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3:03:14
아카데미상'''[[틀:아카데미상| Academy Award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colbgcolor=#dfca4e><colcolor=#000> 시상 부문 | 작품상 · 감독상 · 여우주연상 · 남우주연상 · 여우조연상 · 남우조연상 · 각본상 · 각색상 · 음악상 · 주제가상 · 프로덕션 디자인상 · 분장상 · 의상상 · 촬영상 · 편집상 · 시각효과상 · 음향상 · 국제영화상 · 장편 애니메이션상 · 단편 애니메이션상 · 단편 영화상 · 장편 다큐멘터리상 · 단편 다큐멘터리상 · 공로상 |
시상식 | 1920년대 | 1929년 |
1930년대 | 1930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
1970년대 | 1976년 |
1980년대 |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
1990년대 |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
2000년대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
2010년대 |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
2020년대 |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수상 관련 | 수상 기록 · 수상 논란 |
}}}}}}}}}}}}}}} ||
1. 개요2. 수상작 및 후보작3. 특별상4. 이야깃거리5. 외부 링크
7th Academy Awards
1935년 2월 27일 로스앤젤레스의 빌트모어 호텔에서 개최한 일곱 번째 아카데미상 시상식.
1934년에 개봉한 영화들을 대상으로 했다.
사회자인 작가 어빈 S. 캅(Irvin S. Cobb)은 존 포드 감독의 <프리스트 판사> 등 여러 영화들의 원작 소설을 썼으며, 본인이 배우로 활동하기도 했다.
2. 수상작 및 후보작
복수 부문에 후보 지명 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6개 - 《원 나잇 오브 러브》
- 5개 - 《클레오파트라》, 《게이 디보시》,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 4개 - 《어페어 오브 셀리니》, 《그림자 없는 남자》, 《비바 빌라!》
- 3개 - 《슬픔은 그대 가슴에》
- 2개 - 《배릿 오브 윔폴 스트리트》, 《프러테이션 워크》, 《화이트 퍼레이드》
Outstanding ProductionBest Directing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감독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 프랭크 카프라 |
《원 나잇 오브 러브》 | 빅터 쉐트징어 |
《그림자 없는 남자》 | W. S. 밴다이크 |
Best ActorBest ActressBest Writing (Original Story)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작가 |
《맨하탄 멜로드라마》 | 아서 시저 |
《은신처》 | 마우리 그라신 |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소녀》 | 노먼 크래즈나 |
Best Writing (Adaptation)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작가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 로버트 리스킨 |
《그림자 없는 남자》 | 프랜시스 굿리치, 앨버트 해킷 |
《비바 빌라!》 | 벤 헥트 |
Best Short Subject (Comedy)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제작 |
《라 쿠카라차》 | 케니스 머가우언 |
《맨 인 블랙》 | 줄즈 와이트 |
《뭐, 남자는 없어!》 | 워너 브라더스 |
Best Short Subject (Novelty)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제작 |
《밀랍도시》 | 스테이시 우더드, 호러스 우더드 |
《단짝친구》 | 스키보 프로덕션 |
《스트라이크와 스페어》 | 피트 스미스 |
Best Short Subject (Cartoon)Best Music (Scoring)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음악부서 |
《원 나잇 오브 러브》 | 컬럼비아 스튜디오 음악부서장 루이스 실버스 (작곡가 빅터 쉐트징거, 구스 칸) |
《게이 디보시》 | RKO 라디오 스튜디오 음악부서장 맥스 스타이너 (작곡가 케네스 웹, 샘 호프스타인) |
《길을 잃은 정찰대》 | RKO 라디오 스튜디오 음악부서장 맥스 스타이너 (작곡가 맥스 스타이너) |
Best Music (Song)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음악 | 작곡 · 작사 |
《게이 디보시》 | "The Continental" | 콘 콘래드(작곡), 허브 매깃슨(작사) |
《플라잉 다운 투 리오》 | "Carioca" | 빈센트 유만스(작곡), 에드워드 엘리스쿠, 거스 칸(작사) |
《쉬 러브즈 미 낫》 | "Love in Bloom" | 랄프 레인거(작곡), 리오 로빈(작사) |
Best Sound Recording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음향감독 |
《원 나잇 오브 러브》 | 존 P. 리바다리 |
《어페어 오브 셀리니》 | 토마스 T. 몰튼 |
《클레오파트라》 | 프랭클린 B. 핸슨 |
《프러테이션 워크》 | 네이선 레빈슨 |
《게이 디보시》 | 칼 드레어 |
《슬픔은 그대 가슴에》 | 시어도어 소더버그 |
《비바 빌라!》 | 더글러스 쉐어러 |
《화이트 퍼레이드》 | 에드먼드 H. 핸슨 |
Best Art Direction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미술감독 |
《메리 위도우》 | 세드릭 기븐스, 프레드릭 호프 |
《어페어 오브 셀리니》 | 리처드 데이 |
《게이 디보시》 | 밴 네스트 폴글레이즈, 캐럴 클락 |
Best Cinematography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촬영감독 |
《클레오파트라》 | 빅터 밀너 |
《어페어 오브 셀리니》 | 찰스 로셔 |
《오퍼레이터 13》 | 조지 J. 폴지 |
Best Film Editing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편집자 |
《에스키모》 | 콘래드 A. 네르빅 |
《클레오파트라》 | 앤 보킨즈 |
《원 나잇 오브 러브》 | 진 밀퍼드 |
Best Assistant Director <rowcolor=#ffffff,#2d2f34> 작품 | 조감독 |
《비바 빌라!》 | 존 워터스 |
《클레오파트라》 | 컬런 테이트 |
《슬픔은 그대 가슴에》 | 스캇 R. 빌 |
<rowcolor=#ffffff,#2d2f34> 수상 | 사유 |
셜리 템플 | 1934년 한 해 동안의 영화 엔터테인먼트에서의 뛰어난 공헌에 대해 감사하며 |
- 2종
- 3종
- 컬럼비아 픽처스:
《원 나잇 오브 러브》의 음성녹음을 위한 버티컬 컷 디스크 방식(힐 앤 데일 레코딩)의 실제 스튜디오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음향] - 벨앤하우웰 컴퍼니:
벨앤하우웰 전자동 음성 및 영상 인화기의 개발에 대하여 [실험실]
4. 이야깃거리
- 아카데미상 자격기간 1년이 달력상의 1년과 일치한 첫 번째 시상식으로, 오늘날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 당시 큰 호평을 받았던 베티 데이비스나 머나 로이가 여우주연상 후보에 없는 등 후보 선정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이때문에 아카데미측에서는 유권자들이 인쇄된 투표용지를 무시하고 어떤 이름이든 쓸 수 있다고 발표했다.
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