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7:34:43

김환기


파일:은관문화훈장 약장.png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박화성
소설가
1978
김환기
화가
1978
나운규
영화감독
1978
이중섭
화가
1978
현진건
소설가
1980
박수근
화가
1980
조치훈
바둑기사
1984
박두진
시인
1988
김광균
시인
1988
김중업
건축가
1988
이봉상†
화가
1989
조남철
바둑기사
1989
조훈현
바둑기사
1992
김영주†
화가
1992
김춘수
시인
1992
장리석†
화가
1992
전광용†
소설가
1992
한갑수
교수
1995
박노수
화가
1995
전왕영†
시인
1996
이창호
바둑기사
1998
김남조
시인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2001
권영우†
화가
2001
박용철
시인
2001
박태현
작곡가
2001
신경림
시인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2001
최일남
소설가
2001
홍연택†
지휘자
2002
고은태[1]
시인
2002
김종하†
화가
2002
나춘호
출판가
2002
민경갑†
화가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2002
이형기
시인
2002
이호철†
소설가
2002
정수봉†
교육인
2003
박봉석
사서, 국립도서관학교 교장
2003
신동엽
시인
2003
이종상
화가
2003
천상병
시인
2003
황병기
국악인
2004
김동혁[2]
연극인
2004
김사엽†
국문학자
2004
김서봉†
화가
2004
김충현†
서예가
2004
김희조
지휘자
2004
박연희†
소설가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2004
임동권†
민속학자
2005
고우영
만화가
2005
김성구[3]
불교인
2005
김충실[4]
무용가
2005
전숙희†
수필가
2005
이문열
소설가
2006
이규태
언론인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2006
홍기삼
교육인
2007
김주영
소설가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2007
안병희†
국어학자
2008
박광진
예술인
2008
오세영
시인
2008
최종태
조각가
2008
한백유[5]
화가
2009
이미자
가수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2010
백성희†
연극배우
2010
장민호
연극배우
2010
전혁림
화가
2011
신영균
영화배우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2011
하춘화
가수
2011
이근배
시인
2011
해의만
국악인
2012
최영필[6]
가수
2012
김기덕
영화감독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2012
손숙
연극배우
2012
윤일봉
배우
2013
구봉서
희극인
2013
안성기
영화배우
2013
조용필
가수
2013
최인호
소설가
2013
김혜자[8]
가수
2014
김승옥
소설가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2014
송해
희극인
2014
최영한[9]
배우
2015
이천백[10]
희극인
2015
이덕화
배우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2016
백영수
화가
2016
홍경일[11]
배우
2016
김명자[12]
배우
2016
김덕용[13]
희극인
2017
김남진[14]
가수
2017
박근형
배우
2017
윤여정
배우
2018
이순재
배우
2018
김민기
가수
2018
조동진
가수
2019
김혜자
배우
2019
양희은
가수
2019
봉준호
영화감독
2020
변인철[15]
배우
2020
고두심
배우
2020
유영기(1936)
인간문화재 궁시장
2021
김병기
화가
2021
이장희
가수
2021
이춘연†
영화인
2021
안숙선
국악인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2022
강수연
배우
2022
박찬욱
영화감독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2024
신순기[16]
배우
2024
강부자
배우

[1] 필명 고은[2] 예명 김동원[3] 법명 월운[4] 예명 김백봉[5] 예명 한묵[6] 예명 금사향[7] 필명 김수현[8] 예명 패티김[9] 예명 최불암[10] 예명 남성남[11] 예명 남궁원[12] 예명 김지미[13] 예명 남보원[14] 예명 남진[15] 예명 변희봉[16] 예명 신구
}}}}}}}}} ||
김환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1999년
1월
이중섭
2월
혜초
3월
유형원
4월
최한기
5월
김창숙
6월
권율
7월
맹사성
8월
황현
9월
김시습
10월
최세진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12월
이승훈
2000년
1월
남궁억
2월
나혜석
3월
김육
4월
서경덕
5월
진감국사(혜소)
6월
하규일
7월
정인보
8월
김좌진
9월
김수영
10월
류희
11월
김창하
12월
장승업
2001년
1월
김부식
2월
최용신
3월
강항
4월
함석헌
5월
지눌
6월
이병기
7월
이현보
8월
오세창
9월
허균 · 허난설헌
10월
설총
11월
의천
12월
송만갑
2002년
1월
정약종
2월
김환기
3월
이상재
4월
박두성
5월
박수근
6월
조지훈
7월
성삼문
8월
박효관
9월
김병연
10월
신숙주
11월
김승호
12월
손진태
2003년
1월
안확
2월
양주동
3월
이동백
4월
양팽손
5월
정지용
6월
정몽주
7월
김장생
8월
박세당
9월
유정
10월
월명
11월
이인성
12월
유길준
2004년
1월
조희룡
2월
신흠
3월
이항로
4월
이경석
5월
의상
6월
백광홍
7월
이첨
8월
김창조
9월
조헌
10월
최항
11월
장욱진
12월
박두진
2005년
1월
정정열
2월
이예
3월
강경애
4월
신동엽
5월
임윤지당
6월
김종직
7월
강정일당
8월
이규보
9월
나철
10월
이승휴
11월
효명세자
12월
최북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파일:투명 1x10.png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파일:투명 1x10.png
홍익대학교 총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홍익대학 학장
초대
양대연
제2대
정열모
제3대
엄상섭
제4대
정원국
제5대
이정규
제6대
김호직
제7대
표문후
제8대
이종우
제9대
오진영
제10대
김환기
제11대
이마동
제12대
정의택
제13대
한상봉
제14대
이마동
제15대
이항녕
홍익대학교 총장
제1-5대
이항녕
제6대
이대원
제7대
민경천
제8-11대
이면영
제12대
심상필
제13대
장병기
제14대
남승의
제15대
권명광
제16대
장영태
제17대
임해철
제18대
김영환
제19대
양우석
제20대
서종욱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환기
金煥基 | Kim Whanki
파일:WHANKI.jpg
수화(樹話)
출생 1913년 4월 3일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진도군 기좌면 읍동
(현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읍동리)
사망 1974년 7월 25일 (향년 61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7cm
본관 김해 김씨
직업 화가, 교수
사조 추상화
학력 안좌공립보통학교 (졸업)
중동중학교 (중퇴)
도쿄 긴조 중학교 (졸업)
니혼대학 (미술학 / 학사)
니혼대학 대학원 (미술학 / 석사)
배우자 김향안(金鄕岸)[1] (1916~2004 / 1944년 결혼)
자녀 장녀 김영숙
차녀 김금자
삼녀 김정인
장남 김화영[2]
친척 구본웅

1. 개요2. 생애3. 작품4. 참고자료5. 여담

[clearfix]

1. 개요

여기와서 느낀 것은 시정신(詩精神)이요.
예술에는 노래가 담겨야 할 것 같소.
거장들의 작품에는 모두가 강력한 노래가 있구려...
김환기의 『회고록』 중에서..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이자, 20세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

한국의 산천과 하늘, 달과 구름, 백자와 전통무늬 등 매우 한국적인 소재를 가지고 점점 추상화시켜 점, 선, 면으로 이를 나타내는 전면점화를 그렸다.

2. 생애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수화(樹話). 전라남도 진도군 기좌면 읍동[3][4]#에서 태어났다.

1931년 19세의 나이로 일본 도쿄로 밀항하여 긴조 중학교에 입학했으며 1년만에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듬해 4월에 다시 도쿄의 니혼대학 예술과 미술부에 입학하였고, 전위를 표방하는 미술단체 '아방가르드 양화연구소'에 참여한다. 후지타 츠구지의 주도하에 길진섭, 김병기와 함께 활동하였다. 여기서 같이 다니던 길진섭, 츠루미 다케나가, 간노 유이코, 후나코시 미에코와 함께 '백만회'를 조직했다. 도쿄의 화랑에서 단체전 4번, 개인전 1번을 하고 1937년 연구과정을 수료하고 귀국한다.

1946년-1949년 사이에 서울대학 미술대 교수를 역임한 김환기는 1947년 유영국·이규상과 함께 신사실파라는 미술단체를 결성, 52년에는 홍익대 미술대 교수가 되었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25 ~ 44살 동안 5번의 전시회를 하다가, 1956년 44세의 나이에 파리에서 예술을 하기로 결심한다. 프랑스 파리와 니스 그리고 벨기에의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프랑스 라디오 방송에도 출연했다. 이후 3년간의 프랑스 생활을 마치고 1959년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귀국 후 다시 홍익대학교교수가 되었으며, 초대 예술원 회원,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7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한국 대표로 참가하여 명예상을 수상했다. 비엔날레 참석을 계기로 뉴욕으로 건너가 11년간 록펠러 3세가 설립한 아시아 소사이어티의 재정적 후원을 받으며 뉴욕에 정착한다. 여기서 김환기의 대표작인 전면점화가 탄생하였다. 그러던 중 1970년 한국일보사 주최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에 그 유명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는 작품을 출품하고 대상을 받기도 했다.

김환기는 평소 작품을 그릴때 꼿꼿하게 선 채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목과 허리 통증이 심했다. 결국, 1974년 7월 13일에 큰 수술을 받게 되었다. 수술은 잘 되었으나 다음날 새벽 병상에서 떨어지면서 머리를 크게 다쳐 뇌사 상태에 빠진 후 인공호흡기로 연명하다 7월 25일 뉴욕주 포트체스터(port chester)에 있는 유나이티드 병원에서 오전 9시 40분에 사망했다. 평소에 즐겨 다니던 뉴욕주 발할라(Vahalla) 산마루의 켄시코(Kensico) 묘지에 안장되었다. 조각가 한용진이 묘비를 세우고 서예가 김응현이 글씨를 썼다. 향년 61세.

김환기의 공적을 기려 1978년 은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3. 작품

파일:external/www.mu-um.com/1397698976.jpg
<운월> (1963)
파일:external/www.mu-um.com/1357192756.jpg
봄의 소리 〈4 - I -1966〉
파일:0004246145_001_20180527195316457.jpg
붉은 점화 〈03 - II -72 #220〉

초기에는 기하학적인 추상에서 출발하여 동양적인 느낌을 근간으로 한 반추상화 작업을 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간 뒤에는 당대 뉴욕 화풍을 받아들이면서 완전히 추상화풍으로 전환하였다.

4. 참고자료

환기미술관 홈페이지
김환기 작가정보
다음 인물정보

5. 여담


[1] 본명 변동림(卞東琳). 초계 변씨며, 재혼으로, 첫번째 남편은 이상이었다.[2] 딸들은 모두 전처 소생이며, 아들 김화영은 김향안과 결혼 후 입양했다.[3] 現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읍동리.[4] 인근의 한운리·시서리·신촌리·반월리와 함께 김해 김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김배길도 이 마을 출신이다.[5] 21세기로 치면 190cm대 중반.[6] 심지어 고미술까지 모두 포함해도 8개가 그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