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차도 / 訥次島
눌차도 |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 있는 섬.2. 상세
옆에는 진우도가 있으며 어업을 주로한다.이름의 유래는 섬이 누워있는 것 같다고 하여 눌차도이다.
옆에는 신항이 있고 선창마을, 동선과 가까이 있다. 눌차도 서쪽엔 가덕대교(눌차대교, 거가대로)가 지나가는데 빠지는 길이 없어 차로는 가지 못한다. 동선방조제와 천가교를 통해 들어갈수있다. 천가교는 상대적 최근에 만들어졌지만 동선방조제인 새비지들은 옛날부터 있었다. 새비지들은 현재의 동선방조제(동선동과 눌차동 사이)에 있는 사주로 새비지들에 방조제와 도로를 깔아 동선방조제가 된 것이다.
옛날에는 눌차도 주변에 여러 바위섬이 있었는데 현재는 매립되어 봉우리가 되었거나 존재감 없이 남아 있다.
지도로 보면 가덕도와 눌차도 사이 천가교와 방조제가 막고 있어 석호나 호수처럼 생긴 모습이 있는데 사실 천가교 교량이 바다와 이 곳을 막지 않고 있어 바닷물이 들어오는 눌차만이라고 한다. 썰물 땐 갯벌이 드러난다. 예전부터 눌차만을 매립시킨다는 말이 있었다. 가덕도신공항이 만들어지면 눌차만을 매립시켜, 에어시티를 만든다고 한다.
1990년대 이전에는 해병대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눌차도 최동단엔 정거말, 최북단에는 미들말이라는 곶이 있다. 정거말에서 방조제 사이에 있는 해식애 부분의 지명을 탕수구미라고 한다.
눌차도의 마을은 외눌마을, 내눌마을, 항월마을, 정거마을이 있으며 특히 정거마을은 벽화가 있는 벽화마을 관광지다. 어느 마을이 그렇듯 마을에 가면 마을 이름 비석이 있고 지명을 설명해 놓았다. 항월마을은 마을 중 가장 크며 천가교가 있고 선창과 부산신항이 가까이 있다. 정거마을은 닻거리였는데 한자로 바꾸며 정거리가 되었고 국수봉이라는 산이 있는데 거기엔 국수당이라는 제당이 있다. 정거마을에서는 진우도와 매우 가깝고 벽화마을 쪽엔 문화거리라는 관광거리가 있다. 갈맷길 5-1코스엔 눌차도로 들어가는 코스가 있다.
문필봉이라는 눌차초등학교 서쪽 봉우리엔 눌차왜성(가덕왜성)이라는 왜성이 있는데 석축둘레 86m의 임진왜란 때 만들어진 왜성이다. 눌차도 서쪽 봉우리에 있으며 왜성 내부에는 당제 같은 유적들이 남아 있다. 주변의 성곽 유적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의 가덕진성,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안골왜성과 웅천왜성, 가덕진성, 천성진성, 갈마봉산성 등이 있다.
문필봉엔 할미당이라는 제당이 있다. 주변엔 논밭이 있는데 경작을 안해서 풀숲이 우거진 곳이 많다.
눌차만에는 작은 죽도라는 섬이 있다. 무인도며 댓섬이라고도 불렸다.
송정동 사이에는 큰골이라는 갯골(해협)이 있었고 작은 바위섬인 모서도가 있는 곳엔 안골이라는 해협이 있었는데 매립으로 없어졌다고 한다.출처 없어진 모서도는 예전에 견마도와 눌차도 최북단 사이에 있던 작은 섬이다.
3. 연혁
- 1906년: 웅천군 가덕면 눌차리
- 1908년: 웅천군 가덕면 눌차리
- 1909년(10월 25일): 창원군 천가면 눌차리
- 1910년: 마산군 천가면 눌차리
- 1914년: 창원군 천가면 눌차리
- 1980년: 의창군 천가면 눌차리
- 1989년: 부산직할시 강서구 천가동 눌차동(천가출장소)
- 1995년: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동 눌차동
- 2015년: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눌차동(가덕도출창소)
4. 교육시설
눌차도에 있는 학교는 천가초등학교 분교형식으로 눌차초등학교가 있었는데 2010년대쯤 합쳐지면서 폐교 되어 눌차도엔 학교가 없다. 여담으로 가덕도척화비가 천가초등학교 본교 내에 있다.5. 교통
부산신항을 만들기 전 가덕도를 녹산에서 배타고 갈 때는 천가교가 지어지지 않아 동선방조제를 통해서만 가덕도에서 육로로 이어졌다.현재 천가교가 있는 해협엔 최소 일제시대부터 도선이 있었다. 선창마을에서 바다건너 소리치면 사공이 와서 태워줬다고 한다.
버스는 전형적인 시골처럼 하루에 3번씩 온다. 그래도 건너갈 다리가 있고 교통은 섬마을치곤 편리하다.
5.1. 도로
5.2. 버스
강서 1번은 1일 3회 1-1번은 1일 11회 운행되며 모든 마을을 지난다. 동선방조제와 천가교는 사람이 걸어갈 수 있기 때문에 선창, 동선에서 내린 뒤 걸어가도 된다. 시간표 확인은 필수.
해당 문서를 참조해도 좋다.
[강서1번시간표]
1일 3회 운행.[다람쥐버스시간표] 다람쥐버스 시간표 1일 11회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