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3:51:28

만돌린


인도/유럽/기타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바이올린
바이올린 비올리노 피콜로 · 바로크 바이올린 · 오현 바이올린 · 피들 · 콘트라 · 슈트로비올 · 로트피올 · 하링펠러 · 알렉산더 바이올린 · 일렉트릭 바이올린
비올라 알토 바이올린 · 비올라 폼포자 · 비올라 프로폰다
첼로 바로크 첼로 · 피콜로 첼로 · 베이스 바이올린 · 바리톤 바이올린 · 첼로 다 스팔라 · 첼로네 · 일렉트릭 첼로 · 아르페지오네
더블베이스 콘트라베이스 · 옥토베이스
비올
비올 비올라 다 감바 · 바리톤 · 디비전 비올 · 리라 비올 · 파르드쉬 드 비올 · 비올라 다모레 · 비올로네 · 리로네 · 비웰라 데 아르코
파생 비엘 · 리라 다 브라치오
리라/레밥
리라 비잔티움식 리라 · 크레테식 리라 · 칼라브리아식 리라 · 가둘카 · 리예리차 · 포셰트 · 구덕
레밥 레밥 · 레벡 · 라베카 · 카마이차 · 카만체 · 가이착
휠 피들
드렐라이어 · 돈스코이 릴레이 · 덜시거디 · 드레옐리레 · 렐리아 · 니네라 · 비올라노 비르투오소 · 휠 하프 · 비올라 오르가니스타 · 하모니코드 · 보겐클라피어
기타 찰현악기
요우힉코 · 크루즈 · 니켈하르파 · 탈하르파 · 구슬레 · 사랑기 · 사린다 · 야이바하르
발현​악기 지터계
지터 칸텔레 · 코라
류트
류트 우드 · 라바브 · 시타르 · 테오르보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반두라 · 우쿨렐레 · 차랑고 · 밴조 · 아이리시 부주키
사즈 사즈 · 부주키
기타 기타 · 클래식 · 어쿠스틱 · 일렉트릭 · 베이스 · 일렉트릭 베이스 · 바리톤
하프
하프 하프
이외 티체스트 베이스 · 하프시코드 · 하르페지
타현​악기
덜시머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피아노(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

파일:만돌린.jpg
1. 개요2. 역사3. 특징4. 종류
4.1. 밀라노식(롬바르디안) 만돌린4.2. 나폴리식 만돌린
4.2.1. 보울백 만돌린4.2.2. 플랫 만돌린
5. 국내 연주자6. 그 외

[clearfix]

1. 개요

파일:만돌린 음역.jpg
8현 만돌린의 음역대
만돌린(Mandolin)은 류트족에 속하는 발현악기이다.

전체적인 크기는 대략 60cm 정도로, 일반적인 기타의 대략 2/3정도보다 약간 작은 크기이며, 콘서트 우쿨렐레와 거의 비슷하다. 프렛의 갯수는 대개 17개에서 24개 정도로, 낮은 음을 내는 현과 높은 음을 내는 현 간의 프렛 갯수 차이가 있는 경우도 많다.

2. 역사

현대의 만돌린은 그 형태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져 18세기에 가장 크게 유행했다. 그 이전에 만돌린이 속한 발현악기족의 전신이 되는 류트르네상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그 류트의 전신이 되는 중동우드가 대략 7세기 무렵 형성되었다.

과거에는 거트현과 나무 줄감개를 썼지만 19세기부터 강선 스틸 현과 나사식 줄감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3. 특징

8현 복현 4코스 구조이며 현간 음정이 완전 5도가 되게 아래서부터 E, A, D, G로 조율한다. 음역 자체는 바이올린과 같기 때문에, 바이올린 연주자들이 취미로 배우는 경우도 많다.

스케일[1]이 매우 짧은데다 구조상 하이프렛으로 갈수록 프렛의 간격이 작아지며, 음의 정확성이 떨어지는건 어쩔 수 없는 문제. 특유의 복현 구조로 트레몰로(떨림음) 표현에 적합하며[2] 표현력에 한계가 있지만 그만큼 연주하기도 간편하여 취미 악기로 종종 연주되고는 한다.

4. 종류

파일:밀라노 만돌린.jpg
파일:나폴리 만돌린.jpg
밀라노식 만돌린[3] 바로크 시대의 나폴리식 만돌린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바로크 시대연주에 쓰이는 12현 밀라노식 만돌린이고, 다른 하나는 현재 흔히 연주하는 8현 나폴리식 만돌린이다.

아래 설명할 보울 백 만돌린과 플랫 만돌린은 8현 나폴리식 만돌린에 들어간다.

4.1. 밀라노식(롬바르디안) 만돌린

안토니오 비발디가 작곡한 만돌린 협주곡
(Mandolin Concerto in C Major, RV 425: I. Allegro)
현 구성은 12현으로, 복현 6코스이다. 조율은 가장 얇은 줄부터 G, B, E, A, D, G로 한다. 즉 나폴리식에서 두 쌍의 줄을 더 끼운 형태이다.

바로크 시대의 현악기답게 넥은 짧고, 바이올린족 악기들 처럼 프렛은 없다. 현은 거트현 혹은 나일론을 쓴다. 울림통도 작고 나폴리식보다 소리가 더 가볍고 부드럽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현악기인 류트처럼 사운드 홀에 매우 화려한 무늬가 들어간 경우가 많다.

4.2. 나폴리식 만돌린

4.2.1. 보울백 만돌린

보울백 만돌린의 연주 모습 크레타식 만돌린의 연주 모습
해당 문서 맨 위 사진처럼 후판부가 둥근, 나폴리에서 발전한 8현 만돌린을 보울백(bowlback) 만돌린이라고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bowl을 '볼'이라고 적기도 한다.[4]

배음이 플랫 만돌린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전통적인 음악이나 반주 등에 적합하다. 클래식 음악을 연주할 때 쓰는 것도 이쪽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민속악기로도 쓰이는데, 이탈리아 민속음악이라든가, 과거 베네치아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크레타에서도 만돌린을 주된 반주악기로 사용한다. 크레타식 만돌린(το κρητικο μαντολίνο)은 8현으로 나폴리식 만돌린과 유사하다. 다만 조율법은 조금 다른 듯.

4.2.2. 플랫 만돌린

깁슨 A5 스타일 만돌린 연주 모습. 깁슨 F5 스타일 만돌린 연주 모습
현대적으로 개량된 만돌린의 한 종류이며 울림통이 세미 할로우 바디 일렉트릭 기타 수준으로 납작한 것이 특징이다. 울림통이 작기에 상대적으로 고음역대가 강조되며 속주에 강해 컨트리 뮤직이나 재즈, 블루스 등에 두루 사용된다.

플랫 만돌린을 크게 나누면 또 두 가지로 나뉜다. 사운드홀이 구형(oval hole)인 악기들과 바이올린의 F홀(f-hole)을 가진 악기로 분류된다. 모양만큼이나 소리와 구조에도 차이가 난다. 구형 사운드 홀을 가진 악기들은 조금 더 전통적인 울림을 가지고 있고, 상판을 뒤집어 보았을 때 울림바가 기타처럼 x모양 혹은 홀 바로 밑에 =모양으로 들어가 있다. 음을 잡고 튕길 때 F홀 악기보다 툭툭소리가 덜 나온다. 소리 자체는 간단히 말해 더 친숙하고, 따뜻하며, 열린 음색이다.

F홀을 가진 악기들은 유럽기타에서 파생된, 바이올린과 비슷한 느낌이다. 소리도 구형 사운드홀보다 시원한 느낌이 나고 음량도 더 크다. 모든 현에서 뮤트가 구형 홀 악기보다 잘 되어 연주 중간중간에 포인트로 챱을 넣기도 좋다.

구형 홀 악기가 무난하고 부드러운 멜로디를 연주하기 좋다면 F홀 악기들은 좀 더 테크니컬하고 에지있는 연주를 하기에 좋다.

참고로 납작한 바디에 위 아래가 볼록 튀어나온 만돌린은 깁슨의 설립자 오빌 깁슨이 개발하여 1898년 특허를 냈으며, F5형 만돌린은 깁슨의 빌더 겸 악기 디자이너였던 로이드 로어(Lloyd Loar)가 1922년에 개발하여 발표하였다.

입문용으로 쓸만한 만돌린의 가격은 A5 스타일(F홀) 만돌린 10만 원대 초반, F5 스타일(은 입문용이 없지만 그래도 적자면) 30만 원대 중반 정도이다. 보울백 만돌린 역시 F스타일과 비슷한 가격.
.

5. 국내 연주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주자(국악/클래식 이외) 문서
4.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그 외


[1] 상현주부터 하현주까지의 길이. 즉 현을 튕겼을 때 진동하는 부분의 길이이다.[2] 이 특징과 결부되어 있는 주법 상의 특징으로, 현의 울림 자체가 길게 지속되지 않는 악기이기 때문에 트레몰로를 이용해서 음의 길이를 늘리는 방식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는 점이 있다.[3] 롬바르디아 만돌린이라고도 한다.[4]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영어 [oʊ\] 발음을 ㅗ로 적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예: note [noʊt\] 노트) bowl [boʊl\]도 '볼'로 표기된다.[5] 저음역 위주로 개량한 만도베이스가 있기는 하나 공명현이 없으며 크기가 적정 크기보다 작아 소리가 너무 작기에 사실상 도태되고 말았다. 다만 일부 변형은 공명현이 있다.그래도 대다수는 공명현이 없다[6] 만도베이스의 적정 길이는 130~140cm이나 현재 만도베이스의 길이는 겨우 110cm이다. 다만 너무 커지면 연주자가 연주하기 힘들어지기에 공명현이 들어가는게 훨씬 나아보인다.[7] 만돌린이 그렇게 튼튼한 재질이 아니라 둔기로서는 부적합하고, 실제로 이걸로 머리를 때렸음에도 치명상을 입히지는 못했지만 심장 질환을 앓고 있던 피해자가 충격으로 심장 발작을 일으켜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