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8:00:17

게디 리

'게디 리'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20년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50명을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제임스 제머슨 찰스 밍거스 존 엔트위슬 부치 콜린스 캐럴 케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잭 브루스 래리 그레이엄 자코 파스토리우스 폴 매카트니 론 카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레시 윌리 딕슨 스탠리 클라크 존 폴 존스 도널드 ‘덕’ 던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찰리 헤이든 로비 셰익스피어 크리스 스콰이어 버딘 화이트 릭 댕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기저 버틀러 플리 빌 와이먼 게디 리 클리프 버튼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스라엘 카차오 로페스 데이비드 후드 애스턴 "패밀리 맨" 배럿 티나 웨이머스 밥 무어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버나드 에드워즈 스팅 레미 킬미스터 리처드 데이비스 루이스 존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레 클레이풀 존 맥비 피노 팔라디노 킴 고든 빌 블랙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조지 포터 주니어 토니 레빈 마이크 와트 조셉 마크웰라 에스페란자 스팔딩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피터 훅 릴랜드 스클라 킴 딜 더프 맥케이건 썬더캣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의 독자들이 2011년에 선정한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10명의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존 엔트위슬 플리 폴 매카트니 게디 리 레 클레이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존 폴 존스 자코 파스토리우스 잭 브루스 클리프 버튼 빅터 우튼
}}}}}}}}} ||

<colbgcolor=#00001b><colcolor=#fff> 게디 리
Geddy Lee
OC[1]
파일:geddylee.jpg
본명 게디 리 와인리브
Geddy Lee Weinrib[2]
출생 1952년 7월 29일 ([age(1952-07-29)]세)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주 토론토 노스 요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활동 1968년 ~ 현재
소속 러시
직업 싱어송라이터
장르 하드 록, 헤비 메탈, 프로그레시브 록
악기 보컬, 베이스 기타, 신디사이저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음악적 특징4. 여담

1. 개요

파일:geddy lee.jpg

게디 리 와인리브, 별칭 게디 리는 캐나다의 록 밴드 러시의 보컬리스트, 베이시스트, 키보디스트로 가장 잘 알려진 캐나다의 뮤지션이다. 특유의 가느다란, 하이톤의 목소리와 탁월한 베이스 연주, 그리고 그 못지않은 훌륭한 키보드 연주로 러시의 실험적인 음악성을 잘 구현하여 후대 프로그레시브 록/메탈 밴드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1953년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홀로코스트의 폴란드계 유대인[3] 생존자인 모리스 와인리브(Morris Weinrib)와 메리 루벤슈타인(Mary Rubenstein) 부부의 아이로 태어났다. 13살 되던 해 아버지였던 모리스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이는 게디에게 "삶은 정말 빠르게 소멸할 수 있다."라는 교훈을 심어주었다고 한다. 이후 고등학교 친구들과 함께 집 지하실을 연습실 삼아 음악을 하게 된다.

게디는 스스로 "영국식 프로그레시브 록에 큰 영향을 받았다"라고 말하였다. 실제로 그에게 영향을 준 뮤지션으로는 잭 브루스, 제프 벡, 존 엔트위슬, 크리스 스콰이어[4] 등이 있었다고 한다.

3. 음악적 특징

게디 리는 마귀할멈처럼 생긴 외모에 찰떡처럼 어울리는 초고성을 들려주며 베이스를 연주하고 키보드/신디사이저를 다루는 등 현재도 락 음악계에서 멀티태스킹 하면 떠오르는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게디 리의 톡특한, "카운터테너" 팔세토의 울림있다고 묘사되는 3옥타브 대 보컬은 밴드의 상징이었으며[5] 이는 밴드 커리어 초기에 잘 드러난다. 이후 나이가 들어가며 목소리가 부드러워지자 "wail"[6]로 묘사되기도 했다.

베이스 연주에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실력파로, 동년배인 빌리 시언이 가장 존경하는 베이시스트라는 말로 설명이 되겠다. 시언 외에도 스티브 해리스, 존 명, 레스 클레이플 등등의 베이시스트들 또한 게디 리의 영향을 받았다. 연주자로서의 특징은 높은 음역대의 강조와 상당히 어려운 수준의 연주, 그리고 베이스를 알렉스 라이프슨의 기타와 함께 사운드를 리드하는 악기로도 자주 사용했다는 점이다.[7]

지금은 베이스 연주자로 유명하지만 원래 기타 연주자였다. 베이스를 치기로 했던 친구가 부모님으로부터 음악활동을 금지 먹으면서 결국 본인이 베이스를 하기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베이스 연주자가 그리 별로 없었던지라 남들이 안 하는 걸 한번 해보자는 생각에 도전하였다고 한다. 그의 현란한 베이스 연주는 원래 그가 기타리스트였던 경험에서 나왔다. 즉 기타에서 하던 테크닉을 베이스에서 소화를 했다. 처음엔 그 조용하던 아들이 밴드하면서 허구한 날 친구들과 집 지하실에서 하드록을 연주하다 보니 어머니는 아들이 마약하는 줄 알아서 엄청 걱정하셨다고 한다(...).

베이스는 1960년대는 펜더 프레시전 베이스를, 1970년대는 리켄배커 4001을 썼고 이후에는 1998년에 펜더에서 시그니처 모델로 나온 재즈베이스를 애용하고 있다. 이 이외에 개인적으로 수집한 베이스가 회사별로 여러 개인데, 넉넉잡아도 120개 정도 된다고 한다. 그래서 러시 활동 중단 후 50년 가까이 본인이 수집하고 사용한 베이스들을 정리해서 그 베이스들의 성능과 특징에 대해 집대성한 책을 집필하였다. 제목은 "Geddy Lee's Big Beautiful Book of Bass"이다.

그외 키보드/신디사이저로는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에 Minimoog[8], Moog Taurus[9], 오버하임 OB1[10]/8 Voice[11]/OB-8[12]/OB-X[13]를 사용했고, 1980년대 신디사이저 실험시기에는 이외에 오버하임 OB-Xa[14]Roland Jupiter-8[15], PPG Wave 2.2[16]/2.3[17], 야마하 DX-7, Roland D-50[18], SCI Prophet VS[19], 야마하 KX76[20], 롤랜드 TR808[21], 오버하임 DSX 시퀀서[22], 야마하 QX1 시퀀서[23], 아카이 S900 샘플러[24] 등을 사용했다. 1990년대에는 이중에 Taurus, KX76, D50만 사용했다. 이후 2000년대 초반엔 Taurus, DX7, 롤랜드 XV-5080, D50 이렇게 잠시 사용하다가, R30 땐 DX7에서 다시 KX76으로 바꿨다. 이후부턴 Taurus와 Moog Little Phatty, 그리고 롤랜드 Fantom X7를 계속 사용했다.

4. 여담



[1] Officer of the Order of Canada. 캐나다의 국익을 신장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훈장.[2]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개리 리 와인리브(Gary Lee Weinrib)[3] 그의 성인 Lee는 유대계 성씨로(여담이지만 Lee는 아일랜드계 성씨이기도 하다.), 같은 유대인 가수인 데이비드 리 로스와 같다.[4] 결국 게디는 2017년 예스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 공연에서 고인인 스콰이어를 대신해 베이스를 맡게 된다.[5] 때로는 비판의 대상이기도 했다. 하지만 데뷔 초창기 락 페스티벌이나 오프닝 밴드로 공연할 당시 공연장에 있던 에이전시 직원들이나 다른 밴드들은 게디 리가 특정 포인트에서만 고음을 내는 것이 아닌 노래하는 내내 하이톤을 유지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점을 엄청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다른 사람 같으면 그 목소리를 낼려면 공연 전에 약을 거하게 빨거나 아니면 술을 좀 마신 상태여야 했다고 한다(...).[6] 울부짖다, 흐느끼다, (길고 높은) 소리를 내다[7] 러시의 음악들을 쭉 들어보면 베이스음이 단순히 기타 코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닌 기타와 차별된 멜로디로 연주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이 게디가 예스의 크리스 스콰이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걸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실 멜로디 메이킹을 할 파트가 기타 하나밖에 없는 경우엔 베이스가 어느 정도 멜로디 라인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 라인이 독립적인 성향을 띄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레드 제플린이나 블랙 사바스도 이런 경우.[8] 전성기 러시 음악의 키보드 솔로에 중심 역할을 했던 신디사이저. A Farewell to Kings 투어 때부터 Grace Under Pressure 투어 때까지 사용됐다.[9] 페달 신디사이저로 러시 음악에서 주로 베이스 연주 중 신디사이저가 필요할 때 많이 쓰였다. A Farewell to Kings 투어부터 투어 때마다 시리즈만 바뀌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10] Permanent Waves, Moving Pictures Tour 때 사용.[11] 특히 1980년대 초반에는 이 오버하임 Voice와 Minimoog를 엘렉톤처럼 개조(?)한 악기를 사용했었다. Tom Sawyer/Limelight 뮤비에서 확인할 수 있다. Hemispheres 투어때부터 사용됐다.[12] Moving Pictures, Signals Tour까지 사용됐다.[13] Subdivisions에서 사용된 그 악기다. Moving Pictures, Signals 투어에서 사용됐다.[14] Signals, Grace Under Pressure 투어 때 사용.[15] Red Sector A에서 사용. Signals 투어부터 Power Windows 투어 때까지 사용.[16] Distant Early Warning에서 사용됨. Grace Under Pressure 투어 때 사용.[17] The Big Money, Marathon 등에서 사용. Power Windows, Hold Your Fire 투어 때 사용됐다.[18] Lock And Key, Mission등에서 사용. Hold Your Fire 투어부터 사용.[19] Hold Your Fire 투어에서 Minimoog대신 사용됨.[20] 마스터건반. Power Windows 투어부터 사용했다. 초기에는 E-MU 에뮬레이터 2나 DX-7에 연결해서 사용했고, Hold Your Fire 투어 때는 D50의 모듈러인 D-550을 연결해서 사용했다고 한다.[21] Signals, Grace Under Pressure 투어 때 사용[22] Signals, Grace Under Pressure 투어 때 사용[23] Power Windows, Hold Your Fire 투어 때 사용됐다.[24] Hold Your Fire 투어 때 사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