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8:14:08

더스틴 호프먼

더스틴 호프먼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 잉마르 베리만 마르셀 카르네 존 포드 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 빌리 와일더 알레산드로 블라세티 루이스 부뉴엘 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 장뤽 고다르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알렉산더 클루게 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 사티야지트 레이 킹 비더 세자르 자바티니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존 휴스턴 페데리코 펠리니 타비아니 형제 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 로베르 브레송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얀초 미클로시 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 잔느 모로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파올로 빌라조 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 로만 폴란스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알 파치노 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 우디 앨런 모니카 비티 마틴 스코세이지 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 주세페 드 산티스 조프레도 롬바르도 알랭 레네 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 더스틴 호프먼 미셸 모르강 제라르 드파르디유 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 워렌 비티 소피아 로렌 안제이 바이다 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에릭 로메르 디노 리시 디노 드 로렌티스 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미야자키 하야오 스테파니아 산드렐리 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에르만노 올미 존 라세터 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 앤드루 스탠튼 리 언크리치 오우삼 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 윌리엄 프리드킨 델마 스쿤메이커 프레더릭 와이즈먼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제인 폰다 로버트 레드포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줄리 앤드류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허안화 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 제이미 리 커티스 카트린 드뇌브 폴 슈레이더 양조위
2023년
릴리아나 카바니
}}}}}}}}} ||

AFI 평생 공로상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존 포드 제임스 캐그니 오슨 웰스 윌리엄 와일러 베티 데이비스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헨리 폰다 앨프리드 히치콕 제임스 스튜어트 프레드 아스테어 프랭크 카프라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존 휴스턴 릴리안 기시 진 켈리 빌리 와일더 바버라 스탠윅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잭 레먼 그레고리 펙 데이비드 린 커크 더글러스 시드니 푸아티에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엘리자베스 테일러 잭 니콜슨 스티븐 스필버그 클린트 이스트우드 마틴 스코세이지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로버트 와이즈 더스틴 호프먼 해리슨 포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톰 행크스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로버트 드 니로 메릴 스트립 조지 루카스 숀 코너리 알 파치노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워렌 비티 마이클 더글러스 마이크 니콜스 모건 프리먼 셜리 맥클레인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멜 브룩스 제인 폰다 스티브 마틴 존 윌리엄스 다이앤 키튼
2018년 2019년 2022년[1] 2023년
조지 클루니 덴젤 워싱턴 줄리 앤드류스 니콜 키드먼
[1] 2020년 시상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으로 인해 시상식 개최가 2년 연기되었다. }}}}}}}}}}}}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
}}}}}}}}} ||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를린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곰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82년1983년1984년1985년1986년
제임스 스튜어트 없음
1987년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없음 알렉 기네스 더스틴 호프먼 올리버 스톤 없음
1992년1993년1994년1995년
없음 빌리 와일더 그레고리 펙 소피아 로렌 알랭 들롱
1996년1997년1998년1999년
잭 레먼 엘리아 카잔 킴 노박 카트린 드뇌브 셜리 맥클레인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잔느 모로 커크 더글러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로버트 올트먼 아누크 에메
2004년2005년2006년
페르난도 솔라나스 임권택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이안 맥켈런 안제이 바이다
2007년2008년2009년2010년
아서 펜 프란체스코 로시 모리스 자르 한나 쉬굴라 볼프강 콜하세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아민 뮬러스탈 메릴 스트립 클로드 란츠만 켄 로치 빔 벤더스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마이클 볼하우스 밀레나 카노네로 윌렘 대포 샬럿 램플링 헬렌 미렌
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없음 이자벨 위페르 스티븐 스필버그 마틴 스코세이지
}}}}}}}}} ||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2년 1953년 1954년 1955년 1956년
세실 B. 드밀 월트 디즈니 대릴 F. 재넉 진 허숄트 잭 L. 워너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머빈 르로이 버디 아들러 모리스 슈발리에 빙 크로스비 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주디 갈랜드 밥 호프 조셉 E. 레빈 제임스 스튜어트 존 웨인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찰턴 헤스턴 커크 더글러스 그레고리 펙 조안 크로포드 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 새뮤얼 골드윈 베티 데이비스 핼 B. 월리스 월터 미리쉬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레드 스켈튼 루실 볼 헨리 폰다 진 켈리 시드니 푸아티에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 폴 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바버라 스탠윅 안소니 퀸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도리스 데이 오드리 헵번 잭 레먼 로버트 미첨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로렌 바콜 로버트 레드포드 소피아 로렌 숀 코너리 더스틴 호프먼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셜리 맥클레인 잭 니콜슨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알 파치노 해리슨 포드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진 해크먼 마이클 더글러스 로빈 윌리엄스 안소니 홉킨스 워렌 비티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 마틴 스코세이지 로버트 드 니로 모건 프리먼 조디 포스터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우디 앨런 조지 클루니 덴젤 워싱턴 메릴 스트립 오프라 윈프리
2019년 2020년 2021년 2023년
제프 브리지스 톰 행크스 제인 폰다 에디 머피
}}}}}}}}} ||

파일:sezar-trophy.png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6년 1977년 1978년
잉그리드 버그만 다이애나 로스 앙리 랑글루아 자크 타티 로버트 도프만
1978년 1979년 1980년
르네 고시니 마르셀 카르네 샤를 바넬 월트 디즈니 피에르 브롱베르제
1980년 1981년 1982년
루이스 드 푸네스 커크 더글러스 마르셀 파뇰 알랭 레네 조르주 댄시거즈
1982년 1983년 1984년
알렉산드르 노우츠킨 장 네니 안제이 바이다 Raimu 르네 클레망
1984년 1985년
조르주 드 보르가르 에드위지 푸이에르 크리스티앙 자크 다니엘 다리외 크리스틴 구즈레날
1985년 1986년
알렝 프와레 모리스 자르 베티 데이비스 장 들라누아 René Ferracci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클로드 란츠만 장뤽 고다르 세르지 실버만 베르나르 블리에 폴 그리모
1990년 1991년 1992년
제라르 필리프 장 피에르 오몽 소피아 로렌 미셸 모르강 실베스터 스탤론
1993년 1994년 1995년
장 마레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제라드 우리 장 카르메 잔느 모로
1995년 1997년 1997년
그레고리 펙 스티븐 스필버그 로렌 바콜 앙리 베르누이 샤를 아즈나부르
1997년 1998년 1999년
앤디 맥도웰 마이클 더글러스 클린트 이스트우드 장뤽 고다르 페드로 알모도바르
1999년 2000년
조니 뎁 장 로슈포르 조지안 발라스코 조르주 크라벤느 장피에르 레오
2000년 2001년 2002년
마틴 스코세이지 데리 코울 샬럿 램플링 아녜스 바르다 아누크 에메
2002년 2003년
제러미 아이언스 찰리 리치 베르나데트 라퐁 스파이크 리 메릴 스트립
2004년 2005년 2006년
미셸린 프레슬 자크 뒤트롱 윌 스미스 휴 그랜트 피에르 리차르
2007년 2008년
마를렌 조베르 주드 로 잔느 모로 로베르토 베니니 로미 슈나이더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더스틴 호프먼 해리슨 포드 쿠엔틴 타란티노 케이트 윈슬렛 케빈 코스트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스칼렛 요한슨 숀 펜 마이클 더글러스 조지 클루니 페넬로페 크루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로버트 레드포드 없음*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크리스토퍼 놀란
* 내정자(브래드 피트)의 수상 거부로 당해의 수상자를 공석 처리.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남우주연상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존 보이트
(귀향)
더스틴 호프먼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로버트 드 니로
(분노의 주먹)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마이클 더글러스
(월 스트리트)
더스틴 호프먼
(레인 맨)
다니엘 데이루이스
(나의 왼발)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남우주연상
제22회
(1969년)
제23회
(1970년)
제24회
(1971년)
스펜서 트레이시
(초대받지 않은 손님)
더스틴 호프먼
(미드나잇 카우보이)/(존과 메리)
로버트 레드포드
(내일을 향해 쏴라)/(내일을 향해 달려라)/(다운힐 레이서)
제36회
(1983년)
제37회
(1984년)
제38회
(1985년)
벤 킹슬리
(간디)
더스틴 호프먼
(투씨)

마이클 케인
(리타 길들이기)
행 S. 응고르
(킬링필드)

역대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남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부문
제37회
(1985년)
제38회
(1986년)
제39회
(1987년)
리처드 크레나
(더 레이프 오브 리처드 백)
더스틴 호프먼
(세일즈맨의 죽음)
제임스 우즈
(약속)

역대 국제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남우주연상
제43회
(2015년)
제44회
(2016년)
제45회
(2017년)
마르텐 하이만스
(람세스)
더스틴 호프먼
(에시오 트롯)
케네스 브래너
(월랜더)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드라마(영화)
제36회
(1979년)
제37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존 보이트
(귀향)
더스틴 호프먼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로버트 드 니로
(분노의 주먹)
제45회
(1988년)
제46회
(1989년)
제47회
(1990년)
마이클 더글러스
(월 스트리트)
더스틴 호프먼
(레인 맨)
톰 크루즈
(7월 4일생)
남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제39회
(1982년)
제40회
(1983년)
제41회
(1984년)
더들리 무어
(미스터 아더)
더스틴 호프먼
(투씨)
마이클 케인
(리타 길들이기)
남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제42회
(1985년)
제43회
(1986년)
제44회
(1987년)
테드 댄슨
(썸딩 어바웃 아멜리아)
더스틴 호프먼
(세일즈맨의 죽음)
제임스 우즈
(약속)

}}} ||
<colbgcolor=#262626><colcolor=#fff> 더스틴 호프먼
Dustin Hoffman
파일:더스틴 호프먼.jpg
본명 Dustin Lee Hoffman
더스틴 리 호프먼
출생 1937년 8월 8일 ([age(1937-08-08)]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엔젤레스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5.1cm[1]
직업 배우, 프로듀서
활동 1958년 – 현재
학력 패서디나플레이하우스 (졸업)
배우자 앤 번(1969년 결혼 1980년 이혼)
리사 가체겐(1980년 결혼~현재)
자녀
[ 6명 ]
딸 카리나 호프먼 버크헤드(1966년생)[2]
딸 제나 호프먼(1970년생)
아들 제이크 호프먼(1981년생)
딸 리베카 호프먼(1983년생)
아들 맥스웰 호프먼(1984년생)
딸 알렉산드라 호프먼(1987년생)

1. 개요2. 작품 활동3. 출연 작품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cdn.cloudpix.co/dustin-hoffman-filmek-amiket-latnod-kell-cb-bdc-def4d9a2846e3a3da8e60be248a0cbaa-large-688116.jpg

미국배우. 《졸업》, 《미드나잇 카우보이》,《빠삐용》,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투씨》,《레인 맨》, 《세일즈맨의 죽음》 등으로 유명한 배우이며, 《쿵푸팬더》의 시푸 역을 더빙하기도 하고 2012년에는 미드 《머니 레이스》에도 출연하며 아직도 현역으로서의 활동이 풍부하다.[3]

연기파 배우로서 167cm의 작은 키에도 카리스마적인 연기와 더불어 여장남자부터 인자한 스승, 사회부적응자와 장애인까지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배우다. 동안 속성으로도 나름 유명하다.[4]

2. 작품 활동

스스로 키가 작고 못생겼다고 생각해[5] 배우는 꿈도 꾸고 있지 않다가 여자애들 관심을 끌 수 있을 까 싶어 연극을 시작, 1960년 액터스 스튜디오에서 리 스트라스버그에게 메소드 연기를 배운 뒤 1966년경부터 무대에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영화의 단역으로 출연하다 1967년 《졸업》의 주인공으로 출세하게 된다. 하지만 당시 평론가들과 기자들은 그가 잘 생기지 않았다고 뭐라고 했다. 실제로 오슨 웰스는 '난 난쟁이는 캐스팅하지 않는다(No ethnic dwarfs with a weird face)'라는 심한 모욕을 하며 호프먼을 기피했다.

당시엔 주인공=미남이라는 암묵적인 공식이 있었는데, 무명에다 키도 작고 (비교적)평범하게 생긴 호프먼이 주연을 한다는게 탐탁지 않았다고 한다. 졸업의 원작소설에 묘사된 주인공은 키가 큰 금발 백인이었는데, 호프먼은 키도 작고 갈색 머리에 유대인이었으니. 실제로 처음 오디션 제안을 받았을 땐 누가 장난치는 줄 알았다고 한다. 심지어 라이프 매거진은 대놓고 그가 못생겼다고 쓰기까지 했다...[6]

하지만 《졸업》이 당해 흥행 1위를 기록하면서 호프먼은 스타가 됐고, 그렇게 미남 아니면 터프가이 (찰스 브론슨, 리 마빈, 리 밴 클리프 등)로 양분되던 헐리우드에서 평범한 외모로 성공하면서 '주연은 꼭 미남이 해야 된다'라는 고정 관념을 깨뜨렸다. 심지어 미남의 기준이 그로 인해 조금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미드나잇 카우보이에서 또다시 명연기를 해내며 할리우드의 주역으로 자리잡는다.[7][8]

무명 시절 신혼부부였던 진 해크먼에게 빌붙어 살았는데, 해크먼이 다른 룸메이트를 찾아줘서 내보냈다. 그 룸메이트는 로버트 듀발.

1972년에는 그의 필모그래피에서는 특이하게 이탈리아 감독인 피에트로 제르미의 바람둥이 알프레도(Alfredo Alfredo)를 추가했다. 스테파니아 산드렐리와 함께 주연으로 열연했는데, 물론 이탈리아 영화다 보니 그의 대사는 페루초 아멘돌라(Ferruccio Amendola)라는 성우의 이탈리아어 연기로 더빙될 수밖에 없었다.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와 《레인 맨》으로 두번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투씨》로는 다섯 번째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에 후보로 오르면서 총 7번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76년 영화 《마라톤 맨》에선 달랑 사타구니만 가리고 밤거리를 달리는 명연기를 보여주기도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shtar_poster.jpg
물론 그도 생각도 하기 싫은 실패작에 나온 것도 있는데 1987년에 나온 코미디 《이슈타르》(Ishtar)[9] 같은 경우 그와 이자벨 아자니, 워렌 비티(아자니와는 이 영화 나오면서 사귀기도 했다.) 같은 호화 캐스팅으로 나왔으나 평이나 흥행이나 쫄딱 망했다. 당시 엄청난 제작비인 5천만 달러 이상을 들여 만들고 배우들도 550만 달러라는 당시로는 거액 출연료를 받으며 주목받았으나 총흥행 수익이 1500만 달러도 되지 않았고 평도 극악이었다. 배우이자 감독인 여배우 일레인 메이가 감독했다가 이게 마지막 감독 영화(2016년 단짝이던 마이크 니콜스를 추모하는 다큐멘터리를 감독한게 그나마 신작.)가 되어버렸다. 오죽하면 그 다음 영화인 《레인맨》이 흥행과 비평에서 좋은 소리 듣은 것도 이 《이슈타르》가 너무나도 망해서 보상 차원으로 호평을 더했다는 미국 내 우스개까지 있었을 정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illy_Bathgate.jpg
그리고 1991년에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를 감독한 로버트 벤턴이 감독한 갱영화 《빌리 베스게이트》[10]에서 주연으로 나왔다. 이 영화는 당시 거액인 5천만 달러 이상 들여 만들었지만, 1550만 달러를 벌며 흥행과 평에서 쫄딱 망해서 지금은 잊혀진 경우이다. 그래도 그는 이런 실패작도 나왔다 거론되며 넘어가지만 이 영화로 첫 주연급으로 나온 신인배우 로런 딘은 아예 사라진 이름이 되었다.[11] 더불어 브루스 윌리스도 이 영화에서 황당한 카메오로 나왔는데 같은 해 그가 주연한 《허드슨 호크》도 쫄딱 망하면서 그에겐 두 영화 다 거론하기 싫은 경우이다.[12][13]

이름에서 보듯 유대계 혈통이 맞고, 큰 매부리코와 곱슬머리 등 샤일록같이 이미지가 보통 생각나는 전형적인 유대인 모습을 하고 있다. 물론 유대인 역으로 나온 적도 꽤 많다. 하지만 부모나 그도 비종교적이었고, 그는 "유대인들끼리 지내는 잔치도 즐겨본 적이 없고 하누카욤 키푸르 같은 유대인 명절 같은 것 또한 집에서 지내지도 않았다."라고 회상했다. 자신이 유대인이라는 걸 알게 된 것도 청소년 때이고, 부모도 "무슨 핏줄이 뭐건 그게 귀족이라도 되는지 아니? 우린 그냥 미국인이야."라고 강조하던 걸 듣고 자랐기에 막상 유대인이라는 걸 알고나서도 별 느낌 없었다고 한다. 역시 유대인 배우 겸 제작자가 주연하고 만든 미트 페어런츠 시리즈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대인 노부모 역을 하였다.

위에 얘기 나왔듯 167cm 란 키는 지금 기준으로 보나 그때 기준으로나 단신이다. 덕분에 작은 거인(Little big man)이란 영화의 주연을 맡기도 했고, 역시 단신인 톰 크루즈와 형제로 나온 레인맨도 있다. 여장 남자 역을 하였던 투씨도 체격 덕이었을 것이니, 연기력과 노력으로 단신이란 단점을 극복한 케이스라 하겠다.

현재는 파파라치와 즐겁게 숨바꼭질도 하고 사이좋게 놀고 다닌다.

한국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더빙을 배한성이 전담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과 2015년에 KBS1에서 방영되었던 《후크[14]와 《아메리칸 셰프[15]나 MBC 등 타방송사에서 방영되었던 호프만의 외화 작품들에서는 이정구김기현 등 다른 성우가 더빙하기도 했다.

으레 메소드 연기자들은 괴팍하다는 이미지가 있는데 남주인공을 맡은 더스틴 호프먼은 실제 성격이 괴팍한 면이 있다.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에서 이혼한 아내 역으로 분한 메릴 스트립이 호프먼의 괴팍함 탓에 꽤 고생했다. 다만, 메소드 연기가 괴팍한 것이 아니라 메소드 연기를 하는 배우의 성격이 괴팍한 경우다. 당장 메릴 스트립도 메소드 연기자다. 똑바로 하라는 의미로 뺨을 맞기까지 했다고.[16][17] 또 레스토랑에서 언쟁하는 씬에서는 말미에 더스틴 호프먼이 분에 못이겨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면서 와인잔을 벽 쪽으로 날려버려 깨트린다. 문제는 이게 애드립이란 것. 촬영 직전 호프먼은 카메라 감독에게만 그 사실을 알렸고[18] 아무것도 모르는 스트립은 놀란 와중에도 프로정신으로 감독의 컷사인을 기다렸고 이후 호프먼에게 분노를 표했다고.

성추행 스캔들이 있었는데 세일즈맨의 죽음의 촬영 당시 인턴으로 활동하던 애나 그레이엄 헌터가 폭로를 하게 됨으로써 성추행 스캔들이 드러나게 되었다.#이로서 하비 와인스틴, 존 토백, 브랫 레트너, 라스 폰 트리에, 올리버 스톤, 케이시 애플렉, 케빈 스페이시 등에 이어서 유명한 할리우드 인사가 성추행 스캔들에 연루되게 되었다.

3. 출연 작품



[1] 젊은 시절에는 167cm. 지금은 나이가 많이 들어서 줄었다.[2] 앤 번이 전 결혼 생활 때 낳은 자녀를 호프먼이 입양.[3] 머니 레이스는 경마에 관한 미드였는데 동물단체의 항의로 첫 시즌 후 종영했다...[4] 그는 젊은 시절부터 어마어마한 동안이었다. 졸업 출연 당시 30살이었는데 20대 초반 대학생 '벤저민' 역을 맡았다. 영화를 본 사람들은 당시 호프먼의 나이를 알고 충격먹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벤저민보다 20살 정도 많은 로빈슨 부인을 맡은 앤 밴크로프트는 36살로 더스틴 호프먼보다 6살밖에 많지 않다.1993년 모습. 저때 56세였다. 옆의 여배우가 앤 밴크로프트인데, 당시 62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노안인 편이지만 호프먼이 아무리 보아도 40대 정도로밖에 안 보이기 때문에 묻힌다.[5] 벤 애플렉처럼 잘 생겼다면, 연기력쯤은 포기할 수 있다고 말했을 정도로 외모 고민이 심했다.[6] "만약 자신의 얼굴이 자신의 재산이 된다면 더스틴 호프먼은 평생 가난했을 것이다.(if Dustin Hoffman's face were his fortune, he'd be committed to a life of poverty)"저게 못생겼다니[7] 이때 애드립으로 친 대사인 "I'm walkin here!"는 그가 한 유명한 대사들 중 하나로 반드시 꼽힌다.[8] 당시 거리를 통제하지 못하고 실제 거리를 찍던 배우들 바로 코앞에서 차가 급브레이크를 밟았는데, 호프만은 놀라긴커녕 캐릭터를 유지하며 차 보닛을 두들기며 성질을 내는 연기를 해 명장면을 만들어냈다.[9] 비디오판 제목은 '더스틴 호프먼의 사막 탈출'. SBS 금요 영화특급에서 1994년 4월 3일에 이쉬타라는 제목에 배한성 더빙으로 방영했다.[10] 망한 영화지만 특이하게도 1세대 마피아의 몰락과 세대교체를 다루는 실화 기반 갱스터 무비다. 미국 갱스터의 역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한테는 의미가 있는 영화이다.[11] 그 이후에 맡은 그나마 인상적인 역할을 뽑으라면 가타카의 주인공의 동생 정도. 이 가타카도 개봉 당시에는 흥행에 참패하고 후에야 명작으로 재평가받았다.[12] 감독인 로버트 벤턴도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대박 이후로 흥행이 영 아니었고, 이 빌리 베스게이트 참패 이후 폴 뉴먼 주연인 드라마 영화 노스바스의 추억(1994)도 흥행이 부진했고 몇 편 더 감독했지만 모두 흥행은 그저 그랬다. 그러다가, 2007년 <피스트 오브 러브>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13] 그나마 이 영화의 장점(?)이라면 젊고 아름다운 시절의 니콜 키드먼의 헤어누드를 볼 수 있다는 점이 있다....[14] 단, 이 경우는 배한성이 자신의 전담 1순위인 로빈 윌리엄스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이정구에게 넘어간 것이다.[15] 여기서는 김규식이 맡았다.[16] 여지없이 그냥 구타다. 후문에 의하면 호프먼이 스트립의 기를 죽이려고 구타했다는 의견이 크다. 이후 메릴 스트립은 호프먼과 두 번 다시 만나면 안되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17] 호프먼이 자라던 시대(클래식 시대)에는 선배 배우가 후배의 싸대기를 날리는 일이 흔했다. 당장 말런 브랜도도 11세 연상의 배우 비비안 리와 연기 스타일이 다르다는 이유로(브랜도는 메소드 연기, 리는 극적인 연기) 훈수 뒀다가 싸대기를 얻어맞은 적이 있다. 물론 이후에 화해하고 리가 죽을 때까지 친구로 지냈지만 말이다. 그러나 시대상이 그렇다 해도 후술될 호프먼의 돌발애드립은 잘못한 것이 맞다.[18] 그마저도 화면에 못 잡을까봐 알린 것이다. 확실히 호프먼이 일어서서 프레임 아웃이 됐는데도 유리잔을 찍기 위해 그냥 쭉 찍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