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음반의 타이틀 곡}}}에 대한 내용은 [[Wish You Were Here(노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Wish You Were Here(노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Wish You Were Here(노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음반의 타이틀 곡: }}}[[Wish You Were Here(노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Wish You Were Here(노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Wish You Were Here(노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0;border-radius:5px;"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18%;"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 ||||
1967 | 1968 | 1969 | 1969 | 1970 | |
1971 | 1972 | 1973 | 1975 | 1977 | |
1979 | 1983 | 1987 | 1994 | 2014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Ps ]
{{{#!folding [ Non-album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 핑크 플로이드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
1973년 3월 1일 8집 The Dark Side of the Moon | → | 1975년 9월 12일 9집 Wish You Were Here | → | |||||||||||||||||||||||||||||||||||||||||||||||||||||||||||||||||||||||||||||||||||||||||||||||||||||||||||||||||||||||||||||||||||||||||||||||||||||||||||||||||||||||||||||||||||||||||||||||||||||||||||||||||||||||||||||||||||||||||||||||||||||||||||||||||||||||||||||||||||||||||||||||||||||||||||||||||||||||||||||||||||||||||
수상 내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피치포크 선정 1970년대 최고의 앨범 36위 |
Rate Your Music 선정 올타임 명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 | | |
켄드릭 라마 | 라디오헤드 | 핑크 플로이드 | 매드빌런 | ||
To Pimp A Butterfly | OK Computer | In Rainbows | Wish You Were Here | Madvillainy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 | | | |
킹 크림슨 | 라디오헤드 | 켄드릭 라마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핑크 플로이드 |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 Kid A | good kid, m.A.A.d city | loveless | The Dark Side of the Moon | |
2024년 8월 9일 기준이며, 11위부터는 Rate Your Music/목록 문서 참조. |
[include(틀:빌보드 200 1위 음반,
전번_앨범=Red Octopus,
전번_아티스트=제퍼슨 스타쉽,
이번_앨범=Wish You Were Here,
이번_아티스트=핑크 플로이드,
이번_1위_기간=2주연속,
후번_앨범=Windsong,
후번_아티스트=존 덴버,
)]
[include(틀:오피셜 앨범 차트 1위 음반,
전번_앨범=Atlantic Crossing,
전번_아티스트=로드 스튜어트,
이번_앨범=Wish You Were Here,
이번_아티스트=핑크 플로이드,
1위_기간=1주,
후번_앨범=Atlantic Crossing,
후번_아티스트=로드 스튜어트)]
}}} ||
Wish You Were Here | |
| |
<colbgcolor=#ffffff><colcolor=#8f9eb3> 발매일 | 1975년 9월 12일 |
녹음일 | 1975년 1월 13일 – 7월 28일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
재생 시간 | 44:28 |
곡 수 | 5곡 |
프로듀서 | 핑크 플로이드 |
스튜디오 | EMI 스튜디오 |
싱글 발매곡 | Have a Cigar(B면: Welcome to the Machine)[1] |
레이블 |
1. 개요
How I wish, how I wish you were here 아, 네가 여기 있기를 얼마나 바라는지 Wish You Were Here 가사 中 |
레코딩 세션이 시작되었을 때, 우리는 거기 있지 않았으면 했고, 어딘가 다른 곳에 있길 바랐다. 로저 워터스, 1993 |
1975년 1월부터 7월까지 EMI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고, 1975년 9월 15일에 발매되었다. 이전의 밴드 멤버이자 리더였던 시드 배럿을 기리는 앨범이며, Shine on You Crazy Diamond를 비롯한 트랙 전반에서 그런 면이 드러난다.
롤링 스톤 최고의 음반 500선에서 209위에 랭크되었다.
2. 배경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후속작을 만들며, 핑크 플로이드는 그들의 실험 정신을 드러내었다. 녹음 처음에는 Household Object(가정용 물건)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즉 집안 물건들만 이용하려는 계획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는 녹음/공연 난이도 문제 때문에 결국 무산됐다.[2] 당시 투어는 그룹을 녹초로 만들었고, 이와 동시에 로저 워터스가 음반 사업을 더 증오하게 만들었다. 핑크 플로이드가 아레나 사이즈의 대규모 상품으로 포장 되면서, 그의 증오는 더욱 강해졌다.앨범 녹음과 관련된 한 일화로 시드 배럿은 앨범 작업이 한창 진행중이던 6월에 예고 없이 스튜디오를 방문했는데, 이는 앨범 전체에서 드러나고 있는 절망감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했다. 스튜디오에 들어선 뚱뚱한 대머리 남자가 누구인지 알아봤던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것이다.[3] 힙노시스가 만든 아트워크는 앨범 속에 나타난 고립과 거리감이라는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
3. 앨범 커버
| |
<rowcolor=#8f9eb3> 초판에 덮여 있던 랩 | 뒷면 커버 |
| |
<rowcolor=#8f9eb3> 영국 초판 속지 | 영국 초판 속지 2[4] |
| |
<rowcolor=#8f9eb3> 미국 초판 커버[5] | 2011년 SACD 커버. |
인상적인 구도 탓에 자주 오마주 내지 패러디되는 편이다. 방탄소년단의 불타오르네 뮤직비디오에서 슈가가 검은 옷을 입은 남자와 악수하는 장면은 이 커버를 오마주한 것이다. # 메트로 부민의 앨범 HEROES & VILLAINS의 커버도 이 커버에서 따왔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드라마 로키 시즌 2의 마지막 화에서 이 커버의 구도가 패러디되기도 했다.[7]
4. 평가
|
★★★★★ |
|
★★★★★ |
|
10.0 / 10.0 |
|
4.35 / 5.00 |
|
|
|
음반 평점 |
4.9 / 5.0 |
이 앨범은 1975년 9월에 공개된 후 초반에는 언론에 의해 엇갈린 평을 받았으나, 영국과 미국에서 차트 1위를 기록하면서 재평가 받아 현재 The Dark Side of the Moon, The Wall과 함께 핑크 플로이드의 대표적인 명반으로 꼽히는 음반이다. 롤링 스톤 명반에서도 265위에 랭크되었다. 이는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중 4번째로 높은 순위다.[8]
전세계적으로 약 2,000만장정도 팔렸으며, 이는 핑크 플로이드 사상 3번째로[9] 많이 팔린 앨범이다. 또한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에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
5.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곡명 | 재생 시간 |
Side A | |||
<colbgcolor=#fff><colcolor=#8F9EB3> 1 | <rowcolor=#000,#ddd>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I–V) | 13:33 | |
2 | <rowcolor=#000,#ddd>Welcome to the Machine | 7:31 | |
Side B | |||
1 | <rowcolor=#000,#ddd>Have a Cigar | 5:07 | |
2 | <rowcolor=#000,#ddd>Wish You Were Here | 5:34 | |
3 | <rowcolor=#000,#ddd>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VI–IX) | 12:30 |
영국 초판 레이블 |
5.1. Side A
5.1.1.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I–V)
Remember when you were young
5.1.2. Welcome to the Machine
And you know you're nobody's fool
5.2. Side B
5.2.1. Have a Cigar
And did we tell you the name of the game, boy?
5.2.2. Wish You Were Here
What have we found?
5.2.3.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VI–IX)
Come on you boy child, you winner and loser
6. 참여진
괄호 안의 번호는 트랙 번호이다.- 데이비드 길모어 - 일렉트릭 기타(1,3,5), 어쿠스틱 기타(2,4), 스틸 기타(5), 리드 보컬(2,4), 백킹 보컬(1,5), EMS Synthi 신디사이저(1,5), 와인 잔(1,5)
- 닉 메이슨 - 드럼, 팀파니(2)
- 릭 라이트 - Minimoog 신디사이저, 하몬드 오르간(1,5),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5), 월리처 일렉트릭 피아노(3), 호너 클라비넷(3,5), 스타인웨이 피아노(1,4,5), EMS VCS3 신디사이저(1,2,5), ARP 스트링 앙상블(1,2,3,5), 와인 잔(1,5), 백킹 보컬(1,5)
- 로저 워터스 - 리드 보컬(1,5), 베이스 기타, EMS VCS3 신디사이저(2), 와인 잔(1,5), 기타(5)
- 딕 패리 - 색소폰(1)
- 로이 하퍼 - 리드 보컬(3)
- 블랙베리스(베네타 필즈, 칼레나 윌리엄스) - 백킹보컬(1,5)
7. 여담
- 핑크 플로이드의 두 번째 컨셉트 앨범이다. 시드 배럿이 떠나감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Shine on You Crazy Diamond, Wish You Were Here) 뿐만 아니라, 음반 산업에 대한 비판 (Welcome to the Machine, Have a Cigar) 등의 주제도 다루고 있다.
[1] 영국을 제외한 일부 국가에서만 발매됨[2] 하지만 앨범에 이 프로젝트에 영향이 남아있은데, 처음 곡의 오프닝은 젖은 손가락으로 와인 잔 가장자리를 만질 때 나는 윙윙거리는 소리를 다중으로 녹음한 사운드로 시작한다(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집안 물건’을 이용해 녹음한 부분이다)[3] 남무성 저의 Paint It Rock과 같은 몇몇 매체에선 반대로 피골이 상접했다고도 하는데, 일단 시드 배럿 문서의 사진을 보면 뚱뚱한 대머리 쪽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4]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모노 호수에서 촬영됐다고 하며, 촬영된 인물은 다이빙이 아니라 물구나무서기를 하면서 물결이 사라지길 기다려야 했다고(...)[5] 불타는 사람의 자세가 다르다[6] 이 때문에 커버의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전작보다는 패러디가 덜 되는 편이다.[7] 거대한 위기의 해결책을 깨달은 로키가 모비우스 M 모비우스와 작별의 악수를 나누자, 모비우스와 TVA 건물이 완전히 스파게티화되어 사라진다.[8] Wish You Were Here를 제치고 3위를 차지한 것은 시드 배럿 시기 제작된 1집이다. NME 500대 명반에서는 1집이 2번째로 높은 순위에 올랐으며 The Wall과 Wish You Were Here는 탈락했다.[9] 1위는 The Dark Side of the Moon(4,500만장), 2위는 The Wall(3,000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