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2 11:29:30

황보인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판문하부사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초대

이서
제2대

이거이
제3대

성석린
제4·5대

조준
제6대

성석린
제7대

이화
제8대

하륜
제9대

이서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성석린
제14대

남재
제15대

류정현
제16대

한상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7대

심온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하연
}}}
제21대

하연
제22대

황보인
제22대

황보인
제23대

이유
제24대

정인지
제25대

정창손
제26대

강맹경
제27대

정창손
제28대

신숙주
제29대

구치관
제30대

한명회
제31대

황수신
제32대

심회
제33대

최항
제34대

조석문
제35대

이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대

박원형
제37대

한명회
제38대

홍윤성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9대

윤자운
제40대

신숙주
제41대

정창손
제42대

윤필상
제43대

이극배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류순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부사
충정공(忠定公)
황보인
皇甫仁
출생 1387년(우왕 13)
사망 1453년 11월 19일[A] (향년 65 ~ 66세)
(음력 단종 1년 10월 10일)
계유정난 중 피살
묘소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이천리
재임기간 제22대 영의정부사
1451년 11월 29일[2] ~ 1453년 11월 19일[A]
(음력 문종 1년 10월 27일 ~ 단종 1년 10월 10일)
시호 충정(忠定)
본관 영천 황보씨
사겸(四兼), 춘경(春卿)
지봉(芝峰)
부모 부친 - 황보림(皇甫琳, 1333 ~ 1394)
모친 - 탐진 안씨(耽津安氏) 안우의 딸
부인 양성 이씨 이지택(李之擇)의 딸
자녀 슬하 3남 4녀
장남 - 황보석
차남 - 황보은
3남 - 황보흠
장녀 - 사천 김씨 김만서(金晩緖)의 처
차녀 - 남양 홍씨 홍원숙(洪元淑)의 처
딸 - 윤당(尹塘)의 처
딸 - 권은(權訔)의 처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 초기의 문신. 헷갈리기 쉽지만 황씨가 아니라 황보씨복성외자 이름이다.

2. 생애

1414년 문과에 급제하고 세종 때는 북도 체찰사로서 김종서와 더불어 6진을 개척하고 우의정이 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엘리트 코스를 밟다가 세종 때에는 고명대신이 되어서 김종서, 정분과 함께 고명대신이 되었다. 문종의 고명을 받아서 단종을 보필했다고도 알려져 있는데 문종은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는 말도 하기 어려울 정도로 기력이 쇠했었기 때문에 고명대신이 없다. 황희의 후임이었던 하연이 퇴임하자 뒤를 이어서 영의정에 올랐다.

눈치가 빨라 수양대군의 야심을 처음부터 눈치채고 있었으나[4] 수양대군이 그정도로 막나갈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해 향년 67세에 처참하게 살해당했다. 계유정난이 벌어지기 전까지 나이 많은 중신들이 수양대군 파를 압도하고 있었던 점, 태종심온을 사사한 이후 반세기 동안 정승이 참살당하거나 역모죄로 처형되는 일이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수양대군에게 허를 찔렸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5]

항상 선왕의 유지를 받들려 노력하였고 권력에는 전혀 욕심을 품지 않았고 강직하였다. 성품이 인자하고 자애로워 자신보다 낮은 이들도 함부로 대하지 않아 다른 이들의 호감을 많이 샀는데 일례로 계유정난에 휘말려 가문이 멸문의 위기에 처하자 그 집 여종인 단량이 황보인의 손자[6] 황보단(皇甫端)을 데리고 경상도 연일현(경상북도 포항시 연일읍)까지 피신하여 평생 숨어 키움으로써 가문의 대를 잇게 되며 이 때문인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성동리에 영천 황보씨 집성촌이 있다.

수백 년이 지난 후 숙종이 다시 벼슬을 올리고 영조가 충정(忠定)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묘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이천리에 있는데 인근이 황보씨의 선산인 듯. 곳곳에 산재한 묘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크다.

3. 기타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cb61, #f2cb61 20%, #f2cb61 80%, #f2cb61);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의척 四義戚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관 권완
삼중신 三重臣
이조판서 민신 · 병조판서 조극관 ·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兩雲劍
도총부 도총관 성승 · 증 병조판서 박정
기타
형조판서 박중림 · 지평 하박 · 좌참찬 허후 · 수찬 허조 · 증 이조참판 박계우 · 순흥부사 이보흠 · 도진무 정효전 · 영월호장 엄흥도
}}}}}}}}}


진승총(震乘總)
{{{#!folding [ 본기(本紀) ] 권1기
,제1대 「태조기(太祖紀)」, ,제2대 「정종기(定宗紀)」, ,제3대 「태종기(太宗紀)」, ,제4대 「세종기(世宗紀)」,
이단 이경 이방원 이도
권2기
,제5대 「문종기(定宗紀)」, ,제6대 「단종기(端宗紀)」, ,제7대 「세조기(世祖紀)」, ,제8대 「예종기(睿宗紀)」,
이향 이홍위 이유 이황
권3기
,제10대 「연산기(燕山紀)」, ,제11대 「중종기(中宗紀)」,
이융 이역
권4기
,제12대 「인종기(仁宗紀)」, ,제13대 「명종기(成宗紀)」,
이호 이환
권5기 권6기 권7기
,제14대 「선조기(宣祖紀)」, ,제14대 수정기, ,제15대(중초본, 정초본) 「광해기(光海紀)」,
이연 이혼
권8~9기
,제16대 「인조기(仁祖紀)」,
이종
권10기
,제17대 「효종기(孝宗紀)」, ,제18대(개수록) 「현종기(顯祖紀)」,
이호 이현
권11~12기 권13기
,제19대(보궐정오) 「숙종기(肅宗紀)」, ,제20대(수정록) 「경종기(景宗紀)」,
이순 이윤
부록
금상(今上) }}}{{{#!folding [ 평전(評傳) ] 평전
이용 · 김종서 · 황보인
,「부록 사육신(死六臣)」, ,「부록 생육신(生六臣)」,
성삼문 · 박팽년 · 하위지 · 이개 · 유성원 · 유응부 김시습 · 원호 · 이맹전 · 조려 · 성담수 · 남효온 }}}{{{#!folding [ 부록(評傳) ] 저자 · 부록
이민보,저자, · 당파원론 · 국조연대 · 선원록 · 호송 금부도사의 작가 · 김지남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정도전 이방원 정사공신
(하륜, 조영무 등)
관학파, 종친
(황희, 맹사성 등)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안평대군, 고명대신 정난공신
(수양대군)
훈구파
(한명회, 신숙주 등)
성종 연산군 중종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파
(임사홍, 신수근)
반정공신
(3훈)
사림파
(조광조)
反김안로계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김안로
인종 명종 선조
대윤
(윤임)
소윤
(윤원형)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이이, 성혼, 정철)
동인
(류성룡, 이산해)
선조 광해군 인조
연립 (서인, 남인)
(윤두수, 류성룡 등)
북인
(이산해 등)
탁소북
(류영경)
청소북, 대북
(3창)
대북
(이이첨)
반정공신
(이귀, 김류)
공서
(김류, 최명길 등)
낙당, 원당
(김자점, 원두표)
효종 현종 숙종
산당
(송시열, 송준길)
서인 vs. 남인 남인
(허적, 윤휴)
일부 서인
(김석주)
산당
(송시열)
남인
(민암, 장희재 등)
숙종 경종 영조
소론
(남구만 등)
노론
(노론 4대신)
소론
(소론 5대신)
노론
(정호, 민진원 등)
온건 소론
(이광좌)
노론
(김재로 등)
영조 정조 순조
완론 탕평
(탕평당, 청명당)
청명당 vs.
홍인한정후겸
홍인한정후겸 외척
(홍국영)
소론
(서명선 등)
준론 탕평
(벽파, 시파)
벽파
(심환지 등)
시파
(김조순 등)
순조 헌종 철종
안동 김씨 세도가문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
고종
흥선대원군
(+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여흥 민씨
(+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 온건 개화파)
고종 순종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반민족행위자
고명대신: 김종서, 황보인 }}}}}}}}}

[A] 율리우스력 11월 10일[2] 율리우스력 11월 20일[A] [4] 드라마 한명회에서는 수양대군의 사람에게 병권을 맡길 수 없다면서 수양대군이 추천해서 병조판서가 된 정인지를 실권이 없는 한직으로 보내는 장면이 나온다.[5] 심온조차도 정식으로 국문을 받은 후에 시신이 온존히 보전되는 사약을 받아서 죽은 것이기에 비교대상으로 적절하지 않다.[6] 황보인의 차남 황보흠(皇甫欽)의 아들.[7] 한명회의 졸기에는 어버이를 일찍 잃었다는 내용이 언급되므로 그의 부모가 아니라 종조부 한상덕이 혼인에 관여하고 있는 것은 정황상 꽤 그럴듯하다. 문제는 연령이다. 한명회는 1415년생이다. 한상덕은 1427년에 호조참판으로 임명되며 처음 참판직을 역임한다. 1430년에 와서는 '전 참판'으로 언급되며 적어도 이 때에는 참판에서 물러나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년 뒤인 1434년에 이르러 사망한다. 여기까지의 나이 정보를 종합하면 아무리 나이를 올려 잡아도 한명회의 나이 21세 이전에 혼담이 제의되었다는 것. 조선 전기의 결혼 연령을 고려하면 이 나이에 혼담이 오가는 것은 이상할 것도 없지만 낙방을 거듭하던 한명회의 커리어로 보아 저렇게 이른 나이에 황보인에게 국사로 인정받았을 가능성은 그렇게 높지 않다.[8] 이덕화가 한명회로 나온 그 드라마. 황보인은 이치우가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