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재 회원 | |||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유종호 | 전뢰진 | 안형일 | 김정옥 | |
김우창 | 이신자 | 황영금 | 임권택 | |
황동규 | 최종태 | 이경숙 | 조흥동 | |
이근배 | 윤명로 | 이재숙 | 최청자 | |
김원일 | 이종상 | 서계숙 | 박정자 | |
서정인 | 유희영 | 한명희 | 김숙자 | |
한말숙 | 박광진 | |||
김후란 | 엄태정 | 나인용 | 김지미 | |
김화영 | 김숙진 | 나덕성 | 손숙 | |
김주연 | 강찬균 | 신수정 | 정승희 | |
오세영 | 최의순 | 이경숙 | 김민희 | |
정현종 | 정상화 | 김민 | 박명숙 | |
유안진 | 윤승중 | 이영자 | 손진책 | |
정연희 | 홍석창 | 백병동 | 정지영 | |
김주영 | 조정현 | 장혜원 | 이호재 | |
오정희 | 김형대 | 김성길 | 신영균 | |
신달자 | 이철주 | 윤미용 | 신구 | |
윤흥길 | - | 이강백 | ||
천양희 | - | 이만방 | 안성기 | |
전상국 | - | 김우진 | 김긍수 | |
최동호 | - | - | - | |
권영민 | - | - | - | |
김광규 | - | - | - | |
작고 회원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박종화 | 고희동 | 박태준 | 안종화 | |
염상섭 | 이상범 | 현제명 | 이규환 | |
조연현 | 장발 | 이주환 | 유치진 | |
유치환 | 손재형 | 김성태 | 이해랑 | |
서정주 | 배렴 | 김동진 | 오영진 | |
윤백남 | 김환기 | 성경린 | 변기종 | |
오상순 | 윤효중 | 김영의 | 서항석 | |
이헌구 | 노수현 | 김원복 | 이광래 | |
김동리 | 도상봉 | 정훈모 | 김동원 | |
황순원 | 김인승 | 이흥렬 | 박진 | |
김말봉 | 배길기 | 임원식 | 김정환 | |
곽종원 | 허백련 | 김생려 | 이진순 | |
모윤숙 | 이종우 | 김세형 | 조택원 | |
신석초 | 김은호 | 이혜구 | 유한철 | |
박영준 | 이병규 | 이상춘 | 이병일 | |
김광섭 | 장우성 | 장사훈 | 이원경 | |
이은상 | 김경승 | 김자경 | 김천흥 | |
박화성 | 이순석 | 김기수 | 김소동 | |
박목월 | 오지호 | 박민종 | 김충실 | |
백철 | 김종영 | 전봉초 | 차범석 | |
최정희 | 박영선 | 김성진 | 유현목 | |
안수길 | 박득순 | 정희석 | 송범 | |
윤석중 | 천경자 | 홍원기 | 장민호 | |
오영수 | 이유태 | 황병덕 | 김수용 | |
김기진 | 유영국 | 정회갑 | 최금동 | |
임옥인 | 류경채 | 김순열 | 임성남 | |
구상 | 김원 | 김순애 | 이근삼 | |
손소희 | 김기창 | 이성천 | 신봉승 | |
이범선 | 이종무 | 황병기 | 김기영 | |
조병화 | 김충현 | 이인영 | 박현숙 | |
김춘수 | 이준 | 백낙호 | 김문숙 | |
정한모 | 허건 | 권오성 | 강성희 | |
김윤성 | 박노수 | 강석희 | 김지헌 | |
박연희 | 권옥연 | 김남윤 | 임영웅 | |
선우휘 | 백문기 | 이규도 | 이병복 | |
정한숙 | 문학진 | 박노경 | 김기덕 | |
신동집 | 남관 | 정진우 | 백성희 | |
강신재 | 이대원 | 박조열 | ||
박양균 | 권순형 | 황정순 | ||
한무숙 | 오승우 | 송수남 | ||
김성한 | 이광노 | 김학자 | ||
전숙희 | 윤영자 | 변장호 | ||
홍윤숙 | 권영우 | 남궁원 | ||
김남조 | 손동진 | 오현경 | ||
이호철 | 민경갑 | 윤대성 | ||
김종길 | 조수호 | |||
김요섭 | 이수덕 | |||
홍성유 | 서세옥 | |||
문덕수 | 김흥수 | |||
이어령 | 김병기 | |||
박두진 | 한도용 | |||
서기원 | 송영방 | |||
조경희 | 권창륜 | |||
성찬경 | ||||
김윤식 | ||||
최일남 | ||||
박완서 | ||||
이청준 | ||||
박희진 | ||||
오탁번 | ||||
신경림 | }}}}}}}}} |
<colbgcolor=#64564b><colcolor=#fff> 허백련 許百鍊 | Heo Baekryeon | |
| |
출생 | 1891년 11월 2일 |
조선 전라도 진도도호부 부내면 남문동 (現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동리) | |
사망 | 1977년 2월 15일 (향년 86세)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 운림동 춘설헌 자택 (現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50-21) | |
국적 |
|
본관 | 양천 허씨 (陽川 許氏) |
가족 | 아버지 허동언, 어머니 박동예 남동생 허행면 |
배우자 성연옥, 장남 허진득 | |
손자 허달재 | |
학력 | 진도공립보통학교 (중퇴) 기호학교 (중퇴) 메이지대학 (법학 / 중퇴) 리츠메이칸대학 (법학 / 중퇴) |
종교 | 단군신앙 |
직업 | 화가 |
화풍 | 남종화 |
아호 | 의재 (毅齋), 의재산인(毅齋散人), 의도인(毅道人) |
1. 개요
개성은 어디까지나 전통 위에서 꽃피워야 하며, 처음부터 자기 독단의 개성은 생명이 길지 못하다. 전통을 철저하게 갈고닦으면 자연스레 자기 것이 생기게 된다.
대한민국의 전 화가이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행민(行敏), 호는 의재(毅齋), 의재산인(毅齋散人), 의도인(毅道人)이다.2. 생애
1891년 11월 2일 전라도 진도도호부 부내면 남문동(현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동리)에서 아버지 허동언(許東彦)[1]과 어머니 밀양 박씨 박동예 사이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성부 기호학교(현 중앙고등학교)에 재학하다 일본으로 유학가 교토시 리츠메이칸대학 법학과, 도쿄도 메이지대학 법학과 등에 재학하였으나 모두 중퇴하고 귀국 후에는 한국화 화가로 입문하였다. 한 집안 사람인 소치 허련의 아들 미산 허형, 일본 화가 고무로 스이운 등에게서 그림을 배워 남종산수화를 지향하였다.1937년부터는 전라남도 광주군[2] 무등산 증심사 계곡에 정착하여 작품 활동과 문하생 지도에 전념하였다. 그와 동시에 농업고등기술학교를 설립해 형편이 어려운 집안의 청소년들이 농업기술을 배울 수 있게 하는 등의 사회공헌활동도 병행했다. 더불어 증심사 옆의 차밭을 인수해 삼애다원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직접 차를 생산하기도 했다. 차의 이름은 '춘설차'로 지금도 생산되고 있다.[3]
1977년 2월 15일 향년 86세로 타계했다. 광주 학동증심사역 부근에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으며, 생가가 있는 운림동의 중심도로는 그의 호를 따서 의재로라고 이름붙여졌다.
3. 여담
- 구철우가 그의 제자였다.
- 말년에는 무등산 춘설헌에서 독립유공자였던 오방 최흥종과 자주 어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