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20:10:39

미콜라 레베드

<colbgcolor=#000><colcolor=#cc0000> 미콜라 레베드
Микола Лебідь | Mykola Lebed
파일:Mykola_Lebed.jpg
이름 미콜라 키릴로비치 레베드
Микола Кирилович Лебедь
출생 1909년 1월 1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노비스트르시차
사망 1998년 7월 18일 (향년 89세)
미국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직업 정치인
소속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
우크라이나 국가정부

1. 개요2. 생애3. 활동4. 여담

1. 개요

우크라이나의 반데라주의 정치인. 반데라, 야로슬라브 스테치코와 함께 OUN 반데라파(OUN-B)의 거두였으며 OUN의 방첩 및 첩보조직 '보안국(Служба безпеки, Sluzhba bezpeky)'의 수장이었다. 1944년 여름 즈음 OUN에서 파생된 신생 친서방 반공 무장조직 '우크라이나 최고위 해방평위회(Ukrains'ka holovna vyzovol'na rada, UHVR)'의 외무 총서기 역할을 담당했다.

2. 생애

1909년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폴란드인 어머니로 이뤄진 농민 가정에서 탄생하였고, 서우크라이나의 파시스트 학생운동 조직체에서 활동한 인물이었다. 1932년 르비우 인근에서 벌어진 UVO(Ukrains’ka Viis’kova Orhanizatsiia, 우크라이나 무장전투단)의 여러 무장 강도 행각의 주요 기획자를 담당하였으며 한편으론 1934년 브로니스와프 피에라츠키의 암살 계획에도 동조하였다.

이후 자코파네 방첩보안학교(SiPo/SD-Schule Zakopane))에서 교육받으며 1940년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인해 우크라이나가 독일에 의해 점령되자 곧 우크라이나로 귀국, OUN의 반데라 파벌인 OUN-B의 권력서열 3위에 해당하는 인물이자, 방첩 및 첩보조직 "보안국"의 두령으로써 활동하였다. 초대 OUN 수장 예우헨 코노발레츠의 암살 이후, 온건파 안드리 멜니크의 OUN-M과 급진과격파 스테판 반데라의 OUN-B로 분열되었을 당시 멜니크 파벌의 인물들을 납치, 암살, 처형하는 작전의 중심에 서있었다.

또한 OUN-M의 타라스 불바-보로베츠가 만든 군사 조직의 이름을 강탈한 군사 조직, 'UPA(Ukrains’ka Povstans’ka Armiia, 우크라이나 반란군)'의 출범을 계획하고, 이러한 이름의 강탈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불바-보로베츠의 군사 조직을 OUN-B로 통합시키는 협상안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반공-극우 민족주의자였던 보로베츠가 OUN-B의 폴란드인 인종청소 행각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며 이러한 협상은 물건너가게 되었다.

1943년 6월부터 UPA와 OUN-B 조직원들은 우크라이나 내의 반폴란드 감정을 선동하는 한편으론 나치 독일의 협력을 받아 볼히니아 대학살을 일으킨다. 해당 과정에서 폴란드인, 유대인, 러시아인은 물론 우크라이나-폴란드 혼혈아들, 그리고 이에 반발한 OUN-M 조직원 혹은 우크라이나인들, 자유주의자 및 사회주의자들 역시 학살 계획의 일부로써 학살하였다. 이후 1944년, 소련군이 서우크라이나 내에 진주하기 시작하였고 소련과의 전투가 지속되면서 단순 학살이 아니라 실질적인 군사적 행동이 필요해진 OUN-B와 UPA는 미콜라 레베드 대신 폴란드군 복무 및 군사훈련 경험이 있는 로만 슈헤비치를 내세우기 시작하였다.

이후 1944년 친서방 및 반공,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의 후신임을 표방하는 '우크라이나 최고위 해방평위회(Ukrains'ka holovna vyzovol'na rada, UHVR)'의 조직과 창설에 기여하고 외무 총서기직을 역임하는 한편으론 OUN 활동도 지속하였고, UHVR 창설에 동조한 OUN-B 출신 인사 파벌인 OUN-Z(OUN za kordonom)의 핵심 지도자로써 활동하였다. 스테판 반데라를 비롯한 OUN-B 간부들이 나치 독일에 의해 체포당한 상황에서 레베드는 OUN-Z는 물론 OUN-B의 실질적인 현지 지도자로써 활동하였다.

점차 동부전선이 소련군의 승리로 끝날 기미를 보이자 곧 서구국가들과의 동맹관계를 위하여 이탈리아로 도피, 바티칸 교황청의 엄호 아래에 미콜라 레베드와 OUN-Z 파벌 인사들은 로마에서 잠적하였고, 이후 CIA 뮌헨 지국장 해리 로지츠케과의 접촉을 통해 CIA에게 절실하였던 대소공작의 핵심 인원으로 떠올랐다.

《학살마는 어떻게 "자유의 민주 반공투사"가 되었나?》. 구자정.

3. 활동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이뤄진 볼히니아/볼린 대학살(Volyn Masscare)의 주범으로, 1941년 스테판 반데라가 독일에 의해 체포된 이후 OUN-B의 실질적인 리더로써 활동하였다. 이후 우크라이나 최고위 해방평의회(UHVR)의 총서기직으로 활동하였으며, 독일 연방정보국의 전신 '겔렌 기관Organisation Gehlen'의 대소 정보공급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이미 미 육군 방첩국의 전신 CIC는 레베드의 OUN-B의 활동에 대하여 어느정도 파악하고 있었고 때문에 레베드를 1941년 수감당한 스테판 반데라보다 더 위험하고 급진적인 인물로 꼽았다.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