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8:12:53

마우리치오 폴리니

마우리치오 폴리니의 주요 수상 및 경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95B1EEBD-1796-46AD-A8B5-83CEA287B596.png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벤저민 브리튼
(작곡)
올리비에 메시앙
(작곡)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첼로)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지휘)
루돌프 제르킨
(피아노)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바리톤)
엘리엇 카터
(작곡)
기돈 크레머
(바이올린)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작곡)
피에르 불레즈
(지휘)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예후딘 메뉴인
(바이올린)
안드레스 세고비아
(기타)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작곡)
레너드 번스타인
(지휘)
페터 슈라이어
(테너)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루치아노 베리오
(작곡)
한스 베르너 헨체
(작곡)
하인츠 홀리거
(오보에)
H.C.로빈스 랜던
(음악학)
리게티 죄르지
(작곡)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클라우디오 아바도
(지휘)
해리슨 버트위슬
(작곡)
마우리치오 폴리니
(피아노)
헬무트 라헨만
(작곡)
죄르지 쿠르탁
(작곡)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아르디티 현악 4중주
(현악 4중주)
마우리치오 카겔
(작곡)
라인홀트 브링크만
(음악학)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볼프강 림
(작곡)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알프레드 브렌델
(피아노)
마우리치오 카겔
(작곡)
앙리 뒤티외
(작곡)
다니엘 바렌보임
(피아노, 지휘)
안네 소피 무터
(바이올린)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클라우스 후버
(작곡)
미하엘 길렌
(지휘)
아리베르트 라이만
(작곡)
프리드리히 체르하
(작곡)
마리스 얀손스
(지휘)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피터 구르크
(음악학)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지휘)
페르 뇌고르
(작곡)
피에르 로랑 아이마르
(피아노)
베아트 푸러
(작곡)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레베카 손더스
(작곡)
타베아 침머만
(비올라)
죠르주 아페르기스
(작곡)
올가 노이비르트
(작곡)
조지 벤자민
(작곡)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9년
진은숙
(작곡)




}}}}}}}}}}}}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8f,#00d8ff> 제1회
(1927)
제2회
(1932)
제3회
(1937)
제4회
(1949)
제5회
(1955)
레프 오보린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유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야코프 자크
파일:소련 국기.svg
벨라 다비도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아담 하라셰비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6회
(1960)
제7회
(1965)
제8회
(1970)
제9회
(1975)
제10회
(1980)
마우리치오 폴리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타 아르헤리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게릭 올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파일:폴란드 국기.svg
당타이선
파일:베트남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1회
(1985)
제12회
(1990)
제13회
(1995)
제14회
(2000)
제15회
(2005)
스타니슬라프 부닌
파일:소련 국기.svg
케빈 케너1
파일:미국 국기.svg
필리프 주시아노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윤디 리
파일:중국 국기.svg
라파우 블레하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6회
(2010)
제17회
(2015)
제18회
(2021)
제19회
(2025)
제20회
(2030)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조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루스 리우
파일:캐나다 국기.svg
}}}

1. 1위 없는 2위
2. 1위 없는 2위
}}}}}}

파일:B89754FA-DF93-4061-9D57-76D93F496678.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도이치 그라모폰 소속 주요 음악가
클라우디오 아바도 마르타 아르헤리치 세르게이 바바얀
다니엘 바렌보임 리사 바티아슈빌리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레너드 번스타인 윱 베빙 라파우 블레하츠
피에르 불레즈 조성진 칙 코리아
플라시도 도밍고 구스타보 두다멜 존 엘리엇 가디너
데이비드 가렛 힐러리 한 다니엘 하딩
히사이시 조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예브게니 키신 김봄소리 카를로스 클라이버
기돈 크레머 랑랑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윈디 브루스 리우 안네 소피 무터
안드리스 넬슨스 박혜상 마리아 조앙 피레스
마우리치오 폴리니 막스 리히터 야니크 네제 세갱
그리고리 소콜로프 스팅 다닐 트리포노프
유자 왕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존 윌리엄스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이 외의 소속 음악가들은 공식 사이트 참조, 성씨 알파벳순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마우리치오 폴리니
Maurizio Pollini
파일:마우리치오 폴리니.jpg
출생 1942년 1월 5일
이탈리아 왕국 롬바르디아밀라노
사망 2024년 3월 23일 (향년 82세)
이탈리아 롬바르디아밀라노
국적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직업 피아니스트
학력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졸업)
레이블 도이치 그라모폰
장르 클래식
주요 수상 [ruby(제6회,ruby=1960)]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주
2.1. 연주 영상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피아니스트. 건축가인 지노 폴리니의 아들로 1942년 1월 5일에 출생하여 1960년에 첫 음반을 발매하였다. 1957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2위, 특히 196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는 만장일치로 우승하며 이름을 널리 알렸다. 심사위원이였던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저 소년이 우리 심사위원들보다 더 잘 친다"라고 극찬했다.[1] 쇼팽 콩쿨 우승 이후, 콘서트를 거의 하지 않고 약 10년 동안 피아니스트 미켈란젤리를 사사하는 등 연찬을 거듭하였다. 1971년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녹음을 발매하기 시작하여 엄청난 호평을 받기 시작하였다. 첫번째 녹음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페트루시카 3악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 뒤에 발매된 쇼팽 에튀드는 완벽하고 깔끔한 테크닉으로 큰 호평을 받았는데, 철저히 악상을 지킨 교과서적인 연주로 유명하다. 쇼팽 폴로네즈도 유명하며, 베토벤 소나타 전곡을 녹음하기도 하였다. 같은 동향인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친밀하여 함께 많은 콘서트와 녹음을 하였다. 두 사람 모두 공산당원이었으며, 같은 공산당원인 루이지 노노의 작품들 역시 활발히 연주하였다.

2022년 5월, 처음으로 내한해 예술의전당에서 두 차례 공연할 예정이었지만 건강 문제로 인해 2023년 4월으로 연기되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재차 취소되었다. 결국 영원히 내한공연을 가지지 못하고 2024년 3월 23일 82세의 나이로 영면에 들었다.[2]

2. 연주

"완벽한 테크닉을 가진 거장의 통찰력 있는 음악"
Apple Music
전성기 시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테크닉으로 유명했다. 특히 그의 쇼팽 에튀드 음반은 교과서처럼 여겨진다.

2.1. 연주 영상

Chopin, Etude Op.25 No.11Schubert, Sonata D. 959
Webern, VariationsStravinsky, Trois mouvements de Petrouchka
Debussy, L'isle joyeuseBeethoven, Sonata Op.109
Liszt, SonataMozart, Piano Concerto K. 488



[1] https://www.theguardian.com/culture/2011/jan/01/maurizio-pollini-interview-nicholas-wroe[2] 유족으로는 1968년에 결혼한 아내 마릴리사, 그리고 아들 다니엘이 있다 (1978년생, 지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