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옹진군|옹진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9c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구 | 동구 | 미추홀구 | 연수구 |
[[남동구/행정| 시청 남동구]] | 부평구 | 계양구 | 서구 | |
강화군 | 옹진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641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6410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군청은 미추홀구 용현동에 있음. |
[1] |
1. 개요
7개의 면이 있고, 읍은 없다.[2] 총인구는 2025년 3월 기준 19,796명이다.2. 대청면
대청면 (옹진) | |
면적 | 15.63㎢ |
인구 | 1,408명(中 소청출장소 234명)[A] |
하위 행정구역 | 2리(9리, 18반)[4] |
면사무소 | 대청로19번길 7-8 |
링크 | 대청면사무소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청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청도#|]][[대청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소재지는 대청리다. 소청출장소는 소청리를 관할한다.
대청도와 소청도로 구성되어 있다. 백령면과 같이 과거에는 황해도 장연군에 속했다. 1962년 6월 대청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74년 7월 대청출장소가 면으로 승격되어 백령면에서 분리되었다. 이듬해 소청출장소가 설치되었다.
대청도에는 '사탄동해수욕장'이 존재한다. 백령군도 문서를 참고할 것.
학교는 대청초, 대청중, 대청고가 있다.
3. 백령면
백령면 (옹진) | |
면적 | 51.22㎢ |
인구 | 4,673명[A] |
하위 행정구역 | 5리(18행정리 65반)[6] |
면사무소 | 백령로278번길 61-2 |
링크 | 백령면사무소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백령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백령도#|]][[백령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의 중심지는 진촌리이며, 이외에도 가을리·남포리·북포리·연화리 등 5리를 관할한다. 한때 옹진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지만 육지와 연륙되고 화력발전소단지가 있는 영흥면에 밀려 군내 인구 2위다.
백령도로 대표되며, 옹진군의 섬 중에서 가장 크다. 과거 대청면과 함께 황해도 장연군에 속했다. 토지 이용에 대해서도 옆의 대청도가 집약적으로 활용한다면 백령도는 조방적으로 이용된다.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중인 영토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영토이자 최전방이라 국방의 요충지이며, 대한민국 해병대 제6여단,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이 주둔하고 있다. 사곶 해수욕장은 토질 특성상 천연 활주로로 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7]
까나리가 특산물이다.
학교는 백령초, 북포초, 백령중, 백령고가 있다.
4. 연평면
연평면 (옹진) | |
면적 | 7.41㎢ |
인구 | 1,922명[A] |
하위 행정구역 | 1리(6리, 30반)[9] |
면사무소 | 연평중앙로24번길 3 |
링크 | 연평면사무소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평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평도#|]][[연평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평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평면#|]][[연평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관할 법정리가 연평리 하나이기 때문에 면소재지도 연평리다.[10] 과거 황해도 벽성군 소속이다가 남북분단 후 현재의 옹진군 소속이 됐다.
대연평도와 소연평도로 구성되어 있다. 꽃게 조업의 거점이지만, 두 차례의 해전과 포격전이 발생하는 등 서해5도 중 북한의 위협에 가장 직면한 최전방의 섬이다보니 생업에 지장을 많이 받는다. 이런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작은 섬이지만 연대급인 해병대 연평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학교는 연평초, 연평중, 연평고가 있다.
5. 덕적면
덕적면 (옹진) | |
면적 | 36.62㎢ |
인구 | 1,902명[A] |
하위 행정구역 | 8리(14리, 40반)[12] |
면사무소 | 덕적북로 130 |
링크 | 덕적면사무소 |
덕적도와 소야도·선미도·문갑도·굴업도·백아도·울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해 5도도 아니면서 옹진군의 행정구역 중에서 육지에서 가장 멀다. 도서별 법정리는 덕적도가 진리·북리·서포리, 소야도는 소야리, 문갑도가 문갑리, 굴업도가 굴업리, 백아도와 지도가 백아리, 울도가 울도리에 속한다. 과거에 자월면 승봉리를 관할했었으나, 월경지였던 점이 커서 자월면이 생길 때 승봉리가 자월면으로 떨어져나갔다. 다만 선갑도는 덕적군도에 속해 있음에도 행정구역 상 자월면 승봉리이다.
덕적도와 소야도는 연도교가 있으며, 문갑고 덕적도에서 갈아타야 한다도, 굴업도, 백아도, 울도, 지도는 덕적도에서 배를 타야 하는데, 이 섬들은 인천에서 배가 뜨지 않는다. 소야도도 인천에서 다니긴 했으나 연도교의 개통으로 인천출발은 폐지되고 대부도에서 타야한다. 목덕도[13]의 경우는 충청남도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 근처에 있어서, 인천광역시 구역 중 유일하게 충청남도 서산시의 국번이 적용된다.
학교는 덕적초, 덕적중, 덕적고가 있다. 덕적고의 학생수는 26명밖에 되지 않지만, 2021년 덕적고등학교 야구부 창단이 승인되었다. 전국 유일의 도서지역 고등학교 야구부이다.
상업시설로 하나로마트 덕적점이 있다.
6. 북도면
북도면 (옹진) | |
면적 | 17.65㎢ |
인구 | 2,121명(中 장봉출장소 955명)[A] |
하위 행정구역 | 4리(110리, 32반)[15] |
면사무소 | 시도로61번길 65-4 |
링크 | 북도면사무소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도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도면#|]][[북도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소재지는 시도리다. 장봉출장소는 장봉리를 관할한다.
다른 섬과 달리 중구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북도면의 4개 섬은 영종도에 있는 삼목선착장에서 도선을 타고 들어가야 한다. 주말에는 거의 10분 간격로 운행될 정도로 주말 하이킹이나 캠핑 목적으로 많이 찾는다. 신도-시도-모도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장봉도는 모도 서쪽에 따로 떨어져 있다. 현재 영종도 운서IC에서 신도를 있는 교량이 2025년을 목표로 공사 중인데, 생활권과 연륙될 것을 감안하여 새로 출범할 영종구에 편입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학교는 공항초 신도분교, 삼목초 장봉분교가 있다.
상업시설로 하나로마트 북도점, 하나로마트 시도점이 있다.
7. 영흥면
영흥면 (옹진) | |
면적 | 26.68㎢ |
인구 | 6,495명[A] |
하위 행정구역 | 3리(13행정리 61반)[17] |
면사무소 | 영흥로251번길 90 |
링크 | 영흥면사무소 |
면소재지는 내리이며 옹진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영흥도와 선재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옹진군의 관할지역 중 현재 유일하게 육지에서 배편 없이 육지와 이동이 가능한 지역. 영흥화력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놓인 영흥대교와 선재대교로 안산시 대부도와 연결된다. 연륙도로는 마련되어 있지만 정작 인천광역시 본토로 가려면 경기도를 거쳐 한참을 가야 한다. 따라서, 이 지역의 공영버스는 옹진군 공영버스 중 유일하게 수도권 통합 요금 적용이 가능하다. 나머지 지역은 배를 타야 하는 문제 때문에 사실상 환승이 불가능하다. 대신 인천연안부두로 가는 여객선은 없다. 도로가 연결되어 있지만 수도권에서 옹진군 남부 도서로 갈때 영흥도까지 육로로 와서 가는 것은 불편하기 때문에 옹진군 남부도서로 가는 배들은 인천이나 대부도 방아머리항에서 출발하며, 심지어 가장 가까운 자월도로 가는 배도 다니지 않아 사실상 월경지의 상태다.[18] 그런고로 우체국소포와 우편 업무도 부평우편물류센터와 부천우편집중국이 아닌 안양우편물류센터와 안양우편집중국에서 담당한다.
영흥화력발전소, 하나로마트 영흥점이 있으며 학교는 영흥초, 영흥중, 인천영흥고가 있다. 그리고 인천시가 2020년 11월 이곳에 인천시 자체 쓰레기 매립지인 인천에코랜드 조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주민들은 극심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는 반대급부로 십리포와 구봉도를 연결하는 제2영흥대교 건설을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 남쪽 선재도를 경유하는 현 경로에 비해 인천까지 무려 1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9]
섬이라서 옹진군 단위에서 철도가 들어올 가능성은 적다. 대조적으로 인근 경기도 안산시에서는 2024년 상반기 신안산선 철도가 송산그린시티를 거쳐 대부도 연장 논의중에 있어 철도가 연장되면 영흥면에서 버스로나마 환승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8. 자월면
자월면 (옹진) | |
면적 | 17.72㎢ |
인구 | 1,305명(中 이작출장소 357명)[A] |
하위 행정구역 | 3리(7리, 26반)[21] |
면사무소 | 자월서로 164 |
링크 | 자월면사무소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월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월도#|]][[자월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월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월면#|]][[자월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소재지는 자월리다. 이작출장소는 이작리를 관할한다.
1983년에 신설된 면으로 역사가 길지 않다. 대이작도, 소이작도, 자월도, 승봉도 정도만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학교는 남부초 이작분교, 용현남초 자월분교, 주안남초 승봉분교가 있다.
상업시설로 하나로마트 자월점이 있다.
[1] 자월면 한자가 오타이다. 紫月面이 맞다.[2] 군 전체 인구를 다 합해도 2만이 채 못되는데다, 도서 지역으로만 이루어진 지역적 특성에 따라 군청이 군내에 존재하지도 않아 읍 승격의 이유가 없었던 배경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읍이 없는 유일한 군.[A] 2025년 3월 주민등록인구통계[4] 대청리·소청리[A] [6] 가을리·남포리·북포리·연화리·진촌리[7] 실제로 한국전쟁 당시 비행기가 착륙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다만, 지금은 해변 대부분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최근에는 주변 개발 등으로 인해 훼손이 심각한다고 한다. 그래도 배로 멀리 가는 불편함을 덜고자 공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A] [9] 연평리[10] 물론 행정리는 6개이다.[A] [12] 진리·굴업리·문갑리·백아리·북리·서포리·소야리·율도리[13] 인천광역시의 극남점이다.[A] [15] 모도리·시도리·신도리·장봉리[A] [17] 내리·선재리·외리[18] 재미있는 것은 육로로 연결된 대부도도 월경지다. 안산시와 떨어져 있어서 대부도에서 안산시를 가려면 시흥시나 화성시를 거쳐야 한다.[19] 다만 대부도를 관할하는 안산시는 반대하고 있다.[A] [21] 자월리·이작리·승봉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