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0 14:05:50

그레이트풀 데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밴드 그레이트풀 데드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더 그레이트풀 데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더 그레이트풀 데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더 그레이트풀 데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밴드 그레이트풀 데드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 }}}[[더 그레이트풀 데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더 그레이트풀 데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더 그레이트풀 데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Grateful-Dead-Logo.png
그레이트풀 데드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그레이트풀 데드
THE GRATEFUL DEAD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제리 가르시아, 밥 위어, 론 P. 매커넌, 빌 크로이츠만, 필 레시
미키 하트, 로버트 헌터, 톰 콘스탠튼, 키스 고드쇼,
도나 고드쇼, 브렌트 미들랜드, 빈스 웰닉
입성 연도 1994년
후보자격 연도 1993년
후보선정 연도 1993년, 1994년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앤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이트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2024년로리 앤더슨, 더 클라크 시스터즈, 글래디스 나이트, N.W.A, 도나 서머, 태미 와이넷
2025년프랭키 베벌리, 더 클래시, 바비 존스, 타지 마할, 프린스, 록산느 샨테, 프랭키 발리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파일:케네디 센터 공로상 로고.sv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제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롤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먼 리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2024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그레이트풀 데드(Mickey Hart, Bill Kreutzmann, Phil Lesh, Bobby Weir), 보니 레이트, 아르투로 산도발, The Apollo(아폴로 극장/예술공연장)
2025년 조지 스트레이트, 키스(에이스 프레일리, 진 시몬스, 폴 스탠리, 피터 크리스), 마이클 크로포드, 글로리아 게이너, 실베스터 스탤론
}}}}}}}}} ||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 밥 딜런 엘비스 프레슬리 롤링 스톤스 척 베리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 제임스 브라운 리틀 리처드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10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비치 보이스 버디 홀리 레드 제플린 스티비 원더
<rowcolor=#fff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샘 쿡 머디 워터스 마빈 게이 벨벳 언더그라운드 보 디들리
<rowcolor=#fff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오티스 레딩 U2 브루스 스프링스틴 제리 리 루이스 패츠 도미노
<rowcolor=#fff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라몬즈 프린스 더 클래시 더 후 너바나
<rowcolor=#fff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니 캐시 더 미라클스 에벌리 브라더스 닐 영 마이클 잭슨
<rowcolor=#fff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마돈나 로이 오비슨 존 레논 데이비드 보위 사이먼 앤 가펑클
<rowcolor=#fff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도어즈 밴 모리슨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퍼블릭 에너미 버즈
<rowcolor=#fff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재니스 조플린 패티 스미스 Run-DMC 엘튼 존 더 밴드
<rowcolor=#fff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핑크 플로이드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울링 울프 에릭 클랩튼
<rowcolor=#fff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닥터 드레 그레이트풀 데드 팔리아먼트-펑카델릭 에어로스미스 섹스 피스톨즈
<rowcolor=#fff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메탈리카 조니 미첼 티나 터너 필 스펙터 킹크스
<rowcolor=#fff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알 그린 크림 템테이션스 재키 윌슨 더 폴리스
<rowcolor=#fff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프랭크 자파 AC/DC 라디오헤드 행크 윌리엄스 이글스
<rowcolor=#fff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더 셔렐스 비스티 보이즈 스투지스 포 탑스 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더 드리프터즈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미넴 제임스 테일러 블랙 사바스
<rowcolor=#fff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투팍 샤커 그램 파슨스 JAY-Z 야드버즈 카를로스 산타나
<rowcolor=#fff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톰 페티 건즈 앤 로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나인 인치 네일스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슈프림즈 R.E.M. 커티스 메이필드 칼 퍼킨스 토킹 헤즈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치 보이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밴 헤일런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도어즈 토킹 헤즈 R.E.M. 이글스 사이먼 앤 가펑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스틸리 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올맨 브라더스 밴드 너바나 라몬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ZZ 탑 버즈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스 그레이트풀 데드 사운드가든 앨리스 쿠퍼 키스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투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하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템테이션스 홀 앤 오츠 시카고 펄 잼 산타나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머틀리 크루 프랭크 자파 & 마더스 오브 인벤션 블론디 두비 브라더스 칩 트릭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저니 보스턴 제퍼슨 에어플레인 픽시즈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플레이밍 립스 푸 파이터스
출처
}}}}}}}}} ||}}}}}}}}} ||
파일:6BCCF500-3B0B-4581-8BFC-39C573725134.pn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공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등재자 공연 등재연도 출처
그레이트풀 데드 코넬 대학교 공연 실황 (1977년 5월 8일) 2012년 # }}}

파일:6BCCF500-3B0B-4581-8BFC-39C573725134.png 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국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등재자 작품 등재연도 출처
그레이트풀 데드 Truckin’(노래) 1997년 # }}}

Guiness World Records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Most rock concerts performed band.
가장 많은 록 콘서트에서 공연한 밴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기록자 등재 날짜 출처
그레이트풀 데드 1998년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100대 송라이터
36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100대 아티스트
57위

}}}}}}}}} ||
<colbgcolor=#000><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 파일:Grateful-Dead-Logo.png 그레이트풀 데드
Grateful Dead
}}}
파일:Grateful_Dead.png
[1]왼쪽부터 빌 크로이츠만, 키스 고드소, 제리 가르시아, 론 맥커넌, 밥 위어, 필 레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결성
1965년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데뷔 1966년
데뷔 싱글 Don't Ease Me In
데뷔 앨범
활동 기간 1965년 ~ 1995년
재결성 2015년[2]
멤버[3]
제리 가르시아†[4] (기타, 보컬)
밥 위어 (기타, 보컬)
빈스 웰닉†[5] (키보드, 보컬)
필 레시[6] (베이스 기타, 보컬)
빌 크로이츠만 (드럼)
미키 하트 (드럼)
전 멤버
[ 펼치기 · 접기 ]
론 매커넌†[7] (키보드, 하모니카, 보컬)
로버트 헌터†[8] (작사)
존 페리 발로†[9]
톰 콘스탠튼 (키보드)
키스 고드쇼†[10] (키보드)
도나 진 고드쇼[11] (보컬)
브렌트 미들랜드†[12] (키보드)
장르 사이키델릭 록, 포크 록, 루츠 록, 컨트리 록
레이블
파일:워너 브라더스 로고.svg
· Grateful Dead · Arista · Rhino · Sunflower · United Artists
링크 파일:Grateful-Dead-Logo.p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그레이트풀 데드의 라이브에 대해서
3.1. 대표 연주들3.2. 라이브 녹음 소개
4. 여담

1. 개요

파일:Grateful Dead.png
”여기 미국 음악을 위대하게 만든 창의, 열정, 그리고 사람들을 하나로 만드는 능력을 상징하는 미국의 상징적인 밴드인 그레이트풀 데드가 있습니다.”
버락 오바마, 2015년 7월 13일#

미국의 사이키델릭 록 밴드. 20세기의 한 부분을 풍미한 전설적인 밴드이다.

2. 연혁

데뷔 초기인 60년대 중반과 후반에는 사이키델릭 록을 주력으로 연주했다. 이 당시는 블루스나 포크 록 성향도 조금 보였다. 그러다가 히피 이상이 몰락한 70년대 부터는 미국 전통 음악인 블루스를 비롯한 컨트리/포크 록으로 전향하여 꾸준하고 열광적인 지지를 받아냈다. 이후 1995년 리더였던 제리 가르시아가 사망하면서 그레이트풀 데드로서 해체되었다. 나머지 멤버들은 The Other Ones을 거쳐 그레이트풀을 뗀 데드로 활약했다.

워낙 관련 밴드가 많아서 여기 다 적는건 불가능하고 데드 해체 후 2014년까지 Further로 이어졌다가 필 레시가 풀타임 공연에서 은퇴하면서 해체했고 2015년 원년 멤버 네 명에다 존 메이어와 다른 연주자들이 다시 뭉친 데드 앤 컴퍼니가 후계를 잇고 있는 중이다. 2024년 기준으로는 밥 위어와 미키 하트 중심으로 라이브 공연만 하고 있다. [13] 이미 1989년 이후 새 곡 녹음 활동은 없었기에 밥 위어, 미키 하트 쪽은 의사가 없는 걸로 보인다. 반면 빌 크로이츠먼과 [14] 필 레시 [15]만 그레이트풀 데드 해체 후에도 녹음 활동을 했다.

그레이트풀 데드는 폭넓은 레퍼토리와 이를 즉흥 연주로 그날그날마다 다르고 길게 연주하는 뛰어난 라이브 공연으로 유명했다.통상 3시간 안팎의 긴 공연에서 한 곡을 30분 넘게 즉흥연주만으로 늘리기도 하는 그들의 특이한 공연 방식이 그들의 강점이었다.

매 공연마다 각각 색다른 맛을 주는 이러한 라이브 공연의 매력에 이끌려 팬들은 항상 공연장을 찾았고, 공연을 녹음 한 것을 서로 공유하면서 커뮤니티를 유지했다. 이러한 팬들은 '데드헤드(Deadhead)라고 불렸는데, 몇몇 열성적인 데드헤드들은 제대로된 직장이나 안정적인 삶도 그냥 던져버리고 투어 내내 밴드를 따라다니면서 모든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목적으로 둘 정도였다. 이런 강력한 팬덤 덕분에 60년대에 결성된 락 밴드로선 희귀하게도 리더 제리 가르시아의 사망 이전까지 30년 가까이 커다란 인기를 누렸다.

1995년 제리 가르시아가 사망하고 해체하기 직전인 90년대까지도 1993년과 1991년에 미국 내에서 가장 공연 수익을 많이 올린 밴드로 선정될 정도였다. 이들은 독자적인 네트워크로 서로 우편으로 교환하고 주고 받으면서 소통했고, 후에 이러한 문화가 인터넷 혁명과 연결되어 팬덤 문화를 사이버스페이스에 접목시킨 최초의 사례로 남게되는 영광을 안게 되었다. 게다가 티모시 리어리 등 히피 세대의 우상들이 중년이 된 이후 인터넷과 컴퓨터에 친화적으로 대했던 것도 한 몫했다. 리어리는 심지어 PC를 새로운 LSD라고 지칭했을 정도이다.

역사상 최고의 연주력을 가진 밴드들 중 하나로, 스튜디오 음악보다는 라이브가 중시되는 것으로 알려진 밴드이다. 1977년 코넬 대학에서 한 공연은 미 의회도서관에서 선정한 National Recording Registry에 등재되었다. 라이브를 수천 번 넘게 했음에도 같은 곡을 단 한 번도 똑같이 연주한 적이 없다는 소문이 돌 만큼 즉흥 연주에 큰 비중을 두었다. 60년대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마일스 데이비스존 콜트레인의 재즈와 블루스 등의 영향을 받고 수십 분짜리 즉흥 연주를 하는 밴드들이 출연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선두 주자가 그레이트풀 데드였고 그들은 다른 사이키델릭 록 밴드와 달리 30년이나 코어 멤버들이 변하지 않은 채로 활동하게 되었다.

모든 연주자들의 기량이 출중하지 않으면 지루해지기 쉬운 10분이 넘어가는 잼 연주도 너끈히 해내는 모습은 이후의 록 계에서는 보기 힘든 것이었다. 특히 리드 기타리스트 제리 가르시아는 재즈 연주자들에 버금가는 즉흥 연주의 달인으로 유명했다. 가르시아의 기타리스트로서의 우상은 재즈 기타리스트인 장고 라인하르트였다. 둘 모두 후천적인 손의 장애를 극복하고(가르시아의 경우 오른손 중지를 어린 시절에 잃어 컨트리 연주에 꼭 필요한 핑거 피킹에 어려움이 있었다.) 최고의 기타리스트가 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스튜디오 앨범으로는 Workingman's Dead, American Beauty가 명반으로 꼽히는 편이다.
공식 유튜브 채널에 현재도 과거 공연 영상이 자주 올라오고 인스타그램 활동도 매우열심히 이뤄진다

코트니 러브의 아버지가 이 밴드 매니저였다고 한다.

참고로 밥 딜런과 함께 한 Dylan & the Dead은 딜런과 데드 양쪽 모두 최악의 똥반으로 평가받고 있다. (...) 딜런은 Oh Mercy로 직후 어느 정도 재기에 성공했지만, 데드는 Built to Last도 별로인 평을 받으면서 아예 정규 앨범 발매를 중단했고 해체까지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

3. 그레이트풀 데드의 라이브에 대해서

그레이트풀 데드가 활동 당시에 광적인 팬덤을 모았고, 활동 후에도 여전히 전 멤버들의 라이브 공연이 항상 매진되고 인터넷 등지에서도 엄청난 팬덤을 모으고 있는 이유는 라이브 공연 때문이다. 보유하고 있는 곡들의 레파토리 자체가 엄청 넓었을 뿐 아니라 항상 그날에 따라 다른 잼 (즉흥 연주)를 했다.

이 밴드가 활동 하던 시절 약 수천번의 공연들이 모두 제각각 달랐다고 볼 수 있다. 정말 과장이 아니라, 녹음을 들어보면 같은 투어 안에서도 똑같은 곡을 해도 모든 공연마다 확연히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그렇기에, Workingman's Dead나 American Beauty 같은 스튜디오 앨범들도 물론 명반들이지만, 그들의 스튜디오 녹음은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라이브 공연에서 즉흥 연주로 훨씬 더 길게 늘리기 전의 데모 버전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Dark Star'라는 곡을 예로 들어보자. 이 곡은 본래 싱글로 발매 되었을때 3분이 채 안되는 간단한 곡이었지만, 라이브 공연때는 적어도 20분 이상에서 가장 길때는 48분(!) 에 이를 정도로 늘여졌으며, 사실상 매 공연마다 싱글로 발매된 부분인 2~3분 정도의 짧은 메인 테마 부분만 빼면 나머지는 모두 즉흥연주로 연주마다 다른 곡이나 다름 없었다.

보통 뛰어난 Dark Star 연주는 그레이트풀 데드 식의 즉흥 연주의 정점으로 불린다.
시대별로 연주 스타일이 계속 확연히[16] 바뀌었을 뿐 아니라[17] 같은 투어 안에서도 1972년 유럽 투어에서 공연된 두 개의 버전이[18] 길이부터 전개, 연주까지 노래가 나오는 메인 테마를 제외하곤 완전히 다르다.[19]

굳이 몇십분짜리 긴 잼 곡이 아니더라도, 4~5분 정도의 짧은 곡들도 매 공연마다 솔로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다른 버전들을 계속 찾는 재미가 있다.

그레이트풀 데드가 활동하던 시절 당시에 수천번의 공연 중 놀랍게도 거의 99퍼센트 정도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녹음이 됐다. 밴드가 투어를 돌 때 대부분의 경우에는 같이 투어를 하는 음향 담당 엔지니어가 밴드가 공연하는 것을 녹음했기 때문이다.

정식으로 라이브 앨범을 위한 녹음을 하지 않을때도, 투어 크류 중 누군가는 그들의 연주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는 생각에 따로 PA 시스템에서 테이프로 연주를 녹음으로 남겼다. 또, 그렇게 밴드 내에서 녹음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공연을 보러 가면 녹음을 하고 싶어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렇게 녹음된 테이프을 팬들이 서로 나누면서 공유하고 열광적인 팬덤을 만드는 것을 밴드도 알고 있었기에, 녹음된 테이프를 상업적으로 판매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그레이트풀 데드는 항상 팬들이 공연을 녹음 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활동 중에 한 수천번의 공연중에 초창기에 무명 시절에 이루어진 공연들을 제외하고 사실상 모든 녹음이 남게되었다. 이런 음원에는 SBD(Soundboard Recording)와 AUD(Audience Recording)가 있다. SBD는 PA에서 선을 빼와서 테이프로 녹음된 비교적 깔끔한 음원이고, 관중석에서 마이크를 들고 열악한 음질로 녹음된 음원을 AUD라고 한다.

이렇게 녹음된 음원들은 밴드가 해체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음반화 되어서 발매 되고 꾸준히 팔리면서 전 멤버들의 두둑한 연금이 되고 있다.

90년대부터 이러한 수요가 돈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밴드측에서 이러한 녹음들을 Dick's Picks, Road Trips 등의 시리즈로 발매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1년마다 발매되는 한정판 박스셋과 Dave's Picks라는 1년 구독에 4개의 라이브 공연을 음반으로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발매하고 있다. 수천개의 공연 중 이렇게 공식적으로 발매된 공연만 이제 수백개에 이른다.

3.1. 대표 연주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69년 Live/Dead 앨범의 Dark Star 연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71년 8월 6일 Hard to Handle 연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72년 Europe 72 앨범의 Morning Dew 연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74년 Winterland에서의 Eyes of the World 공연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77년 5월 8일 코넬 대학에서의 Scarlet Begonias/Fire on the Mountain 연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89년 7월 4일 Not Fade Away 공연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0년 3월 24일 유명 재즈 연주자 브랜포드 마샬리스와의 Bird Song 연주

3.2. 라이브 녹음 소개

앞에서 나왔듯이 많은 양의 과거 음원들이 정식으로 발매 되었다. 그 중에서 밴드 활동기에 발표된 Live/Dead (1969), Europe 72 (1972), Without a Net(1990)와 해체 후에 발매된Cornell 77 (2017) 를 추천할만하다.

특히 'Cornell 77'는 앨범으로 발매되기 한참 전부터 팬들 사이에서 공유되며, 위에서 언급됐듯이 미 의회도서관에서 보존 결정을 할 정도로 그레이트풀 데드 사상 최고의 라이브 공연 중 하나로 꼽히는 음원이다. 이 4개의 앨범도 괜찮다. 보통 그레이트풀 데드의 활동 기간 중 가장 음악적 평가와 인기가 높은 년도가 1972년과 1977년이다. 그러므로 Europe 72나 Cornell 77를 추천할만하다.

그리고 각각의 년도인 1972년이나 1977년에 녹음된 다른 음원들도 괜찮다.

영상물로는 1972년의 Sunshine Daydream 1974년의 Grateful Dead the Movie를 평이 좋다. Grateful Dead the Movie는 링크에 첨부된 공식 채널에서 전부를 감상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공식 채널에서 활동 기간 전체의 다양한 영상들이 있다.

그 이외의 라이브 공연들과 정식으로 발매되었지만 구할 수 없거나 아직 발매되지 않은 뛰어난 공연라이브도 많다. 앨범의 수가 워낙에 많고, 대부분 한정 수량으로 발매 되어서 절판된 앨범들이 많다. 이러한 절판된 앨범들은 이베이 등지에서 100달러(!)가 넘는 가격에 거래되기도 한다. 이런 것은 https://relisten.net/grateful-dead에서 인터넷에 유포되는 수천개의 모든 공연들을 스트리밍으로 감상할 수 있다. IOS용 어플리케이션도 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DeadHead Archives 앱을 이용하면 된다.

무손실 파일로 다운로드를 원한다면 https://www.shnflac.net/에 가입하면 정식으로 발매되지 않은 거의 모든 공연들을 토렌트로 다운 받을 수 있다. 정식으로 음반 발매된 음원을 그대로 불법 공유하는게 아닌 이상, 모든 공연을 공유하는 것은 밴드 측에서 허용하기 때문에 토렌트를 통해서 많은 음원을 공유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팬덤이 거의 없다시피 하므로, 레딧/r/gratefuldead나 밴드 피시의 팬 커뮤니티인 Phish.net 등 데드헤드들이 모여있는 외국 사이트에서 소통하고 정보를 얻을수 있다. Phish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영향을 받아 역시 비슷하게 긴 즉흥연주로 유명한 라이브를 하는 밴드라서 팬층이 서로 겹치는 편이다. 이렇게 그레이트풀 데드의 영향을 받아 긴 즉흥연주를 장기로 하는 밴드들을 Jam Band라고 한다.

광적인 데드헤드들은 그저 곡 이름만 대도 그 곡의 최고의 버전이 며칠에 공연 되었는지, 또 날짜를 말하면 그 날의 셋리스트가 바로 튀어나오는 등 정말 정신 나간듯한 덕력을 보유하고 있다.

어느 공연이 가장 인기있는지를 알고 싶다면 https://www.herbibot.com/을 참조하자. 그레이트풀 데드의 모든 공연들이 정리되어 있고, 그것을 인기 순위대로 볼 수 있다. 또, 특정 곡의 어떤 버전이 가장 인기 있는지를 알고 싶다면, http://headyversion.com/을 참조하자. 한 곡을 가지고 몇년 몇월 며칠에 공연된 버전이 가장 인기 있는지 열심히 토론하고 투표하고 있는 데드헤드들의 미친 덕력을 볼 수 있다.

4. 여담


[1] American Beauty 활동 라인업[2] 단, '그레이트풀 데드'로서의 정식 재결성이 아니라, Dead & the Company라는 명칭을 사용한다.[3] 해체 직전인 1995년 라인업[4] (1947~1995), 심장마비로 사망[5] (1951~2006), 자살로 사망[6] (1940~2024),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노환 혹은 병사로 추정[7] (1945~1973),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간출혈로 사망[8] (1941~2019), 가족 요청으로 사인 비공개[9] (1947~2018), 심장병 합병증으로 사망[10] (1948~1980), 교통사고로 사망[11] 키스 고드쇼와 결혼하기 전에 이름은 도나 진 새처이다.[12] (1952~1990), 약물 과다복용 관련 심장마비로 사망[13] 2023년 투어는 더 이상 돌지 않고 라스베이거스 레지던시 공연만 할 예정이라 밝혔다.[14] 크로이츠먼은 2023년 데드 앤 컴퍼니를 떠났는데, 창작적 활동 때문에 떠났다고 명시되었다.[15] 2024년 타계.[16] 1968년 8월 23~24일 라이브 음반[17] 1989년 10월 26일 라이브 음반[18] 1972년 4월 라이브 음반[19] 1972년 5월 11일 라이브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