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10:44:20

아리스토파네스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초기 희랍 문학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희랍 희곡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헬레니즘 문학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로마 문학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중세 문학 영국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이탈리아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독일/게르만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기타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영국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프랑스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스페인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고전주의 이탈리아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영국 새뮤얼 존슨 · 조너선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알렉산더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기타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낭만​주의 독일 낭만주의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영국 낭만주의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미국 낭만주의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프랑스 낭만주의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기타 낭만주의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사실주의 발자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마크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자연주의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상징주의/유미주의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근대극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근현대 문학 모더니즘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표현주의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나보코프
사회주의 리얼리즘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신시(新詩)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실존주의/부조리극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포스트모더니즘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사변소설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마술적 사실주의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기타 근현대 문학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e0e0e0> 아리스토파네스
Ἀριστοφάνης | Aristophanes
파일:Bust_of_Aristophanes.jpg
출생 기원전 448년
고대 그리스 아테네
사망 기원전 380년 (향년 67세)
직업 극작가

1. 개요2. 작품3. 대중 매체에서4. 여담

1. 개요

고대 그리스극작가. 그리스 희극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희극의 아버지'로 불린다.[1]

2. 작품


총 44편을 썼다고 하는데 그중 이렇게 11편이 전해지고 있다. 대표작은 《구름》, 《개구리》, 《새》, 《뤼시스트라테》. 그 어떤 것이라도 대놓고 비판했던 극작가로 당시 정치와 사회를 풍자했으며 심지어 종교와 제우스까지 비꼬는 등 못 까는 것이 없었다. 동시대 유명한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도 비꼼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여러모로 공격적일 수도 있는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고 성적인 면으로도 막나가서 <구름>에서는 배우가 관객에게 "정치인들이 너네를 유린하는 것처럼 나도 너희를 유린해보자." 하며 관객들에게 후장을 내주라고 외치는 장면도 있다.[2] <새>에서는 이리스에게 "한 번만 더 짜증나는 소리를 하면 네 다리를 벌리고 들어갈 테다."라고 주인공이 말하는 부분도 존재한다.[3][4] 그 밖에도 헤라클레스가 먹보 바보로 나오는 등 상당히 풍자적이다.

특히 페리클레스 사후 새로운 권력자로 대두되던 클레온을 증오했는데[5], 클레온이 필로스에서 대승을 이룬 뒤에도 "기병"에서 클레온을 대차게 비난했다. 여기서 클레온에 해당되는 캐릭터는 아리스토파네스가 맡아서 연기했다는 루머가 있는데, 하도 심하게 까대는지라 그 역을 맡은 배우가 해를 입을까 봐 그랬다는 카더라. 당시 클레온의 인기가 하늘을 찌를 듯했는데[6], 하필 이 "기병"이 희극대회에서 1등을 하는 바람에 크레온을 하도 까대는지라 <말벌들>에선 캐릭터중 하나가 "이번엔 클레온 까는 내용 아님"이라고 할 정도. 근데 작중 두 인물 이름의 뜻을 풀이하면 反클레온과 親클레온이다. 그리고 親클레온 쪽이 좀 특이한 면모를 갖춘 채로 나오는 데서 알 수 있다. 여담으로 둘은 부자지간인데 친클레온 파인 아버지가 배심원으로 나가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모든 피고인들에게 유죄 선고를 하는 걸 너무 즐겨서 반클레온 파인 아들이 아버지를 못 나가게 하느라 골치를 썩는다는 내용이다.

그외 여러 가지 풍자가 많고, 현대인의 시각으로 봐도 유쾌한 이야기가 많은데, 예로 <리시스트라테(Lysistrata)>에서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지친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여인들이 전쟁을 멈추지 않으면 섹스를 하지 않겠다고 신전에 틀어박혀 남자들로 하여금 전쟁을 그만 하라고 시위를 하는 황당하고 유쾌한 상황이 연출된다. 리시스트라타는 결국 스파르타아테네가 서로를 도운 역사를 상기시키며 평화를 되찾는 것으로 극은 끝을 맺는다.

그외에 <기병>(영어명은 The Knight)라는 연극에서는 데모스테네스라는 이름의 노예가(이름은 당시 아테네의 장군 데모스테네스에서 따왔다) 고기장수에게 "정치가 교육받은 자와 정직한 자만의 특권이라고 생각하나?"라고 말하며 정치인이 되기를 권하는 대사가 있다. 정치판이 부패했던 점은 그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밖의 명대사로는 <평화>의 2막에서 "노예"가 하는 "신들에게도 창녀촌이 있다고요? 이런 위선자들 같으니라고! 이제부터 신들에 관심을 끊겠어요."

소피스트들(정확히는 소크라테스)을 풍자한 작품 <구름>에서의 명대사로는, 공부하라고 사숙에 보내놨더니 논변술을 배워서 돌아온 자식놈이 "아버지, 저에게 사랑으로 교육을 해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아버지께서 제게 해 주신 모든 교육은 아버지의 사랑에서 비롯된 것이겠지요?" 아버지 曰"당연히 그렇단다" 아들 曰"그렇다면 아버지께서 절 때리신 것도 다 사랑하셔서 그러셨던 거지요?" 아버지 曰"당연히 그렇단다." 그러자 아들이 아버지를 후려패고 아버지가 놀라서 아들에게 영문을 묻자 아들 曰, "저도 아버지를 사랑하니까 때리는 겁니다.". 아버지 독백, "말로는 못 당하니 내 이놈의 소피스트 사숙을 불태워버려야지!!"

아리스토파네스가 소크라테스를 미워한 것은 소크라테스가 이성과 절대 진리를 강조한 덕분에 그의 제자들이 전통적인 미덕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알키비아데스나 크리티아스 같이 자기 자신을 절대 진리에 놓는 극단적인 경우까지 나오게 만든 것에 대한 미움이었다고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7] 사실 당시 아테네에서는 에우리피데스와 소크라테스 두 사람 모두를 "타락한 지성"의 예로 여겼다고 한다. 그리고 비록 악평이었지만 소크라테스는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 덕분에 인지도를 얻을 수 있었고, 소크라테스 본인도 사형 재판정에서 자신을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에 나오는 사람으로 알고 있을 분들도 많을 거라는 발언을 했다.

에우리피데스 또한 자주 까대서 역시 <개구리>에서 캐릭터가 "이번엔 에우리피데스도 안 깜"이라고 얘기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위의 <말벌들>처럼 막판엔 아이스킬로스와 비교하면서 결과적으론 깐다. <개구리>에선 작중 디오니소스가 지상에 훌륭한 시인들의 씨가 마르자, 저승으로 내려가서 아이스킬로스에우리피데스중 더 훌륭한 시인을 지상으로 데려가려고 한다. 이에 아이스킬로스는 에우리피데스와 설전을 벌이며 자신의 작품들이 더 대단하다고 주장하는데, 결국엔 아이스킬로스가 승리한다. 소포클레스는 아이스킬로스에 이은 No.2 자리를 자신이 인정했기에 빠졌다. 대신 아이스킬로스가 자신이 돌아올 때까지 저승의 No.1 시인 자리를 맡겨둔다고 한다.

플라톤의 향연에 나오는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역시 유명하다. 그에 따르면 본래 인간은 머리 둘과 팔 넷, 다리 넷이 달린 생명체였다. 두 머리가 달린 인간은 매우 강하고 완전한 생물이었고, 끝내는 신들조차 두려워하지 않고 공격하게 되었다. 그들의 오만함에 노한 제우스 신은 벼락을 내리쳐 인간을 반쪽으로 갈랐고, 아폴론 신은 그들의 상처를 꿰매 배꼽으로 엮었다. 그리하여 인간은 두 팔과 두 다리가 달린 반쪽짜리 생명체로 전락했으며, 다시 완전해지기 위해서 에로스를 추구하게 되었다. 플라톤 대화편의 특성상 정말로 아리스토파네스 본인이 그런 연설을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어쨌거나 이 안드로규노스 신화는 후대의 예술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3. 대중 매체에서

4. 여담



[1] 정확하게는 그리스 구희극을 대표하며, 그리스 신희극을 대표하는 작가는 메난드로스이다.[2] 보통 그리스 연극에서는 연극 속의 인물이 관객에게 직접 말하는 메타발언은 일부 하위 장르에서만 사용된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그 규칙을 깬 것이다.[3] 페이세타이로스: 제우스의 시녀인 그대 이리스도 나를 괴롭히면, 내가 먼저 그대의 두 다리를 잡고 사타구니 사이로 밀고 들어갈 것이오. 그러면 그대는 놀랄 것이오. 내 비록 나이는 많아도 내리 세 번을 할 수 있을 만큼 발기가 될 테니까.
《새》 1253 ~ 1256, 천병희 역)
[4] 이에 대한 이리스의 반응은 "악당 같으니라고! 그대가 한 말에 스스로 찢겨 죽을지어다!"[5] 정치적 사상으로도 대립되었지만, 클레온이 아리스토파네스의 "바빌로니아인들"을 신성모독이라며 고발한 뒤론 아리스토파네스가 그를 격렬하게 증오했다.[6] 클레온은 죽기 전까지 3년간 아테네의 정치권의 중심이었다.[7] 아리스토파네스의 소크라테스 풍자는 정당한가? ―그의 『구름』에서의 소크라테스 혹평에 대한 반론. 윤병렬, 철학탐구, 2012, vol.32, pp. 115-145.[8] 천병희 저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