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5:52:50

2025 LoL Champions Korea/Road to MSI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LoL Champions Korea|2025 LoL Champions Korea]]

R1 1주
(4/2~6)
2주
(4/9~13)
3주
(4/16~20)
4주
(4/23~27)
5주
(4/30~5/2)
결산
R2 5주
(5/2~4)
6주
(5/7~11)
7주
(5/14~18)
8주
(5/21~25)
9주
(5/28~6/1)
결산
Road to MSI
(6/7~6/8, 6/13~6/15)
R3~R5 레전드 그룹 라이즈 그룹
R3
(7/23~8/3)
R4
(8/6~17)
R5
(8/20~31)
R3
(7/23~8/3)
R4
(8/6~17)
R5
(8/20~31)
결산 결산
PI 플레이-인
PO 승자조 패자조
결승전
결산

1. 개요2. 진행 방식3. 대회 정보
3.1. 진출팀
3.1.1. 진출팀 정보
3.2. 일정 및 중계
4. 1라운드
4.1. 경기 내용
4.1.1. 1세트4.1.2. 2세트4.1.3. 3세트4.1.4. 4세트4.1.5. 5세트
4.2. 총평
5. 2라운드
5.1. 경기 내용
5.1.1. 1세트5.1.2. 2세트5.1.3. 3세트5.1.4. 4세트5.1.5. 5세트
5.2. 총평
6. 3라운드 - 1시드 결정전
6.1. 경기 내용
6.1.1. 1세트6.1.2. 2세트6.1.3. 3세트6.1.4. 4세트6.1.5. 5세트
6.2. 총평
7. 4라운드 - 최종전 진출전
7.1. 경기 내용
7.1.1. 1세트7.1.2. 2세트7.1.3. 3세트7.1.4. 4세트7.1.5. 5세트
7.2. 총평
8. 최종전 - 2시드 결정전
8.1. 경기 내용
8.1.1. 1세트8.1.2. 2세트8.1.3. 3세트8.1.4. 4세트8.1.5. 5세트
8.2. 총평
9. 결과 및 총평
9.1. 1시드 진출9.2. 2시드 진출9.3. 최종전 탈락9.4. 4라운드 탈락9.5. 2라운드 탈락9.6. 1라운드 탈락
10. 여담

1. 개요

2025 Mid-Season Invitational에 참가할 LCK 대표팀을 선발하는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6월 7일~8일 경기는 LoL PARK에서, 13일~15일까지의 경기는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2. 진행 방식


작년까지의 스프링 플레이오프를 대체하는 대회로, 2025 LoL Champions Korea의 정규시즌 1~2라운드 성적(이하 '성적')을 기반하여 상위 6팀이 참가한다. 이 중 상위 2팀은 1시드 자격을 얻을 기회를 가지고, 1시드 자격을 얻지 못한 팀과 나머지 4팀은 킹 오브 더 힐(스텝래더) 방식[1]으로 2시드 자격을 얻을 기회를 가지게 된다.

3. 대회 정보

<keepall>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Road to MSI
패치 버전 25.
글로벌 밴
#!if 챔피언 != null && 구분자 == null
[[|[[파일:_portrait.png|width=50]]]]
#!if 구분자 != null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_portrait.png|width=50]]]]
#!if 아이템 != null
[[|[[파일:롤아이템-.png|width=50]]]]
#!if 드래곤 != null
[[ 드래곤|[[파일:_Dragon_buff.png|width=50]]]]
#!if 챔피언 != null && 구분자 == null
[br][[|{{{+1 ''''''}}}]]
#!if 구분자 != null
[br][[(리그 오브 레전드)|{{{+1 ''''''}}}]]
#!if 아이템 != null
[br][[|{{{+1 ''''''}}}]]
#!if 드래곤 != null
[br][[ 드래곤|{{{+1 ''' 드래곤'''}}}]]
#!if 챔피언 == null && 아이템 == null && 드래곤 == null
{{{#!wiki style="font-size: 25px"
'''-'''}}}

3.1. 진출팀

3.1.1. 진출팀 정보

3.2. 일정 및 중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 bgcolor=transparent> 파일:LCK 로고.svg 2025 LoL Champions Korea
Road to MSI 대진표
}}} ||
1라운드
2라운드
3-4라운드
최종전
{{{#!wiki style="margin: -12px -5px"
Round 3 (6/13)
<colbgcolor=#f5f5f5,#282828>

1위
파일:TBD_LOL.png

2위
파일:TBD_LOL.png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R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
{{{#!wiki style="margin: -12px -5px"
Round 1 (6/7)
<colbgcolor=#f5f5f5,#282828>

5위
파일:TBD_LOL.png

6위
파일:TBD_LOL.png }}} {{{#!wiki style="margin: -12px -5px"
Round 2 (6/8)
<colbgcolor=#f5f5f5,#282828>

4위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 {{{#!wiki style="margin: -12px -5px"
Round 4 (6/14)
<colbgcolor=#f5f5f5,#282828>

3위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2025 MSI 진출


4. 1라운드

4.1. 경기 내용

4.1.1. 1세트

4.1.2. 2세트

4.1.3. 3세트

4.1.4. 4세트

4.1.5. 5세트

4.2. 총평

5. 2라운드

5.1. 경기 내용

5.1.1. 1세트

5.1.2. 2세트

5.1.3. 3세트

5.1.4. 4세트

5.1.5. 5세트

5.2. 총평

6. 3라운드 - 1시드 결정전

6.1. 경기 내용

6.1.1. 1세트

6.1.2. 2세트

6.1.3. 3세트

6.1.4. 4세트

6.1.5. 5세트

6.2. 총평

7. 4라운드 - 최종전 진출전

7.1. 경기 내용

7.1.1. 1세트

7.1.2. 2세트

7.1.3. 3세트

7.1.4. 4세트

7.1.5. 5세트

7.2. 총평

8. 최종전 - 2시드 결정전

8.1. 경기 내용

8.1.1. 1세트

8.1.2. 2세트

8.1.3. 3세트

8.1.4. 4세트

8.1.5. 5세트

8.2. 총평

9. 결과 및 총평

9.1. 1시드 진출

9.2. 2시드 진출

9.3. 최종전 탈락

9.4. 4라운드 탈락

9.5. 2라운드 탈락

9.6. 1라운드 탈락

10. 여담


[1] 2020 시즌까지 사용되었던 계단식 플레이오프 방식[EWC0] 이 중 한 팀이 T1일 경우 다른 직행 팀은 EWC 진출을 확보하게 된다.[EWC3] MSI와는 별도로 T1이 최종전 진출전에서 승리하여 2시드 결정전에 진출한 경우 해당 라운드 패배 팀은 EWC 진출을 확보하게 된다.[EWC4] MSI와는 별도로 T1이 1시드 결정전에 직행했다면 해당 라운드 승리 팀은 EWC에 진출한다.[5] 최종전의 경우 규정상 정확히는 '3라운드 패배팀'으로 1~4라운드와는 다르게 규정했지만, 3라운드 패배팀(최소 2위)이 4라운드 승리팀(최대 3위)보다 성적 하위가 될 수 없어서 실질적으로는 1~4라운드와 동일한 기준이다.[6] 올해 EWC는 지난해 우승자인 T1이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참여하기에 T1이 MSI 진출에 성공한다면, T1의 자격 중복으로 발생한 EWC 시드는 로드 투 MSI 최종전 패배팀으로 간다.[7] MSI와 EWC 대회의 총상금을 더하면 무려 400만 달러로 월즈 총상금인 500만 달러와도 큰 차이가 없다. 나갈 수 있는 국제대회의 상금만 보면 LCK 플레이오프와 비견될만큼 무게가 무거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