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8:06:29

구스타보 두다멜

구스타보 두다멜의 주요 수상 및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파일:B89754FA-DF93-4061-9D57-76D93F496678.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도이치 그라모폰 소속 주요 음악가
클라우디오 아바도 마르타 아르헤리치 세르게이 바바얀
다니엘 바렌보임 리사 바티아슈빌리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레너드 번스타인 윱 베빙 라파우 블레하츠
피에르 불레즈 조성진 칙 코리아
플라시도 도밍고 구스타보 두다멜 존 엘리엇 가디너
데이비드 가렛 힐러리 한 다니엘 하딩
히사이시 조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예브게니 키신 김봄소리 카를로스 클라이버
기돈 크레머 랑랑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윈디 브루스 리우 안네 소피 무터
안드리스 넬슨스 박혜상 마리아 조앙 피레스
마우리치오 폴리니 막스 리히터 야니크 네제 세갱
그리고리 소콜로프 스팅 다닐 트리포노프
유자 왕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존 윌리엄스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이 외의 소속 음악가들은 공식 사이트 참조, 성씨 알파벳순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
이름구스타보 두다멜
Gustavo Dudamel
분야음악(라이브 퍼포먼스)
위치6752 Hollywood Blvd.}}}
Gustavo Dudamel
파일:Gustavo-Dudamel-Conducting-Vienna-Philharmonic-Orchestra.webp
본명Gustavo Adolfo Dudamel Ramírez
출생1981년 1월 26일 ([age(1981-01-26)]세)
바르키시메토
국적
[[베네수엘라|]][[틀:국기|]][[틀:국기|]]
직업지휘자
활동 시기1999년 ~ 현재
장르클래식(고전 음악)
주요 경력엘 시스테마 단원
시몬 볼리바르 교향악단 음악감독(1999~)
LA 필하모닉 음악감독(2009~)
예테보리 교향악단 수석지휘자(2007~2012)
링크www.gustavodudamel.com

1. 개요2. 지휘 및 연주 영상3. 생애
3.1. 어린 시절3.2. 지휘 활동
4. 지휘 스타일 및 평가5. 사생활

1. 개요

파일:attachment/dudamel.jpg
배우 아닙니다. 락커도 아닙니다.

베네수엘라 출신의 클래식 지휘자.

2. 지휘 및 연주 영상

모리스 라벨 - 볼레로
2012년에 런던에서 열린 소규모 파티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모습.
연주곡은 초기 아르헨티나 탱고의 명곡인 엘 초클로(El Choclo)다.
신세계로부터 제 4 악장. 교황 베네딕토 16세 앞에서 지휘했다.

3. 생애

3.1. 어린 시절

베네수엘라 서북부의 바르키시메토라는 소도시의 평범한 중산층 집안 출신으로, 열 살때부터 청소년 무료 음악교육 프로그램인 '엘 시스테마(El Sistema)' 에 참가해 바이올린 교습을 받기 시작했다. 이어 바르키시메토 청소년 관현악단과 베네수엘라 국립 어린이 관현악단의 제1바이올린 주자가 되었고, 특히 국립 어린이 관현악단 단원으로 여러 나라를 순회 공연하면서 펠릭스 아요[1] 같은 대가 바이올리니스트들과 비발디의 '두 대의 바이올린 협주곡' 을 협연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열네 살 때인 1995년 부터는 바이올린 외에 작곡과 지휘도 본격적으로 배웠고, 여러 곡의 협주곡이나 서곡 등을 작곡하기도 했다. 하지만 가장 큰 관심은 지휘에 있었고, 이후 바르키시메토 실내 관현악단과 라라 주 청소년 관현악단의 부지휘자 등을 거쳐 1999년에 시몬 볼리바르 청소년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이 되었다. 불과 열일곱 살에. 그런데 이게 베네수엘라에서는 절대로 드문 일이 아니다!.

3.2. 지휘 활동

시몬 볼리바르 관현악단 음악 감독 취임 직후 라틴아메리카유럽 등지에 악단을 이끌고 공연을 다니면서 사이먼 래틀이나 클라우디오 아바도 같은 네임드 지휘자들의 주목을 끌기 시작했고, 2004년에는 독일밤베르크 교향악단 주최로 열리는 지휘자 경연대회인 '구스타프 말러 국제 지휘 콩쿠르' 에서 우승하면서 제대로 인기상승 테크트리를 타기 시작했다.[2] 더불어 엘 시스테마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도 높아졌고, 관련 다큐멘터리도 꽤 여러 편 제작되었다.

이후 웬만한 중견 지휘자들 뺨치는 분주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데, 유럽미국 각지의 메이저급 관현악단 공연에 객원 지휘자로 자주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2007년과 2008년부터는 각각 세계구급 본좌 관현악단들인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까지 지휘하기 시작했다. 2007년에 스웨덴예테보리 교향악단 수석 지휘자가 되면서 해외 관현악단에서 첫 공식 직책을 보유하게 되었다.

2008년 12월에는 시몬 볼리바르 청소년 관현악단을 이끌고 첫 내한 공연을 가졌는데, 이 때 엘 시스테마 프로그램에 참가해 지휘를 가르쳐준 한국인 지휘자 곽승[3]을 만났다. 앙코르 때는 자기가 입고 있던 베네수엘라 국기 문양의 점퍼도 선물하는 등 훈훈한 사제 관계를 과시했다.영상

2009년에는 미국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음악 감독으로도 취임했는데,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미국 서부 지방에서는 공식 부임 전부터 굉장한 인기를 자랑했다고 한다. 예테보리 교향악단의 직책은 2012년에 사임했지만, 로스앤젤레스 필과 시몬 볼리바르 청소년 관현악단의 직책은 2017년 현재도 계속 유지하고 있다.

2005년부터 세계적인 클래식 음반사인 도이체 그라모폰 전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고, 이듬해 데뷰 음반으로 낸 베토벤의 교향곡 5번7번을 시작으로 여러 장의 CDDVD, 디지털 다운로드 음원들을 내놓고 있다. 음반사 측도 아직 발전도상에 있는 지휘자로 인식하고 있는지, 리드미컬하고 색채적인 레퍼토리 위주로 작업하는 듯 하다. 2010년대부터는 시몬 볼리바르 교향악단과 바그너의 오페라 발췌 관현악곡집과 베토벤의 교향곡 1~9번 전곡 녹음을 자주 제작 음원 형태로 음원 다운로드/스트리밍 시장에 내놓고 있다.

클래식 지휘 활동 외에도 영화음악 작업을 종종 하고 있는데, 2013년시몬 볼리바르의 라틴아메리카 해방 운동 일대기를 소재로 제작된 베네수엘라와 스페인의 합작 영화 '해방자(Libertador)'의 OST를 직접 작곡하고 시몬 볼리바르 교향악단과 합창단, 어린이 합창단 등을 지휘해 녹음했다. 로스앤젤레스 필의 음악 감독으로 재직하면서 존 윌리엄스와도 많은 친분을 쌓았고, 2015년에 개봉한 스타워즈 7편의 OST 녹음 현장에도 특별 초빙되어 오프닝과 엔딩 곡을 지휘했다. 관련 기사 두다멜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존 윌리엄스는 우리 시대의 모차르트다. 존 윌리엄스의 곡을 지휘하게 되어 영광이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2017년에는 빈 필하모닉의 연례 이벤트 공연 중 하나인 신년음악회에 역대 최연소(35세) 지휘자로 출연했다.

2019년 1월에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하면서 자국의 정치위기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했다. 대규모 시위가 예정되어 있었던 1월 23일을 중요한 날이라 언급하면서 우회적으로 반 마두로 시위대에 지지를 표했다. 사실 그 전부터 니콜라스 마두로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던 사람 중 하나였다.관련 기사

2019년 3월에 LA 필하모닉을 이끌고 내한할 예정이다. 중국 피아니스트 유자 왕과 함께 존 아담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하고 구스타프 말러 교향곡 1번 "거인"을 연주할 예정이다.

4. 지휘 스타일 및 평가

라틴아메리카 출신 지휘자답게 차가운 도시 남자도 훅가게 만들 정도로 기백과 열정이 돋보이는 음악 만들기로 유명하며, 지휘자로서는 햇병아리인 나이에도 불구하고 레퍼토리 폭도 대단히 넓어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는 인물이다.

특히 모국인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중남미 출신 작곡가들의 작품 해석은 작살나게 좋다고 말할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알베르토 히나스테라, 멕시코아르투로 마르케스, 동향인 작곡가 이노센테 카레뇨에벤시오 카스테야노스 등의 작품들이 대표적인데, 특히 마르케스의 단손(Danzón) 제2번은 두다멜이 세계 무대에서 여러 차례 공연해 유명해진 곡이다. 이 느낌이 궁금하다면 유튜브에서 레너드 번스타인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수록곡인 '맘보'의 지휘를 보자. 오케스트라가 아니라 파티...https://www.youtube.com/watch?v=NYvEvP2cmdk

다만 오페라 무대 쪽에서는 아직 경험 부족인지 호불호가 많이 엇갈리고 있고, 말러베토벤, 브람스, 브루크너 같은 독일계 작곡가들의 묵직한 대곡을 연주할 때는 아직 깊이가 부족하다고 종종 까인다. 하지만 두다멜의 독일 작곡가 음악에 대한 해석이 새로운 시도라고 옹호하는 시각도 있긴 하다.

5. 사생활

파일:attachment/dudamelandmaturen.jpg
두다멜과 엘로이사 마투렌의 2006년 사진
아직 30대 중반이고 외모도 곱슬머리 간지와 함께 꽤 출중한 편이라 여성팬들도 많다는데, 미혼은 아니고 2006년에 오랫동안 사귀어온 여자친구 엘로이사 마투렌과 결혼식을 올린 유부남이다. 미인 천국이라는 베네수엘라 여성답게 부인 쪽의 스펙도 꽤 높다. 마투렌과는 2011년에 미국 시민권을 가진 외동아들을 뒀지만, 2015년 3월에 무슨 이유인지 이혼하고 2017년 3월에 스페인 출신의 배우인 마리아 발베르데와 재혼했다. 다만 아들의 양육권은 마투렌에게 넘겨받았는지, 재혼 이후에도 계속 로스앤젤레스의 자택에서 키우고 있다고 한다.


[1] 스페인 출신의 이탈리아 바이올리니스트. 현악 합주단인 이 무지치와 함께 비발디사계를 녹음한 음반이 대박나서 이 곡의 유명세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2] 사실 그 때까지만 해도 콩쿠르 자체는 그다지 큰 지명도가 없었지만, 두다멜 입상 이후 지원자가 급증했다고 한다.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인 성시연도 이 콩쿠르 입상자 출신.[3] 엘 시스테마의 지도 강사로 초빙 중인 음악인들 중 유일한 한국인으로, 서울시립교향악단부산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교향악단에서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