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13:07:09

베네딕토 16세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cb400, #ffe100 20%, #ffe100 80%, #ccb400);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1-6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if 교황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베드로]]
#!wiki 
[[리노(교황)|리노]]
#!wiki 
[[아나클레토]]
#!wiki 
[[클레멘스 1세]]
#!wiki 
[[에바리스토]]
<nopad>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wiki 
[[알렉산데르 1세]]
#!wiki 
[[식스토 1세]]
#!wiki 
[[텔레스포로]]
#!wiki 
[[히지노]]
#!wiki 
[[비오 1세]]
<nopad>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wiki 
[[아니체토]]
#!wiki 
[[소테르]]
#!wiki 
[[엘레우테리오]]
#!wiki 
[[빅토르 1세]]
#!wiki 
[[제피리노]]
<nopad>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wiki 
[[갈리스토 1세]]
#!wiki 
[[우르바노 1세]]
#!wiki 
[[폰시아노]]
#!wiki 
[[안테로]]
#!wiki 
[[파비아노]]
<nopad>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wiki 
[[고르넬리오]]
#!wiki 
[[루치오 1세]]
#!wiki 
[[스테파노 1세]]
#!wiki 
[[식스토 2세]]
#!wiki 
[[디오니시오(교황)|디오니시오]]
<nopad>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wiki 
[[펠릭스 1세]]
#!wiki 
[[에우티키아노]]
#!wiki 
[[카이오(교황)|카이오]]
#!wiki 
[[마르첼리노]]
#!wiki 
[[마르첼로 1세]]
<nopad>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wiki 
[[에우세비오]]
#!wiki 
[[멜키아데]]
#!wiki 
[[실베스테르 1세]]
#!wiki 
[[마르코(교황)|마르코]]
#!wiki 
[[율리오 1세]]
<nopad>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wiki 
[[리베리오]]
#!wiki 
[[다마소 1세]]
#!wiki 
[[시리치오]]
#!wiki 
[[아나스타시오 1세]]
#!wiki 
[[인노첸시오 1세]]
<nopad>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wiki 
[[조시모]]
#!wiki 
[[보니파시오 1세]]
#!wiki 
[[첼레스티노 1세]]
#!wiki 
[[식스토 3세]]
#!wiki 
[[레오 1세(교황)|레오 1세]]
<nopad>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힐라리오]]
#!wiki 
[[심플리치오]]
#!wiki 
[[펠릭스 3세]]
#!wiki 
[[젤라시오 1세]]
#!wiki 
[[아나스타시오 2세]]
<nopad>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심마코]]
#!wiki 
[[호르미스다]]
#!wiki 
[[요한 1세]]
#!wiki 
[[펠릭스 4세]]
#!wiki 
[[보니파시오 2세]]
<nopad>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요한 2세]]
#!wiki 
[[아가피토 1세]]
#!wiki 
[[실베리오]]
#!wiki 
[[비질리오]]
#!wiki 
[[펠라지오 1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61-12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요한 3세(교황)|요한 3세]]
#!wiki 
[[베네딕토 1세]]
#!wiki 
[[펠라지오 2세]]
#!wiki 
[[그레고리오 1세]]
#!wiki 
[[사비니아노]]
<nopad>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보니파시오 3세]]
#!wiki 
[[보니파시오 4세]]
#!wiki 
[[아데오다토 1세]]
#!wiki 
[[보니파시오 5세]]
#!wiki 
[[호노리오 1세]]
<nopad>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세베리노]]
#!wiki 
[[요한 4세]]
#!wiki 
[[테오도로 1세]]
#!wiki 
[[마르티노 1세]]
#!wiki 
[[에우제니오 1세]]
<nopad>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wiki 
[[비탈리아노]]
#!wiki 
[[아데오다토 2세]]
#!wiki 
[[도노(교황)|도노]]
#!wiki 
[[아가토]]
#!wiki 
[[레오 2세]]
<nopad>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wiki 
[[베네딕토 2세]]
#!wiki 
[[요한 5세]]
#!wiki 
[[코논]]
#!wiki 
[[세르지오 1세]]
#!wiki 
[[요한 6세]]
<nopad>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wiki 
[[요한 7세]]
#!wiki 
[[시신니오]]
#!wiki 
[[콘스탄티노]]
#!wiki 
[[그레고리오 2세]]
#!wiki 
[[그레고리오 3세]]
<nopad>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wiki 
[[자카리아]]
#!wiki 
[[스테파노 2세]]
#!wiki 
[[바오로 1세]]
#!wiki 
[[스테파노 3세]]
#!wiki 
[[하드리아노 1세]]
<nopad>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wiki 
[[레오 3세]]
#!wiki 
[[스테파노 4세]]
#!wiki 
[[파스칼 1세]]
#!wiki 
[[에우제니오 2세]]
#!wiki 
[[발렌티노(교황)|발렌티노]]
<nopad>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wiki 
[[그레고리오 4세]]
#!wiki 
[[세르지오 2세]]
#!wiki 
[[레오 4세]]
#!wiki 
[[베네딕토 3세]]
#!wiki 
[[니콜라오 1세]]
<nopad>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wiki 
[[하드리아노 2세]]
#!wiki 
[[요한 8세]]
#!wiki 
[[마리노 1세]]
#!wiki 
[[하드리아노 3세]]
#!wiki 
[[스테파노 5세]]
<nopad>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wiki 
[[포르모소]]
#!wiki 
[[보니파시오 6세]]
#!wiki 
[[스테파노 6세]]
#!wiki 
[[로마노]]
#!wiki 
[[테오도로 2세]]
<nopad>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wiki 
[[요한 9세]]
#!wiki 
[[베네딕토 4세]]
#!wiki 
[[레오 5세]]
#!wiki 
[[세르지오 3세]]
#!wiki 
[[아나스타시오 3세]]
<keepall><nopad> 미즉위(제91·92대 사이)
#!wiki 
[[교황 선출자 스테파노|스테파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121-18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wiki 
[[란도(교황)|란도]]
#!wiki 
[[요한 10세]]
#!wiki 
[[레오 6세]]
#!wiki 
[[스테파노 7세]]
#!wiki 
[[요한 11세]]
<nopad> 제126대 제127대 제128대 제129대 제130대
#!wiki 
[[레오 7세]]
#!wiki 
[[스테파노 8세]]
#!wiki 
[[마리노 2세]]
#!wiki 
[[아가피토 2세]]
#!wiki 
[[요한 12세]]
<nopad> 제131대 제132대 제133대 제134대 제135대
#!wiki 
[[베네딕토 5세]]
#!wiki 
[[레오 8세]]
#!wiki 
[[요한 13세]]
#!wiki 
[[베네딕토 6세]]
#!wiki 
[[베네딕토 7세]]
<nopad> 제136대 제137대 제138대 제139대 제140대
#!wiki 
[[요한 14세]]
#!wiki 
[[요한 15세]]
#!wiki 
[[그레고리오 5세]]
#!wiki 
[[실베스테르 2세]]
#!wiki 
[[요한 17세]]
<nopad> 제141대 제142대 제143대 제144대 제145대
#!wiki 
[[요한 18세]]
#!wiki 
[[세르지오 4세]]
#!wiki 
[[베네딕토 8세]]
#!wiki 
[[요한 19세]]
#!wiki 
[[베네딕토 9세]]
<nopad> 제146대 제147대 제148대 제149대 제150대
#!wiki 
[[실베스테르 3세]]
#!wiki 
[[베네딕토 9세]]
#!wiki 
[[그레고리오 6세]]
#!wiki 
[[클레멘스 2세]]
#!wiki 
[[베네딕토 9세]]
<nopad> 제151대 제152대 제153대 제154대 제155대
#!wiki 
[[다마소 2세]]
#!wiki 
[[레오 9세]]
#!wiki 
[[빅토르 2세]]
#!wiki 
[[스테파노 9세]]
#!wiki 
[[니콜라오 2세]]
<nopad> 제156대 제157대 제158대 제159대 제160대
#!wiki 
[[알렉산데르 2세]]
#!wiki 
[[그레고리오 7세]]
#!wiki 
[[빅토르 3세]]
#!wiki 
[[우르바노 2세]]
#!wiki 
[[파스칼 2세]]
<nopad> 제161대 제162대 제163대 제164대 제165대
#!wiki 
[[젤라시오 2세]]
#!wiki 
[[갈리스토 2세]]
#!wiki 
[[호노리오 2세]]
#!wiki 
[[인노첸시오 2세]]
#!wiki 
[[첼레스티노 2세]]
<nopad> 제166대 제167대 제168대 제169대 제170대
#!wiki 
[[루치오 2세]]
#!wiki 
[[에우제니오 3세]]
#!wiki 
[[아나스타시오 4세]]
#!wiki 
[[하드리아노 4세]]
#!wiki 
[[알렉산데르 3세]]
<nopad> 제171대 제172대 제173대 제174대 제175대
#!wiki 
[[루치오 3세]]
#!wiki 
[[우르바노 3세]]
#!wiki 
[[그레고리오 8세]]
#!wiki 
[[클레멘스 3세]]
#!wiki 
[[첼레스티노 3세]]
<nopad> 제176대 제177대 제178대 제179대 제180대
#!wiki 
[[인노첸시오 3세]]
#!wiki 
[[호노리오 3세]]
#!wiki 
[[그레고리오 9세]]
#!wiki 
[[첼레스티노 4세]]
#!wiki 
[[인노첸시오 4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181-24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제181대 제182대 제183대 제184대 제185대
#!wiki 
[[알렉산데르 4세]]
#!wiki 
[[우르바노 4세]]
#!wiki 
[[클레멘스 4세]]
#!wiki 
[[그레고리오 10세]]
#!wiki 
[[인노첸시오 5세]]
<nopad> 제186대 제187대 제188대 제189대 제190대
#!wiki 
[[하드리아노 5세]]
#!wiki 
[[요한 21세]]
#!wiki 
[[니콜라오 3세]]
#!wiki 
[[마르티노 4세]]
#!wiki 
[[호노리오 4세]]
<nopad> 제191대 제192대 제193대 제194대 제195대
#!wiki 
[[니콜라오 4세]]
#!wiki 
[[첼레스티노 5세]]
#!wiki 
[[보니파시오 8세]]
#!wiki 
[[베네딕토 11세]]
#!wiki 
[[클레멘스 5세]]
<nopad> 제196대 제197대 제198대 제199대 제200대
#!wiki 
[[요한 22세]]
#!wiki 
[[베네딕토 12세]]
#!wiki 
[[클레멘스 6세]]
#!wiki 
[[인노첸시오 6세]]
#!wiki 
[[우르바노 5세]]
<nopad> 제201대 제202대 제203대 제204대 제205대
#!wiki 
[[그레고리오 11세]]
#!wiki 
[[우르바노 6세]]
#!wiki 
[[보니파시오 9세]]
#!wiki 
[[인노첸시오 7세]]
#!wiki 
[[그레고리오 12세]]
<nopad> 제206대 제207대 제208대 제209대 제210대
#!wiki 
[[마르티노 5세]]
#!wiki 
[[에우제니오 4세]]
#!wiki 
[[니콜라오 5세]]
#!wiki 
[[갈리스토 3세]]
#!wiki 
[[비오 2세]]
<nopad> 제211대 제212대 제213대 제214대 제215대
#!wiki 
[[바오로 2세]]
#!wiki 
[[식스토 4세]]
#!wiki 
[[인노첸시오 8세]]
#!wiki 
[[알렉산데르 6세]]
#!wiki 
[[비오 3세]]
<nopad> 제216대 제217대 제218대 제219대 제220대
#!wiki 
[[율리오 2세]]
#!wiki 
[[레오 10세]]
#!wiki 
[[하드리아노 6세]]
#!wiki 
[[클레멘스 7세]]
#!wiki 
[[바오로 3세]]
<nopad> 제221대 제222대 제223대 제224대 제225대
#!wiki 
[[율리오 3세]]
#!wiki 
[[마르첼로 2세]]
#!wiki 
[[바오로 4세]]
#!wiki 
[[비오 4세]]
#!wiki 
[[비오 5세]]
<nopad> 제226대 제227대 제228대 제229대 제230대
#!wiki 
[[그레고리오 13세]]
#!wiki 
[[식스토 5세]]
#!wiki 
[[우르바노 7세]]
#!wiki 
[[그레고리오 14세]]
#!wiki 
[[인노첸시오 9세]]
<nopad> 제231대 제232대 제233대 제234대 제235대
#!wiki 
[[클레멘스 8세]]
#!wiki 
[[레오 11세]]
#!wiki 
[[바오로 5세]]
#!wiki 
[[그레고리오 15세]]
#!wiki 
[[우르바노 8세]]
<nopad> 제236대 제237대 제238대 제239대 제240대
#!wiki 
[[인노첸시오 10세]]
#!wiki 
[[알렉산데르 7세]]
#!wiki 
[[클레멘스 9세]]
#!wiki 
[[클레멘스 10세]]
#!wiki 
[[인노첸시오 11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241대 이후]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41대 제242대 제243대 제244대 제245대
#!wiki 
[[알렉산데르 8세]]
#!wiki 
[[인노첸시오 12세]]
#!wiki 
[[클레멘스 11세]]
#!wiki 
[[인노첸시오 13세]]
#!wiki 
[[베네딕토 13세]]
<nopad> 제246대 제247대 제248대 제249대 제250대
#!wiki 
[[클레멘스 12세]]
#!wiki 
[[베네딕토 14세]]
#!wiki 
[[클레멘스 13세]]
#!wiki 
[[클레멘스 14세]]
#!wiki 
[[비오 6세]]
<nopad> 제251대 제252대 제253대 제254대 제255대
#!wiki 
[[비오 7세]]
#!wiki 
[[레오 12세]]
#!wiki 
[[비오 8세]]
#!wiki 
[[그레고리오 16세]]
#!wiki 
[[비오 9세]]
<nopad> 제256대 제257대 제258대 제259대 제260대
#!wiki 
[[레오 13세]]
#!wiki 
[[비오 10세]]
#!wiki 
[[베네딕토 15세]]
#!wiki 
[[비오 11세]]
#!wiki 
[[비오 12세]]
<nopad> 제261대 제262대 제263대 제264대 제265대
#!wiki 
[[요한 23세]]
#!wiki 
[[바오로 6세]]
#!wiki 
[[요한 바오로 1세]]
#!wiki 
[[요한 바오로 2세]]
#!wiki 
[[베네딕토 16세]]
<nopad> 제266대 제267대
#!wiki 
[[프란치스코(교황)|프란치스코]]
#!wiki 
[[레오 14세]]
}}}}}}}}}}}}}}}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265_benedetto_XVI.png
제264대 성 요한 바오로 2세 제265대 베네딕토 16세 제266대 프란치스코
<colbgcolor=#ffe100,#ffe100><colcolor=#670000,#670000>
제265대 교황
베네딕토 16세
Benedictus XVI
파일:제265대 교황 베네딕토 16세.jpg
출생 1927년 4월 16일
바이마르 공화국 바이에른주 마르크틀암인
(現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바이에른 마르크틀암인)
사망 2022년 12월 31일 (향년 95세)
바티칸 교회의 어머니 수도원
재위기간 제265대 교황
2005년 4월 19일 ~ 2013년 2월 28일 (7년 10개월 10일)
서명
파일:베네딕토 16세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e100,#ffe100><colcolor=#670000,#670000> 본명 요제프 알로이지우스 라칭거
(Joseph Aloisius Ratzinger)
가족 아버지 요제프 라칭거
어머니 마리아 라칭거
형 게오르크 라칭거
학력 뮌헨 대학교 (신학 / 박사)
사제수품일 1951년 6월 29일
묘소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1]
신체 175cm }}}}}}}}}
파일:제265대 교황 베네딕토 16세 공식 초상화.jpg
공식 초상화

1. 개요2. 문장3. 생애4. 평가5. 기타
5.1. 인터넷 밈
6. 각종 기록7. 가족 관계8. 대중 매체9. 어록10. 교황 문헌
10.1. 회칙10.2. 교황 교서10.3. 교황 권고10.4. 서한
11. 둘러보기

1. 개요

교황 선출 직후 첫 강복을 하는 베네딕토 16세
Cooperatores Veritatis
진리의 협력자

사목표어
가톨릭의 제265대 교황.

2. 문장

파일:교황 베네딕토 16세 문장.svg 파일:라칭거 추기경 문장.svg
<rowcolor=#670000,#670000> 교황 즉위 이후 문장 추기경 시절 문장
교황 문장의 필수요소로 쓰이던 교황 삼층관(papal tiara)을 3줄의 줄무늬가 그려진 소박한 일반 주교 모관(mitra)으로 교체한 최초의 교황이다.[2] 후임자인 프란치스코와 레오 14세 역시 베네딕토 16세를 따라 자신의 문장에 삼층관이 아닌 주교 모관을 그려넣었다.

중앙에는 성 아우구스티노를 상징하는 조개, 프라이징 교구장 시절을 나타내는 무어인과 등에 짐을 진 곰이 그려져 있다.

하단에 주교가 어깨에 걸치는 장식인 팔리움이 그려진 것이 특이한데, 팔리움은 양을 돌보는 '착한 목자'의 멍에를 상징하며, 주교로서의 책임과 권위를 나타낸다.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네딕토 16세/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딕토 16세/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딕토 16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교황 선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05년 콘클라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5년 콘클라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5년 콘클라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재위기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네딕토 16세/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딕토 16세/생애#s-8|8]]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딕토 16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교황께서는) 허영이나 교만은 전혀 없이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분이다. 스스로 교회를 위해 진정 어린 시중을 들려 했고, 자신의 입을 통해 성령의 말씀을 신자들과 함께 들일 수 있기를 충심으로 바라는 분이다.

페터 제발트[3]
신학자 출신 교황으로,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가톨릭 신학자 그룹에[4] 꼽힐 정도의 걸출한 석학으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재위 기간에 오랫동안 교황청신앙교리부 장관직을 맡았고 평생 정통 가톨릭 신앙 수호에 매진해 왔다.

8년간 재위하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2013년 85세의 나이로 자진 퇴위하였는데, 교황은 종신직이기에 일반적으로 생전 퇴위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퇴위 이후에는 '명예교황'이라는 뜻의 'Pope Emeritus'[5]로 불렸으나 2022년 사망하기 전까지 집필과 기도 등으로 소일하며 조용히 지내면서 후임자의 권한 행사에 일절 개입하지 않았다.

비록 일반 대중 사이의 인기는 전임자후임자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의 신앙과 믿음, 학문적 깊이와 성품, 신조를 아는 많은 신자들로부터 퇴위한 이후까지도 상당한 존경을 받고 있다. 이는 전임자와 후임자가 교황이 되기 전부터 사목자로서 정치,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활동을 많이 펼쳤던 반면, 베네딕토 16세는 신학자 요제프 라칭거로서 활동해온 이유로 대중적 주목을 덜 받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신앙교리부 장관이라는 라칭거 추기경의 포지션상 '누군가는 해야 하지만 수구적이라고 음해받기 딱 좋은 언행'을 도맡아 이미지 훼손이 심한 것도 한몫을 했다. 결정적으로 교황 재위 시절 베네딕토 16세의 스타일도, '인기 떨어질 언행'을 추기경들 대신 본인이 직접 부담하는 걸 선호했다.

명칭 베네딕토는 1차대전 시기에 교회의 중립을 지키고 평화를 위해 노력한 베네딕토 15세, 그리고 베네딕도회의 창립자이자 유럽의 수호성인인 성 베네딕토에게서 따왔다.

5. 기타

그가 교황으로 재위 중이었던 2007년에 그의 이름을 딴 '라칭거 재단'이 독일 뮌헨에 세워졌다. 가톨릭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관련 인물들(주로 신학자들)을 발굴해 시상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기금은 베네딕토 16세 본인이 쓴 여러 저서들의 수익금이나 외부 기부를 통해 충당된다.

베네딕토 16세의 선출 당시 독일 언론의 관심은 그가 몇 번째 독일인 교황인지부터 비롯되었다. 996년 5월 138대 교황으로 즉위한 첫 독일인 교황으로 알려진 그레고리오 5세는 본명이 브루노 폰 케른텐으로 오스트리아 케른텐 출신이다.[6] 문제는 가장 최근의 독일인 교황은 누구인가가 문제였다.

가장 최근의 인물로 알려진 것은 1522년 1월에 218대 교황에 즉위했던 하드리아노 6세이다. 그런데 그의 고향 위트레흐트는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영토였으나, 현재는 네덜란드 영토라는 것 때문에 문제가 불거졌다. 하지만 그의 본명은 또 아드리안 플로렌츠 데달로서 독일식이다. 만일 그가 독일인이 아닐 경우, 1057년 8월에 154대 교황 스테파노 10세가 가장 최근의 독일인 교황인 셈이 된다. 하지만 1000년에 태어난 그의 출생지 역시 신성 로마 제국령이었던 프랑스의 로렌 지방이며, 이름도 프랑스식인 프레데리크 드 로렌이다.

이렇게 여기저기에서 이의들이 제기되면서, 따지고 들어가다 보면 결국 1055년 4월에 선출된 153대 교황 빅토르 2세까지 올라가야 한다. 그는 슈바벤의 귀족 프란코니아 가문 출신이고, 본명도 게브하르트 그라프 폰 돌른슈타인-히어슈베르크이다. 독일 언론들은 진정한 독일인 교황을 찾는데 심혈을 기울였고, 결국 베네딕토 16세는 이들을 다 합쳐 8번째 독일인 교황이자, 반대로 빅토르 2세 이후 950여 년만의 독일인 교황도 되는 셈이 되었다.

10세기부터 전해진 성 말라키의 예언에 따르면, 다음 대의 교황이 마지막 교황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이 예언 자체가 하나같이 끼워맞추기 식으로 쓰인 거라서 신빙성이 아예 없다. 당장 베네딕토 16세에 관한 예언도 '올리브영광'인데 이건 교황의 새 이름인 '베네딕토'와 똑같은 이름의 수도회베네딕도회의 상징이 올리브라서 그렇게 된 것이라는 식으로 꿰어 맞췄다. 정작 교황은 베네딕도회와는 관련이 없으며, 더욱이 올리브에 꿰어 맞추려고 호사가들이 난리친 추기경들이 산더미 같이 많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성 말라키 본인은 이런 예언을 한 적이 전혀 없으며, 16세기경 성 말라키의 이름을 차용한 위조문서라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결국 차기 교황에 이르러서 예언은 사실상 박살나 버렸다.

사임으로 인해 원로사목사제 최종보스가 되었다. 원로사목사제 중 가장 고위직에 있었던 인물이다.

사임 후 일각에서 흑인 교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지만, 결국 2013년 콘클라베를 통해 뽑힌 교황은 흑인이 아닌 첫 남미권 출신의 교황 프란치스코가 되었다.

2010년 작 영화 <우리에겐 교황이 있다>와 비슷한 끝을 맞이하여서 해당 영화의 픽션이 현실이 되었다 소리를 듣고 있다. 큰 변화를 이끌어야 하는데 지도력이 부족하다고 작중에서 교황이 고백하는 모습은 베네딕토 16세의 뒷이야기와 직결되고 있다. 유난히 영화에 브라질 국기가 자주 나오는 등, 보면 볼수록 2010년 작품인데도 미래 상황을 그대로 그려낸 모습이 경이롭다.

젊었을 적 오토 프레밍거 감독에 리온 샴로이와 로미 슈나이더가 주연을 맡은 프랜시스 스펠먼 추기경의 전기 영화인 추기경 제작에 참여한 바 있다. 당시 바티칸 교황청과 영화 제작진을 연결하는 연락 담당관을 두었는데 담당관이 베네딕토 16세였다고.

재위기간 7년 동안 130회의 시복식을 거행해 869위의 복자를 시복했고, 11회의 시성식을 거행해 45위의 성인시성했다. 전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복식과 시성식을 모두 집전한 반면, 베네딕토 16세 때부터는 시복식에 한해서 교황을 대리한 추기경이 이를 집전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베네딕토 16세 때 시복된 복자의 목록은 시복식/목록/베네딕토 16세 문서를, 시성된 성인의 목록은 시성식/목록/베네딕토 16세 문서를 참고.
파일:/image/020/2006/03/25/200603250064.jpg
파일:external/www.30giorni.it/1146591854373.jpg
대한민국과의 인연으로는 즉위 이듬해인 2006년 정진석 니콜라오 대주교를 대한민국 천주교회의 2번째 추기경으로 서임한 바 있으며, 같은 해 바티칸에서 거행된 추기경 서임식에서 비레타를 하사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대한민국에서 재임한 두 대통령과도 면담을 가졌다. 먼저 2007년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교황청을 방문해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단독 면담하고 한반도 평화 문제, 북한의 인도적 지원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교황청을 방문한 것은 지난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방문한 이래 대한민국 국가원수로서는 두 번째였다. 2009년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교황청을 방문하여 방한을 초청하기도 했다.

교황으로서 대한민국을 방한한 적은 없으나 추기경 시절 1989년 세계 성체대회 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다른 추기경들, 가톨릭 지도자들과 함께 잠시 대한민국에 왔었다. 당시 대한민국에 있던 독일 교민들과 함께 성체대회에 참여하였다.

5.1. 인터넷 밈

일반적으로 인터넷의 서브컬처와 에서 교황은 언급될 계기나 이유가 딱히 없지만, 베네딕토 16세는 첫인상이 강렬한 덕에 특이하게도 밈으로 주목 받기도 했다. 특히 베네딕토 16세의 얼굴이 하필이면 스타워즈시스 로드이자 스타워즈 시리즈 사상 최악의 악인 중 한 명인 다스 시디어스닮아서 이러한 밈이 더 확산되었다. 이 때문에 이 바닥에서 나도는 교황의 사진을 보면 대부분 포스 라이트닝을 시전 중이거나 빨간색 라이트세이버를 손에 들고 있다.
파일:attachment/benedictoIII.jpg
파일:attachment/benedictus(1).jpg 파일:attachment/benedictus(2).jpg
넌 다크 사이드의 힘을 알아야만 한단다.[7]
파일:너 이단.jpg
[8]
파일:andtakeyourfathersplaceatmyside.png
젊은 제다이여, 넌 이제 주님을 네 눈으로 볼 것이다.
파일:attachment/benedictus(4).jpg 파일:attachment/benedictus(5).jpg
파일:attachment/benedictus(6).jpg
파일:attachment/베네딕토 16세/gds.jpg
파일:external/con.ca/00002748_paperdollpope.jpg
노리고 만든[9] 종이 인형도 나왔다.

베네딕토 16세가 추기경 시절과 교황 선출 이후 각각 2번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후유증과 격무로 인한 다크서클이 인상에 영향을 끼쳤다는 말도 있다. 실제로 교황은 일반인들의 상상을 뛰어넘을 정도의 격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교황이란 직책은 천국으로 갈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교황 일을 하다간 절대로 오래 못 사니까."라는 악담이 있을 정도. 일단 기본 하루에 최소 14시간, 1주일에 7일을 일해야 하는데 주말에는 더욱 바빠진다. 교황은 가톨릭의 최고 수장으로서 일요일이 가장 많이 일하는 날이기 때문이다.[10]

교황청 측에서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스타일리스트들을 고용해서 베네딕토 16세의 메이크업이나 스타일을 최대한 교정해서 다소 온화한 인상으로 보이게 만들고, 포토샵 처리에도 신경 쓰게 되었다.

2025년 콘클라베에서 교황이 된 레오 14세쉬브 팰퍼틴닮아서, 평행이론만들어졌다. 링크

6. 각종 기록


7. 가족 관계

파일:external/media.cleveland.com/georg-ratzinger-benedict-xvi-091306jpg-1f8840e77f114006_large.jpg 파일:external/farm6.staticflickr.com/5264998558_88445cbcac_z.jpg
베네딕토 16세에게는 3살 위의 형 게오르크 라칭거 몬시뇰(Georg Ratzinger, 1924년 1월 15일 ~ 2020년 7월 1일)이 있다. 남다른 우애를 자랑하는 이들 형제는 나치 독일 치하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뒤 함께 사제품을 받고 성직자의 길로 들어섰으니 교감의 폭이 남달랐을 것이다. 오오 얼짱사제형제.[14] 사제가 된 뒤 형은 교회음악가로, 동생은 신학교수로 다른 길을 걸었지만, 전화와 편지로 안부를 묻고 매년 서너 차례 고향을 찾아 우애를 다졌다.

동생이 1969년 레겐스부르크대학 교수로 부임했을 때, 형은 이미 1964년부터 레겐스부르크 성당 성가대(Regensburger Domspatzen)의 지휘자로 명성을 날리던 교회음악가여서, 1977년, 뮌헨 대주교로 발탁될 때까지 '게오르크의 동생'으로 알려졌다. 동생은 4개월 뒤 추기경이 되어서야 비로소 형의 그늘에서 벗어났다.

형 게오르크 신부는 당초 동생이 교황에 선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고, 교황 선출소식을 듣고는 "동생의 나이와 건강 때문에 추기경들이 다른 사람을 선택하길 기대했으나 뜻밖의 결과에 충격을 받았습니다."라고 털어놓았다. 고령을 염려하는 소리가 나오자 "교황직이 동생에게 짐이 될 지 모릅니다."라고 동감을 표하면서도 언론들이 교황의 보수성에 너무 초점을 맞추는 데 유감을 표했다. 사고의 명료함과 함께 인내심, 사람은 서로 돕는 존재라는 인식 등 동생의 장점을 전하면서 건망증이란 약점도 함께 털어놨다. 곳곳에 동생에 대한 형의 사랑이 묻어난다.

형은 교황이 된 동생을 자랑스러워 하면서도, 말년을 함께 보내지 못하게 된 것을 아쉬워하는 것이 역력했다. 동생이 바티칸에서 돌아오면 고향에서 함께 여생을 보내려고 했던 형은 "인생 황혼기의 동반자를 잃었습니다."라며 아픔을 솔직히 드러냈다. 다행히 게오르크 몬시뇰 본인도 장수했고 동생도 쉽게 볼 수 없던 생전 퇴위를 택한 덕분에 2013년 3월부터는 바티칸에서 함께 여생을 보낼 수 있었다.

파일:external/www.catholicireland.net/ap_georg_ratzinger_pope_nt_130211_wmain.jpg

한편 베네딕토 16세가 교황이 된 이후, 게오르크가 성가대 지휘자로 재직(1964년 부터 1994년) 하던 당시 취입한 레겐스부르크 성당 성가대의 음반들 중 몇 가지가 2006년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재발매되었다. 물론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형이 지휘한…' 같은 캐치프레이즈가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고, 바흐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전곡 음반 같은 경우 이때 처음으로 CD 발매가 이루어지는 혜택을 입기도 했다.

게오르크 몬시뇰은 2020년 7월 1일 사망했다. 향년 96세. 형제가 마지막으로 만난 지 불과 열흘만의 일이었다. 프란치스코도 애도의 뜻을 표했다. 평화방송 기사

8. 대중 매체

9. 어록

===# 사임 선언 #===
사임 선언
Fratres carissimi
친애하는 형제 여러분,

Non solum propter tres canonizationes ad hoc Consistorium vos convocavi, sed etiam ut vobis decisionem magni momenti pro Ecclesiae vita communicem. Conscientia mea iterum atque iterum coram Deo explorata ad cognitionem certam perveni vires meas ingravescente aetate non iam aptas esse ad munus Petrinum aeque administrandum.
저는 세 분의 시성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교회 삶에 매우 중대한 결심을 여러분에게 전하고자 이 추기경 회의를 소집하였습니다. 하느님 앞에서 거듭거듭 제 양심을 성찰하면서, 저는 고령으로 더 이상 베드로 직무를 수행하기에 맞갖은 힘이 없다는 확신에 이르렀습니다.

Bene conscius sum hoc munus secundum suam essentiam spiritualem non solum agendo et loquendo exsequi debere, sed non minus patiendo et orando. Attamen in mundo nostri temporis rapidis mutationibus subiecto et quaestionibus magni ponderis pro vita fidei perturbato ad navem Sancti Petri gubernandam et ad annuntiandum Evangelium etiam vigor quidam corporis et animae necessarius est, qui ultimis mensibus in me modo tali minuitur, ut incapacitatem meam ad ministerium mihi commissum bene administrandum agnoscere debeam. Quapropter bene conscius ponderis huius actus plena libertate declaro me ministerio Episcopi Romae, Successoris Sancti Petri, mihi per manus Cardinalium die 19 aprilis MMV commisso renuntiare ita ut a die 28 februarii MMXIII, hora 20, sedes Romae, sedes Sancti Petri vacet et Conclave ad eligendum novum Summum Pontificem ab his quibus competit convocandum esse.
이 직무는 그 영적인 본질에 따라, 말과 행동만이 아니라 그에 못지않게 기도와 고통으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시대의 급변하는 세상에서, 신앙생활의 중대한 문제들로 흔들리는 세상에서, 베드로 성인의 배를 이끌고 복음을 선포하려면, 몸과 마음의 힘도 필요합니다. 지난 몇 달 사이에, 저에게 맡겨진 직무를 제대로 수행할 힘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여야 할 정도로 제 자신이 너무 약해졌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이 행위의 중대성을 잘 의식하고 온전한 자유로, 2005년 4월 19일에 추기경님들의 손으로 저에게 맡겨진 베드로 성인의 후계자인 교황의 직무를 사퇴하며, 이에 따라 2013년 2월 28일 20시부터 로마 주교좌, 성 베드로 좌는 공석이 되고, 관할권자들은 새 교황 선출을 위하여 콘클라베를 소집해야 할 것이라고 선언합니다.

Fratres carissimi, ex toto corde gratias ago vobis pro omni amore et labore, quo mecum pondus ministerii mei portastis et veniam peto pro omnibus defectibus meis. Nunc autem Sanctam Dei Ecclesiam curae Summi eius Pastoris, Domini nostri Iesu Christi confidimus sanctamque eius Matrem Mariam imploramus, ut patribus Cardinalibus in eligendo novo Summo Pontifice materna sua bonitate assistat. Quod ad me attinet etiam in futuro vita orationi dedicata Sanctae Ecclesiae Dei toto ex corde servire velim.
친애하는 형제 여러분, 저의 무거운 직무를 저와 함께 져 주신 여러분의 모든 사랑과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제 모든 허물에 대하여 용서를 청합니다. 이제 최고 목자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 하느님의 거룩한 교회를 맡겨 드리며, 성모 마리아께서 추기경 교부들이 새 교황을 선출할 때 어머니의 어지심으로 그들을 도와주시도록 간청합니다. 저는 앞으로 기도에 전념하며 하느님의 거룩한 교회를 온 마음으로 섬기고자 합니다.

Ex Aedibus Vaticanis, die 10 mensis februarii MMXIII
바티칸에서 2013년 2월 10일

BENEDICTUS PP. XVI
교황 베네딕토 16세

내용출처 #
번역출처 #

10. 교황 문헌

10.1. 회칙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100,#ffe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fe100,#ffe100><rowcolor=#670000,#670000><width=15%> 연번 ||<width=50%> 제목 ||<width=15%> 반포 연도 ||<width=20%> 비고 ||
1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Deus Caritas Est) 2005
2 희망으로 구원된 우리 (Spe Salvi) 2007
3 진리 안의 사랑 (Caritas in Veritate) 2009

10.2. 교황 교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100,#ffe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fe100,#ffe100><rowcolor=#670000,#670000><width=15%> 연번 ||<width=50%> 제목 ||<width=15%> 반포 연도 ||<width=20%> 비고 ||

10.3. 교황 권고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100,#ffe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fe100,#ffe100><rowcolor=#670000,#670000><width=15%> 연번 ||<width=50%> 제목 ||<width=15%> 반포 연도 ||<width=20%> 비고 ||

10.4. 서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100,#ffe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fe100,#ffe100><rowcolor=#670000,#670000><width=15%> 연번 ||<width=50%> 제목 ||<width=15%> 반포 연도 ||<width=20%> 비고 ||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806600,#806600> 파일:265_benedetto_XVI.png베네딕토 16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생애 생애
재위 2005년 콘클라베 }}}}}}}}}

현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사회주의 <colbgcolor=#fafafa,#191919>블룸하르트 · 라가츠
종교사학파 궁켈 · 바이스 · 트뢸치 · 오토
근본주의 신학 워필드 · 반틸 · 쉐퍼
사회복음 스트롱
과정신학 화이트헤드 · 드샤르댕 · 하츠혼 ·
무교회주의 우치무라 · 김교신
은사주의 시모어 · 와그너 · 윔버 · 오순절주의 (오중복음과 삼중축복)
신정통주의 불트만 · 바르트 · 틸리히 · 브루너 · 니부어 · 김재준 · 본회퍼
현대 정치신학 슈미트 · 메츠 · 몰트만 · 요더
신가르멜 신비신학 슈타인
기독교 불가지론 웨더헤드
누벨 테올로지 뤼박 · 라너 · 콩가르 · 다니엘루 · 폰 발타사르 · 스힐레벡스 · 라칭거 ·
보편사 신학 판넨베르크
아나키즘 신학 엘륄
해방신학 구티에레스 · 레스트레포 · 보프 · 소브리노 · 웨스트
신복음주의 헨리 · 그레이엄 · 스토트
현대 철학적 신학 리쾨르 · 지라르 · 테일러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스윈번 · 바티모 · 크레이그 · 코피치
과학신학 토렌스 · 폴킹혼 · 워드 · 맥그래스
세속화 신학 콕스
신자유주의 신학 · 스퐁 · 보그 · 민중신학
후기자유주의 신학 린드벡 · 하우어워스
사신신학 니체 · 프라이스 · 지젝
공공신학 마티 · 볼프
페미니즘 신학 데일리
종교사회학 버거
고전정통주의 오든 · 윌리암스
흑인신학
그리스도 신화론 프라이스
킹 제임스 성경 유일주의 럭크만 }}}}}}}}}}}}

[1] 지하 묘지 내 과거 요한 23세요한 바오로 2세가 안장되었던 자리에 안장되었다. 요한 23세와 요한 바오로 2세는 시복과 동시에 순례객이 참배하기 좋은 자리로 순차 이장되어 자리가 비어 있었기 때문에 베네딕토 16세가 같은 자리에 세 번째로 다시 안장되었다. 앞선 무덤 주인 두 명은 최종적으로 모두 시성되었다.[2] 비공식적으로는 삼층관이 그려진 문장도 사도궁전 테라스에 거는 배너 등의 형태로 만들어져 간혹 쓰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런 소품들은 대부분 신실한 개인들의 기증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제작자의 의사에 따라 얼마든지 만들어질 수 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후임자인 프란치스코레오 14세의 문장도 사적으로는 삼층관이 그려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이미지 및 실물로 만들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탈리아 시에나 대성당에 조각으로 걸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문장은 대놓고 삼층관이 조각되어 있는데다 원본보다 훨씬 화려하다.#[3] 과거 마르크스주의자로 활동하며 오랫동안 가톨릭 교회를 떠났지만, 나이를 먹고 삶과 영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고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베네딕토 16세)와의 깊은 대화를 통해 자신의 지난날을 회개하고 가톨릭 교회로 돌아온 인물이다. 이후에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살아가며 한국에도 번역된 <가톨릭에 관한 상식사전>을 비롯한 유명한 가톨릭 관련 신앙저서도 많이 냈다.[4] 그 외의 중요한 가톨릭 신학자로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 S.J., 1896~1991),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Hans Urs von Balthasar, 1905~1988), 카를 라너(Karl Rahner, S.J., 1904-1984), 이브 콩가르(Yves Congar, O.P., 1904-1995) 등을 꼽을 수 있다. 참고로 앞의 둘은 베네딕토 16세가 직접 최고로 여긴 신학자들이다.(아래 인터뷰 참조)[5] 전통시대 동아시아 용어를 적용한다면 '태상교황' 정도로 번역할 수 있겠지만 한국 천주교에서는 간소하게 '전임교황'으로 번역했다. emeritus라는 말을 직역하여 옮기면 '은퇴교황'정도가 될 것이다.[6] 오스트리아독일어권으로 독일과 역사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오스트리아 출신이라고 해서 문제될 것은 없다.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위인을 꼽는 설문에서 오스트리아 출신인 모차르트가 항상 순위권 안에 들어간다. 당장 독일 국가 Deutschlandlied의 작곡가도 오스트리아 출신의 요제프 하이든이다.[7] 2006년 주님 성탄 대축일 밤 미사 중에 어린이들을 축복하는 모습이다. 이날 강론에서 베네딕토 16세는 "고통받는 아이들을 사람들이 잊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하였다.[8] 너 고소 짤의 패러디다. 옆에 있는 사제는 베네딕토 16세 재임 당시 바티칸 국무원장이었던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추기경이다. 프란치스코가 즉위한 이후 교회법 제354조에 따라 국무원장과 궁무처장직을 내려놓고 은퇴하였다. 재밌게도 베네딕토 16세는 실제로 이단을 판별하는 이단심문소의 실질 후신인 신앙교리부 장관을 지냈으며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추기경은 베네딕토 16세의 장관 재임 하에서 신앙교리부 차관을 지냈다.[9] 요한 바오로 2세 종이 인형과 비교해 보자. 반면 베네딕토 16세의 종이 인형 소개 이미지의 우상단을 보면 교황 삼층관도 삐뚤어져 있다.[10] 그래도 이를 알아서 추기경단도 건강을 고려하여 교황을 선출하고 교황은 최고 수준의 건강관리를 받으므로, 현대처럼 평균수명이 늘어나기 전에도 교황들 중에선 장수한 사람이 많았다.[11] 하드리아노 6세는 당시 현재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출신이다. 베네딕토 16세는 정말 오랜만에 선출된 독일인 교황임에도, "유럽인"이란 딱지로 주목받지 못한 감이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신자 국적의 변화 등에서 요한 바오로 2세의 20여 년 동안 가톨릭 세계의 변화가 급격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12] 건강상의 이유로 퇴위했지만 정작 퇴위 이후에 약 만 95세 8개월까지 살아 역대 교황 중 가장 장수했으나, 퇴임 당시에는 85세였다. 그러므로 종신 교황으로서는 하드리아노 1세(700~795)가 역대 최고령 교황이다. 약 만 94~95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종신 재위했기 때문. 정확한 생일이 전해지지 않아 알 방법은 없으나 700년 4월 중순 이전에 태어난 게 확실하다면 베네딕토 16세보다 더 장수한 셈이다.[13] 사실 기록상으로 가장 장수한 교황은 아가토(577~681)로 101~2세의 나이에 즉위하여 죽을 때까지 종신 재위했다. 하지만 6세기 인물이 100세를 넘겼다는 것은 둘째치더라도 교황 즉위 이전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고 100세를 넘긴 나이에 교황으로 즉위했다는 것이 너무나도 비현실적이기에 동명이인 수도자와 기록이 합쳐졌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어쨌든 아가토와 하드리아노 1세가 베네딕토 16세보다 장수했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 둘은 기록이 미흡한 중세 시대의 인물인지라 현대에는 확실히 생몰년월일이 검증된 베네딕토 16세를 최장수 교황으로 인정해 주는 경우가 많다.[14] 우하단의 사진에서 왼쪽의 더 앳되어 보이는 사제가 교황이고, 오른쪽에 영대 두른 사제가 게으로크 몬시뇰.[15] <두 교황>이 실제 가톨릭 신자들에게 많이 까이는 점이기도 하다.[16] 교황이 둘일 수 없다는 호르헤의 말에 1978년에는 교황이 셋이었다는 말로 호르헤를 기겁시키고는 독일 농담이오. 독일 농담은 다른사람을 웃길 필요가 없소라는 명언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