에서만 수천만명이 시청할 정도로 인기 프로리그로 발돋움하였다.
- 한국에서는 원래 나이스게임TV에서 중계하고 있었으나 한두시즌만에 중계를 포기했다.[102] 이후 아프리카TV에서 중계권을 따려는 시도를 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무산되었다가 2016 시즌부터 중계권을 얻었다. 이로써 한국인들의 접근성은 가까워진 편. 여기서 중계를 볼 수 있다. 최초 중계시 캐스터는 목금에는 이동진 금, 토에는 박상현이다. 해설은 강민, 고수진이다. 이후 시즌마다 중계진에는 변동이 있는 상황. 기본적으로 전경기를 한국어 중계하지는 않고 한국인 용병이 있는 팀이나 명문/강팀간의 경기를 위주로 한국어 중계를 한다.
- 글로벌 중계는 LPL에서 자체적으로 하고 있지 않고 2015 시즌부터 라이엇 호주 지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따로 옵저버 화면을 따와서 진행하고 있으나, 회선이 워낙 안 좋은지라 한경기에서도 수십 번씩 튕겨대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덕분에 옵저버 화면을 2개 준비해놓고 한쪽이 튕기면 재빠르게 다른 옵저버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진행중. 뭔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피눈물나게 진행되고 있긴 한데 중계진들의 실력이나 인기가 그다지인지라 서양쪽에서도 결승전을 제외하면 거의 챙겨보는 사람은 없는 편이다.
- 이후 점차 리그가 커지고 수준이 올라오면서 열악했던 환경이 발전하여 2020년 전후 기준으로는 트위치와 유튜브를 통해 영어 해설진이 중계를 하고 있으며 베트남어 등의 중계도 있다. 다른 빅리그 중계와 큰 차이는 없으나 여전히 다른 빅리그에 비해서는 해외 팬덤이 다소 작은 편이라 시청자수는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LEC나 LCS 등의 영어 중계진에 비해 다소 해설 실력이나 말솜씨 등이 떨어지는 2진급 해설들이 배정되는 경향이 있어 중국어를 하지 못하는 국내 LPL 팬덤의 원성을 사는 중.
- 메타의 흐름을 살펴보자면 원래 쥐죽은 듯이 파밍만 하면서 힘을 키워 후반 한타에서 크게 한번 붙은 뒤 게임이 끝나는 파밍 + 한타 메타였으나, 여럿이 몰려다니는 로밍과 다이브 등으로 초반부터 이득을 보는 스타일의 OMG가 등장한 이후로는 극단적으로 소규모 교전 중심의 다이나믹한 스타일로 바뀌었다. 반면 오브젝트를 관리하는 운영적인 면에서는 전통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인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
2015 Mid-Season Invitational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
- 예전엔 자신들의 지역 대표가 국제 대회에 출전할 때 매우 저렴해보이는 대표팀 유니폼이 지급되었다. LPL 팀들 대부분이 프로게임팀을 운영하기 위한 기업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가 많고, 덕분에 유니폼에 스폰서 배너가 붙지 않았었던 덕에 가능한 일이였는 듯. 다만 실제로 대회에서 입을지 말지는 출전팀과 선수들의 자유였던 듯하다.
- 한편 LPL의 위상이 높아진 이후 리그 오프닝이 LCK의 오프닝과 같이 언급되곤 하는데, 흔히 OGN 감성이라고 대표되는 LCK의 감성과는 다소 다르다. LPL은 보통 무협지 감성의 오프닝을 제작하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익숙지 않아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가 잦다.
- 2020년부터 LPL 명예의 전당을 만들었다. #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1] 한어병음: yīngxióng liánméng zhíyè liánsài/한국 한자음: 영웅연맹직업연새[2] 상하이에 위치해 있으며, 홈 경기장이 없는 팀은 이곳에서 경기를 치른다.[3]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영웅연맹직업연새(英雄联盟职业联赛)를 뜻한다.[4] 새는 경기, 대결 등을 뜻하는 한자이며, 연새란 연이어서 치르는 경기, 즉 리그전을 뜻한다.[5] 가장 대표적 예시를 들어보자면 2021 LCK 스프링에서 상금 구조가 1등에서 4등까지만 상금을 주는 구조로 개편되기 이전인 2020 서머까지는 LCK, LCS, LEC의 우승 상금을 합친 것보다 LPL의 우승 상금이 더 컸다.[6] 그러나 이 자본력조차도 LPL이 위라고 보는 게 맞다. 왜냐하면 LCK, LPL, LCS에서 모두 있어본 빠른별의 증언에 의하면 LPL은 세금을 다 내주는 반면 LCS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해당 영상의 2분 4초부터 2분 19초를 참고하자.[7]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기준 전 세계 최고 동시 시청자수가 7,400만 명 가량이었는데, 여기서 중국 시청자를 빼면 400만 명 정도로 급감한다.[8] 동부 지역에서는 한국 서버 접속 시 핑이 30대 정도로 나오는데, 이 정도면 한국에서 돌리는 것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안 나는 수준이다.[9] 엄밀히 따지면 LCK는 자국 선수 풀도 이미 과포화 상태라 타 리그의 선수를 굳이 영입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쪽이 정확하다. 모든 팀의 로스터가 용병 없이 자국 선수로만 구성된 리그는 메이저 중에는 LCK가 유일하고 마이너 리그에서도 손에 꼽는다. 그리고 그 용병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리그가 LCK다. 물론 그와는 별개로 영입 경쟁에 있어 자본력을 앞세우는 LPL을 비롯한 타 메이저 리그에 비해 불리한 건 사실이다.[10] 때문에 한국에서는 경기를 보지 않고 'XX가 속해있는 YY팀이 승리했다 → XX가 잘한다' 정도로 단순히 생각해 버리는 사람들도 많다.[11] LPL뿐만이 아니라 다른 리그도 바닥을 깔아주는 노답 팀들은 늘 있지만, 10개 팀 체제에서는 주목도가 높은 볼만한 팀들이 이런 팀들을 시원하게 두들겨 패는 전개도 적지 않게 나온다면 팀이 많은 LPL에서는 서로 주목도가 떨어지는 노답 팀 vs 노답 팀의 대진이 꽤 자주 나오는 편이다.[12] RNG, IG, FPX, EDG, 징동, 웨이보, TES, BLG 같은 팀들[13] MVP 공식 시상 시작[14] 15년에 신설된 부문으로 팬 투표로 진행된다[#1] 1시드[#2] 2시드[#1] [#2] [#2] [#3] 3시드[#1] [#2] [#1] [#3] [#1] [#3] [#2] [#2] [#1] [#3] [#2] [#1] [#3] [#1] [#3] [#2] [#3] [#1] [#2] [#4] 4시드[#1] [#3] [#2] [#4] [#1] [#3] [#2] [#4] [#4] [#1] [#3] [#2] [#1] [#4] [#2] [#3] [57] 그래도 LPL이 점점 상체 위주로 게임이 변하면서 퍼프나 한국 용병인 로컨과 같은 안정적인 선수들도 몇 나오고 있다.[58] 전성기의 벵기나 앰비션, 스코어, 더 거슬러 가면 클템과 같이 팀 차원에서 운영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정글러 선수는 굉장히 희소한 재원이다. 그리고 역대 중국인 선수들 중에서 그러한 부류를 찾게 되면 클리어러브, 티안, 웨이가 가장 이에 부합하는 사례가 된다.[59] 딜러 라인이 피지컬 강한 선수들이 즐비하니 이들을 받쳐주는 역할로 서포팅형 선수들이 대세화 되었다고 볼 수 있고, 아니면 LPL로 이적한 용병들이 아웃복싱이나 팀 파이팅에 특화된 에이콘이나 루퍼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60] 다만 LCK도 프렌차이즈화 이후 한화생명같은 대기업 자본의 등장, 리브샌박, DRX같은 금융권 스폰을 낀 팀들이 등장하면서 LCK의 자본이 열악하다는 것도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사실 LCK 내에서도 전통의 강호인 T1이나 KT, 젠지 같은 경우에는 예전부터도 자본력이 약하다고 보긴 어려웠다. 반대로 LPL도 리그 수준이 올라가면서 사실상 구단주 개인의 자본으로 움직이던 예전의 주먹구구식 팀 운영에서 밧어나서 대기업 자본을 끼고 운영되는 징동이나 LNG, BLG 등이 체계적인 육성 시스템과 능력있는 코치진을 영입하며 리그의 주도권을 잡아가는 등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61] 그렇다고 LPL이 원딜을 등한시하게 된 것은 절대 아니다. 실제로 8.11 패치 당시에 원딜 캐리력이 하락했을 때도 LPL은 원딜 챔피언 자체는 꾸준히 기용해왔고, 이후로도 LPL은 비원딜 전략을 잘 사용하지 않았다. LCK도 필요할 때는 심심찮게 비원딜을 기용하고, LEC는 비원딜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것과는 대조적. 다만 이전의 우지, 데프트, 임프, 미스틱처럼 원딜 슈퍼스타를 팀 전체가 시팅하는 전략 대신 상체를 보좌하는 최후의 보험 같은 역할로 바뀐 것으로 볼 수 있다.[62] MSI는 국제대회 기간이 짧아 메타 적응 속도가 Worlds 보다 중요하다. 메타를 빠르게 파악한 LPL이 빠르게 적응도를 올려서 초반부터 기세를 잡으면 그 기세를 뒤집을 기회가 없다. 2018시즌 RNG의 우승 이후 2021~2023시즌(2021, 2022 두 시즌은 RNG의 특혜 논란을 감안하더라도) MSI 기간에 LCK팀들을 경기력으로 잡아먹으며 우승했다.[63] 특히 팀 체급에 가장 영향력이 큰 미드와 인게임 플레이에 방향성을 결정하는 정글이 전성기에 비해서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64] 스카웃, 바이퍼를 필두로 강력한 체급을 보유했던 21 EDG를 제외하면 Worlds에서 결국 LCK를 넘지못하는 상황이 지속되는 중이다. LCK팀들이 메타에 적응한 이후 다른 방식으로 카운터를 준비하면 부진하기 시작한다. 이게 가장 드러났던 대회들이 메타 자체가 조커픽을 쓰기 쉽게 OP 챔피언이나 아이템이 없어서 온갖 챔피언들이 상황에 맞추어 등장했던 2022시즌, 후반 밸류 메타로 진행을 거부하고 초반 주도권, 스노우볼링 위주로 메타를 대회 중반부에 뒤집은 T1이 등장했던 2023시즌으로 2022시즌은 LPL팀들이 JDG를 제외한 모든 팀들이 대회 내내 부진했고, 2023시즌은 메타가 뒤집힌 8강 T1 vs LNG 전을 시작으로 LPL팀들의 경기력이 그 이전보다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65] 오히려 LCK 출신인 윤성영 감독이나 양대인 감독의 평이 꽤 좋은 편이고 LPL 출신 감독을 보유한 BLG가 좋은 성적을 내면서 LMS 출신 코치진에 대한 평판은 더 박해지고 있다. 극단적으로는 망한 동네 보트피플 급으로 평가하는 시선도 적지 않은 편.[66] 당장 PDD나 웨이샤오 같은 1세대 레전드들도 LPL 팀들과는 거리를 두는 모양세고 LPL의 리빙레전드인 우지도 코칭스테프보단 선수경력을 이어가랴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67] 이에 반해 LMS 출신들은 리그가 망해버리는 바람에 선수로든 코치로든 가까운 리그로 넘어갈 수밖에 없는데 리그 기반이 연약한 PCS나 VCS보다는 그래도 세계적인 인프라를 갖춘 LPL쪽으로 많이 넘어오는 편이다.[68] 이와 별개로 이전 시대 최강이었던 WE가 나름 LCK 팬들에게도 이미지가 좋았던 것과는 달리, OMG는 국제 대회에서 퍼즈 공격 같은 비매너 사건들이 왕왕 있었던 지라 한국 내에서 이미지는 별로였다.[69] 2020 시즌 시점에서 LCK는 여전히 다른 리그보다 자본적으로는 떨어지는 편이지만, 그래도 최악의 한두팀을 제외하면 어느정도 안심하고 시즌을 돌릴 수 있는 정규시즌 시스템에 더불어 나름대로 연봉도 판이 커져 상징성이 높은 페이커를 제외한다고 쳐도 리헨즈, 기인 같은 선수들이 10억에 가까운 연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당시에는 리그는 한 경기만 잘못하면 끝장나는 토너먼트제였고 선수들 연봉도 훨씬 적었다.[70]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유명하지만, 2015 시즌에 LPL에서 WE의 감독을 맡았던 경험이 있다.[71] LPL 연간 어워드에서도 2014 시즌에는 스프링과 서머를 모두 우승했지만 올해의 팀은 OMG의 차지였다. 그러나 2015 ~ 2016 시즌은 EDG가 연속으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72] 다만 더샤이 본인 말로는 이때 WE 소속으로 프로필에 나오긴 해도, IG에 들어가기 전엔 실질적으로는 이름만 걸어놓은 수준이었다고 한다.[73] LPL 쪽에서는 2015 시즌 말 무렵부터 이전 OGN에서 여러가지 연출과 LCK의 스토리텔링을 담당했던 원석중, 위영광 PD 등 국내 제작진을 영입하며 노하우를 이식했다. 그런 영향도 적지 않을 듯.[74] 변명만은 아니었던 것이, 가장 일정이 늦었던 LPL인지라 브라질 현지에 가장 늦게 도착한 팀이 WE였다.[75] 결과적으로 이 당시의 리프트 라이벌즈 LPL과의 풀세트 승부를 마지막 불꽃으로 LMS는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76] LPL 2팀이 각 조 1위로 올라간것은 2017 월즈가 처음이다.[77] 다만 족보가 워낙 복잡하게 꼬여 있어서 라이엇에서는 정식으로 당시 월즈 준우승을 RNG의 것이라고 인정해주진 않는다. 이와 별개로 게임단 내에서는 스스로의 역사로 받아들이고 있고 당시 월즈 결승에 진출한 멤버들도 팀 레전드 대우를 하고 있다.[78] 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표현이고, 중국 내에서는 전화반(全华班)이라는 표현을 애용한다.[79] 아직 정식 종목도 아니며 북미, 유럽 등 비아시아 지역은 참가도 못한다[80] 하지만 결국 2022 아시안 게임에서 e스포츠는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지 못했다.[81] 아이러니하게도 남은 경기에서 내전으로 탈락한 한화를 제외한 모든 LCK 팀들이 승리하고 4강에 진출해서 LPL 자체는 작년에 이어 2부 리그의 지위 자체는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82] 그나마 LPL 내전으로 인해 떨어졌다는 쉴드가 있다.[83] 그리고 T1의 결승 5세트 압도적인 밴픽 문제 때문에 경기 외적 잡음이 대부분 묻혀버린 점도 주효했다.[84] 다만 이러한 강한 표현을 쓰기에 2020 MSI는 취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부분적으로 대체한 MSC에서 LCK 팀들이 일관되게 처참한 경기력을 보였지만, 2021 MSI와 2022 MSI는 모두 LPL 팀인 RNG가 풀세트 접전 끝에 우승했다는 사실을 마냥 간과할 수만은 없다.[85] 본래 아시안 게임은 4년마다 개최되지만,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은 코로나19 문제로 1년 연기되어 2023년에 열렸다.[86] 이는 LPL의 EDG가 월즈를 우승했으나 LCK가 LPL에게 그다지 꿀리지 않는다는 평을 들었던 2021 시즌과 비슷하다.[87] 8강에서 전체적으로 침묵하고 저점이 떠버린 LNG의 타잔, 4강에서 나름 활약했으나 4세트에서 심각하게 역캐리해버린 카나비, 결승 전까지 뛰어난 기량을 보이다가 결승에서 제우스에게 완벽히 압살당한 더샤이 등.[88] 한국인 용병 때문에 게임을 졌으니 '한국인 용병을 쓰지 말자'라는 의견이 나오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다. 빈, 샤오후, 갈라, 나이트 등 순혈 선수들 중 고평가를 받았던 선수들이 탈락 위기에서 특별한 플레이를 보이지 못하고 무너지는 경기들이 많았고, 월즈 전체를 놓고 보면 무난했으나 특별한 퍼포먼스를 찍지 못했기 때문이다. 월즈는 무난하게 플레이한 선수가 얻을 만한 트로피가 아니기에 LPL 팀들 입장에서는 5인 순혈 팀의 우승을 바라는 팬들이 많은 상황에서 골머리를 썩는 중이다.[89] 정확하게는 TL보다 근소하게 승리를 많이 하여 5위긴 하지만 어차피 기본 상금이 똑같아 큰 의미는 없다.[90] 중국은 안면인식을 해야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회 IP나 부모 ID를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게다가 정해진 주말 오후 8~9시 한 시간만 접속이 가능하니 이 시간대 서버는 당연히 터지기 마련이라 정상적인 게임 플레이가 불가능하다.[91] 리워크로 미친 OP가 된 상태였던 크산테를 꾸역꾸역 풀어주다가 연거푸 게임을 터트렸다.[92] 심지어 2023 시즌의 뷰어십도 LPL의 전성기인 2018~2022 시즌 상반기까지 뷰어십에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었다.[93] 슈퍼스타의 탄생에는 선수의 이야기와 성적이 동시에 받쳐줘야 한다. 대표적인 LPL의 슈퍼스타였던 우지와 더샤이의 경우 우지는 선수 시기 LPL을 국제 대회 결승에 2연속으로 올린 성적과 당대 최강팀 SKT에게 번번히 패배하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도전하던 스토리, 더샤이는 LPL의 탑 수준을 본인의 스타일로 끌어올리고 LPL의 첫 번째 월즈 우승을 이끈 에이스로서의 성과가 둘의 인기의 기반이 되었다.[94] 도인비는 2025년 LPL 선수들의 8할이 이름을 들어본 적 없는 신인으로 채워질 것이라는 말을 하기도 했는데, 이 발언은 좀 호들갑이라는 평가이다.[95] 쉰만 계약을 종료하고 기존 5인 로스터를 그대로 유지, 마오카이 감독 영입[96] 루키, 더샤이의 리턴과 갈라, 메이코, 지에지에, 감독으로 양대인이 영입. 팀 자체적으로 봐도 더샤이-루키는 LPL의 흥행 카드라 자신할 정도로 최고의 인기 선수이고, 지에지에, 갈라, 메이코 또한 각 포지션 내에서 인기가 매우 뛰어난 선수들이다.[97] 카나비와 윤성영 감독 영입[98] 아러, 쉰, 스카웃, 페이즈 영입[99] 플랑드레, 타잔 영입, 타베 감독 연임[100] 정확하게는 몇몇 S급 선수들의 대우 한정. 급이 떨어지는 선수들이 받는 페이는 타리그와 비슷하거나 그보다도 못하다는 모양이다.[101] 이중 일부는 한국에도 진출하여 ROX Tigers나 KING-ZONE DragonX의 후원을 하고있기까지 하다.[102] 나겜 중계진의 말을 들어보면 열악한 대회 환경으로 인해 퍼즈가 너무 많이 나와서 경기 시간이 끝도 없이 길어지는 탓에 중계를 하고 있는 게 거의 고문 수준이었다고 한다. 단군 왈, '퍼즈 타이머가 0이 되면 게임이 강제로 깨져야 하는데 클라이언트가 개조되어 있는지 퍼즈 타이머가 0이 되자 다시 59:59로 되돌아간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