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DecisiveDeliciousShaggyDowntown|토론]]을 통해 대한민국 내 예시 등재 기준 지정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DecisiveDeliciousShaggyDowntown|토론]] - 대한민국 내 예시 등재 기준 지정으'''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토론 합의 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대한민국의 정치깡패에 관한 예시는 다음으로 한다. | }}}}}}}}} |
1. 개요
정치적 목적으로 동원된 깡패를 의미하는 말.자신들에게 반대하는 시민들에게 테러를 일삼기 때문에 조직폭력배들이 저러한 일을 맡을 거란 세간의 인식[1]과는 다르게 조직폭력배들은 일명 본인들의 나와바리에서 나오는 수입이 중요하지 정치깡패조직 결성 및 활동엔 별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조폭이 저런 짓을 한다면 일종의 사법거래의 형태였거나 자유당, 곽영주 등 제1공화국 당시의 고위층과 결탁하고 그들의 비호를 받았던 이정재 패거리와 산하 폭력조직의 사례처럼 조폭들이 정치인 및 기업인 등 기득권층과 결탁하고 그들의 비호를 받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몇몇은 이른바 룸펜 프롤레타리아트라고 불리는 사회 최하위 계층을 유혹하여 권력의 첨병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은 빈곤층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의사가 없고 구걸, 매춘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빈곤층으로 카를 마르크스의 정의에 의하면 무산계급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금품이 제공될 경우 정치인들 및 기업인들을 비롯한 기득권층과 그들의 어용단체 및 기타 반혁명 세력에 동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한다.
2. 설명
이들은 보통 약간의 금품을 받고 사회적 불만을 표출하고자 이러한 행동에 나서는데 정치깡패들로 인해 반대파에서 사망자나 중상자가 나올 경우 모든 죄를 다 정치깡패들이 지게 된다. 정작 정치깡패들을 고용한 이들이 책임지는 거라곤 기껏해야 기자회견에서 자신들은 분명히 절대로 살인이나 중상을 입히는 짓은 안된다고 했는데 지들이 말을 안 듣고 맘대로 큰일을 냈다고 하거나 특히 현역 조폭을 고용했을 경우 "이들이 현역 조폭인줄 몰랐다" 혹은 "조폭생활 청산후 갱생한줄 알고 고용했다"고 해명하며 사과하는 정도가 고작이다. 용역깡패도 같은 루트를 탄다. 때문에 해당 정치 깡패 조직을 지원하던 인물이 권력자가 되면 가장 먼저 숙청되는 등 비참한 결과를 맞이하는 경우가 많다.특히 더 비참한 루트가 무엇이냐면 자기 뒤를 봐주던 인물들이 권력을 잃은 사태이다. 그게 민주화가 되었든 또다른 독재정권이 들어서서든 어느 쪽이든 정치깡패에게는 곤혹스럽다. 민주화된 상태면 그 민주화를 이끈 이들이야 말로 정치깡패에게 처절하게 고생한 인물일 테니 정치깡패들을 절대 내버려 둘 리 없을 것이며, 무엇보다 정치깡패들은 깡패 특성상 필연적으로 여기저기서 원한을 사기 마련이다. 또 다른 독재국가도 기존의 정치깡패들을 쓸 수도 있겠지만 박정희처럼 싹 숙청하고 나중에 다른 이들을 정치깡패로 고용할 수도 있다.
이들이 행동하려면 국가 공권력의 묵인이 필요하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경찰이나 검찰 등의 공권력이 직접적으로 통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치깡패는 좌우익을 막론하고 그 사회의 기득권 집단 측에서 수족으로 부리는 것이며 음성적으로 이들이 기득권들과 결탁되어서 초법적 권력으로 행동하게 된다. 국가나 정치권력의 공식적 승인을 통한 공적 조직으로 그 형식이 격상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고대 로마 공화정, 아테네에서도 있었듯 인류 역사와 정치가 발생한 이래 항상 존재해오던 집단이며 지금도 독재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깡패' 라는 표현을 쓰기 때문에 가볍게 볼 수도 있지만 정치권과 유착된 마피아 등의 강력 범죄조직 등은 물론이거니와 그 유명한 나치 독일 시절의 몇몇 나치당 휘하 준군사조직[2]들도 어느 의미에서는 정치깡패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정치깡패라고 표현한다고 해서 정말로 조폭이나 동네 양아치 같은 깡패를 연상하면 곤란하다.
쉽게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 초기 형태: 정치인에게 돈을 받고 온갖 불법 행위를 일삼는 범죄 조직.
- 중기 형태: 정치인과 비슷한 입장까지 치고 올라와 정치인과 아예 동업자가 되는 범죄 조직, 유사 정치경찰 조직.
- 후기 형태: 군벌[3], 테러조직, 반군. 혹은 정부 공인 정치경찰/준군사조직.
- 말기 형태: 국가를 지배하는 범죄단체나 독재정당. 군대.
정치깡패의 최종진화는 역시나 중앙권력을 무시하고 국가를 무력으로 지배하는 단체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소규모 친위 정치깡패 집단으로 시작해 나치 독일이 성립한 이후에는 엄연히 정규군인 독일 국방군과 경쟁하는, 국가 안의 또 다른 국가 행세를 한 친위대(슈츠슈타펠)가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일개 테러조직으로 시작해 비록 괴뢰국 신세이긴 했으나 나중에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이라는 독립 국체를 운영한 우스타샤나 짧지만 잠시나마 루마니아 왕국을 국민군단국가로써 통치해 본 철위대를 들 수 있다. 현대에는 라흐바르의 비호를 업고 정규군보다도 큰 위세를 자랑하는 이란의 이슬람 혁명 수비대가 대표적이다.
정치깡패들은 대체로 고대 유럽의 매번 소속을 바꾸며 전투에 나가던 용병들과는 달리 기존에 결탁한 권력자들이 권력을 잃었을때 새 권력자들과 결탁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21세기에는 온라인과 유튜브 등을 이용한 신종 정치깡패도 존재하며 특히 SNS등에선 정치성향이 확고한 유저들 중 일부가 자진해서 정치깡패가 되어 가짜 뉴스등의 왜곡된 거짓 정보를 커뮤니티등에 올리며 선전 선동을 하거나, 정치성향이 정반대인 유저들을 상대로 문자나 전화로 테러한다던지, 정치활동을 접게할 목적으로 가족을 들먹이며 협박했다가 심지어 개인 변호사를 둔 사업가를 상대로는 변호사의 소속이 어딘지도 알고 있다며 더 강도높은 협박까지 하다가 경찰에 고발되는 사례도 있다. 현실에서 무력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온라인에서 테러나 협박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이 현실에서 무력을 사용하며 반대세력한테 해코지하는 경우도 맞불집회에서 상대편이 먼저 시비를 거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충돌이 일어난 경우를 제외하면 단순히 반대세력이란 이유만으로 일방적으로 먼저 위해를 가하는 경우는 의외로 거의 없는데, 이들은 권력이나 경찰의 비호를 받는 것도 아닌 데다, 그렇다고 이들 중 조폭 출신 같이 이전부터 수틀리면 주먹부터 나갈 만큼 폭력에 익숙한 인간인 경우는 별로 없거나 폭력에 익숙하다고 해도 조폭들만큼 막나가는 건 아니다 보니 조폭들이 정치깡패가 된 경우랑은 다르기도 하다.
3. 예시
3.1. 대한민국
일단 20세기 이전의 한국사에서는 흥선대원군의 심복이자 중인 신분으로 이루어진 4인방 천하장안(千河張安)[4]과 보부상을 주축으로 한 황국협회가 정치깡패에 해당하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려시대 경대승의 도방을 조폭의 원류로 보는 의견이 있는데 이를 따르면 도방 역시 정치깡패라고 할 수 있다.1945년 해방 이후 좌우익의 대립이 극심할 때에는 양쪽 모두 폭력집단을 동원해서 무자비한 정치 테러를 자행했다. 좌익 진영의 조선청년전위대, 조선민주청년동맹과 우익 진영의 대한민주청년동맹[5], 서북청년회, 대한청년단 등이 대표적이다. 이 시기에 김두한은 처음에는 좌익 편에 섰다가 나중에는 우익으로 돌아서서 무수한 범죄를 저질렀다. 그렇게 깡패 활동을 계속 하다가 나중에는 권력을 욕심내서 정치판을 기웃거리더니 아예 국회의원까지 되었다. 주요 정치인들도 정치깡패 테러조직들을 하나씩 거느리곤 했다. 이승만에게는 삼우회가, 김구에게는 백의사가 그것이었다. 제주 4.3 사건 당시에는 대한민국 정부 측에서 서북청년회, 대동청년단 등 일개 사조직에게 토벌대라는 명목으로 무기를 쥐어주고 민간인 학살을 저질렀고, 6.25 전쟁이 개전되고 나서부턴 이들이 대한청년단으로 하나로 묶이고 전쟁 시기 풀린 무기들을 입수하여 준군사조직이 되었다. 반대 진영에도 반군 테러조직으로 세력이 커진 조선인민유격대가 존재했다.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정치깡패들의 난동이 가장 악명을 떨친 시기는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이다. 이미 미군정 시대와 6.25 전쟁 당시부터 정치깡패가 많았으며 자유당 정권의 비호 아래 정치깡패들의 위세가 하늘을 찔렀다. 당시의 깡패들은 말만 깡패지 실제로는 국가권력을 등에 업은 범죄집단이라서 사실상 처치 곤란한 상태였으며, 전쟁 당시 많이 흘러나온 각종 총기와 폭탄으로 무장하고 있었고 사용에도 거침이 없었다.[6] 단성사 저격 사건 등이 좋은 예시이다. 이러한 이승만 정권과 정치깡패를 중간에서 연결해 주는 가교 역할을 한 사람이 다름 아닌 부부통령이라는 별명을 가진 곽영주이며 자유당의 편에 서서 정치테러를 자행하던 게 이석재, 이정재, 임화수, 유지광, 조열승 등이다.
그러나 그들은 5.16 군사정변 직후에 일단은 한 번 싹 쓸려나갔다. 5.16 군사정변 직후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조폭과 정치깡패, 부패경찰 소탕으로 민심을 얻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군부를 기반으로 해서 중앙정보부를 창설하고 경찰까지 확고하게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집권 초기에는 딱히 정치깡패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치깡패의 씨가 마른 것은 아니고, 일부 유명한 정치깡패 몇 명을 본보기로 잡아 혁명재판에 세워 4.19 혁명 유혈진압으로 여론이 최악인 곽영주, 최인규와 세트로 묶어 죽였을 뿐 정치깡패는 더욱 제도화되거나 리그를 옮겨 유흥업소와 권력에 달라붙었다. 이미 50년대에 경찰이나 공안기관에 흡수된 정치깡패도 적지 않다.[7] 이런 식으로 80년대가 되도록 정치깡패는 끈질기게 살아 남았다. 그래도 일단 이정재, 임화수급의 메이저 깡패들은 공개 조리돌림 및 줄줄이 재판행을 당했고, 이는 4.19 혁명 당시 시민을 지지하던 국군의 모습과 함께 박정희와 국가재건최고회의가 군사 정변으로 정권을 잡았음에도 당시에 상당한 비율로 지지 내지는 중립 여론이 유지되던 이유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위에 서술한 유신 시절 1976년의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8]과 전두환 정권 시절인 1987년의 통일민주당 창당방해 사건[9]이다. 다만 이승만 정권 때와 달리 수면 위로 올라오지는 못했고, 정말 문제가 심각해지면 버리거나 심지어 배신하는 일도 다반사라 그 뒤로 조폭들은 정치권과 연결되는 걸 꺼리게 된다. 당시 조폭들도 인터뷰에서 80년대에 노태우는 깡패를 묵인하고 손잡아주는 척 하면서 뒤통수를 때려 죄다 잡아들였다며 정치권과 엮일수록 배신만 당한다고 한탄했다. 80년대 호국청년연합(호청년) 같은 반공우익 단체가 세워지고, 80년대 후반엔 정치인이 깡패를 동원하여 유세 때 지지 기반이 아닌 지역에서 돌이나 계란이 날아오는 경우 총알받이 역할을 하거나 선거운동을 도우며 유착하는 것 같더니 그 정치인이 정권을 잡으면 국민의 열렬한 지지 속에서 깡패들을 하나하나 잡아 박살냈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 민주화되고 범죄와의 전쟁 과정에서 조폭들의 세가 감소하자 조폭 집단은 음지로 숨어들거나 돈벌이에만 혈안이 되면서 정치권에서 조폭을 동원하는 사례는 현재 공식적으로는 거의 없다. 물론 언젠가 최악의 상황[10]이 다시 일어나면 부활할 가능성이 있지만... 정치깡패의 활약상은 소규모 형태라고 해도 1990년 호청련의 해체와 함께 사라젔고 범죄와의 전쟁 시기와 문민정부를 거치면서 더 이상 양지에서 고개를 들지 못하고 있으나 높으신 분들과 돈 많으신 분들 밑에서 힘쓰는 용역깡패나 어용 시민단체 같은 부류는 여전히 있다. 법질서가 확립되고 매체의 발달로 과거처럼 범죄행위를 숨기는 것이 어려운 현대에는 직접적으로 폭력을 저지르거나 지시하기 보다는 집단의 위력을 이용해 타인에게 흑색 선전을 일삼거나 폭력적 행위를 하도록 선동하는 것으로 권력을 얻으려 하고 있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는 정치 유튜버들이 이런 행태를 저지르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과거와는 다르게 극단적인 행동으로 흥미를 유발하면 그것이 수익[11]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제공됨으로서 좌우를 가리지 않고 폭력적인 행동과 흑색선전을 남용하는 작자들이 유례없는 수준으로 준동하는 중이다. 처벌을 받아도 대부분 수위가 가벼운 수준이며 벌금이나 과태료는 이들이 벌어들이는 수익에 비해 턱없이 적은 수준이다 보니 전혀 근절되지 않고 있다. 급기야 2025년에는 백골단을 자처하는 자들이 국회의사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12], 정치 유튜버와 전광훈의 사랑제일교회 같은 극우 교회의 영향력 아래 있는 사람들이 모여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과 같은 국가기관 습격 사건을 터트리기도 했다.
3.2. 중국 / 대만
장제스가 4.12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켰을 당시 상당한 숫자의 청방 조직원들이 가담하였다. 이후에도 장제스의 국민당 정권은 공산당, 노조, 반대파 탄압에 삼합회를 수시로 동원하였고, 반대급부로 이들에게 각종 경제적 이권을 보장하였다. 유착이 얼마나 심했냐면 삼합회 간부들을 대놓고 군이나 정보기관의 요직에 앉히기도 할 정도였다. 1940년대에 접어들면 정치권력과 결탁한 삼합회의 횡포와 이들에 의한 매점매석 등 경제 교란은 파멸적인 초인플레이션의 하나의 원인이 된다. 인플레이션에 의한 경제 붕괴로 국민당은 민심을 잃고 국공내전에서 패배한다. 국부천대 이후에도 강남사건(1984)[13]을 보듯이 국민당과 대만 흑사회의 유착관계는 여전히 뿌리 깊었다. 강남사건 이후 대만에서 정치깡패가 상당수 숙청되어 있지만 아직도 남아있는 경우도 허다해서 현재도 삼합회가 지방조직에서 힘을 쓰는 경우도 적지는 않다. 대놓고 시민들에게 깽판을 친다거나 하는 수준은 아니지만.중국은 공안의 권력이 막강하기 때문에 정치깡패 같은 거 없어도 그냥 눈치 안 보고 공안이나 무경 보내서 국민들 잘만 때려잡고 탄압 잘 할 것 같지만(...) 사실 딱히 그런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홍위병이라는 사실상의 정치깡패가 존재하던 시기도 있었고, 중국공산당에서도 부동산 개발과 관련해서 빈민촌 철거나 토지 강제 수용 같은 일은 직접 나서기에는 공산당이 부동산 업자들 편들어 준다는 체면상의 문제가 있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면 쪼인트 까일 염려도 있기 때문에 이를 일부 조폭들에게 외주를 준다. 즉, 이들 조폭 조직은 정치깡패라기보다는 철거 용역에 가까운 일을 한다. 최근에조차도 본토의 공안권력이 못 미치는 홍콩의 우산 혁명에서 중국 정부의 요원들이나 삼합회가 홍콩 경무처를 도와 폭력을 휘둘렀다는 의혹이 있고[14],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에서도 소속 불명의 흰 티셔츠 깡패들이 시민들을 무차별로 폭행하는 것이 목격되었다.
한편 중국의 공권력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중국 바깥의 해외에서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중국공산당의 정치깡패 역할을 대신한다.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는 게 중국에서 중산층이 늘어난다고는 하지만 공산당원이나 재벌 같은 사람들이 많이 유학을 보내다 보니 자연히 체제에 우호적인 인물들의 비율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2008 베이징 올림픽 당시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 시위 사건이나[15]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의견을 낸 홍콩인 여학생을 향해 중국인 유학생들이 살해 협박을 하고 실제 폭력까지 가한 사례도 있고[16], 2019년 11월 2일에 홍대입구역 근처에서 재한 홍콩인들과 한국인들이 홍콩 지지 시위를 벌였을 때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무단으로 난입하여 폭력을 저지르거나 심지어 홍대입구역 시위에 참여한 홍콩인들이나 그들의 가족들더러 대놓고 죽으라는 듯 홍콩인들의 마스크를 벗기고 얼굴까지 찍는 쓰레기 같은 짓까지 저질렀다.[17][18] 중국인 유학생들이 해외에서 저지르는 이런 만행들은 정치깡패의 정의에 완벽하게 부합한다. 주한중국대사관은 이런 유학생들의 깡패행각들을 보고 정상적인 국가들의 대사관처럼 자제를 촉구하는 게 아니라 "중국 학생들이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대자보 등을 보고 분노하는 건 당연하다"며 "홍콩 문제를 대하는 중국 입장을 이해해 달라"(...)는 얼척없는 헛소리로 유학생들의 깡패 짓을 옹호하면서 사실상 중국인 유학생들이 중국공산당 휘하의 정치깡패들이라는 편견 가득한 인식에 스스로 알아서 쐐기를 박았다.
3.3. 러시아
소련 붕괴 후 레드 마피아와 올리가르히, 네오나치 스킨헤드들과 러시아 정부 정치인들과의 커넥션은 꾸준히 지적되곤 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이 집권하자 이들을 때려잡았지만 정권에 반항적이거나, 치안에 해를 끼치거나, 포르맛18처럼 선을 넘었거나 정권유지에 도움이 안 되는 범죄 조직들은 박살내고, 러시아 제국 운동이나 루시치 그룹처럼 푸틴에 충성하거나 이용해먹을만한 정치깡패들은 남겨두면서 이들을 동원해 불만 세력에게 테러를 가하는 모습도 종종 일어난다. 관련 기사, 관련 기사2, 보리스 넴초프 관련 기사러시아의 경제 사정이 안 좋아지고 빈부격차가 늘어나자 불만을 품은 청년들과 슬라브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네오나치, 스킨헤드도 발호하고 있는데 이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3.4. 우크라이나
유로마이단 혁명 당시 티투슈키(тітушки)라고 불리는 훌리건, 우크라이나 마피아, 갱스터 등지 출신의 용역깡패들이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부에 고용되어 베르쿠트를 도와 시위대 폭행, 고문, 납치 등 잔혹행위와 프락치 행위에 참여하였다.반대 진영에서는 극우 정당 프라비 섹토르 계열 훌리건들이 시위 현장에서 나의 투쟁과 시온 의정서를 나눠주고 화염병과 사제폭탄을 동반한 과격시위를 선동하거나 아조우 대대 등 네오나치 집단들이 러시아계 주민들을 위협하고 폴란드 등 주위 국가들을 상대로 도발을 하는 등 과격행위를 일삼았다.
3.5. 인도네시아
1965년 수하르토가 인도네시아 공산당(PKI) 당수인 아이다트가 일으킨 좌파 쿠데타를 군대를 동원해 진압하고 역으로 군부 쿠데타를 일으킨 후 초대 대통령이었던 수카르노를 실각시킨다. 공산당 세력은 수카르노의 비호 아래 수마트라 북부, 발리, 자바 동부 지역에서 세를 불리고 있었다. 그러나 수하르토의 집권 이후 각지의 깡패 및 자경단을 소집하여 공산당원 소탕에 투입시켰고 그 과정에서 공산당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었다고 단순히 의심받은 200만 명의 사람들이 학살당했다. 물론 공산당원이 아닌 수하르토 정권에 반대하는 지식인층이나 하위층이었던 화교 역시 그들의 희생양이 되었다. 쿠데타를 일으켰을 당시 판차실라 청년회[19] 및 프레만(Preman)이라고 불리는 인도네시아 갱스터들, 그리고 이슬람 극단주의 폭도들은 인도네시아군의 반대파 제거 작전에 적극 동참하였다. 특히 판차실라 청년회는 수마트라 섬에서의 공산당 소탕에 가장 앞장섰고 죽인 공산당원들도 다른 조직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수마트라의 화교들 역시 중국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공산주의자로 몰려 길에서 보이는 순간 칼에 찔려 죽거나 도륙당했으며 살아남은 이들은 대부분 시외지역에서 숨어살아야 했다. 청년회에 소속된 사람들은 대부분 가난한 도시민이었고 그들은 그들의 행동이 인도네시아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공산세력을 소탕하는 정의로운 일이라고 생각하며 자신들을 프레만(프리맨)이라고 부르고 다녔다. 냉전 시기 이들의 존재와 범행은 반공을 위시한 서방의 지원 하에 가려지고 묵인되었다.60~70년대 인도네시아의 학살과 정치 탄압을 주제로 한 영화 액트 오브 킬링에도 이들이 등장한다. 주인공격인 전직 학살범 안와르 총오와 아디, 그들의 부하 헤르만 코토까지 총 3인방의 지인 겸 정치적 동반자로 등장하는데, 죄를 뉘우치기는커녕 오히려 지금까지도 기세등등한 모습으로 나오며, 판차실라 청년회장 얍토 수르요수에마르노는 영화가 개봉하고 적반하장으로 제작진을 고소하겠다고 협박하기까지 했다. 이외에도 수많은 전현직 위정자들이 등장하여 이들의 행위를 옹호해주고, 방송국 역시 이들을 자유투사로 띄워준다. 전직 프레만들은 영화상에서도 그 당시 자신들의 강간, 살인과 같은 범법행위들을 '한 때의 낭만' 정도로 취급하는 경향을 보인다.
1999년 동티모르 위기 당시에도 동티모르의 독립을 반대하는 아이타락, 베시 메라 푸티, 락사우르, 마히디 등의 친인도네시아 민병대들이 동티모르 민간인들에 폭력과 학살을 가하고 동티모르 공공기반시설의 80%를 파괴했다.
3.6.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각 정당에서 노골적으로 정치 깡패를 고용했는데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돌격대가 가장 유명하다. 다른 정당들도 공산당, 사민당을 가리지 않고 가두 투쟁 조직이 만들어졌다. 사민당은 국기단이 대표적이다.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의 정치 불안정과 관련이 있는데, 베르사유 조약으로 군비가 제한당하자 이미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수백만에 달하는 군대 조직이 건재했던 데다가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과 동시에 체제 전복을 노리는 공산주의 폭동이 다발적으로 발생해서 공화국 정규군 10만과 경찰 조직으로 막기 어렵웠기 때문에 베르사유 조약을 준수하는 척 하며 꼼수로 정식 군대 대신 참전자 출신의 자유군단에 치안과 폭동 진압을 맡겼고, 베를린 폭동이 진압된 후 공산당에서 '붉은 전사 동맹'이라는 무장조직을 내세워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테러와 무장투쟁 조직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훗날 나치당의 깡패 조직 돌격대는 이미 정치 테러와 폭동이 난무한 독일 정치판에서 후발주자였다가 1928년 대공황 이후 급성장했지만 1934년에 수장 에른스트 룀의 좌경화를 눈꼴 사나워한 히틀러와 그의 심복들에 의해 수뇌부들이 숙청된 장검의 밤을 맞이했다. 이후 그 자리를 차지한 하인리히 힘러 휘하의 친위대도 전후 동, 서독 양측 정부에 의해 범죄 단체로 단죄되었다는 점에서 광의의 정치깡패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국기단
정식 명칭은 흑적황 제국국기단. '제국'이란 이름과 달리, 좌파 성향의 폭력배들이었다.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공식 조직은 아니지만, 95% 이상이 사회민주당 지지자였기에 그들과 적극 협력했다. 사족으로 '흑백적[20] 제국국기단'이란 비슷한 조직도 있었는데, 이쪽은 우익 왕당파 계열이었다.
- 붉은전선전사동맹
독일 공산당의 정치깡패로, 나치 돌격대 이전에 거리를 주름잡던 정치깡패들이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초기에 스파르타쿠스 봉기을 일으킨 스파르타쿠스 연맹이 전신이며, 가두시위[21]도중에 난입하곤 했던 우익 민병대를 막는 게 주 일거리였다. 정부 요인 암살도 종종 겸했다고. 바이에른과 작센에서 쿠데타를 일으키고, 하노버와 쾰른 지역에서 폭동을 일으킨 전적 탓에 프로이센 자유주 경찰의 주요 감시 대상이었다. 결국 프로이센 무장경찰[22]과 시가전을 여러 차례 벌인 끝에 불법 조직으로 낙인 찍혔고, 부각을 드러낸 나치 돌격대에게 거진 쓸려나갔다.[23]
- SA(나치 돌격대)
유럽계 정치깡패의 끝판왕. 명목상 나치당의 사병이었으나, 나치당과는 상하 관계가 아니고 대등했던 조직. 전성기에는 제3제국의 군대를 자처했을 정도로 그 규모가 엄청났다. 일개 깡패 조직 주제에 당시 독일 군대보다 쪽수 면에서 더 우월했으니 말할 것도 없었다. 때문에 힌덴부르크를 비롯한 군부 인사가 크게 경계했고, 이들의 지원이 필요했던 히틀러가 장검의 밤으로 대거 숙청해버린다.[24]
3.7. 이란
신정 체제 국가인지라 신정 체제와 이슬람 체제를 유지함과 동시에 세속주의를 거부한다는 입장에서 이슬람 혁명 수비대 소속의 준군사조직화로 움직이고 있다. 통칭 바시즈(Basij)라는 조직으로, 이슬람판 히틀러유겐트 체계까지 운용하는 조직이라 전체 인력을 2380만명으로 보기도 할 정도로 방대하다. 주요 활동 인력은 4~5만명 정도로 보기도 한다. 신정 체제의 최고지도자인 라흐바르를 위한 여론조작과 여론 통제 및 세속주의 세력에 대한 테러 행위까지 아주 다양하며 여기에 가입하면 대학 등록금 지원 및 병역 면제 그리고 지속적인 소정의 월급을 꼬박꼬박 받는다.한마디로 국가가 관리하고 통제하는 정치깡패인 셈이다.
3.8. 이탈리아
한국의 범죄와의 전쟁과 비슷한 케이스가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다. 지역 유지와 경찰, 정치계와 협잡을 통해 언터쳐블의 포스로 세력을 키우던 시칠리아의 마피아를 군대까지 동원해 쓸어 버렸다.[25] 역시 상당한 공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마피아들은 복수를 위해서 미군과 손을 잡았기 때문에 결국 전후에는 거의 도루묵이 되었다.이것만 보면 마치 무솔리니가 정치깡패를 없애려던 개혁가처럼 보이겠지만 실제론 전혀 아니다. 무솔리니와 국가 파시스트당 역시 휘하에 합법적인 정치깡패 조직인 검은 셔츠단(Camicie Nere)이 존재했으며 무솔리니가 이들을 이용해 로마 진군으로 정권을 잡은 건 유명한 일화이다. 나치의 돌격대(SA)도 검은 셔츠단에 영향을 받아 창설되었다. 오히려 무솔리니의 시칠리아 마피아 진압은 그 과정에서 과잉 진압은 기본이고 불법적인 사찰과 협박이 이용되는등 개혁이라기보단 자기 말 안듣는 반대파에 대한 국가 폭력이라고 할수 있다.[27]
이후 이탈리아 정치계는 마피아와 매우 밀접한 커넥션을 가지고 그들을 정치깡패로 부려 왔다. 이탈리아 총리 줄리오 안드레오티와 기독교 민주당은 이탈리아 마피아 두목들과 친한 관계를 유지하며 그들과 상부상조했고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를 비롯한 우익계 인사들과 마피아와의 커넥션은 여전히 이탈리아 정치권의 뜨거운 주제다.
3.9. 미국
1960년대 매카시즘의 광풍으로 위기를 맞던 화물차 기사 노동조합 팀스터스는 미국 마피아와 손을 잡고 각종 불법행위를 저지르게 되었고, 이는 미국의 노동운동이 퇴보하는 원인이 되었다. 유명한 인물로는 지미 호파가 있다. 잭 루비 역시 이들의 사주를 받고 리 하비 오즈월드를 암살했다는 의혹이 있다.민권 운동 시기 미국 남부에서 짐 크로우 법을 시행하던 지자체들은 지역 쿠 클럭스 클랜같은 극우 백인우월주의 단체들에게 일정 시간을 줄테니 경찰이 오기 전까지 마음껏 날뛰라는 등의 요청을 넣어 자유를 요구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과 도시에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온 사회운동가들을 린치하도록 조장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1기 취임 전후로 프라우드 보이즈 등 대안 우파와 아톰바펜 디비전, 더 베이스 등 세계구급 네오나치 단체들의 세력이 늘면서 이들이 모여 버지니아 샬러츠빌 폭동이나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등의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동시에 이에 반대하는 안티파 등 반대쪽 성향의 극단주의 활동 역시 증가했다.
3.10. 프랑스
샤를 드골 정권 시기에는 코르시카 지역 마피아인 유니온 코르스가 드골 정부의 이권을 지키는 정치깡패로써 활용되었다. 알제리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군 내 사조직인 비밀군사조직(OAS)이 발흥하여 알제리인들은 물론 전쟁에 반대하는 프랑스인들에게까지 정치폭력과 테러을 감행하고 샤를 드골 대통령마저 암살하고자 시도했다. 비밀군사조직에는 전현직 프랑스군 인사들뿐만 아니라 자크 메린(Jacques Mesrine), 알베르 스파지아리(Albert Spaggiari) 등 온갖 불한당들이 가담하여 테러 수법을 배우고는 다시 조직을 나와서 곳곳에서 은행강도, 납치, 외주 테러 등 사고를 치고 다녔다.3.11. 일본
각종 우익단체들이 우익계 야쿠자들(任侠右翼, 임협우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선우익을 비롯해 임협계 우익단체들이 야쿠자 준조직이거나 야쿠자 조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부분의 야쿠자는 우익인데 애초에 사카즈키고토부터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에게 맹세하는 의식이고 천황제에 반대하는 야쿠자는 없다.이런 현상은 이미 일본 메이지 신정부 정재계의 요구로 인하여 야쿠자들이 설립한 임협우익 계통 정치단체들이 일본 내 자유 민권운동을 탄압하기 시작한 1880년대부터 있었지만[28], 특히 아시아주의를 제창한 도야마 미츠루(頭山満)의 현양사(겐요샤)나 우치다 료헤이의 흑룡회를 보듯이 그 뿌리는 유서깊다.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후에도 안보투쟁 시기 좌익들이 일제히 발호하자 위협을 느낀 우익 보수 정치인들과 야쿠자들이 밀접하게 엮어서 우익 친위대 노릇을 하며 좌익들을 계속 견제해 왔다. 고다마 요시오나 다나카 세이겐 같은 인물들이 야쿠자와 밀접하게 연관된 반달 노릇하면서 뒤에서 흑막으로 활약한것도 이 시기의 일이다. 한국의 군사정권 시기에 동아시아 반공 동맹을 맺으려는 미국의 후원과 한일 우익들의 이해관계, 문선명 등의 대일 로비 및 포섭 작업 등 서로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저 재일 한국-조선인 야쿠자들이 우익활동을 하면서 조총련을 감시, 견제하고 대한민국 정부에게 훈장을 받은 사례도 있다. 양원석이나 정건영의 토우세이카이의 사례가 대표적인 케이스다.
나가사키 시장 모토시마 히토시나 이토 잇쵸의 피격사건을 보듯이 정치테러도 거침없이 하는 편이다. 정치권, 특히 자민당과 야합한 야쿠자들은 그 대가로 각종 이권과 특혜를 받고 처벌도 솜방망이로 받는등 일본 전체에 세력을 펼쳤지만 이들의 범죄와 너무 막나가는 살인극에 시민사회의 반발이 심해지자 일본 정치권은 1991년 5월 15일에 제정된 "폭력단 대책법"[29]으로 이들을 규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업계 선두주자(?)인 야쿠자만큼은 아니라고 해도 10대 학교 일진들 / 폭주족들이 나이를 먹으면서 그 패거리들이 그대로 범죄 조직이 된 한구레 역시 정치깡패로 동원될 가능성이 있다. 2019년 3월 오키나와 지역 신문 류큐 신보(琉球新報)에서는 한구레 문제를 다루는 기사에서 "현 내의 시정촌 의원과 수장, 국회의원 등의 정치권 관계자들에게 접촉한 것도 확인되어 있다."[30]라는 언급이 나온 적이 있었고, 국회의원인 이마이 에리코가 오키나와현의 지역 한구레 조직 보스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남성과 찍은 사진이 보도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31]
그리고 이들의 사실상의 구실점이자 모든 사상적, 행동적 기반이 되는 최고 조직으로 일본회의를 꼽을 수 있다.
4. 유명한 정치깡패
나치 독일
노르웨이
조선
대한제국
- 홍종우
- 천하장안(千河張安)
- 천희연(千喜然)
- 하정일(河靖一)
- 장순규(張淳奎)
- 안필주(安弼周)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4공화국
대한민국 제5공화국
대한민국
루마니아 왕국
러시아
미국
- D. C. 스티븐슨
- 데이비드 듀크
- 매티아스 콜
- 로버트 M. 셸턴
- 윌리엄 조셉 시먼스
- 돈 블랙
- 로이 엘론조 데이비스
- 제임스 A. 콜스콧
- 하이럼 웨슬리 에반스
- 조셉 토마시
- 존 패틀러
- 지미 호파
- 토머스 롭
- 엔리케 타리오
바이마르 공화국
베트남국
비시 프랑스
스웨덴
수단
아이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요르단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이탈리아 왕국
인도
인도네시아
- 안와르 총오
- 헤르만 코토
- 아디 줄카드리
- 얍토 수르요수에마르노
티모르티무르주
일본 제국
일본
중화민국 국민정부
중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5. 유명한 정치깡패 집단
- 근세 시기 유럽에서 활동했던 자칭 마녀사냥꾼들
고려 무신정권
고려 최씨 정권
과테말라
- 조직적 민족주의 행동 운동 (흰 손(Mano Blanca))
- 비밀 반공군
그레나다
그리스 왕국
그리스
나치 독일
- 자경단 (Selbstschutz): 폴란드 침공 당시 나치 독일의 침공에 협조한 폴란드계 독일인 자경단들. 독일 국방군과 친위대를 위한 자발적 밀정 작업, 폴란드인 및 유대인 색출, 학살에도 적극 협조하였다.
- 독일 민족 자경단 (Volksdeutscher Selbstschutz): 자경단들 중 가장 대표적인 단체로 최소 1만 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
- 독일연합 (Deutsche Vereinigung)
- 독일 인민연합(Deutscher Volksbund)
- 폴란드 독일인민연합 (DVV, Deutscher Volksverband in Polen, Niemieckie Stowarzyszenie Ludowe w Polsce)
- 독일청년당 (JDP, Jungdeutsche Partei)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헤네이케 칼럼 (Colonne Henneicke): 암스테르담 유대인 이민 중앙 기관(Zentralstelle für jüdische Auswanderung)[33]의 조사 부서에서 일한 네덜란드 나치 부역자 집단.[34]
동방지역 국가판무관부
- 아라이스 코만도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 플란데런 국민 연합 (VNV, Vlaamsch Nationaal Verbond): 플란데런 민족주의 정당으로 대네덜란드주의를 견지했다. 나치 점령기가 시작된 후 나치의 홀로코스트에 동참하여 유대인들을 수용소로 보냈다.
- 플란데런 국가사회주의 청년단 (De Nationaal-Socialistische Jeugd in Vlaanderen)
- 더플라흐 (DeVlag): VNV보다도 극단적인 성향의 나치즘 정당으로, 플란데런은 독일의 일부이므로 나치 독일과 합병해야 한다고 본 친독 정당이었다. VNV가 독일 국방군과 가까이 지낸 반면 더플라흐는 독일 민족주의와 반기독교적 이념으로 친위대와 가까이 지냈다.
- 렉스당 (Parti Rexiste): 왈롱의 부역자들은 나치의 푸쉬를 받은 플란데런 부역자들에 의해 많은 자치권을 얻지는 못했지만 그럼에도 자발적으로 나치를 도와 적극적으로 유대인을 공격하고 레지스탕스 탄압에 동참했다. 렉스당이 점령 당시 저지른 전쟁범죄로 렉시스트 민병대가 벨기에인 민간인 27명을 사살한 쿠르셀 학살이 대표적이다.
- 전투대대 (Formations de Combat)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OUN, ОУН, Організація Украінських Націоналістів): 1943년 히틀러가 OUN 간부들을 잡아다 수용소에 수감시키기 전까지 나치 독일의 정치경찰 및 학살 용역 역할을 했다. 1943년 이후로는 나치 독일 역시 공격하며 적군으로 돌아섰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보안국 (SB OUN, СБ ОУН, Служба Безпеки ОУН)
- 우크라이나 봉기군 (UPA, УПА, Українська повстанська армія)
남아프리카 연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스톰제어스 (Stormjaers)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프리카너 인민전선
- 아프리카너 저항 운동
- 경제자유투사당
네덜란드령 동인도
- 공의의 군주 군단: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당시 네덜란드군 측에서 활동하면서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방해한 친란 민병대 집단. 네덜란드령 동인도군 장교 레이먼드 베스테를링(Raymond Westerling)이 의도적으로 창립한 괴뢰 조직이다. 독립 전쟁이 끝난 후에도 쿠데타 시도를 하는 등 소요를 일으켰다.
니카라과
- 투르바스 (Turbas): 경찰 지원 친정부, 친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민병대 겸 암살단.
- 콘트라
대한제국
- 황국협회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백의사
- 삼우회
- 서북청년회
- 대한청년단
- 대한민주청년동맹
- 백골단
- 일부 조직폭력배 조직
- 우미관패
- 이정재, 유지광, 임화수 등이 이끌었던 동대문파
- 명동파
- 남조선로동당
- 조선청년전위대
- 조선인민유격대
대한민국 제4공화국
- 하나회
- 범서방파: 차지철의 지원과 이철승의 사주로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 실행.
대한민국 제5공화국
- 전주파: 통일민주당 창당방해 사건에 참여.
대한민국
- 사랑제일교회
- 애국기동대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 충암파
- 용현파
- 특수임무수행자회: 북파공작원 전우회임을 표방하지만 정치깡패 활동으로 악명높은 특수임무수행자회(구칭 HID 청년동지회)는 3~4공 연간 기밀엄수하며 생환률도 낮았던 진짜 북파공작원에 비하면 정통성 측면에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수준으로 떨어진다. 그렇다고 특임자회가 북파공작과 전혀 무관한 건 아닌데, 5공 이후로 북파공작원의 작전투입은 줄어들었지만 유사시에 남한에서 훈련만 받았을 뿐 실제로는 북파 공작 경험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거기다 2000년대 이후 이를 자처하며 등장한 몇몇은 단순 깡패가 사칭만 하는 수준이라(#) 빼도박도 못하는 정치깡패다. 이들이 일으킨 사건은 전우회 문서에 일부 언급되어 있으며, 진짜 북파공작원이었던 선배(?)들과의 차이에 관한 자세한 내막은 북파공작원, 정보사령부 특임대 문서를 참조. 특히 이들이 2008년에 오픈마켓에서 닌텐도 DS, iPhone 팔게 해 달라며 한국닌텐도, 애플코리아에 쳐들어간 일은 웃음벨이 되었다.
- 자국민보호연대
독일
- 국가사회주의지하조직
라이베리아
- 대테러부대 (악마 군단(Demon Forces), ATU, Anti-Terrorist Unit): 찰스 테일러의 아들 찰스 "처키" 맥아더 에마누엘이 이끌었던 비밀경찰 준군사조직.
- 라이베리아 민족해방전선 (라이베리아군, NPFL, National Patriotic Front of Liberia): 테일러의 사병 조직.
- 혁명연합전선 (RUF, Revolutionary United Front): 시에라리온의 반군 조직. 테일러가 시에라리온 내전에 개입할 목적으로 직접 양성, 훈련시켜 자신의 수족처럼 이용했다.
라트비아 제1공화국
- 페르콩크루스츠
러시아
- 인터넷 연구소
- 포르맛18
- 카디로프치
- 나이트 울브즈: 소련 시절 모스크바에서 락 음악 팬들을 중심으로 창설되어 구소련권에서 활동 중인 러시아의 바이커 갱. 2014년엔 람잔 카디로프가 이 클럽에 가입할 정도로 체첸 공화국과도 관계가 두터우며 람잔의 연을 타고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를 지지하거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클럽 멤버들을 모아 의용군을 파견할 정도로 친정부적인 성향 역시 띄고 있다.
레바논
- 카타이브당
- 카타이브 규제군
- 시리아 사회민족당
- 누수르 알자우바
루마니아 왕국
- 대천사 미카엘 군단 (철위대)
르완다
- 인테라하므웨
- 임푸자무감비: 르완다의 후투족 우월주의 단체로 르완다 학살 당시 르완다군 내 후투 파워 세력과 야합하여 투치족 학살을 실행한 정치깡패 겸 테러 집단이다. 인테라하므웨의 행보가 워낙 스케일이 커서 묻히는 감이 있지만 임푸자무감비 역시 수많은 강간 사건을 일으키고 온건파 후투족까지 학살하는 등 인테라하므웨에 밀리지 않는 잔혹성을 가진 집단이었다.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리비아 혁명수비대
- 이슬람 군단
말라위
- 말라위 청년 개척자단 (Malawi Young Pioneers): 말라위 의회당의 당군이자 헤이스팅스 반다의 친위대격 준군사조직.
멕시코
- 혁명적 멕시코주의자 행동
- 멕시코 마약 카르텔: 멕시코에 산재한 마약 카르텔 조직들은 유착관계에 있는 정치인들을 도와 정치깡패 역할을 하며 암살, 납치, 고문, 돈세탁 등의 일을 대신 수행해 주기도 한다.
- 과달라하라 카르텔: 제도혁명당 및 연방보안국(DFS, Dirección Federal de Seguridad)과 유착하여 대신 더러운 일을 해 주기도 했다.
- 게레로스 우니도스: 멕시코 아요트시나파 사범대학교 학생 실종사건을 일으킨 게레로 기반 멕시코 마약 카르텔. 벨트란 레이바 카르텔의 하위 조직이었다.
미국
- 무지당
- 쿠 클럭스 클랜
- 동지회: 미주 하와이에서 조직된 '이승만의 친위단체이자 미주 한인 친목단체. 이승만을 앞세우고 재미 한국인 사회에서 분열을 조장한 단체로 미주 한인들이 가장 많이 활동했던 단체인 국민회에 테러를 가하거나 국민회 자금을 털어가는 등 소위 '깡패' 짓이나 하고 다녔다. 오늘날에도 미주에 존재하고 있고 계속 활동하고 있다. "미주 애국동지회"라는 이름의 페이스북 그룹도 있다.
- 미국 은색군단
- 미국 나치당
- 민족사회주의 해방전선
- 백색 미국 주식회사: 1955년 아칸소주에서 설립된 증오단체로 아칸소주에서 짐 크로우 법이 철폐된 후 흑인이 백인 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막기 위해 활동했다. 조직은 교육감과 학교, 흑인 학생 및 학부모들을 협박하고 흑인 가정에 총격을 가했다. 조직의 협박 행위가 너무나 심각해서 연방 판사는 이를 테러 행위로 규정하고, 해당 단체와 그 계열조직들이 학교 운영위원회에 접촉하거나 개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가처분 명령을 내렸다.[35] 1956년 또 다른 인종차별 단체인 미시시피주의 시민협의회와 합병하여 사라진다.
- 네이션 오브 이슬람
- 팀스터스
- 화이트 아리안 레지스턴스
- 더 베이스
- 디 오더(단체)
- 프라우드 보이즈
- 아톰바펜 사단
- 아리안 네이션스
- 유대방위연맹 (JDL): 북미 내 유대인들이 메이어 카하네를 중심으로 결성한 단체로 카하네의 또다른 카하네주의 단체 카흐와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 왔다. FBI의 통계에 의하면 1980~1985년까지 JDL이 미국 내에서 일으킨 테러 사건이 최소 15건이고 2004년 의회 증언에서도 FBI에 의해 금지된 테러 집단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미국 및 캐나다에선 활동을 접었지만, 프랑스에서 새로 활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 웨스트보로 침례교회
- 씨 셰퍼드
- 쓰리 퍼센터즈
- 언약, 칼, 그리고 주님의 무기
- 신흑표당
- 오쓰 키퍼즈
- 시민협의회
모잠비크
-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 (RENAMO, Resistência Nacional Moçambicana):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 모잠비크 해방전선을 견제하고자 로디지아 중앙정보기구(CIO)에 의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으로 시작했다.
미얀마
- 969 운동: 미얀마의 반이슬람, 반로힝야, 불교 민족주의 단체. '불교 테러의 얼굴'이라는 별명을 가진 승려 위라투가 이끌고 있다.
바이마르 공화국
- 자유군단
- 독일 사회민주당
- 국기단
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 돌격대
독일 공산당
- 붉은전선전사동맹
- 철모단
바트주의 시리아
- 샤비하(Shabiha): 아랍어로 '폭력단'을 뜻하며, 시리아의 독재자였던 하페즈 알 아사드의 동생 리파트 알 아사드가 창설했다고 하는 정치깡패 조직. 이전에도 시위대를 폭력으로 진압하는가 하면, 리파트가 쫓겨난 시리아 민주화 운동 당시에도 바샤르 알 아사드를 전격 지지하여 반정부 시위대를 공격하고, 몇 명은 죽었다는 증언도 존재한다. 2012년 이후에는 시리아 내전이 터지면서 각자 정치 성향에 맞는 민병대나 반군에 가입하거나 자체적으로 민병대로 전환하는 등 여러 변화를 거쳐 존재가 유명무실해졌다.
- 국민방위군
- 시리아 전자군
바트주의 이라크
- 페다인 사담
방글라데시
- 국가방위군 (자티야 라키 바히니, JRB, জাতীয় রক্ষী বাহিনী)
- 방글라데시 자티야 스라믹 연맹 (Bangladesh Jatiya Sramik League, বাংলাদেশ জাতীয় শ্রমিক লীগ): 아와미 연맹 산하 노동조합 조직.
- 붉은 군대 (랄 바히니, লাল বাহিনী): 자티야 스라믹 연맹 산하 준군사조직.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정권 시절 폭동적 시위진압과 다수의 폭동 선동으로 악명을 떨쳤다.
- 방글라데시 차트라 연맹: 아와미 연맹 산하 학생 단체. 실질적으로는 정치깡패에 가까운 조직으로 이전부터 집단 강간 및 살해, 매춘 등 범죄행위에 연루되었고 심지어는 아와미 연맹 내 다른 청년 조직인 주보 연맹과 1억 타카 규모의 정부 계약 입찰을 포기하는 것을 두고 시가전을 벌여 12명을 사망케 하는 등 논란이 되었던 조직이었다. 2024년 방글라데시 시위 당시에는 경찰 및 정부군과 협조하여 시위대를 폭력 진압하였다. 시위 결과 셰이크 하시나 정권과 아와미 연맹이 무너지면서 과도정부에 의해 아와미 연맹 산하 조직들 중 제일 먼저 테러조직으로 지정되었다.
베네수엘라
- 볼리바리안 서클: 우고 차베스 시절 창설된 노동자 협의회이자 사회 조직이었으나 실질적으론 차베스의 사병이자 정치깡패 조직이었다.
- 콜렉티보 (Colectivo) : 니콜라스 마두로 독재정권을 지지하는 20~100여개의 준군사조직들을 일컬어 부르는 말.
- 투파마로 (Tupamaro)
- 라 피에드리타 (La Piedrita)
- 세 뿌리 (Tres Raices)
-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전선 (Frente Francisco de Miranda)
- 알렉시스 비베 (Alexis Vive)
- 3월 5일 사회주의 도시전선 (Ciudad Socialista Frente 5 de Marzo)
- 태양의 카르텔 (Cartel de los Soles)
- 트렌 데 아라과: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및 베네수엘라 경제 위기 이후 급부상한 베네수엘라의 갱단. 2024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있었던 전 베네수엘라군 육군 중위 로날드 오헤다의 납치 및 암살 사건이 니콜라스 마두로 정부의 지시에 따라 트렌 데 아라과 조직원들이 자행한 정치적 동기에 의한 살인이었음이 밝혀지면서 마두로 정부가 트렌 데 아라과를 이용해 재외 정적들을 제거하는 것이 밝혀졌다.#
베트남국
- 빙쑤옌: 바이 비옌이 이끌던, 베트남 공화국 초창기에 있었던 정치깡패이자 수적, 갱스터 집단으로 바오다이 괴뢰왕정의 수족 노릇을 했으며 사이공 전투가 일어난 원인이기도 했다. 베트남 마피아의 시초로 보기도 한다.
북마케도니아
- 일리리다 공화국군
- 알바니아 국민군
- 마케도니아 민족해방군
브라질 제2공화국
- 신도연맹: 1940년대 브라질에서 활동한 일본계 브라질인이 주축이 된 테러 단체. 초창기 가난한 해외 일본 거류민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자선 단체에서 활동하는 전직 일본군 대령 키카와 준지가 1940년대 브라질인과 일본계들의 충돌 이후 연합국에 가담한 바르가스 정권에 반발하는 친일본 제국 사보타주 조직을 만든 것이 시초이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옥음방송과 함께 항복하자 이를 거부하던 조직 내 항전파들을 중심으로 항복에 온정적인 다른 일본계 브라질인을 대상으로 칼부림 테러 및 암살 사건을 일으켰다.
브라질
- 민병대 (Milícias): 지역 정치인 및 브라질 경찰의 지원을 받아 Comando Vermelho 등 파벨라 갱단에 대적하고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활동하는 일종의 자경단. 그러나 치안 유지를 핑계로 지역 주민을 갈취하고 마약 및 무기를 뺏어 밀매하거나 정치인들의 의중에 따라 암살, 납치 등을 수행하는 등 사실상 또 다른 범죄조직이 되었다.
비시 프랑스
- 밀리스 프랑세
서독
- 독일 적군파
세르비아
- 바티나시(batinaši) 혹은 카치(ćaci): 알렉산다르 부치치 진영에서 활동하며 시위대나 반대파, 언론인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정치깡패들을 말한다.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 승리의 개척자들
수단
- 타잠무 알아라비: 잔자위드의 시초가 된 수단의 친정부 바까라족 민병대.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후원으로 결성되었다.
- 잔자위드: 오마르 알바시르 군사독재정권이 아랍계 유목민들을 끌어들여 세운 민병대 조직으로 다르푸르 학살에서 수많은 전쟁범죄를 자행했다.
- 중앙예비군
- 신속지원군 : 원래는 오마르 알바시르 군사독재정권의 정치깡패 조직 잔자위드 출신들을 모아놓은 조직으로 시작했고 후대를 이은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시기에도 군부의 정치경찰 노릇을 계속했으나 이후 정규군과 반목하게 되어 더 이상 정권의 정치깡패가 아닌 2023년 수단 내전을 촉발한 반군으로 변모했다.
스리랑카
- 보두 발라 세나: 스리랑카의 반이슬람, 불교 민족주의 단체.
스웨덴
- 노르딕 저항 운동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슬로바키아 인민당
- 흘린카 근위대
아랍에미리트
- 스텔스 팔콘 (Stealth Falcon): 아랍에미리트의 해킹팀. 언론인과 인권 활동가를 대상으로 스피어 피싱 공격을 가했다.
아이티 (프랑수아 뒤발리에-장클로드 뒤발리에 정권)
- 국가 안보 자원 민병대 (통통 마쿠트(Tonton Macoute), MVSN, Milice de Volontaires de la Sécurité Nationale)
아이티
- 아이티의 진보와 발전을 위한 전선 (FRAPH, Front pour l'Avancement et le Progrès Haitien): 전직 통통 마쿠트 단원들이 모여 만든 준군사조직으로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가 주도하는 민주화 운동에 반대하며 아이티 군경과 협조하여 아리스티드 지지자들을 학살하고 해외에서도 요인 암살 등을 저질렀다.
- 시메르 (Chimères):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의 사병 노릇을 하던 갱스터 집단.
- G9 패밀리와 동맹들의 혁명군 (G9, Fòs Revolisyonè G9 an fanmi e alye): 지미 셰리지에가 이끄는 갱단 연합체로, 한 때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의 사병 노릇을 했다. 조브넬 모이즈 암살 사건 이후에는 반군 집단으로 변모했다.
- G-pep: G9과 대척점 관계에 있던 갱단 연합체로,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 당시 야당의 사병 노릇을 했다. 현재는 G9과 연합해 거대 갱단 연합체 비브 앙상(Viv ansamn)을 결성했다.
에도 막부
- 신센구미
- 교토 미마와리구미
엘살바도르
- 엘살바도르 내전 시기 활동한 처형부대들 (Escuadrones de la Muerte)[36]
- 검은 그림자 (SN, Sombra Negra)
- 국가민주주의기구 (ORDEN, Organización Democrática Nacionalista)
- 민족주의민주전선 (FDN, Frente Democrático Nacionalista)
- 동부반공여단 (BACO, Brigada Anticomunista de Oriente)
- 중앙아메리카 해방을 위한 반공전선 (FALCA, Frente Anticomunista para la Liberación de Centroamérica)
- 반공정치전선 (FPAC, Frente Político Anticomunista)
- 반공해방무장군 - 절멸전쟁 (FALANGE, Fuerzas Armadas de Liberación Anticomunista – Guerra de Eliminación)
- 에우제비오 브라카몬테 장군 대대 (BGEB, Batallón General Eusebio Bracamonte)
- 마누엘 호세 아르세 장군 대대 (BGMJA, Batallón General Manuel José Arce)
- 사회말살그룹 (GES, Grupo de Exterminio Social)
- 카리베 군단 (LC, Legión del Caribe)
-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반공대대 (MHM, Brigada Anticomunista Maximiliano Hernández Martínez)
- 공산주의로부터 해방을 위한 기구 (OLC, Organización para la Liberación del Comunismo)
- 자유 혹은 노예 애국협회 (APLE, Asociación Patriótica de Libertad o Esclavitud)
- 엘살바도르 반공대대 (BACSA, Brigada Anticomunista Salvadoreña)
- 엘살바도르 반공사령부 (CAS, Comando Anticomunista Salvadoreño)
- 엘살바도르 노동자대대 (BPS, Brigadas Proletarias Salvadoreñas)
- 비밀 반공군 (ESA, Ejército Secreto Anticomunista)
- 죽음의 편대 (EM, Escuadrón de la Muerte)
- 백색 전사 연합 (흰 손(Mano Blanca), UGB, Unión Guerrera Blanca)
영국
- 북아일랜드에서 활동 금지된 친영국 민병대
- 얼스터 방위협회
- 얼스터 의용군
- 주황 의용군(1972)
- 주황 의용군(1998)
- 충성파 의용군
- 진정 얼스터 자유투사단
- 붉은 손 코만도
- 붉은 손 방위대
- 잉글랜드 수호 연맹
- 내셔널 액션
- 국민전선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 레히
- 이르군
- 하가나
영국령 키프로스
- 키프로스 투사 민족 기구 (EOKA)
오스트리아 연방국
- 보국단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오스트리아
- 페기다
우루과이
- 우루과이 청년대오
우크라이나
- 티투슈키: 유로마이단 혁명 당시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부에 고용되어 베르쿠트를 도와 시위대 폭행, 고문, 납치에 참여한 훌리건, 우크라이나 마피아, 갱스터 등지 출신의 용역깡패들.
- 프라비 섹토르
- 아조우 연대
- 시치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의용방위군
- 세르비아 급진당
- 흰독수리들 (Бели орлови)
- 스콜피온스
-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생겨난 자칭 체트니크 조직들
- 젤리코 라즈나토비치 시절의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서포터즈: 아르칸이 지배하던 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정치깡패 집단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아르칸 본인이 구단주가 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대신 FK 오빌리치 구단주가 되면서 서포터즈를 배신했고, 츠르베나 즈베즈다 서포터즈를 총으로 공격하라는 명을 내리며 완전히 갈라섰다.
- 코소보 해방군
- 프레세보, 메드베다, 부자노바츠 해방군
이란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바시즈
- 이란 사이버군 (Iranian Cyber Army): 이슬람 혁명 수비대 산하 조직으로 추정되는 이란의 친정부 해킹 그룹.
- 챠밍 키튼 (Charming Kitten): 미국, 유럽 및 중동의 언론인, 학자, 인권 옹호자를 포함한 시민 사회 조직을 표적으로 삼는 이란의 친정부 해킹 그룹.
이스라엘
- 레하바: 오츠마 예후디와 연관이 깊은 이스라엘의 카하네주의 단체로 반기독교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시카리: 카흐 소속 무장단체.
- 시크리킴
- 차브 9: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당시 가족이 하마스, 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 등에 인질로 잡힌 피해자들과 가족이 살해당한 유족들을 중심으로 정착촌 주민들, 예비군 출신들이 모여 만든 테러조직. 가자 지구에 대한 모든 인도적 지원에 대해 반대하며 가자 지구로 향하는 구호 행렬에 방화 등 테러를 가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군과 경찰까지 공격하고 있다. 이타마르 벤그비르 및 베잘렐 스모트리히와 같은 극우 인사들에게 지원을 받고 있다.
- 정착촌 자경단
이집트
- 발타기야: 1980년대부터 활동해온 친군부 정치깡패들을 일컫는다. 이집트 경찰은 1990년대부터 이들을 고용하여 폭력과 강간을 시위 진압에 적극 사용할 수 있도록 외주를 줘 왔다. 보통 보안회사 등으로 위장하여 활동하며 2011년 이집트 혁명 당시에는 낙타 기병을 운용하여 악명을 떨쳤다. 이집트 여론도 이들을 좋게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집트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주로 악역이나 반동인물로 등장하며 너무 많이 등장해서 하나의 장르처럼 굳어졌다고 한다.
이탈리아 왕국
- 검은 셔츠단
이탈리아
- 납의 시대 당시 정치 테러에 관여한 이탈리아 마피아 조직들
- 신질서
인도
- 민족의용단 (라슈트리야 스와얌세왁 상)
- 세계힌두협회 (비슈와 힌두 파리샤드)
- 소 자경단 (गोरक्षकों, Cow Vigilantes)
- 도덕 경찰: 진짜 경찰이 아니라 힌두교 및 인도 민족주의에 반대되는 행위를 억제한다고 종교경찰을 자칭하는 종교깡패들을 일컫는 말이다.
- 인도 사이버군
- 전향 연합아삼해방전선 (SULFA, Surrendered ULFA): 아삼 분리주의 테러조직 연합아삼해방전선에 가담했다가 전향한 전 회원들을 일컫는 말로, 아삼 정부에 의해 이들이 ULFA 회원에 대한 암살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
인도네시아
- 판차실라 청년회
- 라스카르 지하드: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극단주의 계열 민병대로 말루쿠 제도 등 종교분쟁이 일어났던 곳에서 비무슬림을 향한 폭력과 테러, 강제 여성할례 등에 앞장선 무장단체이다. 2002년 발리 폭탄 테러 이후 잠정해체를 선언했지만 이후 서뉴기니에서 모습을 드러내어 뉴기니인들에 대한 폭력과 테러, 사보타주를 이어 나갔다. 주로 인도네시아 정부의 입맛에 맞는 활동을 했으며 공격 대상도 대부분 말루쿠, 아체, 서뉴기니 등 인도네시아 중앙으로부터 탄압받는 지역민들이었다. 쿠 클럭스 클랜처럼 종교적 극단주의에 의거하여 술집, 디스코텍 등 이슬람적이지 않다고 판단된 상업체에 대해서도 공격을 가했다. 이들은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코파수스에게 훈련받았고, 인도네시아군이 이들의 호송을 도왔다는 의혹도 있다.
- 다목적 안소르 전선 (반세르(Banser), Barisan Ansor Serbaguna)
- 만다우 탈라왕 판차실라 (GMTP, Gerakan Mandau Talawang Pancasila)
티모르티무르주
- 동티모르에서 활동하던 친인도네시아 민병대 (완라(Wanra), Perlawanan Rakyat)
- 아이타락 (Aitarak)
- 베시 메라 푸티 (철의 홍백기, Besi Merah Putih)
- 락사우르 (독수리, Laksaur)
- 마히디 (Mahidi)
- 통합 유지를 위한 청년 보호단 (가다팍시(Gadapaksi), Garda Muda Penegak Integrasi): 동티모르에서 악명을 떨치던 친인도네시아 민병대로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코파수스의 위장 단체라는 설이 있다.
- 자원보안집단 (Pam Swakarsa)
- 통합 저항 무장군 (PPI, Pasukan Pro-Integrasi)
- 동티모르 인민 전선(BRTT, Barisan Rakyat Timor Timur)
- 통일, 민주주의, 정의 포럼 (FPDK, Forum Persatuan, Demokrasi dan Keadlian)
- 동티모르 연합전선 (UNIF, United Front for East Timor)
- 팀 알파 (Team Alfa)
- 팀 사카 (Team Saka)
- 팀 세라 (Team Sera)
- 전사 59-75 (59-75, Pedjuang 59-75)
- 마키킷 (독수리, Makikit)
- 나는 통합 명령을 유지하기 위해 싸운다 (ABLAI, Aku Berjuang Lestarikan Amanat Integrasi)
- 나는 통합을 위해 산다 (AHI, Aku Hidupuntuk Integrasi, 아일레우 통합 강화(Aileu Hametin Integrasaun))
- 사쿠나르 (전갈, Sakunar)
- 할릴린타르 (Halilintar)
- 순수의 홍백기 (Jati Merah Putih)
- 붉은 피의 통합 (Darah Merah Integrasi)
- 붉은 용 (Naga Merah)
- 홍백의 토네이도 (Dadarus Merah Putih)
일본 제국
- 겐요샤
- 흑룡회
- 상애회 (相愛會): 박춘금이 이끌던 친일 정치깡패 조직.
- 을미사변에 동원된 낭인들
- 관동대학살 당시 활동한 자칭 자경단
일본
- 우요쿠단타이
- 다테노카이
-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 전일본애국자단체회의
- 국가사회주의 일본 노동자당
- 세키주쿠: 모토시마 히토시 암살 미수 사건을 일으킨 일본의 우요쿠단타이.
- 적보대 (세키호타이): 적보대 사건을 일으킨 불상의 극우 조직. 2001년과 2002년에 공소시효가 만료되었지만 여전히 일본 경찰은 적보대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해 추적 중이라고 한다.
- 건국의용군
- 통일전선의용군
- 대일본동포사
- 대일본애국당
- 전공투
- 적군파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하얀 사랑의 전사들: 옴진리교 소속 무장단체. 진리당 선거 참패에 반발하여 정부 전복을 목표로 활동했다.
- 일부 야쿠자 조직
- 야마구치구미
- 토우세이카이
- 쿠도카이
조지아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정권)
- 므헤드리오니 (მხედრიონი)
- 티투슈케비스 (ტიტუშკების): 2023-2024년 조지아 시위에서 조지아의 꿈 및 조지아 경찰 측에서 활동하며 폭력을 일삼았던 정치깡패들을 일컫는다. 티투슈케비스라는 말은 유로마이단 당시 활동했던 우크라이나의 정치깡패들인 티투슈키(тітушки)에서 따 온 것으로, 행동 양식과 이용 방법 모두 우크라이나의 원본과 비슷하여 붙은 이름이다.
중화민국 국민정부
- 청방
중국
- 홍위병
- 중국홍객연맹
- 분청
- 우마오당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정치인들의 개인 사병 및 군벌 집단
- 중앙아프리카민주연합 (RDC, Rassemblement démocratique centrafricain): 앙드레 콜링바 대통령의 정당이자 당군 조직.
- 중앙아프리카인 해방운동 (MLPC, Le Mouvement de libération du peuple centrafricain): 앙주펠릭스 파타세 대통령의 정당이자 당군 조직.
- 애국자들 (The Patriots): 프랑수아 보지제가 2003년 권력을 장악할 당시 보지제를 따르던 친위대들.
- 셀레카 (Séléka):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의 축 중 하나인 반군 조직. 지도자 미셸 조토디아가 대통령이 된 후 중앙정계로 진출해 한동안 조토디아의 정치경찰 노릇을 했다.
청나라
- 의화단
칠레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콜롬비아
- '자경단(Autodefensas)' 혹은 '준군사조직(Paramilitar)': 1970-90년대 FARC, ELN, M-19, EPL 등 좌익 반군들에 의한 농촌 습격이나 납치, 민간피해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무장한 자경단과 민병대들을 일컫는다. 이들 대부분은 1997년 ACCU의 주도 하에 콜롬비아 연합자위군(AUC)으로 통합된다. 이들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공산주의에 대항한다는 이유로 정부의 비호를 얻기도 했으나 민간인 학살, 방화, 마약 카르텔과 손을 잡고 시행하는 마약 및 인신매매 등 이들의 범죄가 극심해지자 결국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콜롬비아는 물론 미국 정부도 이들에 지원을 끊고 AUC를 비롯한 조직은 테러조직으로 지정하여 제재를 가했다.[37] 이에 대부분의 조직은 국가를 상대로 저항하며 반군화되거나 마약 카르텔화되었다.
- 코르도바 우라바 농민자위대 (ACCU, Autodefensas Campesinas de Córdoba y Urabá)
- 메타 비차다 농민자위대 (ACMV, Autodefensas Campesinas del Meta y Vichada)
- 카사나레 농민자위대 (ACC, Autodefensas Campesinas de Casanare)
- 미주반공연합 (AAA, Alianza Americana Anticomunista)
콜롬비아 보수당
- 로스 출라비타스 (Los Chulavitas)
- 로스 파하로스 (Los Pájaros)
- 메데인 카르텔 관할지
- 암살자들에게 죽음을 (MAS, Muerte a Secuestradores): 창립자들 중 하나인 오초아 형제의 자매가 납치된 것을 계기로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FARC, ELN, M-19 등 좌익 계열 무장단체들에 의한 요인 납치 근절과 반공주의를 명목으로 만든 암살단. 좌익 테러리스트와 사회운동가를 포함해 240명가량을 죽였고, 여기에 자신의 마약 사업을 방해하는 인사들과 정적들도 추가로 제거했다. 당시 콜롬비아의 군경내 사조직들도 MAS에 편승해 추가로 53명을 죽인 후 MAS의 혐의로 떠넘겼다.
- 엔비가도 사무소 (Oficina de Envigado): 오피시나 델 엔비가도 카르텔이라고도 한다.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암살 및 징수만을 전문으로 할 계획으로 설립한 하부 조직이다. 그러나 훗날 에스코바르와 사무소 두목 디에고 '돈 베르나' 무리요 베하라노의 사이가 틀어지며 조직 전체를 이끌고 독립, 이후에는 칼리 카르텔과 협조하며 메데인 카르텔 궤멸에 일조했고 콜롬비아 연합자위군에 가담하여 활동했다. 연삽자위군이 붕괴된 후에는 독립 마약 카르텔이 되었다.
- 칼리 카르텔 관할지
- 칼리 KGB (Cali KGB): 칼리 카르텔이 요인 감시 목적으로 칼리에 뿌려 놓은 정보망을 일컫는 말.
- 로스 페페스 (Los Pepes): 칼리 카르텔이 메데인 카르텔에 협조하거나 협조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ACCU와 함께 세운 암살단.
- 콜롬비아 혁명군
- 민족해방군
- 콜롬비아 연합자위군
- 클란 델 골포
쿠바
- 혁명수호위원회
크로아티아 독립국
- 우스타샤 및 우스타샤 민병대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권리당
- 크로아티아 방위군
키프로스
- 키프로스 투사 민족 기구 베타 (EOKA B): 키프로스 투사 민족 기구의 후신으로 키프로스 전쟁을 촉발시킨 원인 중 하나였던 그리스 민족주의 테러조직. 그리스 군사정권은 삼프손 정권과 삼프손이 몸담고 있던 EOKA-B를 키프로스에서 소요를 일으키고 키프로스 내 불안요소[38]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하였다.
파나마
- 위엄 대대
파라과이
- 콜로라도당 민병대
- 피 난디 (Py nandí)
- 산타니 마체테로스 (Macheteros of Santaní)
- 반공산주의 행동그룹 (GAA, Grupos de Acción Anticomunista)
- 가로테로스 (교수형 집행자들, Garroteros)
파키스탄
- 자마아티 이슬라미
동파키스탄
- 라자카르 (رضا کار, রাজাকার):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당시 티카 칸 장군에 의해 소집되어 서파키스탄에 부역하며 전쟁범죄를 저지른 벵골인 준군사조직.
- 알바드르 (البدر, আল-বদর)
- 알샴스 (الشمس, আল-শামস)
- 동파키스탄 시민 무장군 (EPCAF, East Pakistan Civil Armed Force)
- 무자히드 바히니 (মুজাহিদ বাহিনী)
폴란드 인민공화국
- 익명가해자 (Nieznani sprawcy): 70년대 폴란드 공공보안부를 위해 일하던 정치깡패 및 밀정들을 일컫는 말.
프랑스
- 비밀군사조직
- 유니온 코르스
- 공민행동국 (SAC, Service d'Action Civique) : 알제리 전쟁 시절부터 활동한 프랑스의 드골주의 민병조직. 말이 드골주의 민병조직이지 실상은 프랑스 정부의 대아프리카 첩보조직이자 비밀군사조직(OAS)과 비슷한 신식민지주의적 테러조직[39]으로 알제리, 모로코 등 과거 프랑스 식민지였던 국가에서 프랑스 영향에 벗어나려는 반프랑스 성향의 정치인이나 세력을 제거하는 것이 주 임무였다. 모로코의 정치인이자 반불, 반왕정주의자였던 메흐디 벤 바르카의 실종에도 관련이 있다. 1968년과 1969년에 걸쳐 조직 내 구조조정을 하긴 했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나아진 점이 없어 SAC는 활동 내내 차량절도, 폭행, 강도, 폭탄 테러 등 다양한 범죄 활동으로 법적 문제를 겪었다. 이들은 활동 반경이 점점 아프리카를 벗어나더니 나중에는 프랑스 내 좌파들을 칠레 피노체트처럼 경기장에 수감하려는 음모를 꾸미거나 드골주의 정당인 공화국민주연합의 내부 감시를 맡으며 정치경찰 노릇까지 하더니 결국 1981년에는 조직 내부 갈등으로 일명 '오리올 학살'이라는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결국 1982년 프랑수아 미테랑 정부가 전투 집단과 사립 민병대를 해산할 수 있는 법률을 사용하여 SAC를 해산했다.
- 아르키 (Harki, حركة): 알제리 전쟁 당시 프랑스 편을 들어 독립운동가들을 죽이던 알제리인 부역자 민병대.
핀란드
- 라푸아 운동
- 공공방위대 (백위대, Suojeluskunnat, Skyddskår)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 적위대
필리핀 제2공화국
- 마카필리
필리핀
- 지방 호족들의 사병 집단: 필리핀은 아직도 지방 호족들의 권력이 정계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사실상 봉건제 국가라는 비판을 듣는다. 호족들은 바할라 나 갱과 같은 갱스터 집단을 사들이거나 하수인들을 자체적으로 무장시켜 사병으로 사용하며, 이들은 호족의 영향력이 미치는 지방 주민들이 호족에게 반대하는 정치세력에 투표하거나 호족에게 반발하는 것을 폭력을 동원하여 억압하는 등 호족들의 경찰 역할을 한다. 이들이 일으킨 사건 중 하나가 2009년 있었던 마긴다나오 학살 사건이다.
태국
- 쓰레기 수거조직 (RCO, องค์กรเก็บขยะ แผ่นดิน): 태국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친왕정 정치깡패이다. 왕실모독죄를 범하거나 잠재적인 왕실모독범들을 찾아낸다고 주장하며 사례들을 찾아 당국에 보고한다. 또한 체계적인 집단 공격을 자행하여 신상털이에 나서고 피해자들이 사회 생활에 차질을 빚도록 선동하기도 한다. 2020년 태국 시위 때는 학생 시위대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공격을 가했다.
- 사이버 수색대 (Cyber Scouts): 태국 정부에서 후원을 받는 친왕정 온라인 조직.
- 나와폰 (ขบวนการนวพล)
- 붉은 물소 (กระทิงแดง)
- 농촌수색대 (ลูกเสือชาวบ้าน): 탐마삿 학살을 일으킨 우익 민병대.
튀르키예
- 그레이 울프: 튀르키예 마피아와 연관된 민족주의 단체로 극단적인 튀르키예 민족주의와 범투란주의를 표방하며 정치테러를 벌이고 있다.
- 레드핵: 튀르키예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해커들이 모여 만든 해킹팀.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화살십자당
헝가리
- 64개주 청년운동: 트리아농 조약 이전 고토 회복, 모든 헝가리계 민족 통일을 주장하는 헝가리의 극우 민족주의 단체.
- 전세계
- 무슬림 형제단
- 샤리아 경찰
- 스킨헤드
- 안티파
- 이슬람 해방당
그 외에도 기록되지 않은 많은 단체가 존재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정치경찰|정치경찰]]}}}{{{#!if external != "o"
[[정치경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정치경찰?uuid=ddc4626d-f510-4119-8cac-a14b508202aa|r87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정치경찰?uuid=ddc4626d-f510-4119-8cac-a14b508202a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정치경찰?from=87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정치경찰|정치경찰]]}}}{{{#!if external != "o"
[[정치경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정치경찰?uuid=ddc4626d-f510-4119-8cac-a14b508202aa|r87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정치경찰?uuid=ddc4626d-f510-4119-8cac-a14b508202a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정치경찰?from=87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6. 정치깡패가 등장하는 창작물
- 검사외전
- 내부자들
- 드래곤볼 - 프리저, 콜드 대왕[40]
- 대부 2(비디오 게임) - 알메이다(Almeida) 패밀리[41]
- 모래시계
- 무풍지대
- 맥스 페인 3 - 크라차 프레토[42]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까마귀 형제단
- 박태준 유니버스
- 베르세르크 - 흑견기사단
- 블루 아카이브 - FOX 소대
- 수사반장 1958
- 아수라(영화)
- 아카메가 벤다! - 비밀경찰 와일드헌트
- 야인시대
-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 - 로뮬루스 형제단(Followers of Romulus)[43]
- 용과 같이 시리즈
- 은하영웅전설 - 우국기사단
- 에빌리오스 시리즈 - 페르 노엘
- 엘더스크롤 시리즈 - 포스원, 실버블러드 가문 용병들[44], 도둑 길드[45]
- 원피스(만화) - 칠무해, 사이퍼 폴
- 종말에 뭐 하세요? 시리즈 - 말살기사단
- Warhammer 40,000 - 미노타우르스
7. 관련 문서
[1] 특히 한국에서는 민주화 이전에 조직폭력배들이 정치깡패를 겸했기 때문에 이러한 인식이 많은 편이다.[2] 돌격대, 슈츠슈타펠 등[3] 사실상 군벌화되어서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걸로 유명한 것은 멕시코 카르텔이다. 이들은 자신들과 커넥션이 없는 후보를 대놓고 암살하는 등 정치를 자신들의 하부조직화시켰다.[4] 천희연(千喜然), 하정일(河靖一), 장순규(張淳奎), 안필주(安弼周)[5] 약칭 대한민청[6] 야인시대 2부에서 괜히 M3 그리스 건이나 수류탄, 다이너마이트 같은 흉흉한 물건들이 튀어나오는 게 아니다. 게다가 김두한이 이정재에 반대하는 말과 행동을 했다고 이정재의 수하 유지광이 국회 중앙 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사람들 많고 다 지켜보고 있는 곳에서 품속의 권총을 내보이며 위협까지 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까지 했다. 야인시대가 반공우파적인 드라마라는 점을 감안해도 그 정도다.[7] 게다가 이 시기의 공안기관이나 군부 역시 김창룡, 김종원, 탁성록 문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군사정권 못지않게 극악무도했다.[8] 야당인 신민당 소속 이철승 국회의원이 차지철 당시 경호실장의 비호 아래 라이벌 김영삼 의원을 공격하기 위해 김태촌을 비롯한 주먹들을 동원했다. 이 린치를 당한 김영삼은 창문 밖으로 도망쳐서 다리가 부러지는 고생을 한 끝에 겨우 살았다.[9] 일명 용팔이 사건[10] 적국의 침략, 대국민 전쟁, 친위 쿠데타 등[11] 물론 영상 광고 수익 등은 금방 차단되지만 실시간 방송의 슈퍼챗이나 계좌번호를 통한 후원금 수수 등으로 수익을 창출한다.[12] 김민전/비판 및 논란 항목 참조.[13] 대만의 대표적인 흑사회인 죽련방이 1984년 대만 국방부 군사정보국 국장이자 해군중장인 왕시링의 지시를 받고 장징궈를 비판하던 재미 대만기자 류이량을 미국에서 암살한 바 있다. 일명 강남사건이라고 불리는 사건으로 국민당과 대만 흑사회의 유착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14] #[15] https://www.nocutnews.co.kr/news/4117336[16] 홍콩 학생 "난 중국인 아니다" 글 파문…中 "처형하라" 뉴질랜드 유학 中 남학생들, 홍콩 출신 여학생에 폭언·폭력[17] 홍대입구역에서 홍콩인·중국인 충돌 발생, #[18] 더 가관인 건 이런 범죄를 태연하게 저질러놓고 울면서 피해자 코스프레하는 유학생도 있다.[19] 인도네시아에 존재하는 반공, 극우성향 조폭단체. 판차실라는 수하르토가 발표한 국민행동강령이었다. 박정희 정권 시절 한국의 국민교육헌장과 비슷한 내용이라 보면 된다. 원래 1959년 우익들과 이슬람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인도네시아 독립지지자연맹당의 청년단으로 시작했다. 수카르노 정권 시기에는 별다른 두각을 나타내거나 뚜렷한 활동을 한 흔적이 없으나 수하르토의 집권 이후 유명해지게 된다. 독재정권 학살자 청산은커녕 독재정권 부역자들이 아직도 떵떵거리며 위세를 부리는 인도네시아답게 이 살인마 집단은 지금도 해체되지 않고 아직도 큰 규모로 활동 중이며, 간간히 우익정당 선거활동을 보조하기 위해 입 싹 씻고 멀쩡한 단체인 척 하면서 거리에 등장하기도 한다. 60~70년대의 깡패조직과 같은 살벌한 분위기는 많이 없어졌다지만 지도부의 생각은 그 때와 조금도 달라지지 않고, 당연히 그 시절의 학살에 대해서는 전혀 반성하지 않으며 오히려 옹호하는 모습을 보인다.[20] 흑적황은 바이마르 공화국 국기였고, 흑백적은 독일 제국 시대 국기였다.[21] 길거리에서 행하는 시위[22] 폭동 진압용 준군사조직으로, 기관총과 장갑차로 무장함.[23] 일부는 전향해서 돌격대원이 되기도 했다.[24] 이후 자기 입맛에 맞는 친위대를 새로 꾸린다.[25] 게임이긴 하지만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는 이탈리아 인민 공화국이 마피아를 미국에 의용병으로 내보낸다![26] 비디오 게임 마피아 2에서 이탈리아군에게 처형당할 뻔한 주인공과 전우들을 미군과 함께 탱크에 타고 와서 구해준다. 기관총 사수석에 앉아서 확성기로 투항을 종용하는데 이탈리아 군인들이 쫄아서 총을 버린다(...). 참고로 이 장면에서 등장한 돈 칼로(Don Calò), 즉 돈 칼로제로 비지니(Calogero Vizzini)는 의외로 실존인물이다. 마피아 2 외에도 스나이퍼 엘리트 4에서도 주인공 측의 협력자로 마피아가 등장한다.[27] 이는 시칠리아의 지리적 특성도 고려해야 하는데 시칠리아는 오랫동안 시칠리아 왕국으로 존재한 탓에 이탈리아 본국과는 구분되는 이질적인 문화가 자리잡았기 때문이다.[28] #[29] 일명 폭대법[30] 県内の市町村議員や首長、国会議員ら政治関係者への接触も確認されている。[31] 기사 링크[32] 한국사에서 정치 깡패라 하면, 이정재와 함께 반드시 거론된다.[33] 홀로코스트 당시 유럽 각지의 유대인들을 체포하여 강제수용소로 직송하기 위한 나치 독일의 정부기관.[34] 유명한 나치 부역자이자 정치깡패인 드리스 리파겐도 여기에 소속되어 일했다.[35] 이는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연방 법원이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협박 행위에 대해 가처분 명령을 내린 사례이다.[36] 약 20여개의 군, 경찰 산하 비밀부대 외에도 수많은 준군사조직들이 활동했다.[37] 그러나 AUC는 2006년 해체되기 전까지도 콜롬비아군 내부의 일부 세력과 유착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38] 튀르키예, 영국 관련 인물, 민주화 인사, 좌익 등.[39] 그럼에도 대통령 암살 음모를 주도할 정도로 마구 날뛰던 OAS보다는 어느 정도 정부의 통제가 먹히던 집단이었다.[40] 원작에선 단순히 우주에서 불법으로 토지를 매매하는 조직으로 등장했으나 최신작인 드래곤볼 슈퍼를 통해 7우주 최고위의 신인 파괴신 비루스와도 컨택이 있는 조직임이 추가로 밝혀지는데 실제로 자신의 밑에서 우주의 용역깡패로 일하던 사이어인들이 1차적으론 프리저의 사심에 의해 멸족한것이지만 이는 비루스의 의중이기도 했는데 비루스 입장에서도 본인이 할일을 프리저가 대신 해주니 그 댓가로 프리저의 불법행위를 눈감아 준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프리저 본인 역시도 훗날 신흥 세력으로 떠오르던 모로 일당을 두고 상대할 가치도 없는 질이 떨어지는 집단이라며 오만함에 가득찬 평가를 내리는데 이는 실제 정치깡패이 흔하게 보이는 모습현실은 프리저나 모로나 그나물의 그밥[41] 쿠바 혁명정부와 손잡은 조직. 보스라는 놈은 군 장교들이나 입을 법한 정복을 입고 있으며 정규 조직원 중 한 놈은 아예 똘마니들을 데리고 미국 플로리다까지 건너가서 공항 파업까지 부추기는 위엄을 보인다(...). 심지어 본거지에는 군용 차량까지 놓여 있다.[42] 우익 쪽 정치인들을 지지하면서 정치깡패 짓까지 하고 있다. 더 막장이게도 이 크라차 프레토라는 정치깡패 집단만 설치는 게 아니라, 후반부에는 아예 정치인에게 부대 전체가 통째로 매수된 경찰 특수부대도 나온다.[43] 로마의 건국 신화에 나오는 로물루스를 숭배하는 신이교주의 밀교 조직. 간부들은 종교로 믿지 않는다. 애초에 보르지아 가문이 이끄는 교황청에서 몇몇 간부를 자금 지원으로 매수하여 조종, 로마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하여 교황청으로 피신하여 위안을 찾게 하여 교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세운 단체다. 즉 따지고 보면 훗날 발매되는 어쌔신 크리드: 신디케이트의 블라이터스처럼 템플 기사단의 하부 조직. 물론 일반 신자는 진짜 종교로 믿고 있으며 이를 간부들이 로뮬루스의 이름을 거들먹이며 충성심을 사로잡는다. 전원 늑대피를 걸치고 다니며 광견병 걸린 늑대인간처럼 행동하며 로마 곳곳의 지하 폐허에서 간혹 나와 사람들을 해친다.[44] 사실 전자는 묻지마 테러리스트에 가깝고, 후자가 정치깡패에 더 가깝다.[45] 본래는 별도의 범죄 조직이었지만 5편 시점에서는 사실상 메이븐 블랙브라이어의 정치깡패나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