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SLY AND THE FAMILY STONE | |||||||||||||||||||||||||||||||||||||||||||||||||||||||||||||||||||||||||||||||||||||||||||||||||
헌액 부문 | 공연자 (Performers) | ||||||||||||||||||||||||||||||||||||||||||||||||||||||||||||||||||||||||||||||||||||||||||||||||||
멤버 | 슬라이 스톤, 프레디 스톤, 신시아 로빈슨, 그레그 에리코, 제리 마티니, 래리 그레이엄, 로스 스톤 | ||||||||||||||||||||||||||||||||||||||||||||||||||||||||||||||||||||||||||||||||||||||||||||||||||
입성 연도 | 1993년 | ||||||||||||||||||||||||||||||||||||||||||||||||||||||||||||||||||||||||||||||||||||||||||||||||||
후보자격 연도 | 1993년 | ||||||||||||||||||||||||||||||||||||||||||||||||||||||||||||||||||||||||||||||||||||||||||||||||||
후보선정 연도 | 1993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엘비스 프레슬리 | 롤링 스톤스 | 척 베리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지미 헨드릭스 | 제임스 브라운 | 리틀 리처드 | 아레사 프랭클린 | 레이 찰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10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밥 말리 | 비치 보이스 | 버디 홀리 | 레드 제플린 | 스티비 원더 | |||||
<rowcolor=#fff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샘 쿡 | 머디 워터스 | 마빈 게이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보 디들리 | |||||
<rowcolor=#fff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오티스 레딩 | U2 | 브루스 스프링스틴 | 제리 리 루이스 | 패츠 도미노 | |||||
<rowcolor=#fff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라몬즈 | 프린스 | 더 클래시 | 더 후 | 너바나 | |||||
<rowcolor=#fff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조니 캐시 | 더 미라클스 | 에벌리 브라더스 | 닐 영 | 마이클 잭슨 | |||||
<rowcolor=#fff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마돈나 | 로이 오비슨 | 존 레논 | 데이비드 보위 | 사이먼 앤 가펑클 | |||||
<rowcolor=#fff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도어즈 | 밴 모리슨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
<rowcolor=#fff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재니스 조플린 | 패티 스미스 | Run-DMC | 엘튼 존 | 더 밴드 | |||||
<rowcolor=#fff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핑크 플로이드 | 퀸 | 올맨 브라더스 밴드 | 하울링 울프 | 에릭 클랩튼 | |||||
<rowcolor=#fff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닥터 드레 | 그레이트풀 데드 | 팔리아먼트-펑카델릭 | 에어로스미스 | 섹스 피스톨즈 | |||||
<rowcolor=#fff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메탈리카 | 조니 미첼 | 티나 터너 | 필 스펙터 | 킹크스 | |||||
<rowcolor=#fff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알 그린 | 크림 | 템테이션스 | 재키 윌슨 | 더 폴리스 | |||||
<rowcolor=#fff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프랭크 자파 | AC/DC | 라디오헤드 | 행크 윌리엄스 | 이글스 | |||||
<rowcolor=#fff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더 셔렐스 | 비스티 보이즈 | 스투지스 | 포 탑스 | 엘비스 코스텔로 | |||||
<rowcolor=#fff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더 드리프터즈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에미넴 | 제임스 테일러 | 블랙 사바스 | |||||
<rowcolor=#fff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투팍 샤커 | 그램 파슨스 | JAY-Z | 야드버즈 | 카를로스 산타나 | |||||
<rowcolor=#fff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톰 페티 | 건즈 앤 로지스 |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 나인 인치 네일스 | 레너드 스키너드 | |||||
<rowcolor=#fff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슈프림즈 | R.E.M. | 커티스 메이필드 | 칼 퍼킨스 | 토킹 헤즈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롤링 스톤스 | 데이비드 보위 | 브루스 스프링스틴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라디오헤드 | 레드 제플린 | 닐 영 | 프린스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R.E.M. | 엘비스 프레슬리 | 칸예 웨스트 | 더 후 | U2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일스 데이비스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너바나 | 더 클래시 | 지미 헨드릭스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빈 게이 | 핑크 플로이드 | 엘비스 코스텔로 | 스티비 원더 |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마돈나 |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더 스미스 | 마이클 잭슨 | 밴 모리슨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토킹 헤즈 | 켄드릭 라마 | 아케이드 파이어 | 아레사 프랭클린 | 비요크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JAY-Z | 제임스 브라운 | 톰 웨이츠 | 존 콜트레인 | PJ 하비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킹크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비스티 보이즈 | 조니 미첼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벡 한센 | 더 큐어 | 존 레논 | 도어즈 | LCD 사운드시스템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블러 | 크라프트베르크 | 레너드 코헨 | 픽시즈 | 루 리드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조니 캐쉬 | 소닉 유스 | 록시 뮤직 | 오아시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듀크 엘링턴 | 더 밴드 | 아웃캐스트 | 다프트 펑크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사이먼 앤 가펑클 | 프랭크 시나트라 | 척 베리 | 프랭크 오션 | 비욘세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조이 디비전 | AC/DC | 윌코 | 오티스 레딩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뉴 오더 | 메탈리카 | 화이트 스트라입스 | 라몬즈 | 더 폴리스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스투지스 | 브라이언 이노 | 엘튼 존 | 뱀파이어 위켄드 | 퀸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섹스 피스톨즈 | 매시브 어택 | 레이 찰스 | 스틸리 댄 | 블랙 사바스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케이트 부시 | 악틱 몽키즈 | 찰스 밍거스 | 패티 스미스 | 포티스헤드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건즈 앤 로지스 | 페이브먼트 | 수프얀 스티븐스 | 알 그린 | 펑카델릭 | |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마이클 잭슨 | 레드 제플린 | 롤링 스톤스 | 밥 딜런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지미 헨드릭스 | 프린스 | 엘비스 프레슬리 | 제임스 브라운 | 스티비 원더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밥 말리 | 데이비드 보위 | 더 후 | 너바나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돈나 | 퀸 | 핑크 플로이드 | U2 | 마빈 게이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브루스 스프링스틴 | 더 클래시 | AC/DC | 벨벳 언더그라운드 | 척 베리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닐 영 | 아레사 프랭클린 | 엘튼 존 | 라디오헤드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존 레논 | 블랙 사바스 | 건즈 앤 로지스 | 티나 터너 | 조니 캐시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폴 매카트니 | 플리트우드 맥 | 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 | 킹크스 | 폴리스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밴 헤일런 | 메탈리카 | 레이 찰스 | 조니 미첼 | 알 그린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라몬즈 | JAY-Z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 샤데이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빌리 조엘 | 비욘세 | 리틀 리처드 | 퍼블릭 에너미 | 피터 가브리엘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키스 | 스투지스 | 칩 트릭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휘트니 휴스턴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크림 | 제네시스 | 노토리어스 B.I.G. | 토킹 헤즈 | 도어즈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저스틴 팀버레이크 | 콜드플레이 | 오티스 레딩 | 투팍 샤커 | 데프 레파드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R.E.M. | 재니스 조플린 | 밴 모리슨 | 더 큐어 | 러시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Run-D.M.C. | 레너드 스키너드 | 주다스 프리스트 | 에미넴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ABBA | 스틸리 댄 | 어스 윈드 & 파이어 | 커티스 메이필드 | 더 밴드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N.W.A. | 조지 마이클 | 비 지스 | 비스티 보이즈 | 엘비스 코스텔로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그린 데이 | LL Cool J | 펄 잼 | 머라이어 캐리 | 아웃캐스트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저니 | 프리텐더스 | 디페시 모드 | 홀 앤 오츠 | 앨리샤 키스 | |
출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치 보이스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밴 헤일런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도어즈 | 토킹 헤즈 | R.E.M. | 이글스 | 사이먼 앤 가펑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스틸리 댄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올맨 브라더스 밴드 | 너바나 | 라몬즈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메탈리카 | 건즈 앤 로지스 | ZZ 탑 | 버즈 | 레너드 스키너드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카스 | 그레이트풀 데드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쿠퍼 | 키스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 벨벳 언더그라운드 | 스투지스 |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 하트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템테이션스 | 홀 앤 오츠 | 시카고 | 펄 잼 | 산타나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머틀리 크루 | 프랭크 자파 & 마더스 오브 인벤션 | 블론디 | 두비 브라더스 | 칩 트릭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저니 | 보스턴 | 제퍼슨 에어플레인 | 픽시즈 | 본 조비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 플레이밍 립스 | 푸 파이터스 | |||||
출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2021년 에스콰이어에서 역대 최고의 팝 밴드 10개를 선정했다. 다양한 장르를 어우르는 한편, 차트 1위 기록을 세웠던 이들이 기준으로, 순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슈프림스 | 비틀즈 | 플리트우드 맥 | 퀸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
비치 보이스 | ABBA | 템테이션스 | Destiny's Child | 방탄소년단 | }}}}}}}}} |
}}} ||
- 왼쪽부터 로스 스톤(Rose Stone.키보드, 보컬), 신시아 로빈슨(Cynthia Robinson. 트럼펫, 보컬), 슬라이 스톤(Sly Stone.보컬, 기타, 키보드[1]), 제리 마티니(Jerry Martini. 색소폰), 프레디 스톤(Freddie Stone. 기타, 보컬), 그레그 에리코(Greg Errico. 드럼), 래리 그레이엄(Larry Graham. 베이스, 보컬)[2].
Sly and the Family Stone
1. 개요
196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된 펑크(Funk) 밴드이다. 미국 메이저 음악 역사상 최초로 다인종으로 구성된 밴드이다.[3] 1993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당시 과격파 흑인인권단체에서 "흑인 밴드에 백인이 왜 필요하냐?" 라는 식으로 항의를 받기도 했었지만 밴드는 가볍게 일축했던 일화가 있다. 당시 펑크(훵크)음악부터 사이키델릭까지 수준급으로 뽑아냈던 밴드인데 백인 멤버들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2. 활동
밴드를 결성하기 전 슬라이 스톤은 1964년 바비 프리먼의 C'mon and Swim을 프로듀싱하고[4] 송라이팅에 참여했다.[5]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2주 연속 5위를 기록하고 196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54위에 오르는 등 크게 히트했다.형인 슬라이 스톤이 결성한 밴드인 'Sly & the Stoners'의 멤버들[6]과 동생인 프레디 스톤이 결성한 밴드인 'Freddie & the Stone Souls'의 멤버들[7]과 제리 마티니와 래리 그레이엄[8][9]이 1967년에 밴드를 결성하였다. 밴드는 CBS 레코드[10] 산하의 에픽 레코드와 계약한 뒤 1집인<A Whole New Thing>을 발표하지만 판매량이 매우 저조하였다.
1집이 망한뒤 슬라이 스톤의 여동생인 로스 스톤을 영입하고, 1967년 11월에 싱글 <Dance to the Music>을 발표하는데. 이 곡이 대박이 나게 되고, 1968년 4월에 발표한 동명의 앨범 <Dance to the Music>도 대박을 내면서 밴드는 승승장구하게 되지만.. 3집인 <Life>는 망하게 된다.
그러다가 1968년 11월, 밴드는 싱글 <Everyday People>를 발표하게 되는데, 이 곡은 상업적으로 엄청 성공하게 되고, 빌보드 핫 100 1위까지 하게 된다. 그리고 발표한 4집 <Stand!> 또한 대박을 치면서 엄청난 명성을 얻게 되고, 그러면서 1969년 8월에는 우드스톡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된다.
최전성기 시절 (1968년 ~ 1971년)의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흑인 멤버 8명 (슬라이 스톤, 프레디 스톤, 로즈 스톤, 벳 스톤,[11][12] 래리 그레이엄[13], 신시아 로빈슨, 메리 맥크리어리,[14] 엘바 마우튼[15])과 백인 멤버 2명 (그레그 에리코, 제리 마티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런 성공 속에서 밴드는 위기를 맞게 되는데, 먼저, 스톤형제와 래리 그레이엄의 갈등이 있었고, 에픽 레코드는 더 많은 판매량을 요구했고, 흑표당은 밴드의 백인 멤버였던 그레그 에리코와 제리 마티니, 매니저이자 백인이었던 데이비드 카프래릭을 쫓아내라고 요구했다. 더군다나 밴드의 리더였던 슬라이 스톤은 약물 중독에 빠지게 된다. 밴드의 팬들은 새로운 곡과 새로운 앨범을 원했지만 더 많은 수익을 원한 에픽 레코드는 1집인 <A Whole New Thing>을 재발매 시켰고, 밴드의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표시킨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밴드는 그들의 5집인 <There's a Riot Goin' On>를 레코딩하고, 대 성공 하게 된다. 그러나 멤버들간의 불화로 1971년과 1972년 각각 그레그 에리코와 래리 그레이엄이 밴드를 탈퇴하게 되고, 그들의 6집 <Fresh>를 발표하지만 예전의 성공같지는 않았고, 7집이후부터는 음악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망해버리게 되고 1983년 10집 <Ain't But the One Way>를 마지막으로 밴드는 해체된다.
슬라이는 2011년 간만에 앨범을 냈지만 롤링 스톤지를 제외하고는 부정적인 반응을 받기도 했다. 슬라이 스톤은 2025년 6월 9일 타계했다.
3. 평가
미국 메이저 음악 최초로 다인종 밴드이자 최초로 흑인 음악뿐만 아니라 백인 음악인 사이키델릭 록까지 함께 실험한 밴드이다.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흑인 음악인 소울 음악과 펑크(Funk)를 백인 음악인 사이키델릭 록과 결합시켜서 모타운의 홀랜드-도지어-홀랜드,[16] 노먼 휘트필드와 함께 새로운 장르인 사이키델릭 소울을 만들어 내고 확산시키는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후에 그들은 소울, 펑크(Funk) 뮤지션인 스티비 원더, 프린스, 팔리아멘트, 마이클 잭슨,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등 후배 뮤지션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선배인 마일즈 데이비스가 이들에게 영향을 받아 Bitches Brew라는 앨범을 만들기도 했다. 힙합에서도 지분이 상당하며 흑인 음악계에서도 부동의 입지를 차지하며 존경받고 있다.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연도 | 앨범 제목 |
1967 | A Whole New Thing |
1968 | Dance to the Music |
1968 | Life |
1969 | Stand! |
1971 | There's a Riot Goin' On |
1973 | Fresh |
1974 | Small Talk |
1975 | High on You |
1976 | Heard Ya Missed Me, Well I'm Back |
1979 | Back on the Right Track |
1983 | Ain't But the One Way |
4.2. 싱글
4.2.1. 빌보드 핫 100 1위
- Everyday People (1969)
- Thank You (Falettinme Be Mice Elf Agin) (1969)
- Family Affair (1971)
4.2.2. 빌보드 핫 100 2위
- Hot Fun in the Summertime (1969)
4.2.3. 빌보드 핫 100 3 ~ 10위
- Dance to the Music (1967) - 8위
4.2.4. 빌보드 핫 100 11 ~ 20위
- If You Want Me to Stay (1973) - 12위
[1] 그외에 오르간,하모니카등 많은 악기를 연주했다.[2] 베이스 기타에 슬랩 주법을 도입한 사람이다. 그리고 래퍼 드레이크의 삼촌이기도 하다.(드레이크는 캐나다 국적이지만, 아버지가 테네시 주 멤피스 출신이다.)[3] 범위를 넓히면 얘기가 다른데, 60년대 초부터 활동한 흑인음악 레이블 스택스의 세션 그룹 '부커 T 앤 엠지스'는 드러머, 키보디스트가 흑인이고, 기타리스트, 베이시스트는 백인이다. 영국으로 가면 그 유명한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가 다인종 밴드이지만, 영국은 미국보다 다인종 국가로써의 경향성이 더 크다.[4] https://www.songfacts.com/facts/bobby-freeman/cmon-and-swim[5] 두 명의 송라이터 중 한 명이었다.[6] 슬라이 스톤, 신시아 로빈슨[7] 프레디 스톤, 그레그 에리코[8] 신시아 로빈슨의 사촌[9] 형제가 캐나다 래퍼 Drake의 아버지이다.[10] 나중에 소니 뮤직에 합병된다[11]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백그라운드 보컬[12] 슬라이 스톤, 로즈 스톤, 프레디 스톤의 동생[13] 형제가 캐나다 힙합 가수 Drake의 아버지이다.[14]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백그라운드 보컬[15]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백그라운드 보컬[16] 슈프림즈의 You Keep Me Hangin' On (1966), Reflections (1967)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