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제1회 (1929년) | 제2회 (1930년) | 제3회 (1931년) | 제4회 (1932년) | 제5회 (1933년) |
| 에밀 야닝스 (최후의 명령) (육체의 길) | 워너 백스터 (추억의 아리조나) | 조지 알리스 (디즈레일리) | 라이오넬 배리모어 (자유의 혼) | 프레드릭 마치 (지킬 박사와 하이드) 월레스 비어리 (챔프) | |
| 제6회 (1934년) | 제7회 (1935년) | 제8회 (1936년) | 제9회 (1937년) | 제10회 (1938년) | |
| 찰스 로튼 (헨리 8세) | 클라크 게이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 빅터 맥라글렌 (밀고자) | 폴 무니 (과학자의 길) | 스펜서 트레이시 (굿바이 마이 라이프) | |
| 제11회 (1939년) | 제12회 (1940년) | 제13회 (1941년) | 제14회 (1942년) | 제15회 (1943년) | |
| 스펜서 트레이시 (소년의 거리) | 로버트 도나트 (굿바이 미스터 칩스) | 제임스 스튜어트 (필라델피아 스토리) | 게리 쿠퍼 (요크 상사) | 제임스 카그니 (성조기의 행진) | |
| 제16회 (1944년) | 제17회 (1945년) | 제18회 (1946년) | 제19회 (1947년) | 제20회 (1948년) | |
| 폴 루카스 (라인의 감시) | 빙 크로스비 (나의 길을 가련다) | 레이 밀랜드 (잃어버린 주말) | 프레드릭 마치 (우리 생애 최고의 해) | 로널드 콜먼 (이중 생활) | |
| 제21회 (1949년) | 제22회 (1950년) | 제23회 (1951년) | 제24회 (1952년) | 제25회 (1953년) | |
| 로런스 올리비에 (햄릿) | 브로데릭 크로포드 (모두가 왕의 부하들) | 호세 페레 (시라노) | 험프리 보가트 (아프리카의 여왕) | 게리 쿠퍼 (하이 눈) | |
| 제26회 (1954년) | 제27회 (1955년) | 제28회 (1956년) | 제29회 (1957년) | 제30회 (1958년) | |
| 윌리엄 홀든 (제17 포로수용소) | 말론 브란도 (워터프론트) | 어니스트 보그나인 (마티) | 율 브리너 (왕과 나) | 알렉 기네스 (콰이 강의 다리) | |
| 제31회 (1959년) | 제32회 (1960년) | 제33회 (1961년) | 제34회 (1962년) | 제35회 (1963년) | |
| 데이비드 니븐 (애수의 여로) | 찰턴 헤스턴 (벤허) | 버트 랭카스터 (엘머 갠트리) | 막시밀리안 셸 (뉘른베르크의 재판) | 그레고리 펙 (앵무새 죽이기) | |
| 제36회 (1964년) | 제37회 (1965년) | 제38회 (1966년) | 제39회 (1967년) | 제40회 (1968년) | |
| 시드니 푸아티에 (들백합) | 렉스 해리슨 (마이 페어 레이디) | 리 마빈 (캣 벌루) | 폴 스코필드 (사계절의 사나이) | 로드 스타이거 (밤의 열기 속으로) | |
| 제41회 (1969년) | 제42회 (1970년) | 제43회 (1971년) | 제44회 (1972년) | 제45회 (1973년) | |
| 클리프 로버트슨 (찰리) | 존 웨인 (트루 그릿) | 조지 C. 스콧 (패튼 대전차군단) | 진 해크먼 (프렌치 커넥션) | 말론 브란도 (대부) | |
| 제46회 (1974년) | 제47회 (1975년) | 제48회 (1976년) | 제49회 (1977년) | 제50회 (1978년) | |
| 잭 레먼 (호랑이를 구하라) | 아트 카니 (해리와 톤토) | 잭 니콜슨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 피터 핀치 (네트워크) | 리처드 드레이퍼스 (굿바이 걸) | |
| 제51회 (1979년) | 제52회 (1980년) | 제53회 (1981년) | 제54회 (1982년) | 제55회 (1983년) | |
| 존 보이트 (귀향) | 더스틴 호프먼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 로버트 드니로 (분노의 주먹) | 헨리 폰다 (황금 연못) | 벤 킹슬리 (간디) | |
| 제56회 (1984년) | 제57회 (1985년) | 제58회 (1986년) | 제59회 (1987년) | 제60회 (1988년) | |
| 로버트 듀발 (텐더 머시스) | F. 머레이 에이브러햄 (아마데우스) | 윌리엄 허트 (거미여인의 키스) | 폴 뉴먼 (컬러 오브 머니) | 마이클 더글러스 (월 스트리트) | |
| 제61회 (1989년) | 제62회 (1990년) | 제63회 (1991년) | 제64회 (1992년) | 제65회 (1993년) | |
| 더스틴 호프먼 (레인 맨) | 다니엘 데이루이스 (나의 왼발) | 제러미 아이언스 (행운의 반전) | 안소니 홉킨스 (양들의 침묵) | 알 파치노 (여인의 향기) | |
| 제66회 (1994년) | 제67회 (1995년) | 제68회 (1996년) | 제69회 (1997년) | 제70회 (1998년) | |
| 톰 행크스 (필라델피아) | 톰 행크스 (포레스트 검프) | 니콜라스 케이지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 제프리 러시 (샤인) | 잭 니콜슨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 |
| 제71회 (1999년) | 제72회 (2000년) | 제73회 (2001년) | 제74회 (2002년) | 제75회 (2003년) | |
| 로베르토 베니니 (인생은 아름다워) | 케빈 스페이시 (아메리칸 뷰티) | 러셀 크로우 (글래디에이터) | 덴젤 워싱턴 (트레이닝 데이) | 에이드리언 브로디 (피아니스트) | |
| 제76회 (2004년) | 제77회 (2005년) | 제78회 (2006년) | 제79회 (2007년) | 제80회 (2008년) | |
| 숀 펜 (미스틱 리버) | 제이미 폭스 (레이) | 필립 시모어 호프먼 (카포티) | 포레스트 휘태커 (라스트 킹) | 다니엘 데이루이스 (데어 윌 비 블러드) | |
| 제81회 (2009년) | 제82회 (2010년) | 제83회 (2011년) | 제84회 (2012년) | 제85회 (2013년) | |
| 숀 펜 (밀크) | 제프 브리지스 (크레이지 하트) | 콜린 퍼스 (킹스 스피치) | 장 뒤자르댕 (아티스트) | 다니엘 데이루이스 (링컨) | |
| 제86회 (2014년) | 제87회 (2015년) | 제88회 (2016년) | 제89회 (2017년) | 제90회 (2018년) | |
| 매튜 맥커너히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 에디 레드메인 (사랑에 대한 모든 것)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 케이시 애플렉 (맨체스터 바이 더 씨) | 게리 올드만 (다키스트 아워) | |
| 제91회 (2019년) | 제92회 (2020년) | 제93회 (2021년) | 제94회 (2022년) | 제95회 (2023년) | |
| 라미 말렉 (보헤미안 랩소디) | 호아킨 피닉스 (조커) | 안소니 홉킨스 (더 파더) | 윌 스미스 (킹 리차드) | 브랜든 프레이저 (더 웨일) | |
| 제96회 (2024년) | 제97회 (2025년) | 제98회 (2026년) | 제99회 (2027년) | 제100회 (2028년) | |
| 킬리언 머피 (오펜하이머) | 에이드리언 브로디 (브루탈리스트) | - | - | -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 ||||
| | ||||
| 외국어 영화상 | ||||
| 제70회 (1998년) | → | 제71회 (1999년) | → | 제72회 (2000년) |
| 마이크 반 디엠 (캐릭터) (네덜란드) | → | 로베르토 베니니 (인생은 아름다워) (이탈리아) | → | 페드로 알모도바르 (내 어머니의 모든 것) (스페인) |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 | ||||
| 남우주연상 | ||||
| 제51회 (1998년) | → | 제52회 (1999년) | → | 제53회 (2000년) |
| 로버트 칼라일 (풀 몬티) | → | 로베르토 베니니 (인생은 아름다워) | → | 케빈 스페이시 (아메리칸 뷰티) |
| 역대 | ||||
| | ||||
| 영화부문 남우주연상 | ||||
| 제4회 (1998년) | → | 제5회 (1999년) | → | 제6회 (2000년) |
| 잭 니콜슨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 → | 로베르토 베니니 (인생은 아름다워) | → | 케빈 스페이시 (아메리칸 뷰티) |
| <colbgcolor=#262626><colcolor=#fff> 로베르토 베니니 Roberto Benigni Cavaliere di Gran Croce OMRI | |
| | |
| 본명 | 로베르토 레미지오 베니니 Roberto Remigio Benigni |
| 출생 | 1952년 10월 27일 ([age(1952-10-27)]세) |
| 이탈리아 토스카나 카스틸리오네 피오렌티노 | |
| 국적 | |
| 직업 | 배우, 영화감독, 극작가, 코미디언 |
| 신장 | 168cm |
| 데뷔 | 1977년 영화 'Berlinguer ti voglio bene' |
| 활동 | 1970년 – 현재 |
| 가족 | 아버지 레미조 베니니(1919년~ 2004년) 어머니 이솔리나 파피니(1919년~2004년) 배우자 니콜레타 브라스키[1](1991년 결혼) |
1. 개요
이탈리아의 배우, 영화감독이자 극작가, 코미디언.2. 경력
1952년 로베르토 베니니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카스틸리온 피오렌티노 시의 만치아노에서 섬유 조사관 이솔리나 파피니와 벽돌공과 목수, 농부 일을 했던 레미지오 베니니의 아들로 태어났다. 1972년 프라토에서 연극 배우로서 최초의 경험을 하였다. 그 해 가을 로마로 이사와서 몇몇 실험적인 연극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상당을 감독하였다. 1975년 주세페 베르톨루치가 쓴 《Cioni Mario di Gaspare fu Giulia》로 연극배우로서 최초의 성공을 거두었다.베니니는 RAI2에서 방영한 렌존 아르보레 (Renzo Arbore) 감독의 충격적인 TV 연속극 《Onda Libera》로 1970년대에 이탈리아에서 유명해졌다. 그 시기 중대한 스캔들이었던 연속극은 검열 때문에 중단되었다. 1977년 주세페 베르톨루치 감독의 《Berlinguer ti voglio bene》로 영화계에 데뷔하였다.
3. 수상
1998년 인생은 아름다워의 감독으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작품으로 비영어권 최초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오스카 수상 당시 호명되자마자 앞사람의 의자로 올라가서 환호하는 장면, 그리고 유쾌한 수상 소감이 유명하다.[2] 칸 영화제 때는 당시 심사위원장이었던 마틴 스콜세지의 발에 키스를 한 뒤 모든 심사위원에게 키스를 날렸다. 세레머니의 왕이라 해도 될정도...
2021년 베네치아 국제영화제에서 공로상인 '명예 황금사자상'을 받는다.#
4. 출연작
| <rowcolor=#ffffff> 연도 | 작품 | 배역 |
| 1977 | 베르링게르 아이 러브 유 | 주연, 각본 |
| 1979 | 여인의 빛 | 조연 |
| 루나 | 단역 | |
| 1980 | Le Coup du parapluie | 주연 |
| 1986 | 커피와 담배 | 주연, 각본 |
| 다운 바이 로 | 주연 | |
| 1990 | 달의 목소리 | 주연 |
| 1991 | 남자들이 조심해야 할 여덟가지 타입의 여자 | 단역 |
| 지상의 밤 | 주연, 단역 | |
| 자니 스테치노 | 감독, 각본, 주연 | |
| 1993 | 핑크 팬더 8 - 핑크 팬더의 아들 | |
| 1995 | 미스터 몬스터 | 감독, 각본, 주연, 제작 |
| 1999 | 인생은 아름다워 | 귀도 역, 각본, 감독 |
| 아르테릭스 | 주연 | |
| 2003 | 피노키오 | 피노키오 역, 각본 |
| 2006 | 커피와 담배 | 주연 |
| 2007 | 호랑이와 눈 | 주연, 각본 |
| 2013 | 로마 위드 러브 | 주연 |
| 2016 | 친퀘 몬티 | 주연 |
| 2020 | 알리다 발리: 인 헐 오운 워즈 | 주연 |
| 2021 | 피노키오 | 제페토 할아버지 |
5. 여담
아내이자 배우인 니콜레타 브라스키[3]와의 러브스토리가 유명한데, 로베르토 베르니니가 이탈리아에서 활동할 당시 감독한 Tu mi turbi에서 여주인공 역으로 신인배우였던 브라스키를 데려와 주연을 시킨 것으로 둘의 인연이 시작되었다.베르니니는 "내 삶은 그녀를 만나기 전과 후로 나뉜다"라며 모든 것을 함께 했으며, "그녀는 내게 진실을 깨우쳐줬다. 내가 하늘을 날 때 그녀는 날 땅으로 다시 데려왔다. 난 그녀의 것이 아닌 다른 얼굴, 다른 존재, 다른 숨결도 상상할 수 없다. (She gave me truth. When I was flying, she brought me back to earth. I can’t imagine another face, another presence, another breath that isn’t hers)"고 언급했다.
베르니니는 2017년 David di Donatello Awards[4]에서 특별공로상을 받았을 당시 "아내에게 감사를 전하진 않고 대신 이 상을 그녀와 나누겠습니다. 난 이 일을 그녀와 함께, 그녀를 위해서, 그녀 덕분에 했습니다"라고 사랑꾼다운 면모를 보였다. 또한 베니스 영화제에서 2021년에 평생공로상을 받았을 때에도 "난 이 상을 그녀에게 바칠 수도 없는데, 이 상은 그녀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40년간 모든 걸 함께 해왔습니다. 내가 시간을 재는 단위는 단 하나입니다: 당신이 있고 없는 시간뿐이죠"라는 명연설을 남겼다.
둘은 91년 결혼 이후 현재까지도 잉꼬부부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