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5:43:46

신윤복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1999년
1월
이중섭
2월
혜초
3월
유형원
4월
최한기
5월
김창숙
6월
권율
7월
맹사성
8월
황현
9월
김시습
10월
최세진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12월
이승훈
2000년
1월
남궁억
2월
나혜석
3월
김육
4월
서경덕
5월
진감국사(혜소)
6월
하규일
7월
정인보
8월
김좌진
9월
김수영
10월
류희
11월
김창하
12월
장승업
2001년
1월
김부식
2월
최용신
3월
강항
4월
함석헌
5월
지눌
6월
이병기
7월
이현보
8월
오세창
9월
허균 · 허난설헌
10월
설총
11월
의천
12월
송만갑
2002년
1월
정약종
2월
김환기
3월
이상재
4월
박두성
5월
박수근
6월
조지훈
7월
성삼문
8월
박효관
9월
김병연
10월
신숙주
11월
김승호
12월
손진태
2003년
1월
안확
2월
양주동
3월
이동백
4월
양팽손
5월
정지용
6월
정몽주
7월
김장생
8월
박세당
9월
유정
10월
월명
11월
이인성
12월
유길준
2004년
1월
조희룡
2월
신흠
3월
이항로
4월
이경석
5월
의상
6월
백광홍
7월
이첨
8월
김창조
9월
조헌
10월
최항
11월
장욱진
12월
박두진
2005년
1월
정정열
2월
이예
3월
강경애
4월
신동엽
5월
임윤지당
6월
김종직
7월
강정일당
8월
이규보
9월
나철
10월
이승휴
11월
효명세자
12월
최북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신윤복
申潤福
성명 신윤복(申潤福)
아명 신가권(申可權)
본관 고령 신씨 (高靈 申氏)[1]
출생 1758년(영조 24)
사망 1814년(순조 14) 추정 (향년 56세)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자 / 호 덕여(德如) 또는 입부(笠父) / 혜원(蕙園)
직업 화가
부모 부친 - 신한평(申漢枰, 1726[2] ~ 1809?)
모친 - 전주 이씨
형제자매 형 - 신인권, 신의권, 신응권, 신양권
남동생 - 신윤도
여동생 - 김인욱의 처, 청주 한씨 한승묵의 처
1. 개요2. 생애3. 작품 목록4. 논란
4.1. 모호한 성별
5. 대중매체에서6. 가족

[clearfix]

1. 개요

KBS 역사스페셜 – 신윤복은 왜 여자를 그렸나
조선 영조, 정조 시기의 화가.

2. 생애

김홍도, 김득신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불리며 한편으로 단원 김홍도, 오원 장승업과 함께 '삼원(三園)'으로 불리기도 했다. 신숙주의 동생 신말주(申末舟)의 11대손이기도 하다. 신윤복의 집안은 대대로 화공을 세습했는데 종증조부 신세담, 종조부 신일흥(申日興), 아버지 신한평(申漢枰)[3]도 도화서 화원이였다. 신윤복의 형제로는 신인권(申仁權), 신의권(申義權), 신응권(申應權), 신양권(申亮權) 등 4명의 형과 남동생 신윤도(申潤濤), 성명 불명의 여동생이 2명 있었다. 어렸을 적 이름은 '가권'이였는데 훗날 '윤복'으로 개명한다.

김홍도가 풍속화만 두고 보았을 때 서민의 생활을 주로 그렸다면 신윤복은 양반가의 생활을 주로 그렸으며 특히 여성의 생활상이나 남녀가 어울려 노는 모습을 화폭에 담아 김홍도와는 또다른 느낌을 준다. 김홍도는 풍경을 거의 그리지 않았지만 신윤복은 자주 그렸다. 김홍도는 왕을 상징하는 색인 빨간색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신윤복은 빨간색을 사용해 풍자했다. 기생[4]과 양반들이 주요 모델이였기에 신윤복의 풍속화 모음집인 <혜원전신첩>은 양반 문화와 복식 연구에 있어서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일부 사극 제작 과정 영상을 보면 신윤복의 풍속화를 보며 가체의 형태 등을 참고하는 모습도 보인다. 몇몇 작품에서는 동일 인물로 보이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기생(흰 저고리+검붉은 깃+파란 치마)과 젊은 남성(초립+선홍색 도포)인데 신윤복의 이웃일 가능성도 있다.

3. 작품 목록

국보 제135호 <혜원전신첩>으로 남아있다.

4. 논란

4.1. 모호한 성별

5. 대중매체에서

6. 가족



[1] 귀래정공파 19세 권(權) 항렬.[2] 1735년 설도 있다.[3] 신한평이 <연려실기술>의 저자 이긍익의 아버지 이광사의 초상을 그린 것이 지금도 남아있다.[4] 춘화도도 많이 남겼다. 이 점에서도 운우도첩을 그린 김홍도와 라이벌이다.[5] 또다른 설은 춘화를 그리다가 발각되어 내쫓겼다는 설이다. 사실 화원 인물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은데 김홍도만 해도 당시에 상당한 그림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임금의 초상을 그리는 어용화사로도 채용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베일에 싸인 부분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