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한슬리크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스티브 라이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
<colbgcolor=#000,#050505><colcolor=#fff> 스티브 라이히 Steve Reich | |
본명 | 스티븐 마이클 "스티브" 라이히 Stephen Michael "Steve" Reich |
출생 | 1936년 10월 3일 ([age(1936-10-03)]세)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코넬 대학교 (철학과 / 학사) 밀스대학 대학원 (석사) |
직업 | 작곡가 |
장르 | 미니멀 음악, 현대 클래식 음악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현대 작곡가. 필립 글라스와 함께 미니멀리즘 음악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관심이 많으며 자신의 음악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표현하려는 시도도 하였다.스티븐 마이클 라이히는 1960년대 중후반 미니멀 음악의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작곡가다. 라이히의 작품은 반복적인 도형, 느린 화성 리듬, 캐논의 사용으로 특징지어진다. 라이히는 "점진적 과정으로서의 음악"이라는 에세이에서 "나는 지각 가능한 과정에 관심이 있다. 나는 음악이 울려 퍼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들을 수 있기를 원한다."라고 말하며 이 개념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그의 초기 작품에서는 하나 이상의 반복되는 프레이즈가 다른 프레이즈보다 느리게 또는 빠르게 연주되어 "위상을 벗어나는" 위상 이동을 실험했다. 이를 통해 지각할 수 있는 흐름에 새로운 음악 패턴을 만들어 낸다.
그의 혁신에는 테이프 루프를 사용하여 초기 작곡 It's Gonna Rain(1965)과 Come Out(1966)에서와 같이 페이징 패턴을 만들고, 진자 음악(1968)과 네 개의 오르간(1970)에서와 같이 단순하고 가청 가능한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1978년 녹음한 18명의 음악가를 위한 음악은 미니멀리즘을 하나의 운동으로 정착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라이히의 작품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역사적 주제와 그의 유대인 유산, 특히 다른 열차(1988)의 주제를 도입하면서 더욱 어두운 성격을 띠게 되었다.
라이히의 작곡 스타일은 특히 미국의 많은 현대 작곡가 및 그룹에 영향을 미쳤다. 음악 평론가 앤드류 클레멘츠는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라이히가 "음악사의 방향을 바꾸었다고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소수의 생존 작곡가" 중 한 명이라고 말했다.
2. 생애
1936년 미국 뉴욕에서 작사가이자 가수인 어머니와 변호사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가 한 살일 때 부모가 이혼을 했기 때문에 라이히는 아버지가 있는 뉴욕과 어머니가 있는 캘리포니아를 오가며 자랐고, 이 때의 경험은 나중에 '다른 기차들' 등의 작품에 영향을 준다. 아버지의 권유로 7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으나, 본인의 회고에 따르면 '중산층의 취향'이라고 하면서 반쯤 강제로 배웠다고 한다. 대신 그는 드럼에 관심이 많았고, 이는 나중에 그가 리듬 중심의 음악을 쓰는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당시부터 강한 반골기질을 가져 '1750년에서 1900년까지의 음악에는 흥미 없습니다.'라고 했을 정도였다. 참고로, 저 시대의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브람스, 바그너 등이 있다. 그래서 14살 대 음악을 본격적으로 배울 때부터 바로크 음악과 20세기 음악을 주로 들었고, 드럼을 사사하는 열성을 보였다. 평생의 라이벌인 글라스가 대학에 입학한 해에 라이히도 16살의 나이로 코넬 대학교에 입학하였다. 라이히는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전공으로, 음악을 부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줄리어드 음대로 향했다. 그러나 줄리어드 특유의 보수적인 음악관과 갈등을 일으키고 현대음악의 중심지 중 하나로 작곡가 루치아노 베리오가 있던 오클랜드의 밀스 칼리지로 학교를 옮긴다.[1] 라이히도 처음에는 베리오의 음악을 지지했지만, 이내 노선을 바꿨다. 당시 그가 있던 미 서부를 뒤흔든 히피 열풍과 그에 따른 재즈, 로큰롤의 열풍이 첫번째 요인이었고, 다른 하나는 테리 라일리, 라 몬테 영이 창안한 미니멀리즘 음악이었다. 이때부터 라이히는 미니멀리즘에 기반한 음악을 작곡해왔으나, 아직은 테이프를 이용한 구체 음악에 집중하여 베리오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당시의 대표작으로는 '생계(Livelihood)'등이 있다.대학원 졸업 후 라이히는 글라스처럼 아르바이트 전선에 뛰어든다. 낮에는 택시 운전이나 우체국 직원으로, 밤에는 밴드를 만들어 자신의 작품을 연주했다. 이때 당시 그의 밴드의 멤버 중에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톰 콘스턴틴, 필 레시 등 후에 대중 음악에서 성공한 인물들도 있다. 1966년, 라이히는 음악에 있어서 전환점을 맞이한다. 테이프를 이용한 구체 음악에서 벗어나 실제 연주를 위한 작품을 쓰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노선 변경에 시발점이 된 작품은 1967년 발표한 '피아노 위상(Piano Phase)'이다.
두개의 피아노 또는 마림바를 위한 '피아노 위상'(1967) | 시각적으로 표현한 버전 |
1968년 '점진적 과정으로서의 음악'이란 글을 발표하면서 라이히는 자신의 미니멀리즘 음악의 방법론을 세웠다. 이러한 방법론에 바탕한 그의 작품들은 구조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 이 당시 작곡된 작품들로는 '진자 음악', '4개의 오르간', '바이올린 위상' 등이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대중의 평가는 냉담했다. 1973년 보스턴 심포니에 의해 '4개의 오르간'이 초연되었지만, 결과는 역시 좋지 않았다.
1970년, 라이히는 새로운 자극을 위해 5주간 가나로 음악 교육을 받기 위해 떠난다. 이 당시 모기 폭격을 받아 말라리아에 걸려 뉴욕행 비행기 대신 요단강 익스프레스를 탈 뻔 했지만, 가나에서의 음악적 체험은 그의 음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원래 재즈나 드럼에 관심이 많았던 라이히에게 아프리카 음악 특유의 역동적인 리듬은 부스터를 달아준 셈이었다. 이 당시 발표된 대작 '드러밍'은 기존의 구조 중심의 음악에서 벗어나 다양한 리듬을 도입한 그의 음악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어 1973년에는 인도네시아에서 전통음악인 가믈란 음악을 배우면서 그의 음악의 범위는 더 넓어진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박수 음악(Clapping Music)', '여섯 피아노', '타악기, 성악, 오르간을 위한 음악' 등이 있다.
라이히와 미니멀리즘 음악이 주류로 떠오르는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였다. 74년부터 3년에 걸쳐 작곡한 '18인의 음악가를 위한 음악(Music for 18 Musicians)'이 뉴욕 타운홀에서 초연되어 음반이 10만장이 넘게 팔리면서 글라스의 '해변의 아인슈타인' 초연과 함께 미니멀리즘 음악은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된다. 이시기 들어 라이히는 음악의 규모도 늘리기 시작하여 '큰 앙상블을 위한 음악(Music for large ensemble)', '8중주', '목관, 현, 키보드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위한 변주곡' 등 실내악 내지는 독주곡에서 앙상블로 무대가 넓어진다.
1980년대 들어서 라이히는 다시 자신의 뿌리로 눈을 돌린다. 유대계인 그는 히브리어 시편에서 가사를 따온 첫 가사달린 성악곡 '테헬림'을 발표한다. 그 외에도 앞서 설명한 유년기의 경험과 학살당한 유대인들을 기리는 '다른 기차들(Different Trains)'를 발표했고, 그는 1989년 이 곡으로 그래미 어워드 현대음악 부문 상을 수상한다. 이 시기에 여러 오케스트라로부터 작품을 위촉받았는데, '3개의 악장', '4개의 부분'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라이히는 이러한 요청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고, 현재까지 전통 좆까 노선을 유지중이다. 근본에 깔린 서구 클래식 음악에 대한 반골 기질 탓이라고 하며, 본인의 말에 따르면 '내 교향곡 1번은 절대 없다'라고 못박았을 정도다.[2]
90년대 이후 2010년대 현재까지도 라이히는 계속 활동 중이다. 그의 다양한 리듬과 미니멀리즘 방법론에 많이 기초하고 있는 힙합, 일렉트로니카 음악이 떠오르면서 다시금 재조명 중이다.[3] 1999년에는 켄 이시이, DJ Spooky 등 그에게 영향받은 음악인들이 합동으로 그의 리믹스 앨범을 내었고, 2010년대까지 '나고야 마림바', '시티 라이프', '첼로 대위법', '이중 6중주', 'WTC 9/11', '라디오 리라이트'등 여러 죽품을 발표중이며, 2013년 EBS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서양음악기행'에도 출연하였다. 유료로 볼 수 있으며(올레 TV에서 무료로 시청 가능), 그의 작품 세계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 보는것도 나쁘지 않다.
2015년에 London Sinfonietta와 합작으로 박수음악(Clapping Music)을 게임 앱[4]으로 만들었다. 제작사는 Touchpress.
3. 작품 성향
앞서 말했듯 라이히는 글라스 등과 함께 미니멀리즘 음악의 대표 주자이다. 그러나 글라스가 신낭만주의에 기울어 좀더 고전음악에 가까운 반면, 라이히는 '전통 좆까!'노선을 그대로 유지 중이다. [5] 월드 뮤직, 특히 아프리카, 동남아의 음악을 주로 받아들여 역동적이고 화려한 리듬이 대표적인 특징이다. 또한 대중음악에도 큰 영향을 주어 앞서 말한바와 같이 그에게 영향을 받은 음악가들이 낸 리믹스 앨범 외에도 브라이언 이노, 킹 크림슨, 텔레비전 등도 그에게 영향을 받았다. 본인도 재즈, 로큰롤에 큰 영향을 받아 초기작의 경우 엘라 피츠제럴드의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한 바 있으며, 마일스 데이비스로부터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2013년 발표한 '라디오 리라이트'는 라디오헤드의 음악을 듣고 받은 인상을 표현했다고 밝혔다.그러나 라이히의 음악은 오늘날 많은 청중을 불러 모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스티브 라이히 외의 타 연주자나 타 연주단체가 연주한 라이히의 앨범도 매우 적다. 이에 비해 글라스의 대중적인 '성과'는 좀 더 화려한 편. 그 때문인지 음악학자들에게는 은근히 라이히에 대한 평가가 더 좋은 편이다.
한국계 클래식 작곡가이자 유튜버인 Nahre Sol의 소개 영상. 영상 후반부(4:52)에서는 스티브 라이히 스타일로 생일 축하합니다 노래를 편곡해서 연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4. 주요 작품
- 생계(Livelihood)
- 비가 오고 있다(It's gonna Rain, 1965)
- 멜로디카(1966)
- 두개의 피아노 또는 마림바를 위한 '피아노 위상'(1967)
- 바이올린과 테이프 도는 바이올린 4대를 위한 '바이올린 위상'(1967)
- 3~4대의 마이크와 앰프, 스피커를 위한 '진자음악'(1968)
- 마라카스와 전자 오르간을 위한 '4대의 오르간'(1970)
- 네 대의 전자 오르간을 위한 '위상 패턴(Phase Pattern)'(1970)
- 4짝의 봉고, 3대의 마림바, 3대의 글로켄슈필, 두 여성 성악, 호루라기와 피콜로를 위한 '드러밍'(1970)
- 두 음악가를 위한 '박수 음악'(1972)
- 여섯 피아노(1973)
- 타악기와 성악, 오르간을 위한 음악(1973)
- 18인의 음악가를 위한 음악(1974-76)
- 큰 앙상블을 위한 음악(1978)
- 8중주(1979)
- 목관, 현악, 키보드에 의한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1979)
- 여섯 마림바(1980)[6]
- 성악과 앙상블을 위한 '테힐림'(1981)
- 합창과 오케스트라 또는 성악과 앙상블을 위한 '사막 음악'(1983)
- 오케스트라를 위한 세 개의 악장(1986)
- 오케스트라를 위한 네 개의 부분(1987)
- 전자기타와 테이프를 위한 '전기 대위법'(1987)
- 현악 4중주와 테이프를 위한 '다른 기차들(Different Trains)'(1988)
- 두 대의 마림바를 위한 '나고야 마림바'(1994)
- 증폭된 앙상블을 위한 '시티 라이프'(1995)
- 증폭된 현악 사중주와 녹음된 테이프 또는 세 현악 4중주 또는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삼중 4중주(1998)
- 증폭된 첼로와 테이프를 위한 '첼로 대위법'(2003)
- 2대의 바이올린, 2대의 첼로, 2대의 피아노, 2대의 비브라폰, 2대의 클라리넷, 2대의 플루트 또는 앙상블과 녹음된 테이프를 위한 이중 6중주(2007)
- 현악 4중주와 테이프를 위한 'WTC 9/11'(2010)
- 앙상블을 위한 '라디오 리라이트(Radio Rewrite)'(2012)
5. 둘러보기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한슬리크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1] 베리오에 대해 잠시 설명하자면,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와 함께 20세기 전자음악의 대명사로 그 밑의 제자들도 라이히 외에도 그레이트풀 데드의 필 레시, 톰 콘스탄튼 등이 있다. 나름 프로그레시브 록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2] 교향곡 넘버링 수를 늘리는 데에 집중하고 있는 글라스를 의식한 발언일 것이다.[3] 스티브 라이히의 음악은 일렉트로니카나 힙합 쪽에서 샘플링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90년대 하우스 명곡인 오브의 litle fluffy clouds가 Electric Counterpoint를 샘플링했다. 스티브 라이히는 이 곡에 대해 돈을 받지 않기로 했고 그 뒤로 리믹스계에서 자신에 대한 평이 좋아진 것 같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4]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아쉽게도 안드로이드용으로는 출시되지 않았다.[5] 때문에 라이히는 글라스의 최근 음악에 상당히 비판적이다. 글라스 역시 라이히의 음악을 에둘러 '아무도 안 듣는 주제에'라고 깠을 정도.[6] 위의 '여섯 피아노'를 마림바 버전으로 편곡한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