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000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Talking Heads: 77 1977.9.16 | More Songs About Buildings and Food 1978.7.21 | Fear of Music 1979.8.3 | Remain in Light 1980.10.8 | |
Speaking in Tongues 1983.6.1 | Little Creatures 1985.6.10 | True Stories 1986.10.7 | Naked 1988.3.15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관련 문서 ]
}}}}}} ||Remain in Light | |
| |
<colbgcolor=#4976a2><colcolor=#a82b21> 발매일 | 1980년 10월 8일 |
녹음일 | 1980년 7월 - 8월 |
장르 | 포스트 펑크, 뉴 웨이브 |
재생 시간 | 40:10 |
곡 수 | 8곡 |
프로듀서 | 브라이언 이노 |
스튜디오 | 컴패스 포인트 스튜디오 시그마 사운드 스튜디오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뉴웨이브 밴드 토킹 헤즈의 4번째 스튜디오 앨범. 1980년 10월 8일 발매되었다.2. 상세
2집 More Songs About Buildings and Food부터 합류한 브라이언 이노가 들어서면서 이루어진 아프로비트와 폴리리듬 등 다양한 음악요소들이 섞이면서 독자적인 세계를 완성한 앨범이다. 뉴욕과 바하마에서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브라이언 이노가 마지막으로 프로듀싱한 토킹 헤즈 앨범이기도 하다. 원래 프로듀싱을 맡지 않으려 했으나 멤버들이 보낸 데모를 들어보고 마음을 바꿨다. 킹 크림슨, 데이비드 보위와 작업한 아드리안 벨류가 기타 연주에 참여했다. [1] 벨류는 이후 1980-1981년 사이의 토킹 헤즈 투어에 세션 멤버로 함께한다.멤버들의 얼굴이 글리치스럽게 붉은 색으로 뒤덮여있는 앨범 커버는 MIT의 최신 컴퓨터 기술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유명한 앨범 아트라 각종 패러디나 오마주가 생겨나곤 한다. 원래 시안은 전투기 편대가 히말라야산맥을 배경으로 비행하는 모습이었다.
3. 평가
|
10.0 / 10.0 |
|
★★★★★ |
|
4.26 / 5.00 |
미국의 펑크 무브먼트를 아프리카 음악의 시선으로 재해석한 혁신적인 작품. Talking Heads와 프로듀서 브라이언 이노(Brian Eno)는 아프리카 음악을 사랑했습니다. 특히 펑크와 재즈 리프를 반복하며 15~20분짜리 곡을 만드는 나이지리아의 아티스트이자 사회운동가 Fela Kuti의 작품을 좋아했죠. Talking Heads의 네 번째 정규 앨범 'Remain In Light'에서는 Kuti로부터 받은 막대한 영향력이 느껴집니다. 특히 이전의 록 앨범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폴리리듬을 사용했다는 점이 두드러지죠. 밴드의 모든 멤버와 프로듀서 이노는 앨범에 수록된 8곡에서 여러 악기를 연주했습니다. 타악기 연주자 겸 기타리스트 Adrian Belew, 소울 싱어 Nona Hendryx, 아방가르드 트럼펫 연주자 Jon Hassell도 참여했죠. |
각종 장르의 융합과 혁신적인 음향과 리듬, 펑크(Funk) 사운드의 재해석으로 하여금 대중음악의 저변을 개척했다는 성과를 거두며 토킹 헤즈 최고의 명반으로 꼽히기도 한다. 실험 음악계 및 일렉트로닉 뮤직, 힙합, 비트 등 다방면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평을 받는데, 이런 작품이 하드 록 등으로 대표되던 70년대가 저물어가던 1980년에 등장했다는 점은 가히 시대를 앞서나간 혁신이라 칭할 만하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129위였다가 39위로 순위가 상승하는 등 힙합과 흑인 음악이 대두되는 오늘날에선 더더욱 평가가 상승하는 작품.
4. 트랙 리스트
4.1. Side A
4.1.1. Born Under Punches (The Heat Goes On) – 5:49
4.1.2. Crosseyed and Painless – 4:48
- 프로모션용 싱글로 발매된 곡. 펑크(Funk)와 댄스의 스타일을 둘 다 지닌 곡으로 평가받는다.
4.1.3. The Great Curve – 6:28
4.2. Side B
4.2.1. Once in a Lifetime – 4:23
4.2.2. Houses in Motion – 4:33
-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싱글컷 된 곡.
4.2.3. Seen and Not Seen – 3:25
4.2.4. Listening Wind – 4:43
4.2.5. The Overload – 6:02
5. 미완성 아웃테이크
5.1. Fela's Riff – 5:19
5.2. Unison – 4:50
5.3. Double Groove – 4:28
5.4. Right Start – 4:07
- Once in a Lifetime의 데모 버전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