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8:01:03

기독교 무신론


현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사회주의 <colbgcolor=#fafafa,#191919>블룸하르트 · 쿠터 · 라가츠
종교사학파 · 아이히호른 · 브레데 · 궁켈 · 바이스 · 트뢸치 · 랄프스 · 부세트 · 하이트뮐러 · 오토 · 그레스만
근본주의 신학 워필드 · 메이첸
사회복음 엘리 · 스트롱 · 글래든 · 라우셴부시
과정신학 화이트헤드 · 드샤르댕 · 하츠혼 ·
무교회주의 우치무라 · 야나이하라
루터 부흥운동
은사주의 시모어 · 와그너 · 윔버 · 오순절주의 (오중복음과 삼중축복)
신정통주의 다드 · 불트만 · 고가르텐 · 바르트 · 틸리히 · 브루너 · 니부어 · 니버 · 투르나이젠 · 본회퍼
현대 정치신학 슈미트 · 메츠 · 몰트만 · 요더
신가르멜 신비신학 슈타인
기독교 불가지론 웨더헤드
누벨 테올로지 셰뉘 · 뤼박 · 라너 · 콩가르 · 다니엘루 · 폰 발타사르 · 스힐레베이크스 · 라칭거 ·
구속사 신학 폰라트 · 쿨만
불트만 학파 푹스 · 부리 · 에벨링 · 랑케하이네만
보편사 신학 케제만 · 판넨베르크
아나키즘 신학 엘륄 ·
해방신학 웨스트 · 구티에레스
신복음주의 헨리 · 그레이엄 · 스토트
현대 철학적 신학 리쾨르 · 지라르 · 테일러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융엘 · 스윈번 · 바티모 · 웨스트폴 · 딜리 · 라슈케 · 크레이그 · 코피치
과학신학 토렌스 · 폴킹혼 · 워드 · 벨커 · 맥그래스
세속화 신학 로빈슨 · 콕스
신자유주의 신학 · 스퐁 · 보그
후기자유주의 신학 린드벡 · 프라이 · 하우어워스
사신신학 해밀턴 · 알타이저 · 반 뷰렌 · 바하니안 · 기독교 무신론
세군도 · 구티에레스 · 아스만 · 보프 · 소브리노
시카고학파 카우프만 · 오그덴 · 트레이시
공공신학 마티 · 볼프
페미니즘 신학 몰트만벤델 · 데일리 · 죌레 · 맥페이그 · · 류터 · 슁엘슈트라우만 · 괴트너아벤트로트 · 하이네 · 물라크 · 코클리 · 켈러 · 태너
종교사회학 버거
고전정통주의 젠슨 · 오든 · 건튼 · 그렌츠 · 윌리암스
아프리카 신학 음비티
트랜스모더니즘 두셀
흑인신학
약한 신학 카푸토 · 윈퀴스트 · 로빈스
무신론 테일러
포화 신학 마리옹
퀴어신학 알타우스리드 · 톤스태드
급진 정통주의 밀뱅크 · 스미스 · 픽스톡
그리스도 신화론 프라이스
재신론 카니
열신학 롤린스
새 관점 라이트 }}}}}}}}}}}}


1. 개요2. 전개3. 의미4. 현황5. 인물

1. 개요

, Christian atheism

세속신학 내에서 윌리엄 휴즈 해밀턴 3세(William Hughes Hamilton III, 1924 ~ 2012)가 처음 주창하고 토마스 조너선 잭슨 알타이저(Thomas Jonathan Jackson Altizer, 1927-2018)가 정립한 신학론인 사신신학 등으로 대표된다.

2. 전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사람들은 산업화, 합리주의 등이 제국주의, 홀로코스트에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후 인간의 이성과 완전성에 의구심이 생겨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이 탄생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60년대 미국 신학계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을 받아들인 급진 신학이 탄생하게 된다. 세속신학으로 일컬어진 이 신학은 나치 독일 집권기 반나치 활동을 하고 히틀러 암살 계획을 세우다 걸려 처형당한 디트리히 본회퍼의 영향을 받아 시작됐다. 디트리희 본회퍼는 유신론자였고 삼위일체를 옹호하였으므로 사신신학의 입장에 선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교회를 향한 그의 예언자적 외침이 일부분 영향을 준 것은 맞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기존의 기독교에서 욕망이 가득하고 일시적인, 나쁜 의미로 정의한 세속에서 벗어나 세속 또한 하느님이 만들었으며 교회와 세속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데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신 신학은 여기서 더 나아가 천국과 같이 형이상학적인 개념[1]에서 벗어나 세속의 하느님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3. 의미

사신신학에서 사신은 사신(死神)을 의미한다. 이는 예수가 죽음의 신이라는 뜻이 아니라 신은 죽었다라는 뜻이다. 사람들이 사회에 악이 실존하고 무신론자라고 크게 인생에 불운이 가득하지 않은 걸 보고 '신이 어디 있냐'라고 말하지만 사신신학은 우리가 신을 경험한 적 없는 게 아니라 신이 없는 걸 경험하고 있다고 말한다. 해밀턴은 신이 지금 살아서 존재한 게 아니기 때문에 신에 대해서 우리가 제대로 알 수 없고 신에게 예배하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해밀턴은 '나는 무신론자이지만 진정한 그리스도인이다'라고 말하게 된다.[2] 헤밀턴이 예수는 진정한 인간이 되는 길을 알려준 사람이라고 주장한 데서 알타이저는 더 나아가 예수가 십자가에서 못박혀 죽은것이 상징직 표현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이라고 말한다. 예수가 하느님의 대행자로 이 땅에 내려와 사람들의 죄악을 끌어안고 죽음으로써 인간을 완전히 자율적인 존재로 탈바꿈되어 '이웃을 사랑해라'라 와 같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현황

그리스도교 신학 내에서 지지자가 많은 이론은 아니지만 교회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일례로, '이성'을 강조하는 성공회 광교회파의 신학적 존재 근거 중 하나로 재활용 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성공회 신자들 중에는 부활을 믿지 않는 그리스도인과 같은 해괴한 조합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그리스도교 무신론은 개신교 교회 내에서 일반적인 신도들에게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 주장이다.

5. 인물


[1] 신학에서 피안이라고 부른다.[2] 헤밀턴이 이런 말을 처음한건 아니다. 이전에도 기독교 공산주의나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무신론자라고 말한 사람은 여러 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