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3:27:16

맹사성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맹사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관학파
官學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신진사대부(급진파)
고려말
( ~ 1392)
권근 김사형 김인찬 남은 남재
배극렴 심효생 윤소종 정도전 조준
태조
(1392 ~ 1398)
의안대군파 정안군파
남은 심효생 권근 남재 민무구
이방석 이제 이거이 이방원 이숙번
정도전 조준 이화 조영무 하륜
정종 - 태종
(1398 ~ 1418)
권근 남재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제 박포 이거이 이숙번 이제
이지란 이화 조준 조영무 하륜
세종 - 문종
(1418 ~ 1452)
김종서 맹사성 성삼문 신숙주 심온
류정현 이순지 정분 정인지 정창손
조말생 최만리 황보인 황희 허조
단종 - 세조
(1452 ~ 1468)
친수양대군 반수양대군
구치관 권람 신숙주 김종서 박팽년
양정 정인지 정창손 성삼문 안평대군
최항 한명회 홍윤성 정분 황보인
훈구파 멸문
(계유정난)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정도전 이방원 정사공신
(하륜, 조영무 등)
관학파, 종친
(황희, 맹사성 등)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안평대군, 고명대신 정난공신
(수양대군)
훈구파
(한명회, 신숙주 등)
성종 연산군 중종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파
(임사홍, 신수근)
반정공신
(3훈)
사림파
(조광조)
反김안로계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김안로
인종 명종 선조
대윤
(윤임)
소윤
(윤원형)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이이, 성혼, 정철)
동인
(류성룡, 이산해)
선조 광해군 인조
연립 (서인, 남인)
(윤두수, 류성룡 등)
북인
(이산해 등)
탁소북
(류영경)
청소북, 대북
(3창)
대북
(이이첨)
반정공신
(이귀, 김류)
공서
(김류, 최명길 등)
낙당, 원당
(김자점, 원두표)
효종 현종 숙종
산당
(송시열, 송준길)
서인 vs. 남인 남인
(허적, 윤휴)
일부 서인
(김석주)
산당
(송시열)
남인
(민암, 장희재 등)
숙종 경종 영조
소론
(남구만 등)
노론
(노론 4대신)
소론
(소론 5대신)
노론
(정호, 민진원 등)
온건 소론
(이광좌)
노론
(김재로 등)
영조 정조 순조
완론 탕평
(탕평당, 청명당)
청명당 vs.
홍인한정후겸
홍인한정후겸 외척
(홍국영)
소론
(서명선 등)
준론 탕평
(벽파, 시파)
벽파
(심환지 등)
시파
(김조순 등)
순조 헌종 철종
안동 김씨 세도가문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
고종
흥선대원군
(+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여흥 민씨
(+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 온건 개화파)
고종 순종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반민족행위자
고명대신: 김종서, 황보인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1999년
1월
이중섭
2월
혜초
3월
유형원
4월
최한기
5월
김창숙
6월
권율
7월
맹사성
8월
황현
9월
김시습
10월
최세진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12월
이승훈
2000년
1월
남궁억
2월
나혜석
3월
김육
4월
서경덕
5월
진감국사(혜소)
6월
하규일
7월
정인보
8월
김좌진
9월
김수영
10월
류희
11월
김창하
12월
장승업
2001년
1월
김부식
2월
최용신
3월
강항
4월
함석헌
5월
지눌
6월
이병기
7월
이현보
8월
오세창
9월
허균 · 허난설헌
10월
설총
11월
의천
12월
송만갑
2002년
1월
정약종
2월
김환기
3월
이상재
4월
박두성
5월
박수근
6월
조지훈
7월
성삼문
8월
박효관
9월
김병연
10월
신숙주
11월
김승호
12월
손진태
2003년
1월
안확
2월
양주동
3월
이동백
4월
양팽손
5월
정지용
6월
정몽주
7월
김장생
8월
박세당
9월
유정
10월
월명
11월
이인성
12월
유길준
2004년
1월
조희룡
2월
신흠
3월
이항로
4월
이경석
5월
의상
6월
백광홍
7월
이첨
8월
김창조
9월
조헌
10월
최항
11월
장욱진
12월
박두진
2005년
1월
정정열
2월
이예
3월
강경애
4월
신동엽
5월
임윤지당
6월
김종직
7월
강정일당
8월
이규보
9월
나철
10월
이승휴
11월
효명세자
12월
최북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한국을 빛낸 백명의 위인들
등장인물 및 단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직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단군
동명성왕 온조왕
이사부 백결선생 의자왕 계백
김관창 김유신 문무왕 원효
혜초 장보고 고왕 강감찬
서희 정중부 최무선 죽림고회
김부식 지눌 의천 이종무
정몽주 문익점 최충 일연
최영 황희 맹사성 장영실
신숙주 한명회 이이 이황
신사임당 곽재우 조헌 김시민
이순신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사육신 생육신 논개 권율
홍길동 임꺽정 삼학사 박문수
한석봉 김홍도 김병연 김정호
영조 정조 정약용 전봉준
황진이 홍경래 김옥균
안중근 이완용 윤동주 지석영
손병희 유관순 안창호 방정환
김두한이상이중섭
간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민족대표 33인 김좌진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1]
기울임체 는 부정적으로 언급된 인물이다.
[1] 실제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후대 인물 허균이 창작한 의적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논란이 있지만 간접적인 언급으로 소설 홍길동전에서 대중화된 의적 이미지를 노래 가사로 사용했으므로 저자 허균을 생각하고 언급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문정공(文貞公)
맹사성
孟思誠
<nopad> 파일:맹사성 표준영정.jpg권오창, 정부표준영정 80호, 2008년
출생 1360년 9월 5일[1]
(음력 공민왕 9년 7월 17일)
양광도 온양
(現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사망 1438년 10월 31일[2] (향년 78세)
(음력 세종 20년 10월 4일)
한성부
묘소 경기도 광주시 직동 산27번지
시호 문정(文貞)
본관 신창 맹씨
자명(自明)
고불(古佛),[3] 동포(東浦)
부모 부친 - 맹희도(孟希道)
모친 - 흥양 조씨(興陽趙氏)
부인 동주 최씨 - 최담(崔潭)[4]의 딸
자녀 슬하 2남
장남 - 맹귀미(孟歸美)
차남 - 맹득미(孟得美)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문신.

2. 생애

맹사성의 조부인 맹유(孟裕)는 고려 말기의 고위 관리로 최영과 친구 사이였다. 맹유의 아들이자 맹사성의 아버지인 맹희도(孟希道)는 충청도 한산에 자리를 잡고 살았다. 맹희도는 정몽주의 친구였고 맹사성의 아내는 최영의 손녀로 슬하에 아들 둘을 두었다.

태종이 맹사성을 종친 세력 강화 용도로 이용해 먹은 적이 있는데 태종에 걸려 사형 직전까지 갔다가 살아난 적이 있다. 사형 대신 유배를 갔으나 한 달 만에 사면되고 1~2년 뒤 관직으로 돌아왔다. 의외로 이때 맹사성을 사면시키게 한 사람이 양녕대군이다. 맹사성에게 교육받은 적이 있어 태종에게 맹사성을 사면해달라고 청하였다. 이 사건으로 아들인 맹귀미가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자세한 것은 조대림 사건 참조.

조선 초의 황희 정승과 함께 세종 시기는 물론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재상이자 청백리의 상징으로 통하며 우의정, 좌의정까지 올랐다. 맹사성은 황희에 비해 관리들이나 정국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박력이 떨어지는 편이었다. 실제 황희는 강직하고 분명하게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추진하는 인물이었는데 맹사성은 자신의 의견을 내더라도 분명하게 개진하기보다는 우회적으로 신중하게 의견을 내는 스타일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맹사성의 단점으로 '너무 우유부단해서 강직한 결단력을 내리는 능력이 부족했다'고 적고 있는데 좋게 말하면 부드러운 성품의 호인이었지만 나쁘게 말하자면 물러터진 사람이었다는 소리로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남에게 싫은 소리를 잘 못했다. 그래서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이 점을 크게 까고 있는데 1434년(세종 16년) 음력 8월 7일자 실록을 보면 판이조 맹사성은 너무 착하고 우유부단하며 판서 신개는 "예예"하기만 해 도승지 안숭선이 전선(銓選)을 도맡았다고 서술하고 있다.[5]

그러나 맹사성의 이런 면모는 황희와의 투톱 체제에서 좋게 작용했는데 맹사성의 성품이 황희나 허조 같은 강직한 대신들의 단호함이나 날카로움을 완화시키고 대신들간의 논쟁을 중재해 진정시키는 역할을 했다. 황희와 맹사성은 일종의 상호 보완 관계였던 셈. 음악에 조예가 깊었던 면모답게 섬세함이 요구되는 일처리에서 강점을 발휘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황희에 가려서 영의정이 못된 것이 아니고 그 자리에 그 인물인 것이다.[6]

흑역사로 황희랑 짜고 사건을 조작한 일이 있다. 황희 문서의 서달 사건 참조.

<태종실록>, <고려사>, <팔도지리지>, <신창경제육전> 편찬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한 맹사성은 긴 관직 생활 동안 공평무사하게 일을 처리해 덕망이 높았다. 사람됨이 소탈하고 엄하지 않아 비록 벼슬이 낮은 사람이 찾아와도 반드시 공복을 갖추고 대문 밖에 나아가 맞아들여 윗자리에 앉히고 돌아갈 때에도 역시 공손하게 배웅하여 손님이 말을 탄 뒤에야 들어왔다. 나이가 들어 하직을 간청했으나 세종의 거부로 1435년까지 재직하게 되었고 그 해 나이가 많아서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났으나 세종은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으면 반드시 맹사성에게 자문했다 한다. 말년에는 고향인 온양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1438년 사망하였다. 맹사성이 세상을 떠나던 날 세종이 모든 국정을 중단한 채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문상했다고 한다. 황희 때문에 부각되지 않았을 뿐 맹사성도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장수한 편이다.

3. 기타

(…) 예조에서 아뢰었다.


"관습 도감 제조(慣習都監提調) 맹사성(孟思誠)은 음률에 정(精)하여 거의 선왕(先王)의 음악을 회복할 수 있는데, 근일에 판충주(判忠州)를 제수하였습니다. 신 등은 생각건대 한 고을의 정무(政務)는 사람마다 능한 이가 많지마는 선왕의 음악은 사람마다 능히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청컨대, 맹사성을 머물게 하여서 정악(正樂)을 가르치소서."
태종실록 22권, 태종 11년 윤12월 7일 계해 1번째기사
맹사성이 길을 가다 정자에서 쉬는데, 거기에 어떤 젊은 선비가 먼저 와 있었다. 맹사성의 검소한 옷차림을 보고 정체를 알아채지 못한 젊은이가 그를 놀릴 양으로 "우리 '공당놀이'란 걸 해 볼까요? 댁은 말 끝에 '~공'이라고 하고 나는 말 끝에 '~당'이라고 하는 거요"라고 제안했다.[13] 그리하여...
"그대는 어딜 가는공?" / "한양에 간당."
"한양엔 왜 가는공?" / "벼슬자리 구하러 간당."("과거를 보아 맹 꼬부리/맹 정승을 뵈러 간당"이라는 식으로 나오기도 한다.)
"한양가서 벼슬자리 줄 사람 있는공?" / "없당."
"그럼 벼슬자린 어떻게 얻으려고 하는공?" / "나도 모른당."
"그럼 내가 벼슬 하나 주면 어떤공?" / (폭소하며) "바라지도 않는당."(혹은 "가당찮은 소리 맙시당.")
그 후 시간이 지나 맹사성이 신참 관리들의 하례를 받게 되었는데, 마침 그 자리에 예전에 자신을 놀리던 그 젊은이도 있었다. 이에 장난기가 동해 장난을 걸었다.
"자네, 나를 알아보겠는공?" / (고개 들고는 깜짝 놀라) "아, 알아보겠당."
"그래, 지금 기분이 어떠한공?" / "주, 죽고만 싶당."("죽여주사이당.", "그저 죽어지어당." 등의 버전도 있다. 맹꽁이 서당에선 "죽어지당! 죽어지당!")
주위에 있던 다른 대신들이 '갑자기 뭔 공, 뭔 당?' 하면서 궁금해하자 맹사성이 일화를 얘기해 주었고 좌중은 웃음바다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맹사성은 과거에 연연하지 않고 그 선비를 잘 보살펴 뒤를 봐 주었다고 한다.

4. 대중매체


[1] 율리우스력 8월 28일[2] 율리우스력 10월 22일[3] 허리가 굽어 '맹꼬불'이라는 별명이 있었는데 이를 한자로 음차한 것.[4] 최영의 아들.[5] 요즘 식으로 말하면 행정안전부 장관과 인사혁신처장이 너무 유약해서 대통령비서실장이 인사를 전횡하는 상황이라 생각하면 된다.[6] 예를 들어 축구에서 프란츠 베켄바워게르트 뮐러를 바꿀 수가 없는 것처럼 황희는 영의정의 일을 잘 하는 인물이고 맹사성은 좌의정의 일을 잘 하는 인물인 것. 그 분야에 출중했기 때문에 자리 변동이 없었던 것이다.[7] 이 시절에는 임금에 대한 찬양시를 짓는게 딱히 이상하지 않은 시절이었다. 맹사성이 임금에 아부하느라 지은 시가 아니라 그냥 유교적 덕목이었다는 것.[8] 녹미는 조정에서 봉급으로 주던 쌀로 보통 묵은쌀이어서 햅쌀에 비해 맛이 없었다.[9] 황희는 의외로 비리 문제를 많이 터뜨린 편이다.[10] 버전에 따라서는 아예 그 일대의 수령들이 죄다 모여서 진을 치고 있다고도 한다. <맹꽁이 서당>의 경우는 2명으로 묘사했다. 지명이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진위(현재의 평택시 진위면) 현감, 양성(현재의 안성시 양성면) 현감 등으로 언급된다.[11] 그의 호, 고불을 살짝 비틀어서 등이 꼬부라졌다는 뜻의 언어유희를 구사[12] '침인연'이라고 불리는 판본도 있으며 조선시대에 이렇게 공인(公印)을 잃어버리는건 '익직'이라 하여 파면을 면치 못하는 중죄에 속했다.[13] 의문형 어미인 '-고'가 변하여 된 공公과 종결형 어미인 '-다'가 변하여 된 당堂이 서로 운자韻字가 맞추어져 한시漢詩적 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짜 중요한 부분은, 노인인 맹사성이 '-고'의 성격으로 묻는데 청년인 선비는 '-다'의 성격으로 답하게 되어 장유의 구분이 무너진다는 것이다. 선비는 이것을 노리고 놀려 먹을 양으로 '공당문답'을 제안했던 것.[14] 선비가 곧바로 공당놀이로 대답하자 맹사성이 크게 감탄했다는 버전의 이야기도 있다.[15] 송시열도 이런 이야기가 있고, 흥선대원군도 파락호 노릇을 하던 시절 한 젊은 무관에게 왕족답게 처신하라고 한 소리 듣고 뺨까지 맞았다가 대원군이 된 후 그 무관을 불러 지금도 그럴 수 있겠냐고 호통을 쳤는데, '지금도 대원위 대감께서 왕족의 위신을 떨어뜨리신다면 얼마든지 그럴 수 있다'고 대답한 그 무관의 꼿꼿함을 높이 사 금위대장 자리를 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16]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박영규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