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브루노 마스|{{{#!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브루노 마스|
]]
- [ 수록 싱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기타 싱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nopad> 싱글 ||
<colbgcolor=#CD9960,#CD9960><colcolor=#000,#000> 브루노 마스 Bruno Mars | |
| |
본명 | Peter Gene Hernandez 피터 진 에르난데스 |
출생 | 1985년 10월 8일 ([age(1985-10-08)]세) |
하와이 주 호놀룰루 | |
국적 |
|
신체 | 165cm, 67kg |
학력 | 프레지던트 시어도어 루스벨트 고등학교 (졸업 / 1999~2003) |
가족 | 아버지 피터 에르난데스 어머니 베르나데트 산 페드로 바예트[1] 형제자매 5명[2] |
파트너 | 제시카 카반 (2011년~2024년) |
종교 | 가톨릭 |
직업 | 음악가 |
장르 | 팝, R&B, 펑크, 소울, 레게, 록 |
레이블 | 애틀랜틱 레코드 |
에이전시 | RAW Artists Agency |
매니지먼트 | Gorilla Management |
유통사 | 워너 뮤직 그룹 |
데뷔 | 2009년 12월 15일 [[Nothin' on You|{{{#000,#000 'Nothin' on You'}}}]] (데뷔일로부터 [dday(2009-12-15)]일, [age(2009-12-15)]주년) |
링크 | |
음원사이트 링크 | |
서명 |
1. 개요
Talking to the Moon Tryna get to you. 달에게 말을 걸면서 너에게 닿으려 애쓰고 있어.- Talking to the Moon |
2. 생애
2.1. 유년 시절
|
6남매 중 넷째이자 차남으로서, 어머니와 아버지가 전부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었기에 록앤롤이나 레게, 힙합, 리듬 앤 블루스 등 여러 음악들을 접할 수 있었다. 어머니는 가수이자 댄서였고, 아버지는 리틀 리처드의 음악을 연주하는 음악가였으며, 삼촌인 존 발렌타인은 브루노의 우상이기도 한 엘비스 프레슬리를 따라하는 사람이었다. 당시 3살이었던 브루노가 마이클 잭슨과 엘비스의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격려해 준 사람도 삼촌이었다고. 무려 4살 때부터 가족 밴드인 'The Love Notes'를 꾸려 일주일 중 5일은 공연을 다녔던 브루노는 하와이에서 엘비스를 따라하는 어린 소년으로서 '리틀 엘비스(Little Elvis)'라는 별명이 붙여지기도 했다.[4] 유명세를 탄 브루노와 밴드는 1990년에 하와이 타블로이드 쇼핑 잡지인 MidWeek에서 리틀 엘비스라는 이름으로 소개되고, 1990년 알로하 볼의 하프타임 쇼에서 공연하는 등, 하와이 최고의 스타로 거듭나게 된다.
브루노 마스 - 1990년 알로하 볼 하프타임 쇼 |
호놀룰루에 있는 시어도어 루즈벨트 고등학교에 진학한 브루노는 그곳에서 'School Boys'라는 음악 그룹에 합류하여 노래를 부르고, 아버지가 새롭게 꾸린 밴드의 오프닝을 맡고 아이슬리 브라더스와 템테이션스의 노래들을 부르는 등, 여러 공연을 하며 음악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렇게 활동을 계속하자 하와이 엔터테인먼트계에서도 유명세가 생겨서 거대 마술 쇼의 오프닝을 장식하고, 유명인 사칭 쇼에서 마이클 잭슨을 따라하며 공연당 75달러를 벌어들였다. 그러다 당시 로스엔젤레스에서 살고 있던 누나가 마이크 린[6]에게 데모를 들려줬는데, 실력이 출중했던 브루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어 그를 로스앤젤레스로 부르게 된다.
|
2003년의 모습 (17세) |
2.2. 음악 활동
|
린지는 브로디 브라운, 제프 바스커와 함께 브루노 마스에게 팝 음악 작곡의 기초부터 실전까지 멘토링을 진행했으며, 히트곡의 구조와 요소에 대해 심도 있는 교육을 제공했다. 바스커는 "린지는 우리가 단순히 재능 있는 뮤지션이 아니라, '히트 팝송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고 밝혔다. 린지에 따르면 그는 무려 5년간 브루노 마스를 가수로 데뷔시키지 않고 음악 공부에만 집중하도록 했다. 브라운 역시 이 점을 다른 인터뷰에서 인정했다. 한편, 마스는 당시 로스앤젤레스 일대에서 '섹스 팬서(Sex Panther)'라는 밴드 활동도 병행했으며, 제프 바스커와 친형 에릭 헤르난데스(현재 브루노 마스의 백밴드 '훌리건즈'의 드러머)와 함께 커버 곡을 연주하며 무대 경험을 쌓았다.
필립 로렌스는 처음에 브루노 마스를 만나자는 제안을 받았을 때, 버스비조차 없을 정도로 상황이 어려워 망설였다고 한다. 이때 블랙 아이드 피스의 드러머 키스 해리스가 "어떤 비용이 들더라도 내가 갚아줄게."라고 설득하자, 로렌스는 "그냥 버스비 5달러만 돌려줘."라고 답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후 두 사람은 본격적으로 협업을 시작했으나, 여러 음반사로부터 거절을 받았다. 이 시기에 로렌스는 브루노 마스를 아론 베이-슉(훗날 아틀랜틱 레코드의 A&R 매니저)에게 소개했다. 베이-슉은 마스가 기타로 몇 곡을 연주하는 것을 듣고 곧바로 계약을 원했다고 밝혔으나, 당시 마스는 아직 미완성이란 판단 하에 실제 계약까지는 3년이 더 걸렸다.
|
2008년, 피트 웬츠 뒤에서 찍힌 브루노 마스의 모습[8] |
마스와 로렌스가 쓴 첫 번째 메이저 히트곡은 2009년 플로 라이다(Flo Rida)의 싱글 Right Round였다. 그는 이 곡에 대해 "우리가 100% 참여한 히트곡이 처음으로 세상에 나온 맛을 본 곡이었다."고 회고했다. 그 외에도 슈가베이브스의 Get Sexy 공동 작곡 및 앨범 Sweet 7에서 백업 보컬로 참여했으며, Far East Movement의 두 번째 정규 앨범 Animal (2009)에서는 3D라는 곡에 보컬로 참여했다. 또한 미국의 목사이자 힙합 아티스트 제이슨 마의 데뷔 싱글 Love와, 트래비 맥코이의 자선 싱글 One at a Time에도 참여했다. 이 곡은 MTV의 에이즈 예방 캠페인 ‘Staying Alive Foundation’을 위한 자선 프로젝트였다.
|
2011년에는 영화 트와일라잇 사가: 브레이킹 던 Part 1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It Will Rain를 발표했으며, 이 곡은 미국에서 3위, 뉴질랜드에서 2위를 기록했다. 또한 릴 웨인과 함께한 Mirror, Bad Meets Evil과 함께한 Lighters, 그리고 위즈 칼리파, 스눕 독과 함께한 Young, Wild & Free 등의 콜라보레이션에도 참여했다. 이 중 Lighters와 Young, Wild & Free는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데뷔 앨범을 홍보하기 위해 마스는 마룬 5와 OneRepublic의 Palm Trees & Power Lines Tour 가을 투어에서 오프닝 무대를 맡았다. 이후 2010년 10월 18일부터 11월 초까지 Travie McCoy와 유럽 공동 투어를 진행했다. 이후 Doo-Wops & Hooligans Tour라는 타이틀로 2010년 1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본격적인 단독 투어를 진행했고,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는 Janelle Monáe와 함께 북미에서 Hooligans in Wondaland Tour를 공동 진행했다. 그는 아레나 투어의 오프닝 무대 제안을 거절하고, 대신 극장이나 볼룸 같은 소규모 공연장을 선택했으며, 수익은 적었지만 팬층을 넓히는 데 집중했다.
|
2011년, 제54회 그래미 시상식에서 공연하는 모습 |
|
그래미 남자 팝 보컬부문에서 수상한 브루노 마스 |
2012년 3월, 마스는 BMG 크리살리스 US와 전 세계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9월, 빌보드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차기 앨범이 음악적으로 더 다양해질 것이라고 밝히며, 힙합, R&B, 소울,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자유롭게 시도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정규 2집 Unorthodox Jukebox는 2012년 12월 11일 미국에서 발매되었다.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2위로 데뷔한 후 1위에 올랐으며, 호주, 캐나다, 영국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했다. 전 세계적으로 6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선공개된 싱글 Locked out of Heaven은 2012년 10월에 발매되었으며, 앨범 Unorthodox Jukebox는 주로 Smeezingtons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이 곡은 미국과 캐나다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영국에서는 2위를 기록했으며,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상위권에 올랐다. 이후 When I Was Your Man, Treasure, Gorilla, Young Girls 등의 싱글이 순차적으로 발매되었다. 특히 When I Was Your Man은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엘비스 프레슬리 이후 가장 빠르게 다섯 곡의 1위 싱글을 달성한 남성 아티스트가 되었다. 해당 곡은 캐나다에서 3위, 영국에서 2위, 그리고 다양한 국가에서 상위권에 진입했다.
|
2014년, 슈퍼볼 XLVIII 하프타임 쇼에서 공연하는 모습 |
2014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Unorthodox Jukebox는 베스트 팝 보컬 앨범 상을 수상했다. Locked Out of Heaven은 올해의 레코드와 올해의 노래 후보에 올랐고, When I Was Your Man은 베스트 팝 솔로 퍼포먼스 부문 후보로 지명되었다. 같은 해, 해당 앨범은 캐나다의 주노 어워드에서 인터내셔널 앨범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다. 이후 2014년에는 애니메이션 영화 리오 2에 로베르토 역으로 출연했고, 사운드트랙에는 Welcome Back이라는 곡으로 참여했다. 그러다 2014년 11월 10일, 마크 론슨은 브루노 마스와 함께 작업한 Uptown Funk를 발표했다. 이 곡은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는 14주 연속 1위를 유지했고,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7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대중문화에 큰 반향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현재에 와서는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한 곡 중 하나로 여겨진다.
|
2016년, 슈퍼볼 50 하프타임 쇼에서 공연하는 모습 |
2016년 5월, 아론 에레라가 운영하는 Gorilla Management를 설립했다. 2017년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아델의 앨범 25에 수록된 All I Ask의 공동작곡자로서 올해의 앨범 상을 함께 수상했다. 기네스 세계 기록 2017년판에는 "세 곡의 1,000만장 이상 판매 싱글을 보유한 최초의 남성 아티스트"로 등재되었다. 정규 3집 24K Magic은 2016년 11월 18일에 발매되었으며, 캐나다, 프랑스, 뉴질랜드, 미국 차트에서 2위로 데뷔했다. 이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5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주요 싱글인 24K Magic, That’s What I Like, 그리고 카디 비가 피처링한 Finesse 리믹스는 모두 미국 차트 톱4, 캐나다 차트 톱3에 진입했다. That’s What I Like은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했으며, 뉴질랜드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Finesse는 뉴질랜드 차트 2위, 24K Magic은 프랑스와 뉴질랜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Versace on the Floor와 호주에서 발매된 Chunky도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이 앨범의 모든 싱글은 핫 R&B/힙합 송 차트에 진입했고, That’s What I Like과 Finesse는 해당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
2018년 발매된 시크의 정규 앨범 It's About Time 작업에 참여했다. 2018년 초에는 녹음 엔지니어 찰스 모니즈(Charles Moniz), 그리고 작곡 및 프로듀싱 팀인 스테레오타입스와 함께 작업했다. 같은 해 9월, 브루노 마스는 래퍼인 구치 메인, 코닥 블랙과 함께 구치 메인의 13번째 정규 앨범 Evil Genius의 수록곡 Wake Up in the Sky를 발매했다. 이 곡은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1위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2019년 2월에는 카디 비와 함께 Please Me를 발표했으며, 이 곡은 미국 차트 3위,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차트에서도 상위 20위권에 진입했다. 2019년 7월에는 에드 시런, 크리스 스테이플턴과 함께한 콜라보 곡 Blow가 에드 시런의 네 번째 정규 앨범 No.6 Collaborations Project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같은 해 10월, 브루노 마스는 자신의 녹음실 사진을 올리며 신곡 작업을 암시하기도 했다.
2020년 2월에는 브루노 마스와 디즈니가 협업하여, 마스가 직접 출연하고 프로듀싱까지 맡는 뮤직 테마 극영화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이후 3월에는 베이비페이스와 함께 차기 앨범을 작업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코로나19 봉쇄 기간 중 매일 음악을 쓰며 작업을 계속해 나갔다. 그해 마스는 자신이 보유한 일부 곡 카탈로그를 워너 채플 뮤직(Warner Chappell Music)에 판매했으며, 일부 지분은 유지한 채 BMG와의 공동 퍼블리싱 계약도 해당 딜에 포함되었다. 2021년에는 모토로라 CEO의 아들 결혼식에서 공연을 한 대가로 약 320만 달러를 받은 것으로 보도되었다.
|
|
2022년 초, 라스베이거스 Park MGM에서 An Evening with Silk Sonic 레지던시 공연을 시작했다. 실크 소닉은 2021년 BET 어워드에서 베스트 그룹 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 브릿 어워드에서는 인터내셔널 그룹 오브 더 이어, NAACP 이미지 어워드에서는 트래디셔널 부문 최고의 듀오, 그룹, 콜라보레이션 상을 수상했다. 2021년 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에서는 Leave the Door Open으로 올해의 노래상을 포함해 3관왕을 차지했다. 2022년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Leave the Door Open으로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베스트 R&B 퍼포먼스, 베스트 R&B 송을 포함한 주요 부문을 석권했다. 같은 해 BET 어워드에서는 올해의 앨범, 올해의 뮤직 비디오를 수상했으며, 해당 뮤직비디오는 2022년 소울 트레인 어워드에서도 최고의 뮤직비디오를 수상했다.
2022년, 라스베이거스 Bruno Mars at Park MGM 콘서트 레지던시를 계속 진행했으며, 시드니와 도쿄를 시작으로 월드 투어를 시작했다. 이 투어는 2023년에도 이어져, 한국, 필리핀, 브라질, 칠레, 조지아, 이스라엘 등 다양한 국가에서 공연을 가졌다. 하지만 10월 4일 텔아비브 공연 이후, 10월 7일로 예정되었던 텔아비브 두 번째 공연과 다음 날 열릴 예정이던 도하 공연은 10월 7일 공격 여파로 취소되었다. 이후에도 투어는 이어졌으며, 도쿄, 방콕, 싱가포르를 거쳐 브라질에서 14회에 걸친 공연으로 투어를 마무리했다. 이 기간 동안에도 레지던시 공연은 병행되었다. 2023년에 보고된 총 37회의 공연은 약 6,63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2025년 5월 기준, 브라질과 라스베이거스를 포함한 총 20회의 공연은 약 84만 9천 장의 티켓을 판매하며 1억 1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브로디 브라운, 필립 로렌스, 제임스 폰트러로이와 함께 차기 정규 앨범 작업에 몰두했으며, 5월에는 거의 완성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사운드를 예고하며 발매일이 임박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그는 2024–2025년 투어를 위한 라이브 네이션과의 초기 협의도 진행 중이었다. 2024년에는 디마일(D’Mile)이 앨범 작업에 참여했으며, 2025년에는 앤드류 와트와 앤드류 와이엇도 그와 함께 곡을 작업했다고 밝혔다. 디마일 역시 해당 앨범 작업 중임을 확인했다. 그러다 2024년 8월 16일, 레이디 가가와 협업해 싱글 Die With A Smile을 발매했다. 이 곡은 마스의 첫 빌보드 글로벌 200 1위 곡이자,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네덜란드, 스위스 차트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이 곡은 2025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상을 수상했으며, 올해의 노래 후보에도 올랐다.
|
레이디 가가와 함께한 Die With A Smile |
|
블랙핑크의 멤버인 로제와 함께한 APT. |
3. 평가
3.1. 음악 스타일
팝, R&B, 펑크, 소울, 레게, 록 등 다양한 스타일과 장르, 영향으로 주목받아왔다. # 그의 데뷔 앨범 Doo-Wops & Hooligans는 팝, 레게 팝, R&B가 섞인 음반이다. # 이 앨범의 많은 곡들은 기분 좋은, 걱정 없고 낙관적인 감정을 담고 있다. # 하지만 그의 곡들 중에는 실패한 연애, 고통, 외로움 같은 어두운 주제를 다룬 곡도 있다. 이후 발표한 Unorthodox Jukebox는 디스코, 펑크, 록, 레게, 소울, 발라드에서 영향을 받았다. 두 번째 앨범은 첫 앨범과는 가사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전통적인 로맨스, 남성 우월주의, 섹슈얼리티를 다루고 있으며, ‘Gorilla’의 노골적인 내용은 호주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세 번째 앨범 24K Magic은 R&B, 펑크, 팝, 뉴 잭 스윙에서 영향을 받았다. # 가사에서는 돈과 섹스를 주제로 다루고 있다. 실크 소닉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 An Evening with Silk Sonic은 R&B, 소울, 펑크, 힙합, 팝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유혹, 로맨스, 화해, 물질주의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3.2. 쇼맨십
복고풍 쇼맨십으로 유명하며, 이는 투어 평론가들과 리뷰어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 The Jakarta Post의 디애라 램은 그를 진정한 글로벌 스타라고 평가했고, Boston Herald의 짐 설리번은 마스의 무대 매너를 마이클 잭슨과 엘비스 프레슬리에 비유했다. St. Louis Post-Dispatch의 케빈 존슨은 완벽한 공연가라고 표현했으며, The Boston Globe의 사라 로드먼은 지치지 않는 열정적인 공연 방식과 고전적인 쇼맨십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Daily News의 짐 파버는 슈퍼볼 48회 하프타임 쇼에서 올드스쿨 쇼맨십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역동적인 공연을 선보였다고 평했다.어릴 적 엘비스 프레슬리, 제임스 브라운, 마이클 잭슨의 공연 영상을 자주 시청했으며, 현재도 공연 전에는 브라운의 T.A.M.I. Show, 지미 헨드릭스의 Live at Woodstock, 프린스의 Purple Rain 무대 등을 보고 영감을 얻는다고 한다. 2025년에는 그의 밴드 더 훌리건스의 키보디스트 존 포싯이 마스가 라이브 공연에서 관객과 소통하는 방식을 배우기 위해 제임스 브라운과 마이클 잭슨의 영상을 반복 시청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 Doo-Wops & Hooligans Tour 당시, The West Australian의 아라 잰센은 “오랜만에 본 가장 창의적이고 흥미진진한 음악 예술의 현장이었다.”고 극찬했으며, 공연에는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이 몰렸다고 전했다.
- Hooligans in Wondaland Tour에서는 The Oregonian의 로버트 햄이 공연 내내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으며, 기타 실력 또한 인상적이라고 언급했다.
- Moonshine Jungle Tour에서는 빌보드의 제이슨 립셋츠가 “매우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현재 음악계에서 그보다 더 잘 해내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롤링 스톤은 2013년 ‘현재 최고의 라이브 아티스트 50명’ 순위에서 마스를 35위에 선정하며, “5세에서 95세까지 누구나 브루노 마스 공연을 보고 자신만을 위한 쇼였다고 느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올드스쿨 스타일을 완벽히 소화하고, 9인조 소울 밴드를 이끌며, 강렬한 드럼 솔로까지 직접 연주한다.”고도 덧붙였다. NFL 관계자 사라 몰과 트레이시 펄먼은 "공연장을 가보면 11살 여자아이부터 65세 여성까지 다양하게 모인다."고 Moonshine Jungle 투어를 본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 24K Magic World Tour는 쇼맨십, 기타 실력, 무대 연출 등에서 극찬을 받았으며, 이 투어로 Pollstar 어워드 2관왕, 빌보드 뮤직 어워드 2관왕, TEC 어워드 등을 수상했다. Bruno Mars at Park MGM 라스베이거스 레지던시 공연은 2022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Top R&B Tour’ 부문을 수상했으며, 2024년 기준 누적 수익 1억 5,480만 달러로 역대 최고 수익 레지던시 중 하나에 이름을 올렸다.
3.3. 가창력
3옥타브 테너 음역대를 가지고 있다. # 뉴욕 타임스의 존 카라마니카는 그를 팝에서 가장 다재다능하고 접근하기 쉬운 가수 중 한 명으로 평가하며, 가볍고 소울이 가미된 목소리가 다양한 스타일에 잘 어울리는 보편적인 기증자라고 표현했다. 올뮤직의 팀 센드라는 Doo-Wops & Hooligans에서 마스의 보컬을 꿀처럼 귀에 스며드는 부드러운 악기라고 묘사했다. 롤링 스톤의 조디 로젠은 Unorthodox Jukebox에서 민첩하고 소울풀한 보컬리스트라고 불렀다. 뉴욕 데일리 뉴스의 짐 파버는 Unorthodox Jukebox 홍보 콘서트 리뷰에서 그의 목소리를 중기 마이클 잭슨의 순수함, 부드러움, 음역대에 비유했다. 24K Magic에 대해 Consequence of Sound의 카렌 그웬은 마스가 자신의 음역을 보여주며 보컬 한계를 밀어붙였다고 평가하며, 그의 목소리를 명확하고 당당한 테너이자 현대의 축복이라고 설명했다. 뉴욕 타임스의 존 카라마니카는 24K Magic이 그의 부드러움부터 더 강렬한 목소리의 면모까지 보컬 능력을 보여준다고 말했다.3.4. 뮤직비디오
여러 감독들과 협업하여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뮤직비디오 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는 카메론 더디와 함께 Doo-Wops & Hooligans, Unorthodox Jukebox, 24K Magic 앨범과 일부 싱글의 뮤직비디오 총 10편을 공동 연출했다. 2011년에는 The Lazy Song의 두 번째 콘셉트와 연출안을 직접 구상했으며, 이에 따라 더디를 감독으로 불러 협업하게 되었다. 더디는 한 인터뷰에서 “브루노와는 뮤직비디오 작업할 때 종종 충돌도 있다. 최고의 협업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우리는 결국 항상 공통점을 찾아낸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는 플로랑 드샤르와 함께 Finesse 뮤직비디오를 공동 연출했으며, 이후 Please Me, Blow, Leave the Door Open, Skate 등의 뮤직비디오에서도 드샤르와 협업했다. 2024년에는 다니엘 라모스와 함께 일본의 돈키호테 광고를 공동 연출했으며, Die with a Smile, Apt., Fat, Juicy and Wet 등의 뮤직비디오도 라모스와 함께 작업했다.안무 역시 직접 참여하는 경우가 있으며, Treasure의 뮤직비디오는 직접 안무를 맡아 2013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최우수 안무상’을 수상했다. 브루노 마스와 더디의 작업은 여러 시상식에서 인정받았으며, Uptown Funk와 24K Magic 뮤직비디오는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최우수 감독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드샤르와의 협업은 2019년 BET 힙합 어워드에서 올해의 비디오 감독 부문 후보에 올랐다. 2017년에는 조나단 리아와 공동 연출한 That’s What I Like로 BET 어워드 올해의 비디오 감독 부문 후보에 지명되었다. 2018년에는 벤 윈스턴과 공동 연출한 Bruno Mars: 24K Magic Live at the Apollo가 프라임타임 에미상 최우수 음악 연출상 부문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 그러다 2021년, 드샤르와 함께 연출한 Leave the Door Open 뮤직비디오는 BET 어워드 올해의 비디오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는 최우수 편집상을 수상하는데 성공했다.
3.5. 작곡 및 작사
수많은 히트 싱글과 앨범으로 구성된 화려한 커리어 외에도, 브루노 마스는 21세기 기준 최대 규모 투어와 레지던시 공연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여러 측면에서, 그는 ‘진정한 작곡가형 팝스타’라 불릴 만한 인물이다. In addition to his breathless catalog of hit singles and smash albums, Bruno Mars also has some of the century’s biggest tours and residencies under his belt. In many ways, Mars is a true songwriter’s pop star. 빌보드 선정 21세기 최고의 팝스타 20위 # |
여러 아티스트와의 협업은 마스의 음악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Nothin' on You는 모타운 느낌, Billionaire는 레게 어쿠스틱 기반의 곡이며, CeeLo Green과 함께한 Fuck You는 개인적으로 매우 아끼는 곡이라고 밝혔다. 아무나 그 곡을 소화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며 자신이 다양한 장르를 사랑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와이에서 자란 환경도 그의 음악에 레게 특유의 색채를 부여했다. “하와이에서는 주요 라디오 방송국들이 레게 음악을 틀어준다. 이 음악은 사람들을 하나로 모은다. 팝도 아니고 어반도 아니다. 그냥 노래다. 그래서 장르를 뛰어넘어 사랑받을 수 있는 것이다. 곡이 먼저다.”라고 설명했다.
마스의 음악 파트너 필립 로렌스는 마스에게 다소 어두운 면도 있다고 말했지만, 대부분의 음악은 낭만적이며 감성적이다. 마스는 고등학교 때 여자애들 앞에서 노래를 많이 불렀기 때문이라고 농담처럼 그 이유를 밝혔다. 공동작업자인 브로디 브라운에 따르면, 브루노 마스는 자신의 곡에서 멜로디와 가사를 거의 전담하며, 브라운은 주로 음악적인 편곡에 집중한다고 한다. 일부 가사 아이디어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대다수의 곡 구성은 브루노 마스와 필립 로렌스가 주도한다고 밝혔다.
3.6. 위상 및 영향력
|
빌보드 선정 21세기 최고의 팝스타 20위에 선정된 브루노 마스 |
|
빌보드 선정 21세기 최고의 아티스트 9위에 선정된 브루노 마스 |
2010년대 초반 팝 시장에 등장할 당시부터 이미 정상급 위치에 있었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21세기 최고의 작곡가, 퍼포머, 히트메이커 중 한 명이다. one of the century’s great writers, performers and hitmakers, who essentially arrived to early-’10s pop already on top of the world and has scarcely left his perch since. 그의 문화적 영향력 대부분은 상업적으로 성공한 팝 가수이자 천재적인 작곡가로서의 안정적인 커리어에서 비롯된다. 굳이 10년치 세계관이나 컬트적인 팬덤 없이도, 넘치는 재능과 매력, 그리고 결혼식 단골 선곡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명곡들이 있다면 21세기 팝 커리어를 유지하는 데 아무 문제 없다. 브루노 마스는 과거 시대의 팝 공식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걸 증명한 인물로, 단 조건이 있다면 곱슬머리에, 초인적인 재능을 지닌 단신 왕일 것. the vast majority of his cultural pull comes from his dependability as a commercially successful pop singer and prodigious pop songwriter. Who needs a cult of personality or a decade’s worth of lore to sustain a 21st century pop career when you’ve got that level of talent and charm, and a hefty bag of enduring wedding-level classics to boot? Bruno Mars is complete proof that the pop templates of past eras can still thrive in the 21st century – as long as they come in the form of a curly-headed and superhumanly talented short king. 빌보드 선정 21세기 최고의 팝스타 20위 # |
엘비스 프레슬리 이후 최단 시간 가장 많은 빌보드 1위를 기록한 가수, 2010년대 가장 많은 빌보드 1위곡을 가진 남자 솔로 가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현 시대 가수 중 The Weeknd와 함께 마이클 잭슨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9] 세계 음반 판매량 1억 5천만 장, 빌보드 선정 2010년대 가장 성공한 음악가 3위[10]에 위치해있다. 2018년 빌보드 기사는 2010년대 팝 음악에서 남성 아티스트 중 가장 오랜 성공 기록을 가진 이는 마스라고 했으며, Slate는 그를 2010년대 가장 꾸준한 남성 팝 스타로 꼽았다. 2021년 WBLS는 마스가 10년 넘게 대중문화에서 지배적인 존재라고 평가했다. 2년 후 The Times는 그를 21세기 최고의 보컬리스트 20인 중 13위로 선정했다. 뉴욕 타임스와 토론토 스타는 Uptown Funk를 21세기 가장 알아보기 쉬운 팝송 중 하나로 묘사했다. 그의 푸에르토리코 뿌리와 민족적 정체성에 대해 Remezcla는 그가 음악 산업의 냉소적인 라벨 게임에 휘둘리지 않고 국제 팝 문화 정상에 오른 최초의 자랑스러운 라틴 아티스트라고 평했다. 뿐만 아니라 마스의 음악과 무대 매너는 AJ 미첼, 토마스 렛, 두아 리파, 베니 데이알, 라우 알레한드로, 키디, 리 브라이스, 숀 멘데스, 셀레나 고메즈, 메건 트레이너 등에게 영감을 주었다.
2013년 빌보드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되었고, 2016년 NRJ 명예 아티스트상을 받으며 음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17년 iHeartRadio 뮤직 어워드에서 혁신가 상, 2017년 틴 초이스 어워드에서 비저너리 상을 수상했다. 2019년 iHeartRadio Canada는 마스를 10년의 아이콘 중 하나로 꼽았으며, Insider는 2010년대 리스트에서 그를 특별 언급했다. 2021년 빌보드는 마스를 2010년대 톱 아티스트 3위, 2010년대 톱 투어 아티스트 14위에 올렸다. 3년 후 빌보드의 21세기에서 가장 위대한 팝 스타 리스트에서 20위를 기록했다. 칼 디네스는 마스를 21세기 최고의 작곡가, 공연자, 히트 메이커 중 한 명으로, 2010년대 초반부터 정상에 올라 거의 내려오지 않은 아티스트라고 평가했다.
|
마스의 데뷔곡 Just The Way You Are는 미국 성인 컨템포러리 차트에서 20주 동안 머물며 데뷔곡 기준 최장기간 기록을 세웠다. When I Was Your Man은 피아노와 보컬만으로 구성된 두 번째 미국 1위 곡으로 기록되었다. 브루노 마스는 미국 차트에서 리드 아티스트로서 두 곡을 동시에 탑 10에 올린 첫 남성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미국에서 9개의 넘버원 싱글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비욘세, 머라이어 캐리와 함께 데뷔 3개의 정규 앨범에서 각각 3개의 탑5 싱글을 배출한 유일한 아티스트 중 한 명이 되었다. 미국 메인스트림 톱40 차트에서는 솔로 남성 아티스트 최초로 11개의 1위 곡을 기록했다. 에드 시런, 주얼과 함께 두 곡 이상이 미국 탑10 차트에 반년 이상 머문 몇 안 되는 아티스트이며, 2019년 기준으로 총 241주 이상을 핫 100 탑 10에 머물렀다. 핫 100에서 총 39주 동안 1위를 기록했으며,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에서는 11번째 1위를 기록하여 역대 9번째로 많은 기록을 세웠다. 글로벌 200 차트에서는 총 30주 동안 1위를 차지한 유일한 아티스트이다.
| |
2014년 슈퍼볼 하프타임 쇼 이후 하와이에서는 티켓 되팔기 문제로 인해 상원 의장 도나 마르카도 킴이 '브루노 마스 법안'(Senate Resolution 12)을 발의했으며, 이는 티켓 판매 개시 후 48시간 동안은 오직 오프라인 박스오피스에서만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암표 거래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해당 법안은 상원을 통과했지만 최종 위원회 단계에서 폐기되었다. 빌보드는 2021년 9월 기준 브루노 마스의 투어 수익이 총 6억 4만 달러를 넘겼다고 보도하였으며, 이는 6억 달러를 돌파한 30명 미만의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2022년 일본에서 열린 다섯 번의 공연은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해당 연도 최단기간 매진 기록을 세웠고, 총 21만 장의 티켓을 판매했다. 이듬해 서울에서 열린 두 번의 콘서트에서는 총 10만 1천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역사상 최다 관객 기록을 세웠다. 2024년에는 마이클 잭슨 이후 최초로 도쿄돔에서 7회 공연을 모두 매진시켰으며, 대만에서는 두 번의 공연에 총 15만 7천 명이 몰렸다. 브라질에서는 14번의 공연을 통해 2006년 RBD의 13회 공연 기록을 경신하며 해외 아티스트 최다 공연 기록을 새로 썼다.
2025년 초에는 레이디 가가와 함께한 Die With a Smile과 로제와의 협업곡 Apt.을 발표한 이후, 스포티파이에서 월간 리스너 수 1억 5천만 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브리나 카펜터에 이어 글로벌 200과 글로벌 미국 제외 양 차트에서 동시에 1, 2위를 차지하며 자신의 곡으로 1위를 대체한 두 번째 아티스트가 되었고, 남성 아티스트 중 가장 큰 글로벌 데뷔 기록을 세웠다. Apt.는 두 주 이상 양 차트에서 각각 2억 회 이상 글로벌 스트리밍을 기록한 최초의 곡이 되었다. Die With a Smile은 글로벌 200에서 18주간, Apt.는 12주간 1위를 기록했으며, 글로벌 미국 제외 차트에서는 Apt.가 19주, Die With a Smile이 17주간 1위를 차지했다.
4. 디스코그래피
[[브루노 마스|
]]
- [ 수록 싱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기타 싱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nopad> 싱글 ||
4.1. 정규 앨범
<nopad> | |||||
Doo-Wops & Hooligans | [[Unorthodox Jukebox|{{{#000 Unorthodox Jukebox}}}]] | [[24K Magic|{{{#F9F0AB 24K Magic}}}]] | |||
발매일 | 2010년 10월 4일 | 발매일 | 2012년 12월 7일 | 발매일 | 2016년 11월 18일 |
수록곡 | 수록곡 | 수록곡 | |||
트랙 | 제목 | 트랙 | 제목 | 트랙 | 제목 |
1 | Grenade | 1 | Young Girls | 1 | 24K Magic |
2 | Just the Way You Are | 2 | Locked out of Heaven | 2 | Chunky |
3 | Our First Time | 3 | Gorilla | 3 | Perm |
4 | Runaway Baby | 4 | Treasure | 4 | That's What I Like |
5 | The Lazy Song | 5 | Moonshine | 5 | Versace on the Floor |
6 | Marry You[11] | 6 | When I Was Your Man | 6 | Straight Up & Down |
7 | Talking to the Moon | 7 | Natalie | 7 | Calling All My Lovelies |
8 | Liquor Store Blues (Feat. Damian Marley) | 8 | Show Me | 8 | Finesse |
9 | Count on Me | 9 | Money Make Her Smile | 9 | Too Good To Say Goodbye |
10 | The Other Side (Feat. Cee Lo Green, B.o.B) | 10 | If I Knew |
4.2. 싱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루노 마스/싱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루노 마스/싱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CD9960><rowbgcolor=#CD9960><rowcolor=#000> Bruno Mars의 싱글 차트인 목록 ||
연도 | 곡명 | | | 수록 앨범 |
<colcolor=#CD9960> 2010 | Nothin' on You - B.o.B feat. Bruno Mars | 1위2주 | 1위1주 | - |
Billionaire - Travie McCoy feat. Bruno Mars | 4위 | 3위 | ||
Just the Way You Are | 1위4주 | 1위2주 | {{{#F9E8B7 [[Doo-Wops & Hooligans|{{{#F9E8B7 Doo-Wops & Hooligans}}}]]}}} | |
Grenade | 1위4주 | 1위2주 | ||
Runaway Baby | 50위 | - | ||
2011 | The Lazy Song | 4위 | 1위1주 | |
Marry You | 85위 | 11위 | ||
Lighters Bad Meets Evil feat. Bruno Mars | 4위 | 10위 | - | |
Mirror - Lil Wayne feat. Bruno Mars | 16위 | 17위 | ||
It Will Rain | 3위 | 14위 | [12] | |
Young, Wild & Free - Snoop Dogg & Wiz Khalifa feat. Bruno Mars | 7위 | 44위 | - | |
Count on Me | - | 78위 | {{{#F9E8B7 [[Doo-Wops & Hooligans|{{{#F9E8B7 Doo-Wops & Hooligans}}}]]}}} | |
2012 | Locked out of Heaven | 1위6주 | 2위 | Unorthodox Jukebox |
2013 | When I Was Your Man | 1위1주 | 2위 | |
Treasure | 5위 | 12위 | ||
Bubble Butt - Major Lazer feat. Bruno Mars, Tyga & Mystic | 56위 | 196위 | - | |
Gorilla | 22위 | 62위 | Unorthodox Jukebox | |
Young Girls | 32위 | 83위 | ||
2014 | Uptown Funk - Mark Ronson feat. Bruno Mars | 1위14주 | 1위7주 | - |
2016 | 24K Magic | 4위 | 5위 | 24K Magic |
2017 | That's What I Like | 1위1주 | 12위 | |
Versace on the Floor | 33위 | 59위 | ||
Chunky | - | 79위 | ||
2018 | Finesse (Remix) - Bruno Mars feat. Cardi B | 3위 | 5위 | |
Wake Up in the Sky - Gucci Mane, Bruno Mars, Kodak Black | 11위 | 65위 | - | |
2019 | Please Me - Cardi B & Bruno Mars | 3위 | 12위 | |
BLOW - Ed Sheeran with Chris Stapleton & Bruno Mars | 60위 | - | ||
2021 | Leave The Door Open | 1위2주 | 20위 | An Evening With Silk Sonic - Silk Sonic (Bruno Mars & Anderson .Paak) |
Skate | 14위 | 45위 | ||
Smokin Out The Window | 5위 | 12위 | ||
Blast Off | 73위 | - | ||
Put On A Smile | 78위 | - | ||
Fly As Me | 81위 | 49위 | ||
After Last Night | 68위 | - | ||
2024 | Die With A Smile - Lady Gaga & Bruno Mars | 1위5주 | 2위 | - |
APT. - ROSÉ & Bruno Mars | 3위 | 2위 | ||
2025 | Fat Juicy & Wet - Sexyy Red & Bruno Mars | 17위 | 32위 |
5. 수상 목록
5.1. 그래미 어워드
GRAMMY AWARDS | |
31회 후보 지명 총 16회 수상 | |
2010년 | Best Male Pop Vocal Performance - Just The Way You Are |
2014년 | Best Pop Vocal Album - Unorthodox Jukebox |
2016년 | Record of the Year - Uptown Funk |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 Uptown Funk | |
2017년 | Album of the Year - 25 [13] |
2018년 | Album of the Year - 24K Magic |
Record of the Year - 24K Magic | |
Song of the Year - That's What I Like | |
Best R&B Album - 24K Magic | |
Best R&B Song - That's What I Like | |
Best R&B Performance - That's What I Like | |
2022년 | Record of the Year - Leave The Door Open |
Song of the Year - Leave The Door Open | |
Best R&B Performance - Leave The Door Open | |
Best R&B Song - Leave The Door Open | |
2025년 |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 Die With A Smile |
5.2. 그 외 시상식
AMERICAN MUSIC AWARDS | |
23회 후보 지명 총 11회 수상 | |
2011년 | Favorite Pop/Rock Male Artist - Bruno Mars |
2017년 | Artist of the Year - Bruno Mars |
Video of the Year - That's What I Like | |
Favorite Pop/Rock Male Artist - Bruno Mars | |
Favorite Soul/R&B Male Artist - Bruno Mars | |
Favorite Pop/Rock Album - 24K Magic | |
Favorite Soul/R&B Album - 24K Magic | |
Favorite Soul/R&B Song - That's What I Like | |
2018년 | Favorite Song - Soul/R&B - Finesse |
2019년 | Favorite Male Artist Soul/R&B - Bruno Mars |
2021년 | Favorite Song - Soul/R&B - Leave The Door Open |
BILLBOARD MUSIC AWARDS | |
51회 후보 지명 총 9회 수상 | |
2011년 | Top Radio Song - Just The Way You Are |
2018년 | Top R&B Artist - Bruno Mars |
Top R&B Male Artist - Bruno Mars | |
Top R&B Album - 24K Magic | |
Top R&B Song - That's What I Like | |
Top R&B Tour - Bruno Mars | |
2022년 | Top R&B Song - Leave The Door Open |
Top R&B Tour - Bruno Mars | |
2024년 | Top R&B Tour - Bruno Mars |
MTV Video Music Awards | |
24회 후보지명 중 총 4회 수상 | |
2013년 | Best Male Video - Locked out Of Heaven |
Treasure - Best Choreography | |
2021년 | Best R&B - Leave The Door Open |
Best Editing - Leave The Door Open |
5.3. 음악 방송 1위
<rowcolor=#fff> 날짜 | 곡명 | 방송 | 비고 |
2024년 | |||
10.2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678c" 8관왕[C] | | 데뷔 후 음악방송 첫 1위 케이블 음악방송 첫 1위 엠 카운트다운 첫 1위 [불참] |
10.27 | | 데뷔 후 지상파 첫 1위 인기가요 첫 1위 [불참] | |
10.31 | | 2주 연속 1위 [불참] | |
11.02 | | 쇼! 음악중심 첫 1위 [불참] | |
11.03 | | 2주 연속 1위 [불참] | |
11.09 | | ||
11.10 | | 3주 연속 1위 트리플 크라운 [불참] | |
11.16 | | ||
2025년 | |||
01.03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678c" 1관왕[C] | | 뮤직뱅크 첫 1위 [불참] |
6. 여담
-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의 열성적인 팬이다. 뉴욕시장 취임식에 직접 찾아가서 노래를 불렀는데 "일생에서 가장 기쁜 날"이라고 하기도 했다.
- 키가 165cm의 상당한 단신 으로 로제 보다도 작다.
- 어렸을 적 니콜라스 케이지 주연의 1992년작 영화 'Honeymoon in Vegas'에서 꼬마 엘비스 역할로 나온 적이 있다. 사실 삼촌이 엘비스 프레슬리의 굉장한 팬이기도 했다고.
- 명실상부 할리우드 톱클래스 가수이지만 정말 드물게도 인성 스캔들이 없다.[23]
- 유년시절 굉장히 가난했다고 한다. 집에 화장실이 없고 교통비가 없었을 정도라고.
- 6남매 중 넷째이자 차남이다. 형인 에릭 에르난데스[24]는 백업 밴드에서 드럼을 치고, 자매들은 걸그룹 레일라를 결성했다.
- 데뷔 앨범을 대차게 히트시켰지만 코카인 소지죄로 체포되었다. 바보같은 짓이었다며 깊이 반성한다고 말했으며, 징역 4년에 집행유예 1년, 2천 달러의 벌금, 200시간의 사회봉사, 8시간의 마약 상담이 선고됐다. 링크 다만, 마약을 복용하진 않았다고 주장했다.
- 게이라는 루머가 돌았지만 사실무근이다. 여자친구 제시카 카반과 2011년부터 지금까지 잘 살고 있으며, 약혼까지 했다. 제시카는 한때는 브루노의 무개념 팬들에게 악플세례를 받기도 했다.
- 흡연자여서 많은 팬들이 목 건강을 우려하고 있다. 2013년 어머니가 뇌동맥류로 돌아가시면서 담배를 끊으라는 말을 남겼고, 그 이후로 연초 대신 전자담배를 피우고 있다. 전자담배는 연초에 비해 목에 영향이 덜 가는지 아직도 목 건강은 문제가 없어보인다.
- 슈퍼볼 공연 이후 일주일 동안 이어진 엄청난 티켓 재판매 현상 때문에 부당이득을 제한하기 위해 하와이 주 상원 의장 도나 메르카도 킴은 "브루노 마스법"으로 알려진 상원결의 12를 소개했다. "브루노 마스법"은 매표소에서 판매한 티켓을 48시간 내에 되팔 수 없게 하는 법이다. 하와이 주 상원은 이 법안을 통과 시켰다.
- 알렉시스 산체스와 닮았다는 의견이 많다.
- 가수답게 딕션이 좋고, 말을 유창하게 한다.
- 24K Magic World Tour의 일본 공연 중 여러 번 경고에도 불구하고 관중석 맨 앞줄에서 계속해서 셀카를 찍는 사람에게 화가 나 수건을 던졌는데 알고보니 '노자키 모에카'란 일본의 모델 겸 배우였다. 헌데 그녀는 브루노가 자신에게 선물을 준 것으로 착각해 #촬영한 동영상을 인터넷에 올렸다가 나중에 사태를 파악하고 삭제했다.
- 워낙 막강한 대중성을 보유한 가수이기도 하고, Just The Way You Are이나 Count On Me, 세서미 스트리트에서 부른 Don't Give Up같은 노래들은 가사가 희망차고 문법도 쉽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한국의 '영어시간 팝송'에 쓰이는 경우도 종종 있다.
- 관객들이 자신의 공연에서 핸드폰을 꺼내드는걸 굉장히 싫어하는걸로 유명하다. '핸드폰이 없는 관객 2명 앞에서 공연 vs 핸드폰을 들고 있는 관객 1000명 앞에서 공연'같은 극단적인 인터뷰 질문도 있을 정도. 공연 영상이 유출되는게 문제가 아니라 예전 시대처럼 공연은 가수와 관객이 함께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라는 모양이다. 사람들이 핸드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객 입장시 봉인된 파우치[26]에 넣어서 들어가게끔 한 공연도 있었다.
- 위와 같은 월드 투어의 스코틀랜드 공연 중 불꽃을 발사했는데 그게 무대쪽으로 튀면서 무대에 불이 붙어 공연을 잠시 중단했다.
- 예명 브루노 마스는 어린 시절 아버지가 "브루노 삼마르티노와 닮았다"며 붙여준 별명에서 유래되었다.
- 일본에서 인기가 굉장한데, 2023년에는 7일간이나 도쿄돔 공연을 했으며, 2024년에는 1월에만 도쿄돔을 5회나 공연할 정도이다. 티켓 경쟁도 엄청나다. 브루노 역시 SNS에서 일본에 각별히 애정을 보이거나# 콘서트에서 AKB48 노래를 원어로 부르는 등 일본 팬서비스가 무척 좋다. 돈키호테의 광고 모델로 활동하기도 했다.
- 함께 실크 소닉으로 활동하고 있는 앤더슨 팩의 평에 따르면 철저하게 머니 코드에 따른다고 한다. 어떻게 하면 잘 팔릴지 본능적으로 알고 있는 타입이라고. 브루노 마스 역시 팩과 함께 작업을 하는 이유로 자신과는 다른 자유분방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는 모습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 2024년 3월 14일(현지시간) 뉴스네이션 등 외신은 라스베이거스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현재 브루노 마스가 MGM 그랜드 카지노에 5000만 달러(약 669억원)의 도박 빚을 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MGM 관계자측에서 "브루노 마스는 우리에게 진 빚이 없다."고 발표하며 이는 곧 루머로 밝혀졌다. 당사자인 브루노 마스는 해당 루머에 대해 인스타 스토리로 농담을 하는 등 유쾌하게 넘기는 반응이다.
- 엄청 많은 숫자의 모자를 가지고 있다. 곱슬머리라서 모자를 쓰는 게 편하다고. 인터뷰에선 농담으로 모자를 7만8547개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
- 컴퓨터를 이용해서 노래를 만드는 것보다는 드럼과 피아노 기타 등 악기를 실제로 만져야 곡의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편이라고 한다. #
7. 둘러보기
브루노 마스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그래미 어워드 16회 수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최우수 팝 보컬 앨범상 | |||||||||||||||||||||||||||||||||||||||||||||||||||||||||||||||||||||||||||||||||||||||||||||||||||||||||||||||||||||||||||||||||||||||||||||||||||||||||||||||||||||||||||||||||||||||||||||||||||||||||||||||||||||||||||||||||||||||||||||||||||||||||||||||||||||||||||||||||||||||||||||||||||||||||||||||||||||||||||||||||||||||||||||||||||||||||||||||||||||||||||||||||||||||||||||||||||||||||||||||||||||||||||||||||||||||||||||||||||||||||||||||||||||||||||||||||||||||||||||||||||||||||||||||||||||||||||||||||||||||||
제55회 (2013년) | → | 제56회 (2014년) | → | 제57회 (2015년) | ||||||||||||||||||||||||||||||||||||||||||||||||||||||||||||||||||||||||||||||||||||||||||||||||||||||||||||||||||||||||||||||||||||||||||||||||||||||||||||||||||||||||||||||||||||||||||||||||||||||||||||||||||||||||||||||||||||||||||||||||||||||||||||||||||||||||||||||||||||||||||||||||||||||||||||||||||||||||||||||||||||||||||||||||||||||||||||||||||||||||||||||||||||||||||||||||||||||||||||||||||||||||||||||||||||||||||||||||||||||||||||||||||||||||||||||||||||||||||||||||||||||||||||||||||||||||||||||||||||||
Stronger 켈리 클락슨 | → | Unorthodox Jukebox 브루노 마스 | → | In The Lonely Hour 샘 스미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4년 빌보드에서 21세기 역사상 최고의 팝스타를 선정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와, 수상실적, 커리어, 뮤직비디오, SNS 화제성, 팬덤을 종합하여 산정한 리스트이다. #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욘세 | 테일러 스위프트 | 리한나 | 드레이크 | 레이디 가가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칸예 웨스트 | 저스틴 비버 | 아리아나 그란데 | 아델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어셔 | 에미넴 | 니키 미나즈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마일리 사이러스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JAY-Z | 샤키라 | 위켄드 | 방탄소년단 | 브루노 마스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릴 웨인 | 원디렉션 | 배드 버니 | 에드 시런 | 케이티 페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5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2000년 ~ 2024년을 통틀어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빌보드 핫 100과 빌보드 200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테일러 스위프트 | 드레이크 | 리한나 | 포스트 말론 | 에미넴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위켄드 | 비욘세 | 저스틴 비버 | 브루노 마스 | 어셔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마룬 5 | 아델 | 모건 월렌 | 에드 시런 | 케이티 페리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레이디 가가 | P!nk | 크리스 브라운 | 아리아나 그란데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일리 사이러스 | 앨리샤 키스 | 블랙 아이드 피스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넬리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니켈백 | 켈리 클락슨 | 머라이어 캐리 | JAY-Z | 릴 웨인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50 센트 | 켄드릭 라마 | 캐리 언더우드 | 브리트니 스피어스 | 빌리 아일리시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니키 미나즈 | 린킨 파크 | 이매진 드래곤스 | 루다크리스 | 루크 콤즈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Destiny's Child | 케니 체스니 | Future | Juice WRLD | T.I.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SZA | 에이브릴 라빈 | 래스컬 플래츠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트래비스 스캇 | 릴 베이비 | 콜드플레이 | 제니퍼 로페즈 | 배드 버니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플로 라이다 | Akon | 루크 브라이언 | 토비 키스 | 팀 맥그로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제이슨 알딘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해리 스타일스 | 레이디 에이 | 도자 캣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Creed | 마이클 부블레 | 두아 리파 | 샘 스미스 | 니요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아웃캐스트 | 케샤 | 카디 비 | R. 켈리 | 퍼기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3 Doors Down | 원디렉션 | 아샨티 | 셀레나 고메즈 | 블레이크 쉘튼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Ja Rule | Pitbull | Kid Rock | 트웬티 원 파일럿츠 | 제이 콜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 칼리드 | 션 폴 | Daughtry | *NSYNC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숀 멘데스 | 키스 어번 | 제이슨 데룰로 | 노라 존스 | 티페인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조쉬 그로반 | 그웬 스테파니 | 산타나 | 앨런 잭슨 | Fall Out Boy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엘튼 존 | 머라이어 캐리 | 마돈나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마이클 잭슨 | 테일러 스위프트 | 스티비 원더 | 시카고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휘트니 휴스턴 | 폴 매카트니 | 엘비스 프레슬리 | 자넷 잭슨 | 로드 스튜어트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드레이크 | 프린스 | 리한나 | 빌리 조엘 | 가스 브룩스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허브 앨퍼트 | 에미넴 | 어셔 |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 닐 다이아몬드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슈프림즈 | 이글스 | 비 지스 | 비치 보이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산타나 | 템테이션스 | 셀린 디옹 | 아레사 프랭클린 | 홀 앤 오츠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아델 | 비욘세 | 에릭 클랩튼 | 라이오넬 리치 | 레드 제플린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브루노 마스 | 존 덴버 | 마룬 5 | 올리비아 뉴튼 존 | 본 조비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필 콜린스 | 다이애나 로스 | 밥 딜런 | 존 멜렌캠프 | JAY-Z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도나 서머 | 니켈백 | 보이즈 투 멘 | 카펜터즈 | 저스틴 비버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레이디 가가 | 포리너 | 브리트니 스피어스 | 핑크 | 앨리샤 키스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케이티 페리 | 마일리 사이러스 | 잭슨 파이브 | 어스 윈드 앤 파이어 | 마빈 게이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U2 | 린다 론스태드 | 밴 헤일런 | 밥 시거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블랙 아이드 피스 | 넬리 | 캐롤 킹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몽키즈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케니 로저스 | 하트 | 팀 맥그로 | 배리 매닐로 | R. 켈리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저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이클 볼튼 | 에드 시런 | 켈리 클락슨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핑크 플로이드 | 퀸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칸예 웨스트 | 쓰리 도그 나이트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코모도스 | 폴라 압둘 | 브라이언 아담스 | 크리스 브라운 | 건즈 앤 로지스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데프 레파드 |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 린킨 파크 | 제임스 테일러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
<rowcolor=#fff> 101위 | 102위 | 103위 | 104위 | 105위 |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폴 사이먼 | 백스트리트 보이즈 | 릴 웨인 | 캐리 언더우드 | |||||
<rowcolor=#fff> 106위 | 107위 | 108위 | 109위 | 110위 | |||||
앤디 윌리엄스 | 스틱스 | 조지 마이클 | 셰어 | TLC | |||||
<rowcolor=#fff> 111위 | 112위 | 113위 | 114위 | 115위 | |||||
샤니아 트웨인 | 두비 브라더스 | 포 시즌스 | 피터 폴 앤 메리 | 케니 체스니 | |||||
<rowcolor=#fff> 116위 | 117위 | 118위 | 119위 | 120위 | |||||
데스티니스 차일드 | 50 센트 | 레이 찰스 | 제네시스 | 더 폴리스 | |||||
<rowcolor=#fff> 121위 | 122위 | 123위 | 124위 | 125위 | |||||
래스컬 플래츠 | 루다크리스 | 글로리아 에스테판 | 조지 해리슨 | 앨런 잭슨 | |||||
출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마돈나 | 엘튼 존 | 엘비스 프레슬리 | 머라이어 캐리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스티비 원더 | 자넷 잭슨 | 마이클 잭슨 | 휘트니 휴스턴 | 리한나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드레이크 | 롤링 스톤스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어셔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시카고 | 슈프림즈 | 프린스 | 홀 앤 오츠 | 로드 스튜어트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테일러 스위프트 | 올리비아 뉴튼 존 | 아레사 프랭클린 | 마룬 5 | 마빈 게이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케이티 페리 | 필 콜린스 | 빌리 조엘 | 브루노 마스 | 다이애나 로스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포 시즌스 | 템테이션스 | 도나 서머 | 비치 보이스 | 라이오넬 리치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저스틴 비버 | 잭슨 파이브 | 보이즈 투 멘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코니 프랜시스 | 브렌다 리 | 더 위켄드 | 비욘세 | 크리스 브라운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케니 로저스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브라이언 아담스 | 셰어 | 블랙 아이드 피스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조지 마이클 | 핑크 | 바비 빈튼 | 존 멜렌캠프 | 레이디 가가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쓰리 도그 나이트 |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 본 조비 | 처비 체커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레이 찰스 | 포리너 | 쿨 & 더 갱 |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 리키 넬슨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듀란 듀란 | 저스틴 팀버레이크 | 코모도스 | 이글스 | TLC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폴 앵카 | 에미넴 | 배리 매닐로 | 디안 워윅 | 넬리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하트 | 포스트 말론 | 아리아나 그란데 | 에벌리 브라더스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바비 다린 | R. 켈리 | 제임스 브라운 | 폴라 압둘 | 켈리 클락슨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앨리샤 키스 | 에드 시런 | 린다 론스태드 | 리처드 막스 | 데스티니스 차일드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셀린 디옹 | JAY-Z | 미라클스 | 디온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 닐 세다카 |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 포인터 시스터스 | 존 덴버 | |
출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엘튼 존 | 엘비스 프레슬리 | 스티비 원더 | 마이클 잭슨 | 폴 매카트니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어셔 | 프린스 | 로드 스튜어트 | 드레이크 | 마빈 게이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필 콜린스 | 빌리 조엘 | 라이오넬 리치 | 브루노 마스 | 닐 다이아몬드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케니 로저스 | 브라이언 아담스 | 조지 마이클 | 바비 빈튼 | 존 멜렌캠프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처비 체커 | 레이 찰스 | 크리스 브라운 | 리키 넬슨 | 저스틴 팀버레이크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폴 앵카 | 배리 매닐로 | 넬리 | 바비 다린 | R. 켈리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제임스 브라운 | 에미넴 | 리처드 막스 | 칸예 웨스트 | JAY-Z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밥 시거 | 닐 세다카 | 저스틴 비버 | 브루스 스프링스틴 | 존 덴버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50 센트 | 플로 라이다 | 앤디 깁 | 로이 오비슨 | 디온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빌리 오션 | 토미 제임스 | 존 레논 | 브룩 벤턴 | 마이클 볼튼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릴 웨인 | 바비 브라운 | 에드 시런 | 루다크리스 | 에릭 클랩튼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쟈니 리버스 | 글렌 캠벨 | 릭 스프링필드 | T.I. | 더 위켄드 | |||||
출처 | }}}}}}}}} |
| 스포티파이 역사상 가장 많이 재생된 가수 17위 |
역대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
| ||||
올해의 아티스트 | ||||
제44회 (2016년) | → | 제45회 (2017년) | → | 제46회 (2018년) |
아리아나 그란데 | → | 브루노 마스 | → | 테일러 스위프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ccc> | 브릿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작 Brit Award for Song of the Year (2000 ~ 20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 | - | - | - | - | |
She's the One | Rock DJ | Don't Stop Movin' | Just a Little | White Flag | |
로비 윌리엄스 | S Club 7 | Liberty X | Dido | ||
<rowcolor=#fff>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 - | - | |||
Your Game | Speed of Sound | Patience | Shine | The Promise | |
Will Young | 콜드플레이 | 테이크 댓 | 걸스 얼라우드 | ||
<rowcolor=#fff>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 | - | ||||
Beat Again | Pass Out | What Makes You Beautiful | Skyfall | Waiting All Night | |
JLS | 타이니 템파 | 원 디렉션 | 아델 | Rudimental | |
<rowcolor=#fff>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Uptown Funk | Hello | Shout Out to My Ex | Human | One Kiss | |
마크 론슨, 브루노 마스 | 아델 | 리틀 믹스 | Rag'n'Bone Man | 캘빈 해리스, 두아 리파 | |
'''' ← '''' → '''' | |||||
같이보기 : 영국 - 앨범, 싱글, 남성, 여성, 그룹, 신인 | }}}}}}}}} |
}}} ||
[1] 필리핀 출신이다. 2013년 6월 1일 뇌동맥류 합병증으로 사망 하였다.[2] 6남매 중 넷째이자 차남이다.[3] 둘은 공연장에서 만나 사랑에 빠졌다고 한다.[4] 물론 항상 완벽한 공연을 선보이는 건 아니었는데, 5살 때 엘비스의 'Can't Help Falling in Love'를 공연하는 동안 무대에서 소변을 본 흑역사가 있다.[5] 문신 가게와 기념품 가게.[6] 닥터 드레가 1996년에 설립한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A&R 책임자이다.[7] 오죽하면 브루노에게 스페인어로 노래하라고 강요하기까지 했다.[8] 당시 마스는 무명 가수에 가까웠기에 파파라치가 당시에도 잘 나가는 스타였던 피트 웬츠만을 찍은 것이다.[9] 다만 위켄드는 본인이 하는 장르가 마이클 잭슨이 생전 하던 음악/퍼포먼스와는 거리가 있기에, 직관적으로 더 마이클 잭슨에 와닿는 가수는 브루노 마스다. 실제로도 브루노 마스는 마이클 잭슨의 엄청난 팬이기도 하다.[10] 1위 Drake, 2위 테일러 스위프트[11] 국내에도 유명한 곡이지만 뮤직비디오가 없다. 이 곡은 유튜브의 이동영상으로 인해 프로포즈 곡으로 유명해졌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프로포즈 대표송이라 불릴 정도로 유명해졌다. 그런데 정작 가사 내용을 보면 '다음날 아침에 그냥 깨져도 좋아. 너 잘못은 아니야. 그래도 즐거웠어'라는 부분 때문에 모종의 장난 형식의 구혼을 하는 노래라는 의견도 있다.[12] Twilight Saga - Breaking Dawn Part 1 OST[13] 10번트랙 'All I Ask'의 프로듀서로서 수상[C] 총 9관왕[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C] [불참] [23] 미국 연예계에서는 대한민국과 비교가 민망한 수준으로 스케일 큰 논란들을 가진 연예인들이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사생활이 커리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편이 아니라서 크게 문제시 되지 않는다.[24] 남동생이라고 되어 있었는데 실제로는 9살 터울의 형이다.[25] 아래의 인물은 짐 클래스 히어로즈(Gym Class Heroes)의 보컬이자 케이티 페리의 전 남자친구로 알려진 트래비 맥코이이다. 브루노가 Billionaire라는 노래를 피처링 해준 적이 있다.[26] 원래 미국 학교에서 사용하는 물건이다. 핸드폰을 압수까지는 하지 않고서 사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방법. 여담으로 이걸 공연에서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한 아티스트는 잭 화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