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8:59:13

물치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e8e8e8,#2d2f34> 중구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 · 매도랑 · 사렴도 · 소무의도 · 소운염도 · 수수떼기 · 실미도 · 영종용유도(영종도 · 용유도) · 운염도 · 잠진도 · 장고도 · 조름섬 · 팔미도 · 해녀도
동구 물치도
남동구 저어새섬
서구 세어도 · 소다물도 · 소세어도 · 아라빛섬 · 켬섬 · 호도
강화군 강화도 · 괴리섬 · 교동도 · 기장섬 · 남황산도 · 납도 · 대송도 · 돌섬 · 동검도 · 동그랑섬 · 말도 · 미법도 · 볼음도 · 부념도 · 분지도 · 상여바위섬 · 서검도 · 석도 · 석모도 · 섬돌모루도 · 소송도 · 수섬 · 아차도 · 용란도 · 우도 · 은염도 · 응봉도 · 주문도 · 함박도[주] · 황산도
옹진군 가도 · 각흘도 · 갑죽도 · 거도 · 고석도 · 곰바위섬 · 관도 · 구지도 · 굴업도 · 금도 · 길마염 · 날가지도 · 남서도 · 납섬 · 낭각흘도 · 닭섬 · 당도 · 대가덕도 · 대갑죽도 · 대령도 · 대말도 · 대연평도 · 대이작도 · 대청도 · 대초지도 · 덕적도 · 도량도 · 동글섬 · 동만도 · 동백도 · 동초지도 · 먹염 · 멍애섬 · 모도 · 모이도 · 목덕도 · 목섬 · 문갑도 · 뭉퉁도 · 백령도 · 백아도 · 벌섬 · 벌안섬 · 복창지도 · 부도 · 사승봉도 · 사염 · 상고도 · 상공경도 · 상광대도 · 상벌섬 · 상석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초섬 · 선갑도 · 선미도 · 선재도 · 소가덕도 · 소가도 · 소갑죽도 · 소낭각흘도 · 소령도 · 소야도 · 소어평도 · 소연평도 · 소이작도 · 소자암도 · 소지도 · 소청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승봉도 · 시도 · 시도먹염 · 신도 · 신도 · 신도먹염 · 암서도 · 어평도 · 영흥도 · 오도 · 와염 · 외향도 · 울도 · 자암도 · 자월도 · 장구도 · 장봉도 · 주도 · 중고도 · 중광대도 · 중석섬 · 중울도 · 중통각흘도 · 지도 · 창서도 · 책도 · 측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피도 · 하고도 · 하공경도 · 하광대도 · 하벌섬 · 하산도 · 하석섬 · 할미염 · 할미지 · 항도 · 황서도
[주]: 정전협정에 의해 북한의 영역으로 규정됐으나, 국토등기에는 남한 영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colbgcolor=#363><colcolor=#fff> 물치도
勿淄島 | Mulchi Island
파일:물치도 전경.png
바다 황해
면적 0.072㎢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
인구 0명
인구 밀도 0명/㎢
부속 섬 없음

1. 개요2. 명칭3. 개발4. 영종구로 편입 논의?

[clearfix]

1. 개요

물치도는 인천 앞바다인 경기만 해상에 있는 섬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에 있다. 동구 관내에 있는 유일한 섬이기도 하다.

이 섬은 "작약도"(芍藥島)라는 이름의 인지도가 더 높은데 사실 이 이름은 일제강점기에 이 섬을 매입한 일본인이 붙인 것이다. 2020년 7월 고유한 이름인 '물치도'를 되찾았다. 다만 만석동과 작약도의 명칭이 일제의 잔재가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 #

남쪽으로 해식애가 발달한데다 해식애 앞면에 백사장이 펼쳐져 있다. 2013년까지 영종도, 월미도에서 유람선이 운항됐으며 25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해수욕을 즐기러 올 정도로 번성하다가 영종도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발길이 끊어졌다.

해안도로를 따라 울창한 해송림이 조성되어 있으며, 인천시에서 작약도 유원지 조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으나 2020년 물치도가 유원지 부지에서 해제, 자연 녹지로 전환되면서 개발은 물치도를 소유한 민간 업체의 몫으로 넘어갔다.

(주)굿프랜드의 물치도 개발사업은 사업비 110억원을 투자해 2024년 12월까지 물치도 면적의 약 10%에 달하는 7800여㎡ 부지에 휴양시설과 카페, 낚시터, 선착장을 건설하는 내용이다. 그리고 끊어진 유람선 노선까지 부활시킨다고 한다.

2023년 6월 인천항 유지준설공사를 하던 중 물치도 인근 항로에서 한국전쟁 당시 불발탄 8발이 발견되어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2. 명칭

물치도는 조선시대에는 강화해협의 거센 조류를 치받는 섬이라고 해서 물치도(勿淄島)라 불렸다. 1893년 편찬된 ‘청구도’를 비롯하여 ‘대동지지’, ‘대동여지도’, ‘동지도’, ‘경기고지도첩’ 등에는 물치도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1919년에 제작된 지도에는 작약도라는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일본인 화가가 섬을 사들인 후에 이 섬의 형태가 마치 ‘작약꽃 봉우리 모양이 생겼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당시 미국 군함 5척이 리델신부의 안내로 이 섬 앞에서 정박한 뒤 강화도해협의 손돌목(孫乭項)을 지나 광성진(廣城津) 전투에 참가하였다. 이때 미군은 이 섬을 수목이 울창하다 하여 우디 아일랜드(Woody Island, 木島)라 칭하였다.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 함대의 이름을 따서 부아제(Boisee)라 불리기도 하였다.

이후 부천군 영종면에 속했다가 1963년 인천시 동구에 편입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2020년 국가지명위원회는 당시 만석동 산3번지 작약도의 명칭을 물치도로 공식 변경했다.

3. 개발

1975년 건설부 고시로 유원지 결정

1976년 한보그룹의 한보개발이 유원지 사업 계획을 세우고 인천시의 허가를 받았으나 1986년 시행 허가를 취소하고 물치도를 공원 용지로 변경

1996년 해운업체 원광이 물치도의 개발을 시도했었다.

2005년 진성토건이 섬을 매입하며 종합 레저단지 건설을 추진하였다.

2011년 진성토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같이 개발을 추진하던 인천시가 매입을 시도했으나 예산이 모자라 매입하지 못했다.

2013년 섬을 왕래하던 유람선이 운항을 중지하였다.

2014년 11월 한 업체가 인천시와 2700억을 투자해 관광호텔 등을 짓는다는 내용의 사업협약을 맺고 개발을 시도했지만 사업시행자격 취소를 당했다 2015년 다시 사업협약을 맺는 등 우여곡절 끝에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2년 만에 완전히 손을 뗐다.

2020년 인천시는 70억을 들여 섬을 매입하여 개발 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주)굿프렌즈가 94억에 이 섬을 낙찰받았다. 낙찰 당시 남이섬을 모델로 종합레저단지 개발을 골자로 한 계획을 유튜브에 업로드 했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한다.

2020년 7월 1일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에 토지소유자 굿프렌즈의 비동의로 물치도 일원은 유원지 구역에서 해제, 자연녹지로 환원되었다.

2021년 인천광역시가 수립한 해양친수도시 조성계획에 따르면 물치도는 해양공원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다만 시는 이를 중장기 계획으로 추진하며 2026년부터 추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2022년 11월 토지소유자 굿프렌즈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제출한 물치도 개발계획이 12월 승인됨에 따라 복합관광 명소로 개발될 예정이다.

2024년 ㈜굿프렌드는 올 2월 말 인천해수청과 사전 협의를 통해 자금 조달 문제로 본격적 공사를 시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몰치도에 선착장이 없어 자재를 반입하기 힘들고, 선착장을 설치하는데 약 100억원이 소요[1]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4. 영종구로 편입 논의?

* 2026년 인천광역시 중구의 영종도는 영종구[2]로, 중구의 내륙지역과 동구는 제물포구로의 행정구역 개편을 앞두고 있다.

2024년 7월, 중구의회에서는 "국토자원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행정 서비스 효율성 제고와 관광 자원의 활성화 기대차원에서 물치도를 영종구편입해야한다는 주장도 있어 동구인 경우 제물포구의 섬으로 남아야 한다고 불편해하는 기색을 드러냈다. 다만 상술한 것처럼 1962년 이전까지는 물치도가 부천군 영종면 소속이었다.

중구의회에서는 물치도를 2026년 신설되는 영종구로 편입해야한다는 성명을, 동구의회에서는 제물포구의 자원이라며 못 준다는 현안질의가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구분없이 초당적으로 이어지며 두 자치구 간의 신경전이 팽팽하다


[1] 굿프랜드가 제출한 개발 계획의 총 투자비는 110억,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격이 됐다[2] 영종동, 영종1동, 영종2동, 운서동은 구 영종면 지역, 용유동은 구 용유면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