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03:34:05

The Endless Riv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파일:pink-floyd-logo-white.png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jpg
파일:A Saucerful of Secrets.jpg
파일:More.jpg
파일:Ummagumma.jpg
파일:Atom Heart Mother.jpg

1967

1968

1969

1969

1970
파일:Meddle.jpg
파일:Obscured by Clouds.jpg
파일:The Dark Side of the Moon.jpg
파일:Wish You Were Here.jpg
파일:Animals.jpg

1971

1972

1973

1975

1977
파일:The Wall.jpg
파일:The Final Cut.jpg
파일:A Momentary Lapse of Reason.jpg
파일:The Division Bell.jpg
파일:The Endless River.jpg

1979

1983

1987

1994

2014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Ps ]
{{{#!folding [ Non-album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

파일:pink-floyd-logo-white.png
핑크 플로이드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1994년 3월 28일
14집 The Division Bell
2014년 11월 7일
15집 The Endless River
없음[1]
The Endless River
파일:The Endless River.jpg
<colcolor=#ffffff><colbgcolor=#645f66> 발매일 2014년 11월 7일
녹음일 1993년(1969년/2013년 ~ 2014년)
장르 앰비언트, 아트 록
러닝 타임 53:02
프로듀서 데이비드 길모어, 마틴 글로버, 앤드류 잭슨, 필 만자네라[2]
발매사 컬럼비아 레코드

1. 개요2. 상세3. 앨범 커버4. 평가5. 트랙 리스트
5.1. Side 1
5.1.1. Things Left Unsaid5.1.2. It's What We Do5.1.3. Ebb and Flow
5.2. Side 2
5.2.1. Sum5.2.2. Skins5.2.3. Unsung5.2.4. Anisina
5.3. Side 3
5.3.1. The Lost Art of Conversation5.3.2. On Noodle Street5.3.3. Night Light5.3.4. Allons-y (1)5.3.5. Autumn '685.3.6. Allons-y (2)5.3.7. Talkin' Hawkin’
5.4. Side 4
5.4.1. Calling5.4.2. Eyes to Pearls5.4.3. Surfacing5.4.4. Louder than Words
5.5. 보너스 트랙
5.5.1. 비디오
6. 참여진7. 여담

1. 개요

2014년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15번째 앨범이자 마지막 정규 앨범.[3]

2. 상세

공식 유튜브 인터뷰 음반 언박싱 영상
1993년 The Division Bell 세션때 총 65곡이 작곡 되었는데, 멤버들간에 투표를 통해 27곡이 선택되었고, 나머지 곡들은 버려야 했다. 여기서 키보디스트 리처드 라이트는 이 투표 결과를 뒤집고 자신의 생각을 최대로 담고 싶어 했으나, 그의 계약상 위치등을 이유로 그렇게 못했다. 같은해 엔지니어 앤디 잭슨에 의해 위의 65곡중 앰비언트 성향의 곡들을 1시간 짜리로 편집해 The Big Spliff라는 가제를 붙이기도 했으나,[4] 결국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 라이트가 2008년 암으로 세상을 떠났고, 데이비드 길모어는 누구도 라이트를 대체할수 없다며, 그를 그리워했다. 몇년뒤 2012년 부터 길모어와 닉 메이슨은 1993년 버려진 곡들을 다시 작업하기 시작했다. 이는 라이트를 향한 헌정의 의미였다. 이후 2014년 길모어의 아내 폴리 샘손이 트위터를 통해 새 핑크 플로이드 음반이 나온다는 사실을 언급했고, 동년 11월에 발매되었다. The Endless River는 The Division Bell에 수록된 High Hopes의 마지막 가사에서 따온것이다.

라이트를 위한 스완 송으로써, 앨범의 대부분은 연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다.[5] 대부분 The Division Bell 제작 시절에 녹음된 곡으로, 예외적으로 Autumn '68는 라이트가 1969년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연주한 파이프 오르간 연주가 들어가 있다. 앤디 잭슨이 편집한 The Big Spliff는 일부만 사용되었다.

출시 당시 MP3와 LP와 CD 그리고 보너스 DVD 혹은 블루레이가 들어 있는 CD 박스세트로 출시 되었다.

3. 앨범 커버

당시 19살이었던 이집트의 아티스트 아메드 에마드 엘딘이 디자인했다. 전 힙노시스 멤버인 오브리 파월이 커버를 준비하던 도중 그림 커뮤니티 비핸스에서 에마드 엘딘의 그림을 보고 픽업했다고 한다.

에마드 엘딘은 이 커버로 엄청나게 주목받았으며 이후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놀랍게도 독학으로 배웠다고 한다.

4.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58 / 100 유저 스코어 7.5 / 10
상세 내용

파일:AllMusic_Text_Logo.svg.png파일:AllMusic 텍스트 로고 화이트.png
★★★☆

파일:피치포크 로고.svg파일:피치포크 로고 화이트.svg
5.7 / 10.0

파일:NME 로고.svg
★★☆

파일:이즘 로고.svg
★★★☆


파일:rym1.png Rate Your Music
2.53 / 5.00

파일:AlbumofTheYear.png Album of the Year

( AOTY Year End0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0.5em")

파일:mb_logo1.png Musicboard
(Musicboard Top250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멜론 로고.svg
음반 평점
5.0 / 5.0

5.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e4e81><tablebgcolor=#2e4e81>
파일:The Endless River.jpg
The Endless River
Track listi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 곡명 재생 시간
Side 1
<colbgcolor=#645f66><colcolor=#ffffff> 1 Things Left Unsaid 4:26
2 It's What We Do 6:17
3 Ebb and Flow 1:55
Side 2
1 Sum 4:48
2 Skins 2:37
3 Unsung 1:07
4 Anisina 3:16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Disc 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 곡명 재생 시간
Side 3
<colbgcolor=#645f66><colcolor=#ffffff> 1 The Lost Art of Conversation 1:42
2 On Noodle Street 1:42
3 Night Light 1:42
4 Allons-y (1) 1:57
5 Autumn '68 1:35
6 Allons-y (2) 1:32
7 Talkin' Hawkin' 3:29
Side 4
1 Calling 3:37
2 Eyes to Pearls 1:51
3 Surfacing 2:46
4 Louder than Words 6:36
}}}}}}}}} ||
별도 표기를 제외하고 모두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 작곡.

5.1. Side 1

5.1.1. Things Left Unsaid


5.1.2. It's What We Do

5.1.3. Ebb and Flow


5.2. Side 2

5.2.1. Sum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 닉 메이슨 작곡.

5.2.2. Skins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 닉 메이슨 작곡.

5.2.3. Unsung


리처드 라이트 작곡.

5.2.4. Anisina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5.3. Side 3

5.3.1. The Lost Art of Conversation


리처드 라이트 작곡.

5.3.2. On Noodle Street


5.3.3. Night Light


5.3.4. Allons-y (1)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5.3.5. Autumn '68


리처드 라이트 작곡.

5.3.6. Allons-y (2)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5.3.7. Talkin' Hawkin’

5.4. Side 4

5.4.1. Calling


데이비드 길모어, 앤서니 무어 작곡.

5.4.2. Eyes to Pearls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5.4.3. Surfacing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5.4.4. Louder than Words


폴리 샘손 작사/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5.5. 보너스 트랙

5.5.1. 비디오

6. 참여진

파일:1BAFA1CF-BC2B-49FA-BDE3-C7B45FA98204.jpg
앨범 속지의 아스토리아에서 녹음 당시 멤버 사진.[6]

7. 여담


[1] 데이비드 길모어는 The Endless River이후의 정규 앨범은 없다고 밝혔다.[2] 록시 뮤직의 기타리스트[3] 밴드가 2015년 페이스북 계정에 핑크 플로이드의 활동을 마무리한다고 발표하면서 이 음반이 핑크 플로이드 마지막 음반이 되었다.[4] 이는 메이슨이 인터뷰에서 The Division Bell 초기 세션을 “거대한 마리화나 같은 음악”이라고 농담한 것에서 딴 이름이었다.[5] 원래 인스트루멘탈 앨범으로 가려 했으나, 고민 끝에 마지막곡인 Louder than Words에서 폴리 샘손의 가사로 데이비드 길모어의 보컬이 녹음되었다.[6] 원래 이 사진에는 프로듀서 밥 에즈린도 같이 찍혔는데 편집으로 삭제되었다. 원본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