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4 22:26:41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초기 희랍 문학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희랍 희곡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헬레니즘 문학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로마 문학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중세 문학 영국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이탈리아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독일/게르만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기타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영국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프랑스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스페인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고전주의 이탈리아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영국 새뮤얼 존슨 ·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기타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낭만​주의 독일 낭만주의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영국 낭만주의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퍼시 비시 셸리 · 메리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미국 낭만주의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프랑스 낭만주의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기타 낭만주의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사실주의 발자크 · 스탕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 오 헨리
자연주의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상징주의/유미주의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 나보코프 · 캐럴 · 로세티 · 스윈번
근대극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근현대 문학 모더니즘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 쇼팽
표현주의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글뤽
사회주의 리얼리즘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파베세 · 하인리히 만
신시(新詩)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 휘트먼
실존주의/부조리극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 베르나노스
포스트모더니즘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 크러스너호르커이
사변소설 웰스 · 베른 ·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 · 르 귄
마술적 사실주의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누보로망 사로트 · 로브그리예 · 뷔토르 · 시몽 · 뒤라스
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기타 근현대 문학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생텍쥐페리
세계의 문학사 둘러보기
동양문학(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 | 중문학 | 일문학 )
서양문학( 영문학 | 불문학 | 독문학 | 노문학 | 이문학)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ddd>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Gabriele d'Annunzio
파일:2785_7492_4312.png
출생 1863년 3월 12일
이탈리아 왕국 페스카라
사망 1938년 3월 1일 (향년 74세)
이탈리아 왕국 가르도네 리비에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시인, 소설가, 극작가
소속 이탈리아 민족주의협회[1]
서명
파일:가브리엘레 단눈치오 서명.svg
1. 개요2. 생애3. 영향4. 작품세계5. 작품6. 여담7. 매체에서

1. 개요

이탈리아 왕국시인, 소설가, 극작가, 그리고 카르나로 이탈리아인 섭정국두체.

다방면에서 활약하면서 20세기 초반 이탈리아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문인이다. 성씨는 안눈치오(Annuzio)지만 앞에 전치사 di를 줄여서 붙인다.

2. 생애

쾌락을 주는 그의 재능은 가히 악마적이다.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이탈리아 통일 선언이 얼마 지나지 않은 1863년 3월 12일 아브루초(Abruzzo)주의 페스카라에서 대지주이자 군수인 프란체스코 파올로 라파네타 단눈치오(Francesco Paolo Rapagnetta d'Annunzio)의 아들로 태어났다. 작가의 재능을 어렸을 때부터 숨길 수 없었는지, 16세의 나이로 첫 번째 시집인 '이른 봄에(Primo Vere)'를 발표하고,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로 입학하며 본격적인 문인으로써, 사회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사진과 같이 대머리에다 키도 작은 그는 묘하게도 많은 귀족 여성들과 엮였다. 화려한 관용구와 찬사, 로맨스를 섞은 화법으로 여러 귀족 영애들을 홀렸고, 이런 재주는 누구보다도 대단했다고 한다.[2] 결국 갈레세 공작의 딸과 결혼함으로써 귀족 사교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혼 후에는 이탈리아 역사상 최고의 여배우로 손꼽히는 엘레오노라 두세(Eleonora Duse)와 5년간 동거했으며, 그녀는 평생 벌어들인 돈을 단눈치오에게 아낌없이 투자했다. 그로 인해 그의 문학 및 희곡 작품들이 현재도 남아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다 막대한 빚을 지고 프랑스로 도피했다.

로마 제국을 숭상하던 안눈치오는 작가에서 민족주의자로 탈바꿈하여 고대 로마 제국의 영광을 이탈리아에 재림하게 해야 한다는 사명의식에 빠져들었다.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로 복귀한 그는 이 전쟁이 과거의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할 절호의 기회라고 연설하였다. 단눈치오는 민족주의 세력을 규합하여 1915년 5월 2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선전포고를 이끌었다. 특히 런던 밀약에서 아드리아해 연안의 오스트리아 영토를 이탈리아에 할양한다는 조건이 있었기에 안눈치오에게는 기회나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안눈치오는 쉰 두 살에 참전한다.

군역(軍役)도 치르지 아니한 늙은 문인 안눈치오는 말도 안 되는 활약을 펼쳤다. 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취향으로 인해 그는 전쟁에서 용맹함을 보였고, 여러 터무니없는 기행을 성공시켜 전설이 되었다. 일례로 '빈에서의 비행'은 안눈치오가 비행기 9대를 동원하여 700마일 떨어진 적국 오스트리아의 수도 한 가운데에 선전 인쇄물[3] 살포하고 무사귀환했다. 또한 소형 잠수정을 몰고 전함에 자폭공격을 감행해 격침시키는 등 목숨을 아끼지 않는 활약을 선보였다. 그 결과, 전쟁이 끝날 때 즈음 비록 오른쪽 눈이 애꾸가 되었지만 그는 이탈리아에서 훈장을 가장 많이 받은 전쟁영웅이 되어 있었다.

그러나 막상 전쟁이 끝난 이후 그가 바랐던 베네치아 공화국에 속했던 오스트리아의 일부 영토는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런던 밀약이 파기되어 할양받지 못했다. 이에 안눈치오와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격분했고, 당시 막 두각을 나타내던 베니토 무솔리니에게 주사위는 던져졌다라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명언과 함께 1919년 200명의 의용군들을 이끌고 피우메로 무작정 진군했다. 이 과정에서 하루키치 시모이 등 이전부터 안눈치오에게 동조하고 있던 사상가들이나 극우파 출신의 퇴역 군인들이나 탈영한 현역 사병들도 합류해 피우메에 도착했을 때는 전차와 장갑차, 트럭을 대동한 2,500명에 가까운 병력이 모이게 되었다. 의용군을 자처했지만 국제법상 엄연한 불법 침공이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는 급하게 연합군 이탈리아 사령관 피타루를 파견했다. 그리고 피타루와 그의 휘하 병력들이 의용군에게 총을 겨누자 안눈치오는 자신의 외투를 젖혀 가슴팍에 가득 달린 훈장을 보여주며 말했다.
나를 죽여야 한다면 여기를 쏘시오.

일설에 의하면 이때 피타루는 눈물을 보였다고 한다. 이미 전쟁영웅으로써 인기와 명성이 드높았던 안눈치오를 쏠 수 있는 군인은 없었고, 오히려 진압군까지 의용군에 합류하게 되었다. 안눈치오는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피우메에 입성한 뒤, 도시를 점령해버렸다. 갑작스럽게 의용군에 점령된 피우메를 어떻게 해야 할지 협상국에서는 난감해 했고, 민족자결주의적으로 투표를 통해 결정하라는 권고를 내리자 피우메 시민들은 안눈치오를 지지해버렸다.

이렇게 한 도시의 수장이 된 안눈치오는 스스로를 두체라 칭하며, 도시국가로써의 기틀을 다져가기 시작했다. '카르나로 헌법' 이라 불리는 평등주의 헌법을 제정한 뒤, 양원제 의회와 선거제를 통해 선출되는 대표들을 세웠다. 그리고 국기와 고유 통화까지 새로 재정했다. 이때 종교, 언론, 사생활의 절대적 자유 등을 보장했다. 심지어 심지어 시대를 앞서 사회보장제도와 최저임금제, 의료보험, 여성의 평등까지 도입했다. 그리고 로마를 흠모했던 안눈치오의 성향이 반영되어 조영관, 호민관, 비상시에는 독재관을 도입함으로써 고대 로마 흉내를 냈다.

다만 이런 이상적인 개념들을 실현시키려고 하니 작은 도시국가 피우메에서조차 지나치게 스케일이 컸다. 본인도 정치나 내정 보다는 매일같이 수천 명의 사람들을 모아놓고 발코니에서 연설을 하는데 관심을 보였기 때문에 제대로 운영되지 못한 도시는 곧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그의 여성편력은 나이가 들어서도 여전했는데 그의 추종자들은 피우메에서 자신들의 두체를 따라 문란한 생활을 하는 등 도시가 거대한 매춘굴이 되었다고 한다. 결국 피우메 자유국은 약 16개월 동안 무정부 상태를 유지하다 1921년 조반니 졸리티 내각에 의해 이탈리아로 흡수되면서 사라졌다. 유혈 사태가 일어나지 않은 평화로운 퇴장이었다. 일부 이탈리아인들은 만약 그가 다른 마음을 먹고 이탈리아로 진군했다면 충분히 당시 정부를 끌어내릴 수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1924년 여러 공적을 인정받아 몬테네소보공(Principe di Montenevoso)으로 봉해지고, 파시즘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대선배의 예우를 받았다.[4] 그리고 1938년 가루다 호반에서 생을 마감했다.

3. 영향

민족주의자로써 안눈치오는 이탈리아의 현대사에 준 영향이 크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즘을 태동시킨 이탈리아 민족주의의 대부가 안눈치오였다. 1920년대에 무솔리니가 본격적으로 이탈리아를 휘어잡기 시작하자 그의 저서, 이념과 명언들은 젊은 추종자들에게 이용되는 등 파시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무솔리니 본인도 안눈치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5]

실제로 그는 파시스트보다는 민족주의자에 가까운 편이었지만 대선배를 기념하기 위해 강제로 파시스트로 추대된 감이 없지 않다. 실제로 가르다 호수 근처에 자리한 그의 저택이자 영묘라 할 수 있는 비토리알레 저택(Vittoriale degli Italiani)는 파시스트 기념물과 마찬가지였다. 이곳에는 현재도 전투기와 군함, 원형 극장, 그의 전리품 등이 전시되어 있다.

예술가라는 측면에서도 단눈치오는 신낭만주의 작가로써 근현대 이탈리아 문학에 한 획을 그었다. 다만 그는 이탈리아인의 민족주의를 부르짖으며 필요하다면 피를 흘리라는 광기에 빠진 영웅이 되었다.

4. 작품세계

안눈치오의 시와 소설 작품들은 프랑스 자유주의와 프리드리히 니체의 영향이 깊게 보이며, 특히 안눈치오의 <초인사상>은 니체의 <초인사상>에서 힘입은 바가 크다. 그러나 여러 정황으로 미뤄보면 단눈치오는 니체보다는 리하르트 바그너에 더욱 경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그너에 대한 단눈치오의 존경이 대단했음은 그의 작품을 통해서 추측해 볼 수 있다. 예컨데 『죽음의 승리(Trionfo della morte)』의 주인공 조르지오 아우리스파(Giorgio Aurispa)는 바그너에 대한 열정, 바그너 악극의 본산인 바이로이트 오페라 하우스 그리고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에 대한 동경을 감추지 않는다. 『불(Il fuoco)』의 주인공 스텔리오 엡프레나(Stelio Effrena)역시 『파르지팔』에 대한 예술적 공감을 숨김없이 토로한다. 이처럼 바그너 악극의 등장인물들이 넘치는 역동성과 다소 야만적인 호전성, 증오, 배신, 복수, 애증 등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의 지배를 받는 대단히 감각적이며 관능적인 인물들인 까닭에 단눈치오는 자신의 문학이 추구하는 바와 일치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여러 정황을 통해 미뤄보면 안눈치오는 니체의 영향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예술 미학적인 면에서 니체보다는 바그너에 더욱 경도되었던 것 같다.[출처]

5. 작품


쾌락, 무고한 존재, 죽음의 승리. 세 작품을 장미소설이라 칭한다. 한국에는 쾌락(을유세계문학전집), 무고한 존재(대산세계문학총서). 두 작품만 이탈리아어 번역이 존재하며 죽음의 승리는 중역본으로 나온 적이 있다.

6. 여담

7. 매체에서

하츠 오브 아이언 4의 모드인 레드 플러드에 피우메 음악국을 이끄는 지도자로 등장한다.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는 역사의 변화로 1차 세계 대전에서 피우메는 이탈리아 땅으로 인정받아서 피우메 점령 대신에 차라를 점령한 것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토사구팽 당하고 스위스 국경 호숫가에 은거하게 된다. 그러나 무솔리니로마 진군이 대실패하고 무솔리니가 도망가면서 이탈로 발보에 의해 파시즘 지도자로 추대, 30년 대공황을 기회로 권력을 잡는다.


[1] Associazione Nazionalista Italiana[2] 프랑스의 여배우 시몬은 안눈치오의 매력적인 목소리와 언변에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3] 대부분이 허풍과 자기과시가 가득한 내용이었다.[4] 하지만 파시즘 정권 치하에서 끊임없이 감시 받았다.[5] 안눈치오가 피우메의 수장을 역임할 때 사용한 두체라는 호칭은 무솔리니가 그대로 사용했고, 고대 로마에 미친 것도 동일하다. 심지어 일부 무솔리니의 연설은 단눈치오의 연설에서 영감을 받은 부분이 많다.[출처] 한성철 『이탈리아 민족주의 기원으로서의 초기 낭만주의와 데카당스 연구』 외국문학연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