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9:30:40

더프 맥케이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C0C0, #C0C0C0 40%, #C0C0C0 60%, #C0C0C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order-radius:5px;"
파일:건즈앤로지스로고.png



{{{-2 {{{#!folding [ 구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000 {{{#!folding [ 앨범 목록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external/7c1c034abece60d33589147f108e4e61617d67fdefca99d135a9de31ea452eca.jpg
파일:G N' R Lies.jpg
파일:220px-GnR--UseYourIllusion1.jpg
파일:220px-GunsnRosesUseYourIllusionI.jpg
파일:external/a4.mzstatic.com/s06.paydmprn.1200x1200-75.jpg
Appetite for Destruction
스튜디오 앨범

1987
G N' R Lies
스튜디오 앨범

1988
Use Your Illusion I
스튜디오 앨범

1991
Use Your Illusion II
스튜디오 앨범

1991
The Spaghetti Incident?
스튜디오 앨범

1993
파일:external/2.bp.blogspot.com/Gunsnr-useyou_22.jpg
파일:220px-Live_Era_87-93Guns'n'roses.jpg
파일:220px-GreatestHits_Guns'n'Roses.jpg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Guns%2BN%2527%2BRoses%2B-%2BChinese%2BDemocracy.jpg
Use Your Illusion
컴필레이션 앨범

1998
Live Era '87–'93
라이브 앨범

1999
Greatest Hits
컴필레이션 앨범

2004
Chinese Democracy
스튜디오 앨범

2008
TBA
}}}}}}}}}}}}
{{{#!folding [ EP 목록 ]
{{{#!folding [ 싱글 목록 ]
{{{#!folding [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20년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50명을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제임스 제머슨 찰스 밍거스 존 엔트위슬 부치 콜린스 캐럴 케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잭 브루스 래리 그레이엄 자코 파스토리우스 폴 매카트니 론 카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레시 윌리 딕슨 스탠리 클라크 존 폴 존스 도널드 ‘덕’ 던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찰리 헤이든 로비 셰익스피어 크리스 스콰이어 버딘 화이트 릭 댕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기저 버틀러 플리 빌 와이먼 게디 리 클리프 버튼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스라엘 카차오 로페스 데이비드 후드 애스턴 "패밀리 맨" 배럿 티나 웨이머스 밥 무어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버나드 에드워즈 스팅 레미 킬미스터 리처드 데이비스 루이스 존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레 클레이풀 존 맥비 피노 팔라디노 킴 고든 빌 블랙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조지 포터 주니어 토니 레빈 마이크 와트 조셉 마크웰라 에스페란자 스팔딩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피터 훅 릴랜드 스클라 킴 딜 더프 맥케이건 썬더캣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Duff McKagan
더프 맥케이건
파일:duff.jpg
<colbgcolor=#C0C0C0><colcolor=#000> 본명 마이클 앤드루 맥케이건
Michael Andrew McKagan
출생 1964년 2월 5일 ([age(1964-02-05)]세)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음악가, 싱어송라이터, 작가
소속
[ 펼치기 · 접기 ]
패스트백스 (1981-1982)
10 미니트 워닝 (1982-1998)
파르츠 (1983)
건즈 앤 로지스 (1985-1997, 2016-)
뉴로틱 아웃사어더스 (1995-1997)
로디드 (1999-)
벨벳 리볼버 (2002-2008)
제인스 어딕션 (2010)
워킹 페이퍼스 (2012-2018)
레비 워커스 (201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C0C0><colcolor=#000> 부모님 엘머 맥케이건
메리 맥케이건
배우자 맨디 브리그스(1988 - 1990)
린다 존슨(1992 - 1995)
수전 홈스(1999 - )
자녀 장녀 그레이스 맥케이건(1997년 8월 27일생)[A]
차녀 메리 메이 맥케이건(2000년 7월 14일생)[A]
신체 190cm, 81kg
재산 $70,000,000 (한화 약 800억원)
활동 시기 1979년 ~ 현재
악기 베이스 기타
장르 하드 록, 펑크 록
레이블 게펜, UZI, 서브 팝, RCA 등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1. 개요2. 생애 및 활동 내역3. 사용 장비 및 음악적 특징4. 여담5. 참여 음반 목록
5.1. 건즈 앤 로지스5.2. 솔로5.3. 뉴로틱 아웃사어더스5.4. 10 미니츠 워닝5.5. 로디드5.6. 벨벳 리볼버5.7. 워킹 페이퍼스

[clearfix]

1. 개요

#!wiki-style="margin:-5px -10px"
[[파일:duff-mckagan-cool.jpg|width=100%]]
파일:3ff9b223f09c8682d8c743656744088c.jpg
현재 모습
The king of beer. Mr Duff 'Rose' Mckagan
맥주의 왕. 미스터 더프 '로즈' 맥케이건

Duff McKagan. 본명은 마이클 앤드루 "더프" 맥케이건 (Michael Andrew "Duff" McKagan) 1964년 2월 5일 출생.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 출신.

건즈 앤 로지스벨벳 리볼버베이시스트.

2. 생애 및 활동 내역

시애틀에서 8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시애틀을 떠나 LA로 이주한 뒤에 슬래시가 내건 구인공고를 보고 그에게 연락한다. 스티븐, 슬래시, 더프 세 명에서 의기투합했지만 그들은 헤비메탈 쪽에 가까운 음악을 했고, 펑크 록에 몸 담았던 더프는 그들과 음악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도 컸고, 보컬도 구하지 못하는 바람에 밴드는 해산되고 만다. 어디까지나 음악적 방향성이 달라서였지 서로 트러블이 생겨서 헤어진 게 아니었기 때문에 개인적인 친분은 유지했고, 이들은 훗날 건즈 앤 로지스의 멤버로서 재회하게 된다. 성공을 거두기 전에는 아르바이트를 하며 지냈다.

건즈 앤 로지스의 오리지널 라인업의 베이시스트로서 밴드가 어마어마한 인기를 누리는 동안에 활발하게 활동했다.

1993년, 2년동안 엄청난 규모로 진행된 건즈 앤 로지스의 월드 투어가 끝난 뒤, 휴식도 없이 곧바로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투어를 돌았다. 투어 기간 동안 그의 마약, 알콜 중독은 매우 심각해졌고, 결국 췌장염으로 쓰러지고 만다.

건즈 앤 로지스 멤버중 가장 성격이 원만하고 인맥이 넓다. 건즈앤로지스에서 액슬을 제외하고 96년도에 모든 오리지널 멤버들이 탈퇴할 때 오직 더프만 불화설이 없었으며, 오리지널 다섯 멤버중 유일하게 관계에서 잡음이 없었던 멤버이다.[3]
#!wiki-style="margin:-5px -10px"
[[파일:bd1fe19528cb646d8d51f4f13d4743b5.jpg|width=100%]]
파일:45cf38af9cd719dacfea000a2282596a.jpg
특히 슬래쉬와는 둘도 없는 단짝 사이. 어느 공연에선 슬래쉬와 몇초간 딥키스를 하는 충격적인 퍼포먼스를 보이기도 했다.[4]

본래 더프는 마지막까지 액슬과 함께하려 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프가 슬래시와 함께 탈퇴 했던 가장 큰 이유는, 액슬 로즈가 본인에게 "베이스는 아무나 구하면 되니까, 베이시스트고 나발이고 남던지 떠나던지 알아서 해라"라는 말에 실망해서 그랬다고. 본래 밴드에서 베이스가 드럼 못지 않게,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를 생각해보면 더프에게는 매우 심한 말이었던 셈.

탈퇴 이후에 벨벳 리볼버를 결성했다. 벨벳 리볼버의 잠정적인 해체 이후에는 혼자 밴드를 꾸려서 활발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건즈앤로지스 투어를 겸하며 개인 솔로앨범을 발매하였다. 대부분의 나이든 록스타들이 발매하는 앨범들과 마찬가지로 장르는 어쿠스틱 포크 + 컨트리 + 서던록 중심이다.

88년도 맨디 브리그스라는 여자와 결혼 후 2년후 이혼했으며 92년도 부터 95년도까지 린다 존슨과 결혼생활을 했다. 이후 99년도에 모델 수전 홈스와 결혼해 현재까지 결혼생활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인터뷰에 따르면 금슬도 매우 좋다. 슬하에 97년생 장녀 그레이스 매케이건과 00년생 차녀 메리 메이 매케이건이 있는데 둘다 아버지와 딱히 안닮았다.[5]

15년도에 자서전 It's so easy and other lies라는 제목의 책과 전기 다큐멘터리를 제작했으며 이는 AFD의 곡 It's so easy에서 제목이 의미하는 것 처럼 자신이 록스타로서 살아오며 여자들과 하룻밤을 보내고 인생을 재밌게 사는게 쉬웠지만 Lies가 의미하는 것으로 사실 수퍼스타로서의 인생이 쉽기 보다는 그에 따르는 피폐하고 자기파괴적인 생활, 뒤따르는 정신 건강문제에 대한 회고를 다루고 있다.

3. 사용 장비 및 음악적 특징

메인 기어는 데뷔때 Fender 에어로다인 또는 펜더 스페셜 재즈베이스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본인 시그니쳐 프레시젼을 잡는 중이다. 프레시젼 바디에 PJ 픽업이 박힌 모델로 펜더에서 올백 바디에 도트 인레이가 들어간 기본 모델과 박스 인레이가 들어간 디럭스 모델을 제작해줬다. 솔로밴드 때는 메인으로 보컬겸 리듬기타를 맡는다.

4. 여담

5. 참여 음반 목록

5.1. 건즈 앤 로지스

5.2. 솔로

5.3. 뉴로틱 아웃사어더스

5.4. 10 미니츠 워닝

5.5. 로디드

5.6. 벨벳 리볼버

5.7. 워킹 페이퍼스


[A] 현 배우자 수전 홈스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A] [3] 슬래쉬와 절친이면서 엑슬과도 원만한 사이를 유지했기에, 멤버들 중 가장 마찰이 심했던 둘을 중재해주면서 재결합의 물꼬를 틀어준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4] 다만 매일 술에 꼴아 살던 더프였으니 술에 제대로 취해 벌인 정신 나간 실수였을 가능성이 크긴 하다(...).[5] 사진에서도 보면 알겠지만 젊었을 때 상당한 미남으로, 건즈앤로지스의 인기를 끌어모으는 데 톡톡히 역할을 했다. 한 인터뷰에서 딸 두 명이 전부 본인을 그닥 닮지 않은 것에 대해 매우 아쉽다고(...) 드립을 쳤다. 지금도 여전히 미중년.[6] 커트 코베인과는 같은 고향 출신이다.[7] 더프 왈. "그는 자신이 대단한 정신의 소유자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저 뮤지션일 뿐인데."[8] 나중엔 너바나에서 베이시스트였던 크리스 노보셀릭과 같이 Sweet Child O' Mine 합주를 하기도 했다.[9] 건즈 앤 로지스와 너바나는 당대의 라이벌 밴드로 여겨졌고, 공식적인 자리에서 서로를 도발하는 멘트를 날리는 등, 사이가 그리 좋지 못했다.[10] 당장 맨 위의 메인 사진부터 자물쇠 목걸이를 하고 있다.[11] 건즈 앤 로지스 시절 다른 멤버들은 전부 담배를 1순위로 입에 달고 살 때 더프는 맥주를 늘상 챙겨 다녔다. 라이브 공연 때 한번씩 물고 있는 담배는 맥주 생각을 잊어버리려고(...) 물고 있었다고 한다. 심슨 가족에서도 이를 패러디해 몇몇 에피소드에 Duff라는 맥주 브랜드를 창작해 넣었다고 하는데, 이는 더프 맥케이건 혼자만의 주장일 뿐이다. 심슨 가족 작가들은 "버드(와이저)"나 "enough"와 라이밍이 되게 지었다고 설명한다.[12] 우울장애나 불안장애 등 정신적 질환에 있어서 음주는 증상 호전은커녕 오히려 더 심해지는, 최악에 가까운 행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