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20:13:28

폴 매카트니

폴 맥카트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FFF; font-size:0.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파일:PM_Gills-1.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000000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24968c1be2f7e234bb4806bd96845882.jpg
파일:mccartneyRAMback.jpg
파일:wings_wild_life.jpg
파일:red_rose_speedway.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ul_McCartney_%26_Wings-Band_on_the_Run_album_cover.jpg
McCartney
1970
Ram
Paul and Linda McCartney
1971
Wild Life
Wings
1971
[[Red Rose Speedway|Red Rose Speedway]]
Paul McCartney and Wings
1973
Band on the Run
Paul McCartney and Wings
197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enusandMarsalbumcover.jpg
파일:wings_at_the_speed_of_sound.jpg
파일:paul_london_town.jpg
파일:attachment/b2tegg.jpg
파일:mccartney_2.jpg
Venus and Mars
Wings
1975
Wings at the Speed of Sound
Wings
1976
London Town
Wings
1978
Back to the Egg
Wings
1979
McCartney II
1980
파일:Tug-of-War.jpg
파일:external/www.beatlesbible.com/paul-mccartney-pipes-of-peace.jpg
파일:external/991.com/Paul-McCartney-Give-My-Regards-T-78118.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357282_1_f.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obaCover.jpg
Tug of War
1982
Pipes of Peace
1983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1984
Press to Play
1986
Снова в СССР
1988
파일:attachment/Flowers_in_the_Dirt_LP.jpg
파일:external/img11.nnm.me/66b0f527c83dd121e856e3c442d9a5a1_full.jpg
파일:external/www.beatlesbible.com/paul-mccartney-flaming-pie.jpg
파일:external/www.paulmccartney.com/3c0696eddda010da4f6abdab77a70ab6d7c3564c.jpg
파일:external/www.paulmccartney.com/baf0396c718b7cbe8ef8fd1a952a01feaef0621e.jpg
Flowers in the Dirt
1989
Off the Ground
1993
Flaming Pie
1997
Run Devil Run
1999
Driving Rain
2001
파일:external/assets.rollingstone.com/6677d0d0e779a0784ed856ce152b5c10d172f863.jpg
파일:external/www.beatlesbible.com/paul-mccartney-memory-almost-full.jpg
파일:kisses-on-the-bottom.jpg
파일:external/www.paulmccartney.com/New_Front_Online.jpg
파일:paulmccartney_20180621180407918.jpg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2005
Memory Almost Full
2007
Kisses on the Bottom
2012
New
2013
Egypt Station
2018
파일:mccartney-iii.jpg
McCartney III
2020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Classical Albums ]
{{{#!folding [ Other Albums ]
{{{#!folding [ Re-release Series ]
{{{#!folding [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비틀즈 로고.svg


{{{-2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000000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PleasePleaseMe.jp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WithTheBeatles.jp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AHardsDays.jp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BeatlesForSale.jp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Help.jpg

1963

1963

1964

1964

1965
파일:Rubber Soul Album.jpg
파일:91AL-aLarsL._SL1500_.jpg
파일:SgtPepper.jpg
파일:Magical Mystery Tour HR.jpg
파일:beatles_1968_transparent.png

1965

1966

1967

1967

1968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YellowSub.jp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AbbeyRoad.jp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LetItBe_0.jpg

1969

1969

1970
}}}}}}}}}}}}
{{{#!folding [ US Albums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관련 문서 ]
}}}}}} ||


<colbgcolor=#fff><colcolor=#000>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폴 매카트니
Paul McCartney
파일:paul mccartney 2024.jpg
본명 James Paul McCartney (제임스 폴 매카트니)
출생 1942년 6월 18일 ([age(1942-06-18)]세)
영국 잉글랜드 랭커셔 리버풀
(現 잉글랜드 머지사이드 리버풀)
거주지 영국 잉글랜드 이스트서식스 주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맨해튼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베벌리힐스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프로듀서, 사업가, 배우,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 동화작가
소속 쿼리멘 (1957 ~ 1960)
비틀즈 (1960 ~ 1970)
윙스 (1971 ~ 1981)
무소속 (1981 ~ )
문장 파일:폴 매카트니 문장.png
ECCE COR MEUM[1]
서명 파일:폴 매카트니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00> 신체 180cm, 69kg, B형
부모 짐 매카트니 (1902 ~ 1976)
메리 매카트니 (1909 ~ 1956)[2]
형제자매 남동생 마이클 매카트니
배우자 린다 매카트니 (1969 ~ 1998, 사별)
헤더 밀스 (2002 ~ 2008, 이혼)
낸시 쉬벨 (2011 ~ )
자녀 슬하 1남 4녀
장녀 헤더 루이즈 매카트니 (1962 ~ )[3]
차녀 메리 애나 매카트니 (1969 ~ )
삼녀 스텔라 니나 매카트니 (1971 ~ )
장남 제임스 루이 매카트니 (1977 ~ )
사녀 베아트리스 밀리 매카트니 (2003 ~ )
기타 혈족 친조부 조지프 매카트니 (1866 ~ 1942)
친조모 플로렌스 매카트니 (1874 ~ 1944)
외조부 오언 모힌 (1880 ~ 1975)
외조모 메리 모힌 (1877 ~ 1919)
친증조부 제임스 매카트니 (? ~ ?)
친증조모 엘리자베스 매카트니 (1844 ~ ?)
외증조부 폴 클레그 (1817 ~ 1877)
외증조모 제인 클레그 (1837 ~ ?)[4]
작위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5]
학력 스톡튼 우드 로드 예비학교 (졸업)[6]
조지프 윌리엄스 초등학교 (졸업)
리버풀 인스티튜트 고등학교 (졸업)[7]
예일 대학교 (음악 / 명예 박사)
혈통 아일랜드계 영국인
레이블 파일:캐피톨 레코드 로고.svg파일:캐피톨 레코드 로고 흰색.svg
장르 , , 포크, 로큰롤, 일렉트로닉, 클래식, 아방가르드 음악 외 다수
악기 기타, 보컬, 베이스 기타, 건반 악기, 드럼[8]
활동 기간 1957년 ~ 현재
재산 $11억~[9] ~ $12억 8천만[10]
종교 무종교 (무신론적 불가지론)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 ||

1. 개요2. 생애3. 음악적 성향
3.1.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3.2. 보컬리스트
4. 평가5. 대인관계
5.1. 존 레논5.2. 타 비틀즈 멤버5.3. 기타 음악가
6. 음반 목록
6.1. 빌보드 200 1위6.2. UK 오피셜 차트 1위6.3. 싱글
6.3.1. 빌보드 핫 100 1위6.3.2. 빌보드 핫 100 2위6.3.3. 빌보드 핫 100 3위~10위6.3.4.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7. 어록8. 여담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Paul-McCartney-Beatles_1200-1.jpg
영국싱어송라이터.

비틀즈 내 포지션은 보컬리스트, 베이시스트, 피아니스트, 작곡가였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폴 매카트니/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음악적 성향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멜로디 메이커 중 한 명으로 손꼽히며,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감미로운 멜로디 라인 위주의 곡을 주로 써 흔히 존 레논에 비해 대중성이 강한 곡을 많이 남겼다 평가된다. 한국 내에서 일반 대중들에게 유명한 비틀즈의 곡 역시 대부분 폴 매카트니의 곡이다.[11]

존 레논은 비틀즈 해체 이후 본격적으로 자신의 작법을 새롭게 연마해 나간 반면, 폴 매카트니는 비틀즈 때부터 완성된 자신만의 작법 스타일을 해체 이후에도 유지한 편이다. 많은 이들에게 대중 음악 역사상 최고의 작곡가 중 한 명이자 최고의 넘사벽 작곡가로 평가받는 폴 매카트니인데, 그 이유는 누가 들어도 아름다운 멜로디를 순식간에 만들어내는 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으면서도 다양한 장르를 섭렵하며 음악적 실험과 혁신 또한 지속적으로 추구했던 점에 있다.

역사상 최고 걸작으로도 꼽히는 '페퍼 상사'를 구상하고 컨셉을 주도한 것 역시 폴 매카트니이며,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대중적인 곡들만이 아닌 실험적인 곡들 또한 많이 만들었다.[12] 오히려 다양한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준 것만으로 보면 폴은 그가 손을 댄 음악 장르보다 안 댄 장르의 수를 세는 게 훨씬 빠를 정도로, 작곡 파트너십 레논-매카트니로 콤비를 이루었던 존 레논보다도 훨씬 다채로운 면모를 자랑한다. 그가 작곡한 'Helter Skelter'가 헤비메탈의 시초가 된 것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유행을 타는 능력도 탁월하여 1970년대에는 디스코를 시도하고, 1980년에 뉴 웨이브 테크노 음악을 시도하기도 하는 등[13] 음악적 스펙트럼은 비틀즈 멤버들 중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광범위하다. 심지어 클래식 음반도 5여장 냈으며 Fireman이란 가명으로 일렉트로니카 음반 또한 3장 냈다. 물론 일반 앨범들에 비해서는 잘 안알려져 있기도 하고 평가 또한 해당 장르 평론가 사이에서는 범작 내지 평작 정도 평가를 받지만. 어쨌거나 폴 매카트니가 존 레논에 비해 음악적 시도나 실험 정신이 떨어진다는 평가는 뭘 몰라도 한참 모르는 얘기다.[14]

존 레논은 비틀즈 활동 말기 들어서 폴이 대중적으로 만든 곡들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그럼에도 그의 음악적 재능을 소중히 여겼다. 이러한 존의 행동은 폴의 재능을 존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용하지 않고 결국엔 다른 성향을 가지게 된 것을 안타까워하게 되어 츤데레적 성향을 나타낸 것이 아닐까 싶다. 'Here, There and Everywhere' 을 들으며 감탄에 잠기다가도 'Ob-La-Di, Ob-La-Da' 를 들으며 "이게 노래니?"하고 비웃는 츤데레 레논을 상상해보자.[15]

그러나 음악적인 면은 물론 정치, 철학적인 면에서도 큰 영향을 끼친 동시에 비극적인 이른 죽음으로 많은 이들의 뇌리에 각인된 파트너 존 레논에 비해, 폴 매카트니는 비틀즈 이후 무려 50여년에 달하는 기나긴 솔로 시절의 활동 전체에 걸쳐 상대적으로 박한 평가를 받았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로는 한 때이긴 해도 퇴물 취급까지 받는 등 여러모로 실제 업적이나 재능에 비해 크게 저평가를 당했다.[16]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오히려 폴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그의 음악적 능력과 그 진가가 다시금 알려지고 있다. 사실 비틀즈 전성기 시절 평가는 폴>=존이었다가 레논 사후 존>=폴이 된 것이지만 시간이 더 흐른 후 폴=존이 됐다고 할 수도 있다. 그냥 애초에 비교가 불가능한 당대의 위대한 작곡가들이다. 서로 다른 음악적 색채와 스타일, 그리고 음악관을 지녔을 뿐.

그는 비틀즈 뿐만아니라 솔로 시절에도 수많은 히트곡들을 써냈다. 윙스 시절의 Give Ireland Back to the Irish, Live and Let Die[17], 'Hi, Hi, Hi', 'C Moon'[18] 'Band on the Run', 'Jet', 'Listen to What the Man Said', 'Silly Love Songs', 'With a Little Luck', 'Mull of Kintyre', 솔로 시기의 Maybe I'm Amazed, Uncle Albert/Admiral Halsey, Coming Up, Take It Away, Ebony and Ivory, Pipes of Peace, Say Say Say, No More Lonely Nights, Hope Of Deliverance 등이 대표적. 70년대에 엘튼 존 다음으로 가장 많이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한 게 솔로 시절의 폴 매카트니이다.[19] 또한 윙스 시절을 제외하더라도 'Maybe I'm Amazed', 'Uncle Albert/Admiral Halsey', 'Coming Up', 'Here Today', 'Pipes of Peace', 'No More Lonely Nights', 'Once Upon a Long Ago' 등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은 히트곡을 작곡한 것이 바로 폴 매카트니. 스티비 원더와 듀엣으로 부른 'Ebony and Ivory' 를 히트시켰으며 마이클 잭슨과 듀엣으로 부른 'Say Say Say', 'The Girl is Mine' 도 유명하다.

흔히 폴 매카트니 솔로 커리어의 정점은 윙스 시절에 만든 Band on the Run 앨범이라는 게 중론. 'Jet', 'Band on the Run' 등 솔로 폴 매카트니의 최고 히트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음악적으로도 폴 매카트니의 멜로디 메이킹 실력이 유감없이 드러나 있는 앨범이다. 하지만 워낙에 방대한 디스코그래피를 자랑하는 솔로 시절의 폴인 만큼 팬,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어떤 앨범이 최고인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20] 특히 최근 들어 크게 재평가받은 Ram을 비롯하여 McCartney, Tug of War, Flaming Pie, Driving Rain, New, McCartney III 등의 앨범 역시 흥행과는 별개로 폴 매카트니의 천재적인 음악성과 수십 년의 세월을 거치먼서도 변하지 않는 그의 멜로디 메이킹 능력이 유감없이 드러난 명반들.

3.1.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

기타 드럼
피아노 베이스 기타

프린스, 존 폴 존스, 브라이언 존스와 더불어 20세기를 상징하는 천재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중 한명이다. 베이스 부문에서도 상당한 실력을 자랑하지만, 여러 악기를 다루며 이들을 적재적소에 완벽히 배치하는 작곡으로도 유명하다. 전문적으로 다루는 악기 수만 25개이며, 그 외에 다룰 줄 아는 악기를 세면 50~60개는 가볍게 넘기는 수준으로 많은 악기들을 다룬다. 이미 비틀즈 시절때부터 그는 10개 이상의 악기를 다뤄 비틀즈의 음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솔로 활동 기간에는 밴드가 따로 필요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많은 악기들을 배워서 혼자서 악기를 녹음하고 앨범을 제작했다.

일단 그는 베이시스트이지만, 기타, 드럼, 보컬, 피아노, 색소폰 실력도 상당히 출중하다. 그렇다고 베이시스트로서의 업적이 모자란 것도 아니어서, 폴 매카트니는 롤링 스톤 선정 50대 베이시스트에서 9위에 랭크되어있다. 비틀즈의 다른 멤버들처럼 테크닉적인 부분보다는 탄탄한 기본기가 더욱 두드러진다고 평가받는 베이시스트이며, 베이스 연주도 출중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라인을 매우 잘 짜기로 유명하다. 특히 그의 훌륭한 베이스 라인이 잘 드러난 것으로 유명한 곡은 비틀즈Rain, Come Together, Hey Bulldog, Paperback Writer, 솔로 시절의 Silly Love Songs, Goodnight Tonight 등이 있다.

베이스 뿐만 아니라 기타 실력도 대단한데 존 레논에게 기타를 가르쳐줬을 정도였다. 비틀즈 시절 리드 기타였던 조지 해리슨 다음으로 리드 기타를 많이 맡았으며 Drive My Car, And Your Bird Can Sing, Taxman,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등의 노래에서 훌륭한 기타 실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너바나의 재결성 공연[21]에서 커트 코베인을 대신하여 기타를 맡았을 정도다.[22]

기타류 악기뿐만 아니라 피아노 실력도 상당하다. Hey Jude, Let It Be, The Long And Winding Road, Maybe I'm Amazed, Red Rose Speedway Medley, Nineteen Hundred And Eighty Five와 같은 피아노가 중심이 되는 폴 매카트니의 곡들을 들어보자.

그 외에도 리코더[23], 색소폰, 만돌린[24], 신디사이저[25], 하모니카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악기를 다룰줄 안다. 그가 밴드를 같이 데리고 다니는 이유는 단지 손이 모자란것 때문이다. McCartney III에서는 7번 트랙 Slidin'을 제외하고 모든 악기를 그가 혼자서 다 녹음했다. Slidin'에서 드럼과 일렉 기타 세션을 부른 것은, 단지 동일 악기가 2개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그가 다룰 줄 아는 악기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물론 여기 있는 게 다가 아니고, 실제로 다룰 줄 아는 악기 수는 상상을 초월한다.그리고 그 외에 생전 처음 들어볼법한 서양, 중동, 동양의 전통 악기들도 대부분 잘 다룬다. 폴 매카트니를 무릎꿇게 만든 악기는 몇 안되는데 그중 하나가 백파이프로, 이 때문에 그는 곡 녹음 당시 세션을 불러야하는 굴욕(?)을 겪었다.[29]

3.2. 보컬리스트

Yesterday Blackbird
I Will Helter Skelter
Oh! Darling Golden Slumbers

대중음악사 전체를 통틀어도 최정상급인 작곡가로서의 능력이 너무나도 독보적이라 언급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평론가들에게 같은 비틀즈의 멤버인 존 레논과 함께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뛰어난 보컬리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 11위, NME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 8위에 선정된 적이 있을 정도. 솔로 아티스트인 기간보다는 밴드에 몸 담았을 때의 커리어와 영향력이 훨씬 강했고, 가창력이 좀 더 두드러져 보이기 쉬운 소울이나 R&B 아티스트가 아님에도 저런 순위를 기록한 것만 봐도 그의 보컬리스트의 역량이 어느 정도인지는 얼추 감이 잡힐 것이다. 보컬 겸임하기 어려운 베이시스트임에도 불구하고 비틀즈 시절 98곡에서 리드보컬을 맡았으며, 존 레논과 더불어 비틀즈의 양대 보컬로 꼽힌다.[30] 존이 상당히 개성 넘치고 존재감 있는 보컬이라면 폴은 기술적으로 훌륭하고 정석적인 보컬이라 할 수 있으며, 존의 보컬이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곡에 투영시켜 청자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면, 폴의 보컬은 흔들리지 않는 음정을 유지하면서도 각종 추임새로 포인트를 주고, 박자를 자유자재로 뒤흔들어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곡의 분위기를 매우 노련하게 환기시키는 동시에 저음이면 저음, 고음이면 고음을 모두 완벽하게 소화해 내어 듣는 이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곡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뛰어난 대중성을 지니고 있다.

스튜디오 녹음 뿐만 아니라 라이브 실력도 대단히 뛰어나서, 비틀즈 이후 윙즈 시절, 윙스 해체 이후에는 솔로로 전세계를 돌며 수없이 많은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특히 한 번의 공연에서 앙코르 포함 서른 개가 넘을 정도로 많은 곡을 쉬지 않고 부르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러면서도 단 한 번도 무대를 망친 적이 없었으니 그의 보컬리스트로서의 실력과 목 관리 능력에 대해서는 더이상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폴 매카트니의 음역대를 정리한 영상
성종은 테너 이며 음역대가 매우 넓어서 A1(-1옥타브 라)의 초저음부터 B5(3옥타브 시)의 고음까지 자유자재로 소화가 가능했으며 전성기 시절에는 무려 C7(5옥타브 도)라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의 고음까지 낼 수 있었다. 이처럼 음역대가 매우 넓고 고음이면 고음, 저음이면 저음을 모두 안정적으로 잘 소화해냈기에 비틀즈 노래들 중 고음이나 저음이 강조되는 곡들은 대부분 폴의 몫이었다. A Hard Day's Night를 녹음할 당시 존 레논이 자신이 단독 리드보컬을 맡겠다고 고집했으나 고음이 올라가지 않아 폴과 함께 리드보컬을 맡기도 했다. 비틀즈 해체 이후에도 이 폭넓은 음역대는 어디 가지 않아서, Maybe I'm Amazed나 Monkberry Moon Delight, The Back Seat of My Car, Live and Let Die, Through Our Love 등에서는 솟구치는 고음과 강렬한 샤우팅을, The Girl Is Mine, We All Stand Together, Tropic Island Hum 등에서는 에서는 잔잔한 중저음에서 흡사 베이스같은 초저음까지 광범위한 음폭을 아우르는 현란한 보컬을 선보였다.

그의 음색은 기본적으로 Yesterday, For No One, Let it Be, Here Today 등에서 들을 수 있는 담백한 미성이지만 곡의 스타일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Here, There and Everywhere, I Will 등에서는 굉장히 곱고 여린 음색을 보여주고, Helter SkelterOh! Darling, Rock Show, Beware My Love, Getting Closer, Hell to Pay 등과 같은 하드 록 넘버에서는 그에 걸맞게 매우 허스키하고 마초스러운 강렬한 보컬을 구사한다. Blackbird, Little Willow 등의 잔잔한 포크송과 Kisses on the Bottom 앨범 전체를 아우르는 감미로운 스탠다드 팝/재즈, No More Lonely Nights, Once Upon a Long Ago, Motor of Love, Winedark Open Sea, Beautiful Night 등의 감성적인 발라드는 물론, Silly Love Songs, Coming Up에서 선보인 펑크에 심지어 All Together Now와 같은 동요, Temporary Secretary로 대표되는 전자음 가득한 테크노까지 음역대뿐만 아니라 소화할 수 있는 음악의 장르도 폭이 매우 넓다.

4. 평가

나는 매카트니에게 경외감을 느낀다. 그는 내가 경외하는 유일한 사람이다. 그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1979년, 기네스북은 폴 매카트니를 세계 최고 골드 디스크 기록을 60개 보유와 콘서트 등의 이유로 ‘역사상 가장 명예로운 음악가이자 퍼포머’로 발표했으며[32], 2009년 기네스북은 다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송라이터’로 그를 발표했다.[33]

또한, 1990년 4월 브라질 단독 콘서트에 184,000명의 관중이 참석하면서 당대 세계 기록을 경신해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이 기록은 일본의 록 밴드 GLAY가 200,000명의 관중을 몰면서 최고 기록을 내주었지만, 2024년 현재까지 유일한 2위 기록이다.

또한, UK 차트에서 유일하게 솔로[34], 듀엣[35], 트리오[36], 콰르텟[37], 퀸텟[38], 그리고 자선 밴드[39]의 모임으로 1위를 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다.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총 3곡을 1위에 올려 빌보드 역사상 최다 연말 1위 곡을 올린 아티스트이기도 하다.[40] 그리고 빌보드 핫 100에서 솔로 경력과 비틀즈 경력의 빌보드 1위를 다 합치면 총 32개의 1위를 배출해냈다.[41]

또 2015년 롤링 스톤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에 폴 매카트니를 2위로 꼽았다.[42]

1965년에는 비틀즈의 멤버로서 대영제국 훈장 5등급(MBE)을, 1997년 3월 11일에는 단독으로 기사작위(Knight Bachelor)를 받았으며 1992년에 음악계의 노벨상이라는 폴라음악상을 역사상 최초로 수상했다. 1987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 1999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솔로 아티스트로서 입성했다.[43]

2010년케네디 센터 공로상을 수상했고, 동일한 해 미국 의회 도서관이 주관하는 거슈윈 대중음악상을 받았다.# 2012년 프랑스 최고 훈장 '레지옹 도뇌르'를 수여받았고,# 2012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정되었다.[44] 2017년에는 영국 1.5등급 훈장에 해당하는 컴패니언 오브 아너(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훈장을 받았다.

5. 대인관계

대중음악계의 마당발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엄청나게 많은 음악가들과 친분을 가지고 있다.[45] 이 정도로 음악계에 관련 인물이 많은 인물은 데이비드 보위 정도 밖에 안된다. 그는 로버트 플랜트 같은 메탈 아티스트부터 에드 시런과 같은 현대 팝 가수는 물론이고 카니예 웨스트 같은 힙합 가수들과도 친하다. 기본적으로 성격이 매우 밝고 사교적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음악가들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

5.1. 존 레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기서는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의 개인적인 관계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음악적인 관계에 대한 내용은 레논-매카트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cdn.zumic.com/paul-mccartney-here-today-john-lennon-official-youtube-archive-video-interview-performance-2015-750x422.jpg
왼쪽이 존 레논, 오른쪽이 폴 매카트니.[46]
존을 잃었을 때, 정말 끝났다는 걸 알았다.
폴과 존은 서로 만나기 이전에는 그냥 이층버스에서 조금 자주보던 사이였을 뿐이었지만, 1957년 둘이 음악적인 관계로 만나게 된 이후, 폴 매카트니의 사교적인 성격으로 둘은 금방 친구가 되었다. 생일 선물로 폴이 존에게 큼지막한 햄버거를 선물해주기도 하고, 존 레논이 받은 용돈으로 둘이 프랑스 파리로 단둘이 여행을 떠나기도 하는 등, 10대 시절 둘의 관계는 매우 친한 친구 관계였다. 이후 조지 해리슨이 폴의 소개로 영입되고, 1962년 링고 스타가 밴드에 들어오면서 비틀즈가 데뷔한 이후에도 둘은 같이 노래를 만들면서 시간을 보내고는 했다.

당시 인터뷰를 보고 있으면 인터뷰 도중에서 존이 폴에게 장난을 치고, 폴과 존이 서로를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로 꼽는 등 친밀한 관계가 지속되었다. 그런 폴과 존의 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은 페퍼 상사 세션 이후, 정확하게는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사후였다. 엡스타인의 사후 폴이 밴드를 주도하기 시작했고, 음악적인 취향을 일방적으로 존 레논에게 강요하면서 사이가 소원해지게 된다. 1968년에는 존 레논이 오노 요코와 눈이 맞았고, 요코를 상의 없이 스튜디오에 들이면서 폴도 존에게 서운한 감정이 쌓이게 되었다.

또 둘의 음악적인 성향이 점차 분화되어가고 있었던것 역시 둘의 관계 악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둘은 196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전형적인 로큰롤을 추구하였지만, 라비 샹카르, 밥 딜런 등 여러 아티스트들을 만나면서 둘의 음악적인 성향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자의식이 확립되며 음악적 취향도 달라지게 되었다. 폴 매카트니는 신나고 경쾌한 주류 음악들을 썼지만, 반대로 존 레논은 무겁고 사회 비판적인 색채가 짙은 비주류 곡들을 썼다. 결국 Revolver 세션 이후, 본격적으로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는 곡을 따로 써서 명의만 레논-매카트니로 발표하는 일을 반복하게 된다. 페퍼 상사 음반에서는 폴 매카트니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인해 존이 자신의 곡을 단 세곡밖에 수록하지 못하는 일이 일어났고, 이후 폴과 음악적인 성향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겪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이가 전과 달라진 것이다.

화이트 앨범 세션부터, 이들의 사이는 더욱 악화된다. 폴이 무단으로 존이 참여하고 싶었던 곡을 존이 없는 사이 후딱 녹음해버리는 일을 일으키면서 존의 분노를 일으킨 사건도 있었다. 존 역시 폴 매카트니가 만든 곡을 할머니나 들을 똥음악이라고 마구 비난하면서 폴도 존에게 지쳐갔다. 그래도 이 때까지는 서로 마주보며 장난도 치고 진지하게 곡 작업도 같이 하는 등 소원해졌던 관계가 다시 개선될 여지를 보였다. 비틀즈: 겟 백 다큐멘터리만 보더라도 이 둘의 관계가 언론의 호들갑만큼 나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1970년부터, 이 둘의 관계는 돌이킬 수 없어 보일 정도로 틀어졌다. 매니저 고용 문제로 폴과 존은 다투는 일이 늘었고, 설상가상 폴이 예고 없이 일방적으로 탈퇴를 선언하며 이전에 비해 무척이나 악화된다. 폴은 솔로앨범 Ram에서 존을 직간접적으로 디스했고, 배신감을 느낀 존은 How Do You Sleep?이라는 곡으로 폴을 향해 직설적인 비난을 한다. 그러나 동시에 같은 앨범에 수록된 Jealous Guy에서 존은 내재되어 있었던 솔직한 미안함을 고백한다. 폴은 존이 화해를 위한 손길을 뻗었다고 생각했으며, 결국 이 둘의 다툼은 칼로 물 베기였던 것인지, 금세 화해 무드가 조성된다. 폴 매카트니는 Ram의 차기작인 Wild Life에 마찬가지로 화해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Dear Friend라는 곡을 수록하면서 1972년경부터는 관계를 회복했다고 한다.[47] 또 존 레논이나 폴 매카트니도 내심 서로의 음악을 들으면서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존 레논의 유작인 Double Fantasy는 폴 매카트니의 싱글인 Coming Up의 상업적인 성공에 존이 자극받아 만든 앨범이었다. 1974년부터는 둘은 서로 술을 마시면서 시간을 보내고, 자주 서로의 집에 놀러가는 등 친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말년에는 예전만큼은 아니더라도 친분을 상당히 회복했지만, 존 레논이 1980년 암살되면서 폴과 존의 짧고도 긴 관계가 끝나게 되었다. 존이 죽었다는 소리를 듣자 폴은 멍하게 있다가, 뉴스에서 존 레논의 암살 소식이 계속 흘러나오는 것을 듣고는 비로소 존 레논의 죽음을 실감하여 하루 종일 펑펑 울었다고 한다.

폴은 1982년, 존 레논을 추모하는 추모곡 Here Today를 작곡했고, 지금까지도 라이브 공연에서 주요한 레퍼토리로 쓰고 있다.

존과 폴의 관계가 친밀하면서도 츤데레같아 보였던 것에 대해 진지하게 연구한 논문 및 저서가 상당수 존재한다. 흥미로운 가설은 존 레논이 어릴적 부모님을 잃으면서[48] 부성애나 모성애가 없이 자라나 애정 결핍을 겪었는데, 이때 폴 매카트니를 아버지로 여기면서 상당히 의지했다는 것이다.[49] 폴 매카트니에 대한 소유욕과 의지가 겹쳐지게 되니 폴의 모습에 실망도 하고, 또 여러 복합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면서 그토록 친밀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었다는 것이 가설의 내용이다. 비록 확인된 이야기는 아니나, 이런 말이 나올 정도로 존과 폴의 관계가 가까웠던 것 역시 사실이다.
파일:Good night, Paul..gif
"Good night, Paul"
비틀즈: 겟 백

5.2. 타 비틀즈 멤버

파일:매카트니-해리슨.jpg

5.3. 기타 음악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
, 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음반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폴 매카트니/음반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빌보드 200 1위

6.2. UK 오피셜 차트 1위

6.3. 싱글

6.3.1. 빌보드 핫 100 1위

6.3.2. 빌보드 핫 100 2위

6.3.3. 빌보드 핫 100 3위~10위

6.3.4.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폴 매카트니의 솔로시절 히트곡들은 윙스 시절에 만들어진 것이 많다.

7. 어록

Nothing pleases me more than to go into a room and come out with a piece of music.
방에 들어가 곡 하나를 만들고 나오는 것보다 더 기쁜 일은 없다.

8.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폴 매카트니/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둘러보기

파일:A83AA7F0-AC87-4F11-84EC-BF73F9842AD3.png
Wings Discography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wings_wild_life.jpg
파일:red_rose_speedway.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ul_McCartney_%26_Wings-Band_on_the_Run_album_cover.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enusandMarsalbumcover.jpg
파일:wings_at_the_speed_of_sound.jpg
1971. 12. 07. 정규 앨범
1집 Wild Life
1973. 04. 30. 정규 앨범
2집 Red Rose Speedway
1973. 12. 07. 정규 앨범
3집 Band on the Run
1975. 05. 27. 정규 앨범
4집 Venus and Mars
1976. 03. 25. 정규 앨범
5집 Wings at the Speed of Soun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OACover.jpg
파일:paul_london_town.jpg
파일:external/www.paulmccartney.com/8782e494af650de1d4e39c37012867ec985b253e.jpg
파일:attachment/b2tegg.jpg
파일:wingspan_mccartney.jpg
1976. 12. 10. 라이브 앨범
Wings over America
1978. 03. 31. 정규 앨범
6집 London Town
1978. 11. 22. 컴필레이션
Wings Greatest
1979. 06. 08. 정규 앨범
7집 Back to the Egg
2001. 05. 07. 컴필레이션
Wingspan: Hits and History
}}}}}}}}}||

폴 매카트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 (CH)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H 파일:CHCompanionofHonour.jpg
윌리엄 서머싯 몸
(1954)
아놀드 토인비
(1956)
패트릭 블래킷
(1965)
막스 페루츠
(1975)
존 길구드
(1977)
프레더릭 생어
(1981)
칼 포퍼
(1982)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984)
스티븐 호킹
(1989)
조지프 니덤
(1992)
알렉 기네스
(1994)
데이비드 애튼버러
(1995)
리처드 돌
(1996)
데이비드 호크니
(1997)
크리스 패튼
(1997)
에릭 홉스봄
(1998)
존 메이저
(1999)
도리스 레싱
(2000)
외국인
아마르티야 센
(2000)
해럴드 핀터
(2002)
주디 덴치
(2005)
이안 맥켈런
(2008)
마이클 하워드
(2011)
피터 힉스
(2012)
매기 스미스
(2014)
외국인
데즈먼드 투투
(2015)
조지 오스번
(2016)
폴 매카트니
(2017)
J. K. 롤링
(2017)
델리아 스미스
(2017)
마거릿 애트우드
(2018)
엘튼 존
(2019)
폴 스미스
(2020)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0)
폴 너스
(2022)
메리 퀀트
(2023)
이언 매큐언
(2023)
안나 윈투어
(2023)
웨일스 공비 캐서린
(2024)
셜리 배시
(2024)
고든 브라운
(2024)
※ 참고: 전체 영어 명칭은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이지만
영연방의 정부(내각), 관보(런던 가제트), 왕실 등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약칭 Companion of Honour로 표기, 안내하고 있다.
{{{#black,#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3a; font-size: .8em"
}}}}}}}}}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폴 매카트니
PAUL MCCARTNEY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1999년
후보자격 연도 1993년
후보선정 연도 1999년 }}}}}}}}}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폴 매카트니
PAUL MCCARTNEY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1987년 # }}}}}}}}}

파일:9C3C83C1-51AD-422A-8578-A707A135E236.png
폴라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폴 매카트니
발트 3국
디지 길레스피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퀸시 존스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엘튼 존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조니 미첼
피에르 불레즈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에릭 에릭슨
레이 찰스
라비 샹카르
스티비 원더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밥 딜런
아이작 스턴
버트 배커랙
로버트 무그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미리엄 마케바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키스 재럿 비비 킹
리게티 죄르지
지우베르투 지우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레드 제플린
발레리 게르기예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소니 롤린스
스티브 라이히
핑크 플로이드
르네 플레밍
피터 가브리엘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엘 시스테마
비요크
엔니오 모리코네
크로노스 콰르텟
패티 스미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폴 사이먼
요요마
유수 은두르
카이야 사리아호
척 베리
피터 셀라스
에밀루 해리스
에벌린 글레니
맥스 마틴
체칠리아 바르톨리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스팅
웨인 쇼터
메탈리카
아프가니스탄 국립 음악 연구소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안네 소피 무터
플레잉 포 체인지
안나 네트렙코
다이앤 워런
없음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기 팝
앙상블 앵테르콩탱포랭
}}}}}}}}}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롤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먼 리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Guiness World Records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Most-Successful Songwriter of All Time.
역사상 가장 성공한 작곡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기록자 등재 날짜 출처
폴 매카트니 2009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rowcolor=#ffe> 1위 2위 3위 4위 5위
윈스턴 처칠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다이애나 스펜서 찰스 다윈 윌리엄 셰익스피어
<rowcolor=#ffe>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이작 뉴턴 엘리자베스 1세 존 레논 호레이쇼 넬슨 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rowcolor=#ff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어니스트 섀클턴 제임스 쿡 로버트 베이든 파월 알프레드 대왕 아서 웰즐리
<rowcolor=#ffe>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거릿 대처 마이클 크로포드 빅토리아 여왕 폴 매카트니 알렉산더 플레밍
<rowcolor=#ffe>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앨런 튜링 마이클 패러데이 오와인 글린두르 엘리자베스 2세 스티븐 호킹
<rowcolor=#ffe>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윌리엄 틴들 에멀린 팽크허스트 윌리엄 윌버포스 데이비드 보위 가이 포크스
<rowcolor=#ffe>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레오나르드 체셔 에릭 모어캠브 데이비드 베컴 토머스 페인 부디카
<rowcolor=#ffe>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토머스 모어 윌리엄 블레이크 존 해리슨 헨리 8세
<rowcolor=#ffe>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찰스 디킨스 프랭크 휘틀 존 필 존 로지 베어드 어나이린 베번
<rowcolor=#ffe>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보이 조지 더글러스 베이더 윌리엄 월레스 프랜시스 드레이크 존 웨슬리
<rowcolor=#ffe>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아서 왕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로버트 스콧 이넉 파월
<rowcolor=#ffe>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클리프 리처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프레디 머큐리 줄리 앤드류스 에드워드 엘가
<rowcolor=#ffe>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조지 해리슨 데이비드 애튼버러 제임스 코널리 조지 스티븐슨
<rowcolor=#ffe>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찰리 채플린 토니 블레어 윌리엄 캑스턴 바비 무어 제인 오스틴
<rowcolor=#ffe>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윌리엄 부스 헨리 5세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로버트 1세 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rowcolor=#ffe>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무명용사 로비 윌리엄스 에드워드 제너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찰스 배비지
<rowcolor=#ffe>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제프리 초서 리처드 3세 J. K. 롤링 제임스 와트 리처드 브랜슨
<rowcolor=#ffe>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보노 (아일랜드인) 존 라이든 버나드 로 몽고메리 도날드 캠벨 헨리 2세
<rowcolor=#ffe>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J. R. R. 톨킨 월터 롤리 에드워드 1세 반스 월리스
<rowcolor=#ffe>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리처드 버튼 토니 벤 데이비드 리빙스턴 팀 버너스리 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BBC 선정 최악의 영국인, 위대한 인물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15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를 선정한 순위다.
1위2위3위4위5위
밥 딜런 폴 매카트니 존 레논 척 베리 스모키 로빈슨
6위7위8위9위10위
믹 재거 & 키스 리처즈 (재거-리처즈) 캐롤 킹 & 제리 고핀 폴 사이먼 조니 미첼 스티비 원더
11위부터는 문서 참조.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08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000,#ddd ※ 롤링 스톤이 2008년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엘비스 프레슬리 샘 쿡 존 레논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빈 게이 밥 딜런 오티스 레딩 스티비 원더 제임스 브라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폴 매카트니 리틀 리처드 로이 오비슨 알 그린 로버트 플랜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믹 재거 티나 터너 프레디 머큐리 밥 말리 스모키 로빈슨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조니 캐시 에타 제임스 데이비드 보위 밴 모리슨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재키 윌슨 행크 윌리엄스 재니스 조플린 니나 시몬 프린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하울링 울프 보노 스티브 윈우드 휘트니 휴스턴 더스티 스프링필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닐 영 엘튼 존 제프 버클리 커티스 메이필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척 베리 조니 미첼 조지 존스 보비 밴드 커트 코베인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팻시 클라인 짐 모리슨 버디 홀리 도니 해서웨이 보니 레이트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20년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50명을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제임스 제머슨 찰스 밍거스 존 엔트위슬 부치 콜린스 캐럴 케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잭 브루스 래리 그레이엄 자코 파스토리우스 폴 매카트니 론 카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레시 윌리 딕슨 스탠리 클라크 존 폴 존스 도널드 ‘덕’ 던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찰리 헤이든 로비 셰익스피어 크리스 스콰이어 버딘 화이트 릭 댕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기저 버틀러 플리 빌 와이먼 게디 리 클리프 버튼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스라엘 카차오 로페스 데이비드 후드 애스턴 "패밀리 맨" 배럿 티나 웨이머스 밥 무어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버나드 에드워즈 스팅 레미 킬미스터 리처드 데이비스 루이스 존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레 클레이풀 존 맥비 피노 팔라디노 킴 고든 빌 블랙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조지 포터 주니어 토니 레빈 마이크 와트 조셉 마크웰라 에스페란자 스폴딩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피터 훅 릴랜드 스클라 킴 딜 더프 맥케이건 썬더캣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의 독자들이 2011년에 선정한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10명의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존 엔트위슬 플리 폴 매카트니 게디 리 레 클레이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존 폴 존스 자코 파스토리우스 잭 브루스 클리프 버튼 빅터 우튼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250대 기타리스트
173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70년대 아티스트
44위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 직원들이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25를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프레디 머큐리 지미 헨드릭스 엘비스 프레슬리 재니스 조플린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폴 매카트니 믹 재거 척 베리 데이비드 보위 패티 스미스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커트 코베인 스티비 닉스 짐 모리슨 조니 미첼 로버트 플랜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오지 오스본 액슬 로즈 밥 딜런 보노 데비 해리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로라 제인 그레이스 조 스트러머 캐슬린 한나 스티븐 타일러 존 본 조비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23년 빌보드 직원들이 록 밴드의 리드 싱어 50위를 선정했다. 따라서 솔로 아티스트는 포함되지 않았다. 링크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믹 재거 스티비 닉스 프레디 머큐리 로버트 플랜트 커트 코베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데이비드 번 데비 해리 조지 클린턴 보노 액슬 로즈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로버트 스미스 로저 달트리 헤일리 윌리엄스 스티븐 타일러 크리시 힌드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이클 스타이프 크리스 코넬 잭 화이트 캐슬린 한나 데이비드 리 로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짐 모리슨 에디 베더 캐런 오 롭 핼포드 재니스 조플린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톰 요크 루 리드 앤서니 키디스 앤 윌슨 스티브 페리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로라 제인 그레이스 오지 오스본 구스타보 세라티 체스터 베닝턴 그레이스 슬릭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조 스트러머 그웬 스테파니 이기 팝 폴 매카트니 브리트니 하워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리암 갤러거 세르이 탄키안 코트니 러브 제리 가르시아 코리 글로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폴리스티렌 폴 웨스터버그 데이브 그롤 루벤 알바란 잭 데 라 로차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파일:NME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보컬리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2011년 영국의 대중음악 전문지 NME에서 대중들을 상대로 '가장 위대한 가수 Top 20' 투표를 진행. 1,000만 표 이상이 모여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프레디 머큐리 엘비스 프레슬리 액슬 로즈 존 레논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데이비드 보위 로버트 플랜트 폴 매카트니 스티비 원더 아레사 프랭클린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매튜 벨라미 레이 찰스 짐 모리슨 밥 말리 엘튼 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커트 코베인 스티븐 타일러 믹 재거 마빈 게이 티나 터너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 롤링 스톤스 폴 매카트니 비 지스 어셔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 슈프림즈 프린스 홀 앤 오츠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마룬 5 마빈 게이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브루노 마스 다이애나 로스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 템테이션스 도나 서머 비치 보이스 라이오넬 리치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잭슨 파이브 보이즈 투 멘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 브렌다 리 더 위켄드 비욘세 크리스 브라운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브라이언 아담스 셰어 블랙 아이드 피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 핑크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레이디 가가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본 조비 처비 체커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 포리너 쿨 & 더 갱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리키 넬슨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 저스틴 팀버레이크 코모도스 이글스 TLC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 에미넴 배리 매닐로 디안 워윅 넬리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 포스트 말론 아리아나 그란데 에벌리 브라더스 칸예 웨스트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 R. 켈리 제임스 브라운 폴라 압둘 켈리 클락슨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 에드 시런 린다 론스태드 리처드 막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 JAY-Z 미라클스 디온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닐 세다카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포인터 시스터스 존 덴버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출처}}}}}}}}}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엘튼 존 엘비스 프레슬리 스티비 원더 마이클 잭슨 폴 매카트니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어셔 프린스 로드 스튜어트 드레이크 마빈 게이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라이오넬 리치 브루노 마스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케니 로저스 브라이언 아담스 조지 마이클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처비 체커 레이 찰스 크리스 브라운 리키 넬슨 저스틴 팀버레이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 앵카 배리 매닐로 넬리 바비 다린 R. 켈리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제임스 브라운 에미넴 리처드 막스 칸예 웨스트 JAY-Z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밥 시거 닐 세다카 저스틴 비버 브루스 스프링스틴 존 덴버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50 센트 플로 라이다 앤디 깁 로이 오비슨 디온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빌리 오션 토미 제임스 존 레논 브룩 벤턴 마이클 볼튼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릴 웨인 바비 브라운 에드 시런 루다크리스 에릭 클랩튼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쟈니 리버스 글렌 캠벨 릭 스프링필드 T.I. 더 위켄드
출처 }}}}}}}}}}}}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D700> 이름 폴 매카트니
PAUL McCARTNEY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 2012년 2월 9일
위치 1752 Vine Street
}}}}}}}}}}}} ||


}}} ||



[1] 라틴어로 '나의 마음을 보라(Behold my heart)'는 뜻.[2] Let It Be(노래)에 나오는 Mother Mary이다.[3] 친딸은 아니다. 린다 매카트니가 폴과 결혼 전 낳은 딸을 입양한 것.[4] 고조부터는 기록이 없다. 고조대에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영국으로 이민을 왔기 때문에 기록이 끊겼다.[5] 1965년에 5등급 대영제국 훈장(MBE)을 받고, 1997년에 2등급 훈장에 준하는 기사 작위 Knight Bachelor를 받았으며, 2017년 6월 16일 1.5등급에 해당하는 컴패니언 오브 아너(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훈장 대상자로 선정되었다.[6] 한국으로 치면 유치원에 해당.[7]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을 합친 학교다.[8] 전문적으로 다룰줄 아는 악기가 이정도고 실제로 연주할 줄 아는 악기의 개수는 50개에서 60개가 족히 넘는다. 이 정도로 많은 악기를 다룰줄 아는 음악가는 프린스, 존 폴 존스, 브라이언 존스 정도.[9] #[10] #[11] 다만 어디까지나 상대적일 뿐, 폴이라고 대중성이 떨어지는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음악을 안 쓴 것이 아니며, 존이라고 늘 대중과 동떨어진 곡만 고집한 것도 아니다. 유독 한국에서는 존 레논의 곡이 별달리 조명을 못 받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 대비가 두드러질 뿐.[12] 마찬가지로 존 또한 대중적인 곡들을 많이 만들었다. 사람들이 존과 폴을 대비시키기 위해 존은 실험적이고, 폴은 대중적이라는 식으로 얘기하지만 이는 매우 큰 오해이다.[13] 'McCartney II' 앨범 수록곡 Temporary Secretary.[14] 대표적으로 A Day in the Life의 중간 부분을 40인조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연결시킨 것과 Abbey Road의 B면을 메들리로 구성한 것은 폴의 아이디어였다. 사이키델릭 록의 정수라 불리는 Strawberry Fields Forever를 현재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도 폴의 기여가 있었다. 존이 원래 구상하던 버전은 잔잔한 어쿠스틱 스타일의 곡.[15] 다만 폴 매카트니의 인터뷰에 따르면, 존도 Ob-La-Di, Ob-La-Da를 꽤나 좋아했다고 한다.# 직접 피아노 반주 인트로를 만들어 주고, 편곡을 도운 것 역시 존 레논.[16] 특히 한국의 경우 비틀즈 시절의 곡들은 폴 매카트니가 쓴 곡이 대체로 더 유명하지만 해체 이후 솔로 활동에 있어서는 오히려 존 레논 쪽이 더욱 널리 알려져있는 탓에 폴 매카트니의 솔로 커리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섭렵하지 못한 음악 팬들이 많았고, 그로 인해 '비틀즈 해체 이후의 폴 매카트니는 별 볼일 없는 2류 뮤지션에 불과했다', '폴 매카트니는 존 레논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등의 턱도 없는 폄하가 마치 사실인 것마냥 나돌기도 했다.[17] 007 죽느냐 사느냐의 주제곡. 건즈 앤 로지스가 커버 앨범으로 발표한 적이 있는 곡이다. 이 곡은 007 매니아들에게 최고의 주제가 중 하나로 뽑히고 있다.[18] 죠죠의 기묘한 모험 제6부 스톤 오션에 등장하는 스탠드 'C-Moon'은 이 곡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19] 1970년대는 1980년대 중반 글램 메탈의 부흥기와 더불어서, 그야말로 록 음악의 최전성기나 다름 없던 시절이었다.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 데이비드 보위, 딥 퍼플, 블랙 사바스, 플리트우드 맥 그리고 1960년대의 더 후롤링 스톤스까지 그야말로 죽음의 조나 다름이 없었는데 이중에서 2위를 한 것이다. 만약 폴 매카트니의 빌보드 차트 1위 곡이 조금만 더 많았더라면 폴 매카트니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연속으로 가장 인기 있는 가수라는 초유의 기록을 썼을 것이다.[20] 발매 당시에는 썩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던 London Town, Back to the Egg, Press to Play, Off the Ground 등의 앨범들도 시간이 흐르며 재평가를 받는 중이다.[21] 크리스 노보셀릭, 데이브 그롤이 무대에 올랐다. 2012년 샌디 자선 공연 당시의 일.[22] 정확히는 4현짜리 사각형 레조네이터 기타 비슷한 악기를 연주했다. 일렉트릭 기타는 너바나와 푸 파이터스의 팻 스미어가 담당.[23] The Fool On The Hill의 리코더가 폴 매카트니의 작품이다.[24] Dance Tonight의 신나는 만돌린 리듬이 바로 폴의 연주.[25] 비틀즈 후반기부터 신디사이저를 적극 사용한 폴이었으며, McCartney II 앨범에서는 신디사이저를 비롯한 전자음 선율이 앨범 전체의 메인 멜로디가 된다.[26] 폴 매카트니의 주특기이자 그가 단연 가장 잘 다루는 악기.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베이시스트를 꼽을 때 폴 매카트니의 이름은 절대 빠지지 않는다.[27] 리드 기타 조지가 어려운 기타 리프를 틀리면 짜증을 내면서 완벽하게 기타 리프를 연주하며 훈계할 정도였다.[28] 아일랜드의 전통 악기.[29] 코난 오브라이언과의 인터뷰에서 "원래 관악기 쪽에는 좀 취약합니다."라고 말한 바가 있긴 하다.[30] 베이스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베이스는 드럼처럼 곡의 전체적인 리듬을 맡기 때문에 노래의 멜로디 라인과 동떨어진 다른 음을 연주해야 한다. 따라서 손가락은 곡의 전체적인 리듬과 박자에 맞게 베이스를 연주하고, 보컬은 그와 다른 멜로디 라인과 박자에 맞게 불러야 한다. 따라서 베이시스트가 노래하기는 드러머처럼 쉽지 않은 편. 당장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의 첫 곡인 I Saw Her Standing There부터 복잡한 베이스 라인을 연주하면서 노래를 아무렇지도 않게 부르는 모습을 보였다. 윙스 시절 발매한 Silly Love Songs도 마찬가지.[31] 2007년 롤링 스톤지 인터뷰 폴 매카트니 역시 밥 딜런에게 비슷한 말을 했다.[32] McWhirter, Norris (1980).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London: Sterling Publishing. pp. 235, 250, 251.[33] Glenday, Craig (2009). Guinness World Records 2009. London: Bantam Books. p. 290.[34] Pipes of Peace.[35] "Ebony and Ivory" with Stevie Wonder.[36] Mull of Kintyre, Wings.[37] "She Loves You”, The Beatles.[38] "Get Back", The Beatles and Billy Preston.[39] Do They Know It's Christmas? Band Aid 2[40] 비틀즈 시절 2곡, 솔로 시절 1곡.[41] McCartney has written, or co-written 32 number-one singles on the Billboard Hot 100: twenty with the Beatles; seven solo or with Wings; one as a co-writer of "A World Without Love", a number-one single for Peter and Gordon; one as a co-writer on Elton John's cover of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one as a co-writer on Stars on 45's "Medley"; one as a co-writer with Michael Jackson on "Say Say Say"; and one as writer on "Ebony and Ivory" performed with Stevie Wonder.[42] 1위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밥 딜런, 3위는 비틀즈의 또다른 멤버인 존 레논.[43] 존 레논은 기준이 충족되자마자 바로 헌액되었으나 매카트니는 후보 자격이 주어지고 7년 후에 헌액되었다.[44] 비틀즈 멤버 중 가장 늦게 헌정되었다.[45] 전혀 연관이 없어 보이는 음악가도 폴 매카트니를 통해 한두다리만 건너면 다 연관되어있다. 가령, 정말 연관이 없어보일 것 같은 핑크 플로이드테일러 스위프트는 폴 매카트니의 지인으로 엮인 사이다.[46] 1968년, 화이트 앨범 세션 당시의 사진이다.[47] 다만 감정의 골이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었다. 일례로 Dear Friend와 비슷한 시기에 쓰여진 Best Friend라는 곡은 자신을 모질게 대하는 존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표출한 곡이다.[48] 아버지는 집을 나갔고 어머니는 만취 운전을 하던 경찰관의 차에 치여 운명을 달리했다.[49] 신시아 레논은 존이 그 누구도 폴을 바라보는 눈빛으로 다른 사람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고, 오노 요코는 폴이 여자였다면 상당히 위험한 경쟁자였을 것이라고 한 바 있다.[50] 다만 이후 조지의 자서전 문제로 조지와 존의 관계가 악화된다.[51] No More Lonely Nights의 기타 연주를 맡았다.[52] 이때 마이클에게 자신이 부를 노래는 직접 쓰는 작곡 능력을 갖춘 아티스트로 발돋움하기를 적극 권유했고, 작곡 방법 등에 대한 조언도 해주었다.[53] 그래서 폴 매카트니는 자기가 가장 좋아했던 선배 뮤지션인 버디 홀리의 음악 판권을 통째로 사서 소유했다.[54] 매카트니의 인터뷰를 보면 매카트니가 이걸 설명해 줬을 때 마이클이 "그럼 내가 당신의 음악을 가질 수도 있다는 말이군요?" 라고 했고 매카트니는 "녀석 농담은" 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이 현실이 되고 만다.[55] 베이시스트 존 디콘은 언급이 잘 없지만, 11살 경 비틀즈 열풍 때문에 음악을 시작했다는 말이 있다.[56] "프레디는 항상 좋은 목소리를 갖고 있었어요. 그게 곧 그 그룹의 닻과 같은 역할을 했죠."[57] 여담으로 플랜트는 또 다른 비틀즈 멤버인 조지 해리슨과 1972년 크리스마스를 함께 보냈다고 한다.[58] 해리슨과 페이스가 이웃 사이였다고 한다.[59] 라이브 버전. 원곡은 1970년 발매되었다.[60] 리한나, 칸예 웨스트와 함께 작업[61] 32년만에 10위 진입으로, 가장 긴 공백 기간을 가지고 10위에 진입한 기록이다![62] 칸예 웨스트의 싱글을 피처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