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20:28:55

2025 LoL Pro League Split 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3
스프링 | 서머
2014
스프링 | 서머
2015
스프링 | 서머
2016
스프링 | 서머
2017
스프링 | 서머
2018
스프링 | 서머
2019
스프링 | 서머
2020
스프링 | 서머
2021
스프링 | 서머
2022
스프링 | 서머
2023
스프링 | 서머
2024
스프링 | 서머
2025
S1 | S2 | S3 | PO
}}}}}}}}}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역대 LoL Pro League 일람
Top Esports - 2025 LoL Pro League Split 3
2025 LoL Pro League Split 1 2025 LoL Pro League Split 2
파일:LPL 로고 가로형.svg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2025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lit 2
대회 기간 2025년 3월 22일 ~ 2025년 6월 14일
주최 텐징 스포츠
주관
경기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참고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그룹 스테이지 3월 22일 ~ 3월 29일
정상 승격전 3월 30일 ~ 3월 31일
럼블 스테이지 4월 5일 ~ 5월 21일
기사의 길 5월 24일 ~ 5월 27일
녹아웃 스테이지 5월 31일 ~ 6월 14일
결승전 대진
vs
경기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1위
2위
}}}}}}}}} ||
1. 개요2. 참가팀3. 포맷 변경4. 경기장5. 대회 진행6. 주요 기록
6.1. Player of the Split
7.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3월 22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스플릿 2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2025 LoL Pro
League Split 2

참가팀
}}} ||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s Legend 로고 화이트.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Top Esports
TES
Anyone's Legend
AL
JDG Intel Esports
JDG
Bilibili Gaming DreamSmart
BLG
파일:Ninjas_in_Pyjamas_2021_neon_logo.png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Ninjas in Pyjamas
NIP
Thunder Talk Gaming
TT
Weibo Gaming TapTap
WBG
Invictus Gaming
I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R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EDG
LGD Gaming
LGD
Oh My God
OMG
Royal Never Give Up
RNG
파일:Ultra_Prime.png 파일:Team_WE.png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파일:FPX 로고 2021.svg
Ultra Prime
UP
Team WE
WE
LNG Esports
LNG
FunPlus Phoenix
FPX
LDL 참가팀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3. 포맷 변경

LoL e스포츠 규정이 대폭 변화됨에 따라 한 시즌만에 리그 포맷이 대폭 변경되었다.#

스플릿 2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스플릿 1과 마찬가지로,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우승해도 LPL 우승자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번 스플릿도 하드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되며, Bo3는 1세트 시작 전/Bo5는 4세트가 끝나고 5세트에 들어가기 전에 1:1 대결을 치러 이긴 팀이 진영을 선택한다.

녹아웃 스테이지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를 받는다.

4. 경기장

파일:LPL 심볼.svg 공용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Suzhou LNG
파일:Hongqiao_World_IE_Hub.jpg 파일:Yangcheng_International_Esports_Center.jp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상하이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장쑤성 쑤저우시
League Arena[2] Yangcheng International Esports Center[3]

5. 대회 진행

<colcolor=white>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Pro League Split 2
경기 일정
<colbgcolor=#ec004a> 그룹 스테이지
(3/22~3/29)
A조 B조 C조 D조
라스트 찬스 프로모션
(3/30~3/31)
정상 승격전
럼블
스테이지

(4/5~5/22)
등봉조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열반조 열반조
플레이-인
(5/24~5/27)
기사의 길
녹아웃 스테이지
(5/31~6/14)
승자조 패자조
결승전
결산

5.1. 그룹 스테이지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 연속 비고
1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LG 5 1 1승 R1 전승
1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WBG 5 1 4승 R2 전승
3 파일:Team_WE.png WE 2 5 1승 R1 전패
TB 승리
4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EDG 1 6 5패 R2 전패
TB 패배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 연속 비고
1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AL 5 1 3승 R2 전승
2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TT 3 3 1승
3 파일:Ultra_Prime.png UP 3 4 1승 R2 전패
TB 승리
4 파일:RNG 로고 2017.svg RNG 2 5 2패 TB 패배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순위 연속 비고
1 파일:TES 로고 2019.svg TES 6 0 6승 전승
2 파일:NIP_심볼_Black.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 NIP 3 3 2패
3 파일:FPX 로고 2021.svg FPX 2 4 1승
4 파일:Oh_My_Godlogo.png OMG 1 5 1패 R1 전패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순위 연속 비고
1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G 6 0 6승 전승
2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4 2 1승
3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LGD 2 4 1패
4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LNG 0 6 6패 전패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스플릿 1과 달리 직접적인 탈락이 걸려있진 않지만, 1주일 남짓 진행되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등봉조로 가느냐, 열반조로 가느냐에 따라 럼블 스테이지 경기 수가 크게 달라지고[4] 남은 시즌 일정과 탈락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플릿 2 역시 그룹 스테이지의 중요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그룹 스테이지에서 삐끗해 열반조로 굴러떨어지면 자칫하다 시즌 조기 종료를 당할 우려가 생기기에 모든 팀이 목숨 걸고 플레이해야 할 것이다.

5.2. 정상 승격전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2025 LoL Pro League Split 2
정상 승격전 대진표
}}}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 (3/30)
FPX
C조 3위
파일:FPX 로고 2021.svg
1
LGD
D조 3위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3 (3/30)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FPX 로고 2021.svg
2
파일:Ultra_Prime.png
1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2 (3/30)
UP
B조 3위
파일:Ultra_Prime.png
1
WE
A조 3위
파일:Team_WE.pn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4 (3/31)
<colbgcolor=#f5f5f5,#282828>
M1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0
M2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eam_WE.pn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5 (3/31)
<colbgcolor=#f5f5f5,#282828>
M3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Ultra_Prime.png
1
파일:Team_WE.png 2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등봉조 진출 | 노란색: 열반조 진출

5.3. 럼블 스테이지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Pro League Split 2
럼블 스테이지 등봉조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TES 로고 2019.svg TES 3 0 6-2 +4 3승
2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AL 3 1 7-4 +3 3승
3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2 0 4-0 +4 2승
4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LG 2 1 5-2 +3 1패
5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WBG 1 1 3-2 +1 1승
6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TT 1 2 2-5 -3 1패
6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G 1 2 2-5 -3 2패
8 파일:NIP_심볼_Black.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 NIP 0 1 0-2 -2 1패
8 파일:Team_WE.png WE 0 1 0-2 -2 1패
10 파일:FPX 로고 2021.svg FPX 0 4 3-8 -5 4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직행 및 스플릿 3 등봉조 잔류
연두색: 기사의 길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Pro League Split 2
럼블 스테이지 열반조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EDG 1 0 2-1 +1 1승
1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LGD 1 0 2-1 +1 1승
3 파일:Ultra_Prime.png UP 0 0 0-0
4 파일:RNG 로고 2017.svg RNG 0 0 0-0
5 파일:Oh_My_Godlogo.png OMG 0 1 1-2 -1 1패
5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LNG 0 1 1-2 -1 1패
연두색: 기사의 길 진출 | 노란색: 탈락 및 스플릿 3 열반조 잔류
빨간색: 탈락 및 스플릿 3 출전 불가 | 볼드체: 순위 확정

5.4. 기사의 길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기사의 길 대진표
1경기 (5/24)
파일:TBD_LOL.png TBD
#-
TBD
#-
파일:TBD_LOL.png
2경기 (5/25)
파일:TBD_LOL.png TBD
#-
TBD
#-
파일:TBD_LOL.png
3경기 (5/26)
파일:TBD_LOL.png TBD
#-
TBD
#-
파일:TBD_LOL.png
4경기 (5/27)
파일:TBD_LOL.png TBD
#-
TBD
#-
파일:TBD_LOL.png
연두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5.5. 녹아웃 스테이지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2025 LoL Pro League Split 2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 ||
<rowcolor=#fff>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Upper Bracket (승자조)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4 (6/14)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TBD
-위
파일:TBD_LOL.png
TBD
PI 승자
파일:TBD_LOL.png
}}} ||<|2>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5 (/)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4>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11 (/)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4> →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TBD
-위
파일:TBD_LOL.png
TBD
PI 승자
파일:TBD_LOL.png
}}}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TBD
-위
파일:TBD_LOL.png
TBD
PI 승자
파일:TBD_LOL.png
}}} ||<|2>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6 (/)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TBD
-위
파일:TBD_LOL.png
TBD
PI 승자
파일:TBD_LOL.png
}}} ||
Lower Bracket (패자조)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M1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M2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 ||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9 (/)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M6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2>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12 (/)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2>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13 (/)
||
<colbgcolor=#F5F5F5,#282828>
M11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M3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M4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 ||
||<-3><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50909><rowbgcolor=#f50909><rowcolor=white><tablewidth=150>
Match 10 (/)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M5
[ruby(↘, 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스플릿 2 우승

5.6. 결승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LoL Pro League Split 2/결승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LoL Pro League Split 2/결승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LoL Pro League Split 2/결승전#|]][[2025 LoL Pro League Split 2/결승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요 기록

6.1. Player of the Split

파일:LPL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Pro League Split 2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순위 이름 ID 소속 팀 포지션 횟수
1 서진혁 Kanavi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9
2 리위안하오 Xiaohu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5
3 양링 Beichuan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4
3 리쉬안쥔 Flandre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4
5 천웨이 GALA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3
5 왕제 Hope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3
5 뤄쥔하오 Junhao 파일:Ultra_Prime.pn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3
5 왕멍치 Monki 파일:Team_WE.pn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3
5 러원쥔 ON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3
5 이승용 Tarzan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3
5 펑리쉰 Xun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6위권 미만 선수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이름 ID 소속 팀 포지션 횟수
12 쩌우웨이 Assum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2
12 천쩌빈 Bin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2
12 김태상 Doinb 파일:NIP_심볼_Black.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2
12 자오자하오 Elk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2
12 쯔자치 JiaQi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2
12 자오리제 Jiejie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2
12 쑨쥔웨이 Jwei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2
12 김홍조 Karis 파일:Team_WE.pn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2
12 줘딩 Knight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2
12 러우윈펑 MISSIN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2
12 자오즈창 shad0w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2
12 쉬원제 sheer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2
12 강승록 TheShy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2
25 천이진 1Jiang 파일:Ultra_Prime.pn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25 바이자하오 369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25 후자러 Ale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25 천천 Breathe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25 린젠 Creme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1
25 장하이차오 haichao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1
25 양추이헝 Heng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1
25 윤용호 HOYA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25 위원보 JackeyLove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김진홍 Kael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1
25 후훙차오 Leave 파일:NIP_심볼_Black.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왕광위 Light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톈예 Meiko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1
25 양쯔젠 naiyou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1
25 김수환 Peyz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쑹다이린 Saber 파일:Ultra_Prime.pn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1
25 옌루이 sasi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25 이예찬 Scout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1
25 추궈빈 Shaoye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레이밍 Starry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김태윤 Taeyoon 파일:Team_WE.pn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ADC_icon_100.png 1
25 가오톈량 Tian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1
25 옌양웨이 Wei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1
25 장루이 Wink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1
25 펑하오 Xiaohao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JGL_icon_100.png 1
25 샤징야오 Xiaoxia 파일:Ultra_Prime.png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SUP_icon_100.png 1
25 정샤젠 xqw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MID_icon_100.png 1
25 주더장 Zdz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TOP_icon_100.png 1
}}}}}}}}} ||

7. 둘러보기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25 시즌
국제 대회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로고 퍼플.svg파일: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로고 오렌지.svg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2025 FST 2025 MSI 2025 Worlds }}}
5대 리그
파일:LCK 심볼.svg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파일:LPL 심볼.svg 파일:LTA 심볼.svg 파일:lec 심볼 민트.svg 파일:LCP 심볼.svg
LCK CUP
정규시즌
Road to MSI
플레이-인
플레이오프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플릿 3
시즌 플레이오프
스플릿 1
스플릿 2
(North / Sul)
스플릿 3
(North / Sul)
챔피언십
승강전
윈터
스프링
서머
시즌 킥오프
미드 시즌
시즌 파이널
플레이오프
승강전
기타 대회 기타 국제 대회
파일:KeSPA_Cup_2024.png 파일:Season_Opening.webp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로고.png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아이콘.svg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 파일:ECEA 로고.svg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 화이트.svg
2024 KeSPA Cup 시즌 오프닝 2025 AM 2025 ECEA EWC 2025
기타 지역 대회
파일:EM small logo.png파일:em logo white.png 파일:LJL 2025 심볼.svg파일:LJL 2025 심볼 화이트.svg 파일:PCS_logo.png파일:PCS_white.png 파일:VCS 심볼.svg파일:VCS 심볼 화이트.svg 파일:LTS_Icon_lightmode.png파일:LTS_Icon_darkmode.png
윈터 스프링 서머 포지 스톰 이그나이트 파이널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플릿 3 스프링 서머 파이널 스프링 서머

[1] 다시 말해 작년이었으면 서머 시즌 시작도 안 했을 5월 말에 팀의 1년 일정이 아예 끝나버리는 것이다. 스플릿 1에서 잘했다면 챔피언십 포인트가 있긴 하지만, 많아봐야 20포인트에 불과하므로 선발전 진출 실패도 확정되어 월즈에 진출할 가능성 역시 사라진다.[2] 1~4일차[3] 5~8일차[4] 등봉조는 팀당 18경기에 전체 90경기인 반면, 열반조는 팀당 5경기에 전체 15경기에 불과해 팀당 경기는 3배 넘게 차이나고 전체 경기 수는 무려 6배 차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