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9:31:54

존 폴 존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미국 군인에 대한 내용은 존 폴 존스(군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C9B7, #DBC9B7 40%, #DBC9B7 60%, #DBC9B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파일:레드 제플린.png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000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Led Zeppelin I.jpg
파일:Led Zeppelin II 커버.jpg
파일:Led Zeppelin III.jpg
파일:Led Zeppelin IV.jpg

1969

1969

1970
파일:Zoso.png

1971
파일:external/sleevage.com/led-zeppelin-houses-of-the-holy-back.jpg
파일:Physical Graffiti.jpg
파일:Presence.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ed_Zeppelin_-_In_Through_the_Out_Door.jpg

1973

1975

1976

1979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
존 폴 존스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20년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50명을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제임스 제머슨 찰스 밍거스 존 엔트위슬 부치 콜린스 캐럴 케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잭 브루스 래리 그레이엄 자코 파스토리우스 폴 매카트니 론 카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레시 윌리 딕슨 스탠리 클라크 존 폴 존스 도널드 ‘덕’ 던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찰리 헤이든 로비 셰익스피어 크리스 스콰이어 버딘 화이트 릭 댕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기저 버틀러 플리 빌 와이먼 게디 리 클리프 버튼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스라엘 카차오 로페스 데이비드 후드 애스턴 "패밀리 맨" 배럿 티나 웨이머스 밥 무어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버나드 에드워즈 스팅 레미 킬미스터 리처드 데이비스 루이스 존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레 클레이풀 존 맥비 피노 팔라디노 킴 고든 빌 블랙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조지 포터 주니어 토니 레빈 마이크 와트 조셉 마크웰라 에스페란자 스폴딩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피터 훅 릴랜드 스클라 킴 딜 더프 맥케이건 썬더캣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의 독자들이 2011년에 선정한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10명의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존 엔트위슬 플리 폴 매카트니 게디 리 레 클레이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존 폴 존스 자코 파스토리우스 잭 브루스 클리프 버튼 빅터 우튼
}}}}}}}}} ||

파일:MTD.png 선정 100대 록 음악 최고의 키보디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Music thisday라는 사이트가 선정한 "100대 록 음악 최고의 키보디스트"이다. 기술, 창의성, 영향력, 실험정신등을 기준으로 선정 되었다고 한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키스 에머슨 릭 웨이크먼 존 로드 레이 만자렉 리처드 라이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토니 뱅크스 빌리 프레스턴 로드 아르젠트 스티브 윈우드 알 쿠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6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매튜 피셔 부커 T. 존스 이안 언더우드 그레그 올먼[1] 토니 하이마스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얀 해머 니키 홉킨스 그렉 롤리 브라이언 이노 조던 루데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리처드 탠디 데니스 드영[2] 옌스 요한슨 케리 리브그렌[3] 배리 골드버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티 라비츠 돈 에어리[4] 가스 허드슨 데이비드 샌셔스 이안 맥라건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지 듀크 앨런 자보드 스티브 니에브 맥스 미들턴 빌리 파웰[5]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케빈 무어 데렉 쉐리니언 지미 그린스푼 존 카린 리 마이클스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켄 헨슬리 벤몬트 텐치 스티비 원더 조나단 케인[6] 척 리벨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제프 다운스[7] 레온 러셀 패트릭 모라즈 위르겐 프리츠 하워드 존스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마이크 핀더 맷 벨라미 알렌 라벤스틴 앨런 프라이스 마이클 맥도날드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존 폴 존스 밥 마요 토니 케이 빌 페인 로이 비탄
[ 각주 ]

[1]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키보디스트.[2]스틱스의 보컬 겸 키보디스트.[3] 캔자스의 기타 겸 키보디스트.[4]딥 퍼플의 키보디스트.[5] 레너드 스키너드의 키보디스트.[6] 저니, 베이비스, 배드 잉글리쉬의 키보디스트.[7] 버글스, 예스, 아시아의 키보디스트.
6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 ||

존 폴 존스
John Paul Jones
파일:존 폴 존스 2020.jpg
<colbgcolor=#DBC9B7><colcolor=#333> 개명 전 이름 존 리차드 볼드윈
John Richard Baldwin
출생 1946년 1월 3일 ([age(1946-01-03)]세)
잉글랜드 켄트 시드컵[1]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음악가
소속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Led_Zeppelin_logo.svg.png
(1968 – 198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333><colbgcolor=#DBC9B7> 부모님 아버지: 조 볼드윈
배우자 모린 존스(1967년 결혼~현재)
자녀 딸 재신다 존스
딸 타마라 존스
딸 키에라 존스
신체 173cm
재산 약 $90,000,000[2]
활동 기간 1961년 – 현재
사용 악기 베이스 기타, 건반, 만돌린, 기타, 콘트라베이스
장르 하드 록, 블루스 록, 헤비 메탈, 포크 록, 프로그레시브 록, 사이키델릭 록, 레게, 로큰롤[3]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생애3. 음악적 역량
3.1. 베이시스트로서3.2. 키보디스트로서3.3. 그 외3.4. 작곡가로서
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Jones 70s.jpg
영국음악가.

영국의 록 밴드레드 제플린베이시스트이자 키보디스트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동시대의 존 엔트위슬, 후대의 존 디콘 등 여러 베이시스트들처럼 뒤에서 묵묵히 밴드를 받쳐주는 스타일의 베이시스트였다. 다 존이다. 그러나 베이시스트로서의 역량은 매우 뛰어났기에, 최고의 록 음악 베이시스트를 뽑는 자리에서는 항상 다섯 손가락 이내로 들어가는 명 베이시스트이다. 키보디스트 또한 하드 록 인물들 중에서는 존 로드와 더불어 뛰어난 키보디스트로 평가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그는 베이스와 건반 외에도 수많은 여러 악기들을 수준급으로 다루었기에 레드 제플린의 음악이 더욱 다채로워지고 화려해지는 데에 상당 수준 기여하였다. 그렇기에 해외 팬들은 존 폴 존스가 없었다면 레드 제플린도 없었다고 회자하기도 한다.

레드 제플린 해체 이후 현재까지 록 음악에 국한하지 않고 재즈클래식 등 여러 장르들도 다루면서 솔로 활동을 하고 있다. 2019년에는 솔로 활동 투어의 일환으로 레드 제플린 멤버 중 최초로 내한 공연을 개최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2. 생애

존 폴 존스는 1946년 켄트 주 시드컵에서 태어났다. 존스의 어렸을 적 이름은 존 폴 존스가 아닌 ‘존 리처드 볼드윈’이었다.[4] 그의 아버지는 악단 뮤지션으로, 레드 제플린의 다른 멤버들처럼 존스도 중산층 출신이었다.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나중엔 저음에 매력을 느껴 베이스를 잡게 된다. 일찌감치 여러 악기를 배웠기 때문에 그가 다룰 줄 아는 악기는 10개가 넘는다고 한다.[5][6]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는 16살이라는 어린 나이때부터 세션뮤지션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존 폴 존스는 18살에 데카 레코드의 전속 세션 뮤지션이 된 후 1968년까지 활동하면서 영국 음악계의 1류 세션맨으로 이름을 날렸다. 당시 그는 롤링 스톤스, 더 후 등 수많은 밴드들의 세션 연주를 해 주면서 지미 페이지, 제프 벡, 키스 문 등의 유명한 뮤지션들과 친분을 맺기도 했다. 1966년 키스 문이 더 후에서 잠깐 탈퇴했을 때는 이들과 함께 음악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러던 1968년, 존 폴 존스의 아내는 지미 페이지가 새 밴드 멤버를 찾는다는 소식을 듣고 존스에게 밴드 활동을 할 것을 권유했고, 같은 세션 뮤지션 시절 때부터 존스와 음악 활동을 같이 하는 등 친분을 유지하던 지미 페이지는 존스의 능력을 높이 사[7] ‘뉴 야드버즈’로 영입하게 된다.

이후의 행적은 문서 참조.

3. 음악적 역량

레드 제플린에서 활동하던 당시 베이스와 키보드 위주로 연주했기에 본 항목에서도 이 두 가지 악기에 대한 평가에 집중되어있다. 하지만 간과하면 안 될 것이, 존 폴 존스는 폴 매카트니, 브라이언 존스, 존 레논, 브라이언 윌슨, 게디 리, 마이크 올드필드, 프린스와 함께 최고의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를 꼽을 때 항상 거론되는 전설적인 멀티 플레이어이다. 레드 제플린 안에서 그 쟁쟁한 실력자들이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악기를 적재적소에 집어넣으며 지원자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 밴드 지향의 연주자라는 것이다.

3.1. 베이시스트로서

Ramble On 베이스 섹션 1999년 베이스 솔로
기본적으로 존 폴 존스는 지원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했기에, 폭발적인 무대 매너를 보여주던 지미 페이지, 로버트 플랜트와 달리 전면적으로 나서는 일은 드물었다. 그렇기에 레드 제플린의 다른 멤버들에 비해 저평가받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의 연주는 절대 과소평가될 수준이 아니며, 다른 멤버들에게 외면받고 밀려날 만한 실력도 전혀 아니다.[8]

존 폴 존스는 세션 출신답게 음악 장르에 따른 연주 스타일의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레드 제플린처럼 여러 장르를 시도한 밴드에서는 이러한 능력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Communication Breakdown, Whole Lotta Love 같은 헤비 메탈 스타일에선 화려한 기타 연주가 더욱 부각되도록 근음 위주의 비교적 단순한 연주를 보여준다. 하지만 Ramble On같은 포크 록이나[9] You Shook Me같은 블루스 록처럼 기타의 역할이 한정된 경우[10] 여러 스케일을 이용한 멜로디 라인을 얹어서 곡의 다이나믹을 살려내는 센스를 보여준다. 특히나 The Lemon Song 등의 노래에서는 아예 기타가 아니라 베이스가 곡을 주도해 나가기도 한다.[11] 이 외에도 레게, 파워 발라드, 사이키델릭 록 등 레드 제플린이 시도했던 모든 장르들 속에서도 그의 베이스는 항상 부족함 없이 음악을 지탱하고 있었다.

레드 제플린 해체 이후, 그는 이전의 밴드 지향적인 연주 스타일에서 약간씩 벗어나는 시도를 몇차례 보여줬다. 특히 솔로 활동 중에는 5현 복현 베이스[12]를 이용한 화려한 솔로 연주를 보여준 적도 있다.솔로앨범 Zooma에 수록된 곡 Tidal

이런만큼 존 폴 존스에게서 영향을 받거나 그의 팬인 베이시스트들이 많다. 대표적으로 존 디콘, 러시게디 리, 너바나크리스 노보셀릭, 크리스 드레야,[13] 밴 헤일런마이클 앤소니, 에어로스미스의 톰 해밀턴 등이 있다.

3.2. 키보디스트로서

딥 퍼플존 로드 등과 더불어 하드 록 계열의 키보디스트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사람중 하나다. 실제로 록 음악의 팬들이 꼽는 "최고의 키보디스트" 순위에서 10위권 안에는 꼭 들어가고, 프로그레시브 록 키보디스트들을 제외하면 거의 다섯손가락 안에 꼽는 수준이다.

2집 이후 레드 제플린의 음악적 스펙트럼이 넓어지면서 키보디스트로서의 비중이 높아졌는데, 존 폴 존스는 키보디스트로서의 자질도 높게 평가받는다. 베이스를 연주할 때의 얌전한 스타일과 달리 솔로연주에서는 화려한 테크니션을 뽐내며 기타 중심으로 돌아가던 레드 제플린의 곡들 중에서도 지미 페이지 대신 곡의 전개를 이끌어가는 곡이 많다.[14] 8집 In Through the Out Door에서는 지미 페이지가 마약으로 쇠약해져 로버트 플랜트와 존 폴 존스가 주도권을 잡고 작업했었는데, 그렇기에 All My Love 등 8집의 여러 곡들에서는 존 폴 존스의 키보디스트로서의 역량이 아주 잘 드러난다.

키보드 연주도 훌륭하지만 키보드에서 나오는 여러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적재적소에 적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Kashmir에서 들려주는 오케스트라 못지않은 웅장한 현악 사운드, No Quarter에서 들려주는 깊은 울림을 지닌 사이키델릭 사운드, Trampled Under Foot에서 들려주는 펑키하고 신나는 사운드, Hot Dog에서 들려주는 컨트리 사운드 등 지미 페이지의 기타보다 앞에 나서서 곡의 진행을 이끌어가는 특출난 사운드적인 안목을 보여준다.

3.3. 그 외

2000년 Going to California만돌린 연주
일단 그가 레드 제플린 시절에 보여준 악기만 해도 만돌린, 어쿠스틱 기타, 멜로트론, 콘트라베이스 등의 여러 악기를 사용해왔다.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의 전형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Going to California에서 사용한 만돌린일 것이다. 이 곡같은 경우에는 베이스 때와 달리 곡의 분위기를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 되는데, 만돌린 특유의 청량하고 맑은 음색을 십분 활용해낼 수 있는 멜로디와 코드를 지미의 기타 반주 위에 얹어 캘리포니아에서 만난 여성을 찾아 떠난다는 곡의 낭만적인 주제를 더욱 부각시켰다.

이렇게 악기라면 모두 다룰 것 같은 그가 못하는 것이 있다면 바로 보컬. 예시를 들자면 The Battle of Evermore 라이브가 있을 것이다. The Battle of Evermore는 원래 페어포트 컨벤션의 샌디 데니가 피쳐링한 곡이다. 하지만 라이브로 부를 땐 폴이 샌디 데니의 파트를 대신 부르는데, 맥없고 힘빠지는 목소리의 불안정한 보컬을 보여주었다.[15]

3.4. 작곡가로서

존 폴 존스는 다른 레드 제플린 멤버들처럼 작곡과 편곡에도 일가견이 있기에, 대다수의 레드 제플린의 히트곡들은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뿐만 아니라 존 폴 존스의 손을 거쳐서 나왔다. 특히 상술했듯이 8집에서는 존 폴 존스가 작곡 주도권을 잡고 앨범을 작업했는데, 8집 또한 평론적으로는 수작이라는 평가를 받듯이 작곡 능력또한 매우 출중했다.

4. 여담

파일:존폴존.jpg
청년기의 폴

[1] 현재는 런던 벡슬리 소속.[2] # 한화 약 1,200억원.[3] 소속 밴드였던 레드 제플린이 워낙 많은 장르를 다루었다보니 존 폴 존스 또한 수많은 장르의 곡들에서 베이시스트 및 키보디스트 등으로 활약했다.[4] 존스는 자신의 이름에 음악가로서의 카리스마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밥 딜런 처럼 세션맨 시절에 존 폴 존스로 개명했다. 존 폴 존스는 그가 감명깊게 본 영화제목에서 따온 것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영화의 제목이자 주인공인 존 폴 존스는 실존인물로 미국 독립전쟁 당시 영국과 싸운 미국의 독립영웅이다.[5] 실제로 라이브를 보면 여러 개의 악기를 세워놓고 연주하는 존스를 볼 수 있다.[6] 뒤에 언급되겠지만, 이로 인해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멀티 플레이어를 꼽을때 존 폴 존스의 이름이 항상 거론된다.[7] 여러개의 악기를 수준급으로 다루는 존스가 밴드의 사운드 지원에 탁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8] 다만 너무 조용하고 묵묵하게 연주해서 녹화 카메라에도 안 잡히던 존 디콘과는 달리, 존 폴 존스와 존 엔트위슬은 기교가 많이 들어간 과격한 속주도 자주 연주하였기에, 카메라에 자주 잡혔다. 이를테면 1970년 로얄 알버트 홀에서 한 라이브에서 지미 페이지와 마주보고 리듬타면서 연주하던 장면이 있다.[9] 사실 Ramble On은 Stairway to Heaven처럼 파트별로 장르가 다른 곡이다. 이러한 레파토리는 레드 제플린이 꽤나 많이 써먹던 구조이다.[10] 코드 연주가 대부분이거나(Ramble On) 블루스 스타일의 멜로디 연주가 대부분이거나(I Can't Quit You Baby)[11] 이 곡은 블루스 베이스의 교과서와 같은 곡으로 수많은 베이시스트들의 찬양을 받고 있다.[12] 5개의 현에 옥타브 간격으로 한줄씩 더 겹친 형태. 사실상 10현 베이스라고 보면 된다.[13] 야드버즈의 멤버였다.[14] 레드 제플린No QuarterThe Rain Song, Kashmir, Carouselambra 등은 그의 환상적인 키보드 연주를 들을 수 있는 명곡이다.[15] 다만 해당 곡의 음이 높다는 점과 샌디 데니가 상당한 미성의 보컬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잘 소화하지 못한 것이 당연했을 거라는 의견도 있다. 2001년에는 That's the Way의 보컬을 수준급은 아니더라도 꽤 괜찮게 커버하기도 했다.#[16] 그래서 레드 제플린의 연도별 활동 사진을 보면, 다이나믹한(...) 존스의 스타일 변화가 눈에 띈다.[17] 이와는 대조적으로 의 베이시스트 존 디콘은 한때 기차를 이용해서 스튜디오로 출퇴근했는데, 외모에 아무 변화를 주지 않았음에도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했다고 한다... 사실 디키 옹의 외모가 많이 평범한 탓이기도 하지만...[18] 같잖게 여겼다는게 아니라, 어디까지나 존 본햄 "만큼"은 아니었다는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