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7:08:54

정한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한말숙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김후란 박광진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엄태정 나덕성 손숙
김주연 김숙진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강창균 이경숙 박명숙
정현종 최의순 김민 손진책
유안진 정상화 이영자 정지영
정연희 윤승중 백병동 이호재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신영균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구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이강백
윤흥길 오용길 이만방 안성기
천양희 정해조 김우진 김긍수
전상국 김양동 이건용 한태숙
최동호 - - 장미희
권영민 - - -
김광규 - - -
이숭원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정진우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윤대성
김종길 조수호 김민희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홍석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서정인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문화체육관광부장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보처장 (1948~1956)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김동성
제2대
이철원
제3대
김활란
<nopad> 이승만 정부
제4대
이철원
제5대
안연생
제6대
갈홍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보실장 (1956~1961)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6대
갈홍기
제7대
오재경
제8대
전성천
제9대
최치환
제10대
서석순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보부장관 (1961~1968)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11대
심흥선
제12대
오재경
제13대
이원우
제14대
임성희
<nopad> 박정희 정부
제15대
김동성
제16대
이수영
제17대
홍종철
문화공보부장관 (1968~1989)
<nopad> 박정희 정부
제17대
홍종철
제18대
신범식
제19대
윤주영
제20대
이원경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21대
김성진
제22대
이규현
제23대
이광표
제24대
이진희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25대
이원홍
제26대
이웅희
제27대
정한모
제28대
최병렬
1989년 문화부·공보처 분리
문화부장관 (1989~1993)
<nopad> 노태우 정부
제29대
이어령
제30대
이수정
1993년 문화부·체육청소년부 통합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문화체육부장관 (1993~1998)
<nopad> 문민정부
제31대
이민섭
제32대
주돈식
제33대
김영수
제34대
송태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화관광부장관 (1998~2008)
<nopad> 국민의 정부
제35대
신낙균
제36대
박지원
제37대
김한길
제38대
남궁진
제39대
김성재
<nopad> 참여정부
제40대
이창동
제41대
정동채
제42대
김명곤
제43대
김종민
2008년 문화관광부·국정홍보처 통합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44대
유인촌
제45대
정병국
제46대
최광식
제47대
유진룡
제48대
김종덕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9대
조윤선
제50대
도종환
제51대
박양우
제52대
황희
제53대
박보균
<nopad> 윤석열 정부 <nopad> 이재명 정부
제54대
유인촌
제55대
최휘영
임시정부 문화부장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A84E9; border-right: 10px solid #0A84E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0A84E9> 나웅배조순이승윤최각규
국토통일원장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이홍구홍성철최호중최영철
외무부장관 최광수최호중이상옥
내무부장관 이상희이춘구이한동김태호안응모이상연이동호백광현
재무부장관 사공일이규성정영의이용만
법무부장관 정해창허형구이종남김기춘이정우
국방부장관 오자복이상훈이종구최세창
문교부장관 교육부장관 김영식정원식윤형섭조완규
문화공보부장관 문화부장관 정한모최병렬이어령이수정
체육부장관 체육청소년부장관 조상호김집정동성박철언이진삼
농림수산부장관 윤근환김식강보성조경식강현욱
상공부장관 안병화한승수박필수이봉서한봉수
동력자원부장관 이봉서이희일진념
건설부장관 최동섭박승권영각이상희이진설서영택
보건사회부장관 권이혁문태준김종인김정수안필준
노동부장관 최명헌장영철최영철최병렬이연택
교통부장관 이범준김창근김창식임인택노건일
체신부장관 오명최영철이우재송언종
정무제1장관 김윤환이종찬정종택박철언김윤환김동영최형우김용채김종호김동익
정무제2장관 조경희김영정이계순김갑현
총무처장관 김용갑김용래이연택이상배이문석
과학기술처장관 이관이상희정근모김진현권숙일
공보처장관 최병렬최창윤손주환유혁인
환경처장관 조경식허남훈권이혁이재창 }}}
}}}}}}}}}

대한민국 제27대 문화공보부장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정한모
鄭漢模 | Jung Han-mo
파일:鄭漢模.jpg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일모(一茅)
출생 1923년 10월 27일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4리 평천마을 635번지[1]
사망 1991년 2월 23일 (향년 67세)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한일병원
본관 동래 정씨
재임기간 제27대 문화공보부장관
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배우자 박종월
자녀 슬하 3남 2녀
학력 오사카 나니와 상업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국어국문학 47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석사)[2]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박사)[3]
종교 개신교천주교 (세례명: 베드로)
경력 공주사범대학 강사
휘문고등학교 국어교사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동덕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겸임교수
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제27대 문화공보부장관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장
}}}}}}}}}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시인, 국문학자, 관료. 본관은 동래(東萊).

2. 생애

1923년 10월 27일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4리 평천마을 635번지에서 아버지 정인흥(鄭仁興)과 어머니 진주 강씨 강마리아 사이에서 3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1937년 보통학교를 졸업한 잡화상을 하고 있던 아버지를 찾아 홀로 일본으로 건너갔고, 오사카 나니와 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에서 청강생으로 수학하였으나, 1944년 징용으로 나고야시 등을 전전하며 노역에 종사하였다.

1945년 일본에서 8.15 광복을 맞았고, 같은 해 11월 징용 및 정신대 등으로 끌려온 남녀 수백 명과 함께 시모노세키시를 거쳐 귀국하였다. 그 직후 동인지 백맥(白脈)을 발간하였고, 여기에 '귀향시편'을 투고함으로써 시인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1947년 9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하였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고향 부여군으로 피난하였고, 이어 외가가 있던 공주군으로 피난하였다. 1952년 10월부터 1954년 10월까지 공주사범대학에서 강사로 근무하였다.

1954년 9월 상경하여 휘문고등학교 국어교사로 부임하였다.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 '멸입(滅入)'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시단에 등단하였다. 아가의 방, 나비의 여행 등의 시가 유명하다. 1955년 9월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뒤 1956년 4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과정에 진학하였다. 1958년 4월 동덕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로 부임하였고, 1959년 3월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6년 6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1973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서울대학교 부설 방송통신대학 학장으로 재임하였다. 1981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4년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을 지냈다. 1988년 2월 25일 교수직을 퇴임한 후 제27대 문화공보부장관으로 취임하여 1988년 12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 문화공보부장관 재임 중에는 그 동안 대한민국에서 작품들에 대한 논의가 금지되어 온 월북납북 문학 예술인들에 대한 해금 조치인 "납, 월북 문인에 대한 해금 조치"를 입안, 공포하였다.그래서 구보씨같은 작품을 볼 수 있게 된 거다

몇달 뒤 정원식문교부장관으로 발령되어 공석이 된 한국도서출판잡지주간신문윤리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으며, 1989년부터 민간기구인 '사단법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로 바꾸어 출판만화에 대한 사전심의를 완화하는 한편 음란서적/불량만화 추방에 앞장섰다.

1991년 2월 23일에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한일병원에서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사후 그가 소장한 도서 6,976권이 장남에 의해 국립중앙도서관으로 기증되었다.

3. 여담


[1] #[2] 석사 학위 논문: 효석문학에 나타난 외국문학의 영향(1959.)[3] 박사 학위 논문: 한국근대시의 형성과정고(1973.)[4] 1991년 3월 7일 중앙일보 기사[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