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역대 영화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fff,#666> 1980년대 | 33회, 34회, 35회,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41회, 42회 |
1990년대 | 43회, 44회, 45회, 46회, 47회,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 | |
2000년대 | 53회, 54회, 55회, 56회, 57회, 58회, 59회, 60회, 61회, 62회 | |
2010년대 | 63회, 64회, 65회, 66회, 67회, 68회, 69회, 70회, 71회, 72회 | |
2020년대 | 73회, 74회, 75회, 76회, 77회, 78회 |
}}} ||
|
1. 개요
칸 영화제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는 영화제의 심사위원들이 경쟁 부문 진출 작품들 중에서 한 작품(때로는 두 작품)을 선정하여 수여되는 상이다. 영화제의 2등상으로서 황금종려상 다음으로 권위있는 상이며, 이 상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심사위원상(당시 특별심사위원상(Prix spécial du Jury))이 2등상의 역할을 하였다.상이 제정된 1967년부터 1988년까지는 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Grand Prix Spécial du Jury), 1989년부터 1994년까지는 심사위원그랑프리(Grand Prix du Jury), 1995년부터는 간단하게 그랑프리(Grand Prix)를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있다.
황금종려상의 이전 명칭인 국제영화제그랑프리(Grand Prix d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와 잘 혼동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영화중에서는 2004년도의 올드보이만 수상했다.
2. 수상작
역대 시상식 | 수상작 | 감독 | 국가 |
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 (Grand Prix Spécial du Jury) (1967~1988) | |||
1967년 제20회 | 《사랑의 상처》 | 조지프 로지 | |
《해피집시》 | 알렉산더 페트로비치 | | |
1968년 제21회[1] | 수상작 없음 | ||
1969년 제22회 | 《아달렌 31》 | 보 비더버그 | |
1970년 제23회 | 《완전 범죄》 | 엘리오 페트리 | |
1971년 제24회 | 《탈의》 | 밀로스 포먼 | |
《자니 총을 얻다》 | 돌턴 트럼보 | | |
1972년 제25회 | 《솔라리스》 |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 |
1973년 제26회 | 《엄마와 창녀》 | 장 으스타슈 | |
1974년 제27회 | 《아라비안 나이트》 |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 |
1975년 제28회 | 《하늘은 스스로 돌보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 | 베르너 헤어초크 | |
1976년 제29회 | 《까마귀 기르기》 | 카를로스 사우라 | |
1977년 제30회 | 수상작 없음 | ||
1978년 제31회 | 《외침》 |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 |
《차오 마스키오》 | 마르코 페레리 | | |
1979년 제32회 | 《시베리에이드》 | 안드레이 콘찰롭스키 | |
1980년 제33회 | 《내 미국 삼촌》 | 알랭 레네 | |
1981년 제34회 | 《라이트 이어즈 어웨이》 | 알랭 타네 | |
1982년 제35회 | 《로렌조의 밤》 | 파올로 & 비토리오 타비아니 | |
1983년 제36회 | 《몬티 파이톤의 삶의 의미》 | 테리 존스 | |
1984년 제37회 | 《내 어린 날의 일기》 | 마르타 메자로스 | |
1985년 제38회 | 《버디》 | 앨런 파커 | |
1986년 제39회 | 《희생》 |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 |
1987년 제40회 | 《참회록》 | 텐기즈 아불라제 | |
1988년 제41회 | 《월드 아파트》 | 크리스 멘지스 | |
심사위원그랑프리 (Grand Prix du Jury) (1989~1994) | |||
1989년 제42회 | 《시네마 천국》 | 주세페 토르나토레 | |
《내겐 너무 이쁜 당신》 | 베르트랑 블리에 | | |
1990년 제43회 | 《틸라이》 | 이드리사 우에드라오고 | |
《죽음의 가시》 | 오구리 코헤이 | | |
1991년 제44회 | 《누드 모델》 | 자크 리베트 | |
1992년 제45회 | 《아이들 도둑》 | 잔니 아멜리오 | |
1993년 제46회 | 《멀고도 가까운》 | 빔 벤더스 | |
1994년 제47회 | 《인생》 | 장이머우 | |
《위선의 태양》 | 니키타 미할코프 | | |
그랑프리 (Grand Prix) (1995~ ) | |||
1995년 제48회 | 《율리시즈의 시선》 | 테오 앙겔로풀로스 | |
1996년 제49회 | 《브레이킹 더 웨이브》 | 라스 폰 트리에 | |
1997년 제50회 | 《달콤한 내세》 | 아톰 에고이안 | |
1998년 제51회 | 《인생은 아름다워》 | 로베르토 베니니 | |
1999년 제52회 | 《휴머니티》 | 브루노 뒤몽 | |
2000년 제53회 | 《귀신이 온다》 | 장원 | |
2001년 제54회 | 《피아니스트》 | 미카엘 하네케 | |
2002년 제55회 | 《과거가 없는 남자》 | 아키 카우리스마키 | |
2003년 제56회 | 《우작》 | 누리 빌게 제일란 | |
2004년 제57회 | 《올드보이》 | 박찬욱 | |
2005년 제58회 | 《브로큰 플라워》 | 짐 자머시 | |
2006년 제59회 | 《플랑드르》 | 브루노 뒤몽 | |
2007년 제60회 | 《너를 보내는 숲》 | 카와세 나오미 | |
2008년 제61회 | 《고모라》 | 마테오 가로네 | |
2009년 제62회 | 《예언자》 | 자크 오디아르 | |
2010년 제63회 | 《신과 인간》 | 그자비에 보부아 | |
2011년 제64회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 누리 빌게 제일란 | |
《자전거 탄 소년》 | 다르덴 형제 | | |
2012년 제65회 | 《리얼리티: 꿈의 미로》 | 마테오 가로네 | |
2013년 제66회 | 《인사이드 르윈》 | 코엔 형제 | |
2014년 제67회 | 《더 원더스》 | 알리체 로르바케르 | |
2015년 제68회 | 《사울의 아들》 | 네메시 옐레시 라슬로 | |
2016년 제69회 | 《단지 세상의 끝》 | 자비에 돌란 | |
2017년 제70회 | 《120BPM》 | 로빈 캉필로 | |
2018년 제71회 | 《블랙클랜스맨》 | 스파이크 리 | |
2019년 제72회 | 《애틀랜틱스》 | 마티 디오프 | |
2020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 ||
2021년 제74회 | 《어떤 영웅》 | 아스가르 파르하디 | |
《6번 칸》 | 유호 쿠오스마넨 | | |
2022년 제75회 | 《클로즈》 | 루카스 돈트 | |
《한낮의 별》 | 클레르 드니 | | |
2023년 제76회 | 《존 오브 인터레스트》 | 조나단 글레이저 | |
2024년 제77회 | 《빛으로 상상하는 모든 것》 | 파얄 카파디아 | |
2.1. 2회 이상 수상자
2회 수상안드레이 타르콥스키 – 《솔라리스》(1972), 《희생》 (1986),
브루노 뒤몽 – 《휴머니티》(1999), 《플랑드르》 (2006),
누리 빌게 제일란 – 《우작》 (2003),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2011),
마테오 가로네 – 《고모라》 (2008), 《리얼리티: 꿈의 미로》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