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영화감독에 대한 내용은 조지 스티븐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0 Greatest Britons | ||||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 |||||
TOP 10 | |||||
<rowcolor=#ffe>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윈스턴 처칠 |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 다이애나 스펜서 | 찰스 다윈 | 윌리엄 셰익스피어 | |
<rowcolor=#ffe>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아이작 뉴턴 | 엘리자베스 1세 | 존 레논 | 호레이쇼 넬슨 | 올리버 크롬웰 | |
11위~100위 | |||||
<rowcolor=#ffe>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어니스트 섀클턴 | 제임스 쿡 | 로버트 베이든 파월 | 알프레드 대왕 | 아서 웰즐리 | |
<rowcolor=#ffe>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거릿 대처 | 마이클 크로포드 | 빅토리아 여왕 | 폴 매카트니 | 알렉산더 플레밍 | |
<rowcolor=#ffe>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앨런 튜링 | 마이클 패러데이 | 오와인 글린두르 | 엘리자베스 2세 | 스티븐 호킹 | |
<rowcolor=#ffe>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윌리엄 틴들 | 에멀린 팽크허스트 | 윌리엄 윌버포스 | 데이비드 보위 | 가이 포크스 | |
<rowcolor=#ffe>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레오나르드 체셔 | 에릭 모어캠브 | 데이비드 베컴 | 토머스 페인 | 부디카 | |
<rowcolor=#ffe>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 토머스 모어 | 윌리엄 블레이크 | 존 해리슨 | 헨리 8세 | |
<rowcolor=#ffe>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찰스 디킨스 | 프랭크 휘틀 | 존 필 | 존 로지 베어드 | 어나이린 베번 | |
<rowcolor=#ffe>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보이 조지 | 더글러스 베이더 | 윌리엄 월레스 | 프랜시스 드레이크 | 존 웨슬리 | |
<rowcolor=#ffe>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아서 왕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 로버트 스콧 | 이넉 파월 | |
<rowcolor=#ffe>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클리프 리처드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 프레디 머큐리 | 줄리 앤드류스 | 에드워드 엘가 | |
<rowcolor=#ffe>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 조지 해리슨 | 데이비드 애튼버러 | 제임스 코널리 | 조지 스티븐슨 | |
<rowcolor=#ffe>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찰리 채플린 | 토니 블레어 | 윌리엄 캑스턴 | 바비 무어 | 제인 오스틴 | |
<rowcolor=#ffe>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윌리엄 부스 | 헨리 5세 |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 로버트 1세 | 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 |
<rowcolor=#ffe>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무명용사 | 로비 윌리엄스 | 에드워드 제너 |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 찰스 배비지 | |
<rowcolor=#ffe>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제프리 초서 | 리처드 3세 | J. K. 롤링 | 제임스 와트 | 리처드 브랜슨 | |
<rowcolor=#ffe>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보노 (아일랜드인) | 존 라이든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도날드 캠벨 | 헨리 2세 | |
<rowcolor=#ffe>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J. R. R. 톨킨 | 월터 롤리 | 에드워드 1세 | 반스 월리스 | |
<rowcolor=#ffe>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리처드 버튼 | 토니 벤 | 데이비드 리빙스턴 | 팀 버너스리 | 마리 스톱스 | |
출처 | |||||
같이 보기: BBC 선정 최악의 영국인,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조지 스티븐슨 George Stephenson | |
별명 | 철도의 아버지 Father of Railways |
출생 | 1781년 6월 9일 |
잉글랜드 노섬벌랜드주 와일럼 | |
사망 | 1848년 8월 12일 (향년 67세) |
잉글랜드 더비셔주 체스터필드 탭턴 하우스 |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공학자 |
분야 | 토목공학, 기계공학 |
배우자 | 프랜시스 핸더슨 (1802년 – 1806년) 엘리자베스 힌드마쉬 (1820년 – 1845년) 엘런 그레고리 (1848년) |
자녀 | 로버트 스티븐슨 프랜시스 스티븐슨 |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의 공학자. 후대의 증기 기관차와 철도 운송 시스템의 원형을 만들고, 표준궤를 제시한 사람이다. 철도의 역사에서 이 사람을 빼놓고는 이야기가 안 될 정도로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2. 유년기와 청년 시절
1781년 6월 9일, 잉글랜드 노섬벌랜드의 윌란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로버트는 공장에서 증기기관에 석탄을 때는 화부로 일하고 있었다. 1802년 부인인 프랜시스와 결혼하고 1803년에 아들 로버트[1]가 태어나자 웨스트무어로 이사를 갔다. 그러나 1806년 부인이 둘째 딸을 낳은 후 죽자 잠시 웨스트무어를 떠났으나, 이어 아버지까지 탄광 사고로 시력을 잃는 불운이 겹쳤다. 다시 웨스트무어로 돌아온 조지 스티븐슨은 1811년부터 탄광의 증기기관 엔지니어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가 증기기관에 관심을 가진 것은 이 무렵부터였다.3. 안전 램프의 발명
당시 탄광의 조명은 램프를 쓰고 있었는데, 이 램프는 분진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것이었다. 탄광 사고로 아버지가 실명하자 스티븐슨은 보다 안전한 램프에 관심을 가졌고, 결국 1815년에 만들어냈다. 원리는 심지 주위에 촘촘한 철망을 씌워서 램프 외부의 인화성 입자에 불꽃이 닿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같은 연도에 왕립발명가회 소속의 험프리 데이비가 같은 원리의 안전 램프를 만들어냈다. 이 때문에 스티븐슨은 험프리 데이비 경에게 아이디어를 표절했다고 고소당했다. 다만 데이비는 조금 늦은 1816년 1월에 이를 발표하는 통에 스티븐슨도 표절이라면 왜 당신이 늦었냐고 따져들었다. 결국 법정까지 간 이 분쟁은 1833년, 스티븐슨이 표절한 것이 아닌 우연히 동 시기에 같은 원리의 램프가 발명되었음을 인정하고, 스티븐슨도 안전 램프의 발명자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림으로서 종결되었다. 데이비 경은 이 판결 결과가 나오기 전에 죽었는데, 죽기 직전에도 해당 분쟁에 깊은 한이 맺혔는지 자기 묘비에다 스티븐슨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훔쳤다고 기록해 놓았다.4. 증기 기관차와 연철 레일의 개발
사실 증기 기관차를 처음 발명한 것은 1804년 리처드 트레비딕이었다. 다만 그의 시대엔 기존의 마차를 위한 선로가 증기기관차를 버티지 못하여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한편 스티븐슨이 처음으로 증기 기관차를 만든 것은 1814년이었다. 처음으로 만든 증기 기관차는 블뤼허(Blücher)[2] 호라는 이름을 붙였고, 킬링워스 마차철도에서 처음 시범을 보였다. 이 시범 운행에서 블리처 호는 6.4km/h의 속도로 30톤의 석탄을 실은 화차를 끌고 언덕을 올라갔다. 이후 이 블리처 호는 16대까지 제작되어 킬링워스와 그 주변의 탄광에서 마차 대신 석탄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그러나 문제점이 발생했는데, 이 당시의 선로는 목재나 주철을 사용했기 때문에 기관차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 동륜을 6륜으로 늘린 증기 기관차를 시험하다가 레일을 깨먹기도 했다. 조지 스티븐슨은 연철 레일을 개발하여 기관차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개량했다.
5. 스톡턴-달링턴 철도
1821년, 철도 운송의 가능성을 엿본 스티븐슨은 본격적으로 증기 기관차 전용 철도를 부설하기 시작한다. 스톡턴-달링턴 철도가 그것으로, 원래 이 철도는 말이 석탄 화차를 끄는 전형적인 마차철도였다. 그러나 스티븐슨은 이 철도의 계획을 바꿔 증기 기관차가 화차를 끌어나르는 철도로 바꿔 버린다.이 철도를 위해 스티븐슨은 새로운 증기 기관차를 만들었는데, 로코모션 1호가 그것이다. 1825년 9월 27일 스톡턴-달링턴 철도가 개업하고 새로 만든 이 기관차가 투입되자, 석탄과 밀가루 80톤을 싣고 39km/h의 속도로 달리는 기록을 세웠다.
이 철도를 부설할 때 스티븐슨은 자신이 만든 연철 레일을 깔고, 기존의 주철 레일보다 안전하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그리고 이 철도에서 스티븐슨이 결정한 선로 폭, 즉 4피트 8과 1/2인치(1435mm) 궤간은 영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퍼져 나갔고, 국제철도연맹에 의해 표준궤로 지정된다.
이 철도는 여객수송도 했지만, 여객 수송은 여전히 마차를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경사가 심한 일부 구간은 로프로 화차를 끌어올리는 등 전 구간에서 증기 기관차가 달린 것은 아니었다.
그가 두 번째로 부설한 철도는 여객수송도 증기 기관차로 처리하고, 모든 구간에 증기 기관차가 달리게 된다.
6. 리버풀-맨체스터 철도
두 번째로 부설한 철도는 리버풀-맨체스터간 노선이었다. 리버풀은 항구도시였고 맨체스터는 그 당시 잘나가던 공업도시였다. 당연히 수많은 물품이 이 두 도시간을 오갔고, 당시 이 수요는 산키 운하가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운하는 물류가 오가는 데 너무 느렸다.스티븐슨은 이 두 도시 사이에 철도를 깔려고 조사했는데, 중간에 차트 모스라는 이름의 늪이 존재하고 있었다. 철도 노반 부설에는 최악의 환경인 것이다. 그러나 스티븐슨은 많은 돈과 노력을 들어 흙을 메워 노반을 다지고 1829년 철도를 깔았다. 이 철도의 총 연장은 97km였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얽힌 리버풀과 맨체스터의 기업가들이 스티븐슨의 기관차를 쓰는데 반대하고 나섰고, 스티븐슨은 기관차의 성능으로 승부를 보기로 하고 그 유명한 레인힐 기관차 경주 대회(Rainhill Trails)를 열었다.
6.1. 레인힐 기관차 경주 대회
예선을 거쳐 최종 엔트리에 들어간 기관차는 총 5대였다. 대회 기간은 일주일이었다.
- 사이클롭드(Cycloped) 호
이건 증기 기관차는 아니었고, 벨트 위에 말이 올라가서 달리는 것으로 동력을 얻는 조잡한 것이었다. 대회 규정에 참가 기관차를 증기기관으로만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일. 그러나 말이 폭주하는 바람에 트레드밀 기관이 망가지면서 완주에 실패했다.
- 노블티(Novelty) 호
이건 제대로 된 증기 기관차. 첫날 운행시 이 기관차는 시속 45km/h로 완주하며 이 대회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그러나 둘째날 운행시 기관에 이상이 생겨 완주하지 못했고, 셋째날은 기관이 수리되지 않아 결국 완주에 실패했다. 훗날 이 기관차는 개량 후 성 헬렌 철도에서 몇년 간 사용되었다. 현재 이 기관차는 레플리카가 제작되어 맨체스터의 박물관에 운행 가능 상태로 전시되어 있다.
-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호
이것도 증기 기관차이긴 했는데, 운이 없었다. 대회를 위해 레인힐로 운송되던 도중 사고로 파손되었고, 5일 동안 수리를 거쳐 대회에 출전했다. 이 때문에 대회 끝인 이틀만 출전했는데, 속도는 16km/h였고 완주에도 실패했다. 그래도 이 기관차는 참가상으로 25파운드를 받았다.
- 산 파레일(Sans Pareil) 호
이것도 제대로 된 증기 기관차. 2실린더를 채용한 기관차였다. 그러나 140kg을 싣고 주행을 시도했을 때 실린더에 금이 가면서 처절하게 실패했다. 그래도 구조는 제대로 된 증기 기관차였기 때문에 개량을 거쳐 2년 후 개통된 볼턴-레이흐 철도에서 채택되어 활약했다. 이 기관차도 맨체스터의 박물관에 레플리카가 있다.
- 로켓(Rocket)호
조지 스티븐슨이 그의 아들 로버트와 같이 만든 기관차. 증기가 지나는 관을 25개나 사용하여 열이 닿는 단면적을 늘린 기관차였다. 당연히 다른 모든 기관차를 누르고, 13톤의 화물을 끌고 최고 속도 48km/h, 표정 속도 19km/h를 기록하며 당당히 1등을 차지했다. 이 기관차에서 사용한 관을 많이 사용하여 증기가 지나는 단면적을 늘리는 기술은 이후 등장한 모든 증기 기관차의 기본 구조가 되었다. 애니메이션 토마스와 친구들의 7번째 극장판 '잃어버린 왕관'의 캐릭터인 스티븐의 모티브가 바로 로켓호이다! 굴뚝 위치나 색깔 등 다소 차이가 있다.
대회 결과 스티븐슨의 기관차가 성능이 월등히 좋은 것이 인정되었고, 기업가들은 더 이상 할 말이 없었다. 결국 리버풀-맨체스터 철도의 기관차로는 로켓호가 채택되었다.
그리고 1830년 9월 15일 개통식을 가지고, 기관차를 이용한 승객 및 화물 수송이 시작되었다. 결국 이 철도는 세계 최초의 근대적인 철도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게 되었다.
7. 말년
이후 그는 여러 군데의 철도를 건설하고 운영하다가 1848년 세상을 떠났다.8. 업적 및 평가
그야말로 이 사람이 없었으면 현대의 철도는 어떻게 발전했을지 모를 정도로 기여한 바가 많다. 괜히 철도의 아버지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것이 아니다. 증기 기관차의 원형을 제시하고, 근대적인 철도 운송 시스템의 원형은 이 사람이 다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가 부설하고 운영한 리버풀-맨체스터 철도는 철도 운송 산업의 혁명을 불러일으켰고, 10년 만에 영국 전 국토에 3,200km 길이의 철도가 부설되는 계기가 되었다.1990년대 ~ 2000년대 초반 발간된 어린이 대상의 학습 서적들에는 어째서인지 이 사람이 "증기 기관차를 최초로 발명한 사람이었다."고 쓰여 있는 경우가 있었는데, 최초의 증기 기관차는 리처드 트레비딕이라는 사람의 발명품으로, 스티븐슨의 것보다 10년 전에 처음 만들어졌다. 증기 기관차 항목에 들어가보면 이 사람의 인생에 대해 각주로 적힌 문항이 있다. 알고 보면 불행이 겹쳐 꽤 비참한 인생을 산 사람.[3]
9.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미스터 피바디와 셔먼쇼 15화에 등장. 구두쇠로 나오는데 돈이 든다는 이유로 철도를 부실하게 만들고 자기 금고를 1등석에 모시는 기행을 저지른다. 뜬끔없이 오리랑 싸우기도 한다.[4][1] 1803–1859, 아버지에 이어 증기 기관차 개량 및 연구에 힘썼다.[2] 나폴레옹 전쟁기 프로이센 왕국의 유명한 장군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의 성을 땄다. 조지 스티븐슨이 자신의 첫 증기 기관차에 이 이름을 붙인 것은, 이때 블뤼허 장군이 나폴레옹을 라이프치히 전투로 몰락시키고 은퇴 후 영국을 방문하였기 때문이다.[3] 트레비딕이 증기 기관차를 최초로 만들기는 했는데, 당시 철로가 전부 마차용 주철이라 이 사람이 만든 증기 기관차를 버티지 못했다. 이후 스티븐슨은 철로를 전부 연철로 교체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최초의 상업용 증기 기관차를 완성했다.[4] 철도 개통식으로 딴 코르크 마개가 오리에 맞았다. 오리에게 처참하게 발리지만(...) 오리가 날아오는 신문지에 맞아 열차에서 떨어지며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