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대군 관련 틀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금성대군 | 錦城大君 | |||
출생 | 1426년 5월 14일 | ||
조선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
사망 | 1457년 11월 16일 (향년 31세) | ||
조선 경상도 순흥부 (現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
묘소 | 미상 | ||
재위기간 | 조선 금성대군 | ||
1433년 2월 8일 ~ 1457년 11월 16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휘 | 유(瑜)[1] | ||
부모 | 부친 세종 모친 소헌왕후 | ||
형제자매 |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7남 모후 기준 8남 2녀 중 6남 | ||
배우자 | 완산부부인 전주 최씨 (完山府夫人 全州 崔氏) | ||
자녀 | |||
종교 | 불교 | ||
호 | 승은정(承恩亭) | ||
군호 | 금성대군(錦城大君)[2] | ||
시호 | 정민공(貞愍公)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6남으로 문종과 세조의 친동생. 단종의 주공단이라 불렸던 인물. 전주이씨 금성대군파의 파시조다.2. 생애
화포 발사 시험에 둘째 형인 수양대군과 함께 참가한 기록이 있다.계유정난 이후 모반 혐의를 받아 경기도 삭녕에 유배되었다가 경기도 광주로 이배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세종의 아들 중에서 단종과 가장 가까운 관계로 추측된다. 아버지 세종과 세자 문종이 온천행이나 강무 등으로 함께 궁궐을 비울 때 세손 단종을 금성대군의 집에서 지내도록 한 적도 몇 차례 있었다.
사육신이 단종을 복위하려던 운동이 실패하자 연루되어 순흥부(현재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안치되었고 거기에서 다시 순흥부사 이보흠과 함께 단종 복위를 꾀했다. 사육신과는 달리 금성대군의 시도는 조선왕조실록에 전말이 확실하지 않아서 널리 알려지지 않은 편인데 당시에는 상당히 큰 고을이었던 순흥의 부사와 연결을 맺었다는 점, 무사(武士)를 모았다는 기록, 사민(士民)들이 동조했다는 기록 등으로 보아 상당한 규모를 가진 봉기 계획이었을 가능성이 있을 듯하다.
하지만 결국 기밀이 누설되어 풍기군수의 고변으로 좌절되었다. 세조실록에서는 이보흠이 고변했다고 나오지만 금성대군 사건 전후의 기록은 흐름이 앞뒤가 안 맞는 부분이 많고 이보흠도 유배당했다가 사망한다. 사실 이보흠 역시 문종과 가까운 인물이며 금성대군이 유배된 순흥은 단종이 있는 강원도 영월과 멀지 않은 지역이었다. 이 때문에 사실 모든 것이 한명회가 금성대군을 제거하려고 짜놓은 계략이 아닌가 추측하는 이도 있다.
실록의 해당 사건 내역과 처벌 내역을 보면, 해당 사건은 금성대군이 주도한 것이 맞으며, 이보흠은 간을 봤다 쪽이 더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기록에 따르면 이보흠은 문종과 가까운 인물이 아니라 안평대군쪽 인물로 묘사된다[3]. 금성대군은 이보흠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려고 했다. 처음에는 뇌물을 줬고, 나중에는 칼을 빼들고 위협했다. 이보흠은 명시적 거절은 하지 않고 간을 봤다.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 금성대군의 관상을 본 것인데, 이 때 관상결과는 망할 상. 결국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 듯 하다가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생각했는지 고발을 한 것이다. 이 때 같이 고발한 향리 정중재는 처음부터 처벌 대상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보흠은 처음에는 금성대군이 칼로 협박한 것을 중시해서 고발자로 더 취급을 받다가 후에 신문과정에서 간을 본 사실이 드러나면서 처벌 대상이 된 것이다.
민담에 의하면 원래 사약을 받을 때 죽기 전에 임금이 계신 곳을 향해 절을 하는데 금성대군은 "내 임금은 북쪽에 계신다"고 하며 한양(현재의 서울특별시)을 향해 절을 하는 것을 거부하고 단종이 있는 영월을 향해 절을 했다고 한다.
결국 순흥부가 해체된 사건을 정축지변이라고 부르며 자세한 사항은 피끝마을 참조.
사후에 후손들은 관노로 전락했으나 안평대군의 자손들과는 다르게 죽임을 당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후 복권되어 대를 이을 수 있었고 지금도 전주 이씨 금성대군파로 이어지고 있다. 사사 후 금성대군의 시신을 수습하지 못해 금성대군의 묘는 없으며 대신 금성대군이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제단을 만들어 금성대군과 이보흠 등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있는데 금성단이라고 한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으며 영주시에서 매년 제사를 지낸다. 이와는 별개로 금성대군파 문중에서 금성대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는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위치해 있으며 전주 이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원래 금성대군은 의안대군 이방석의 봉사손으로 지명되었는데#, 계유정난으로 인해 봉사손 지명이 철회되었다. 결국 의안대군의 봉사손은 금성대군의 서조카이자 밀성군의 차남인 춘성군이 잇게 되었으며[4], 춘성군은 금성대군의 양자가 되지는 않아 결국 의안대군의 후손은 춘성군 후손들이 계속 잇게 되고, 금성대군의 후손들은 그대로 금성대군파로 남게 되었다.[5]
이후 영조의 명으로 절손된 안평대군파의 제사를 금성대군파에서 잇게 되었다. 결국 현 안평대군파도 본류는 금성대군파인 셈. 참고로 금성대군파의 이억수가 안평대군의 봉사손이 된 것은 안평대군이 죽고 무려 200여 년이나 지난 후였다.
금성대군에게는 적자 이맹한(李孟漢)과 서자 이동(李銅)이 있었는데, 이맹한은 화원군(花原君)[6]에 추봉되었고, 이동은 함원군(咸原君)에 추증되었다.
3. 신격화
사후에는 유배당한 영월에서 태백산의 산신령으로 모셔진 단종과 마찬가지로, 유배당한 영주 순흥지역에서 소백산의 산신령으로 신격화되었다. 당대의 순흥이 단종복위운동을 전개할 정도로 단종에 대한 지지도가 강했던 것과 무속 특유의 인격신[7] 문화가 이같은 금성대군 신앙을 만들어냈다고 여겨진다.이렇게 무속에서 신격화된 금성대군을 모시는 신전으로는 서울의 금성당, 고치령 신령각, 영주 금성대군 신단 등이 있는데, 현재 금성당은 샤머니즘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8] 금성대군 신단의 경우 유교사회인 조선 시대에 조선의 왕족을 인신(人神)으로 모신 굉장히 드문 사례로서 높은 가치를 지녔다고 평가받는다.
4. 가족 관계
- 조부 : 태종(太宗, 1367 ~ 1422)
- 조모 :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 ~ 1420)
- 부 : 세종(世宗, 1397 ~ 1450)
- 모 :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 ~ 1446) - 청천부원군 심온(靑川府院君 沈溫)의 딸
- 정부인 : 완산부부인 전주 최씨(完山府夫人 全州 崔氏) - 찬성 증 좌의정 최사강(贊成 贈 左議政 崔士康)의 딸, 함녕군의 부인과 경안공주의 며느리와 자매, 임영대군의 부인의 고모
- 적장남 : 함종군 이맹한 (咸從君 李孟漢, 1455 ~ 1529) - 훗날 아들 이연장(李連長)과 함께 청주의 관노가 되었다.
- 며느리 : 충주 지씨(忠州 池氏) - 지범(池範)의 딸
- 손자 : 동평군 이연장(東平君 李連長, 1481 ~ 1508)
- 첩부인 : 성씨 미상
5. 기타
- 세종의 적자 중에서 다른 사람의 양자가 된 사람은 성녕대군의 양자로 입적된 안평대군과 이방석의 양손자로 입적된 금성대군이 있는데 양자로 입적된 2명 모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6. 대중매체에서
- 2011년 KBS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는 배우 홍일권이 연기했다. 금성대군(좌)과 단종
[1] 세조의 휘 유(瑈)와는 독음이 같다. 세종:'유'야! 둘 다: 네,아바마마 단, 이 시대엔 두 한자의 발음이 달랐다.[2] 봉호는 전라도 나주의 옛 지명인 금성(錦城)에서 따왔다.[3] 이 때 대화 내용을 보면 금성 대군이, '나, 계양군이 고발해서 별 증거 없이 여기 왔고 요즘은 대접도 별로 못 받거든? 너도 안평대군하고 친했는데 니가 지금 지방관 하고 있다고 얼마나 갈 것 같냐?'라고 하니, 이보흠도 '확실히 계유정난 때 보면 별로 근거 없이 처벌 받은 사람이 많긴 했음.ㅇㅇ'라고 대답한다.[4] 의안대군 이방석과 춘성군 간의 가계도를 따지면 증조손관계이다.[5] 선원속보 의안대군편을 보면 계후(系後)에 춘성군이 들어가 있다.선원속보 의안대군파보[6] 함종군(咸從君)이라고도 일컬음. 함종도호부의 다른 이름이 화원이었기 때문이다.[7] 과거의 실존인물을 신으로 모시는 것.[8] 다만, 서울 금성당의 경우 통설과 달리 금성대군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는 학설도 있다. #.[9] 푸른거탑 오버의 신 편과 푸른거탑 제로에서 사단장 역을 맡은 적이 있다.[10]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태조의 이복동생 이화,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도우 역.[11]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견금강 역을 맡았다. 공교롭게도 동복 형인 안평대군 역을 맡은 이광기는 태조왕건에서 후백제의 왕좌를 두고 대립하던 이복형 견신검을 연기했던지라 후백제의 왕자 견신검과 견금강이 조선의 왕자 안평대군과 금성대군으로 환생했다는 배우 개그가 성립한다. 여기서는 후계자 문제로 서로 대립했던 견신검과 견금강과는 달리 대립할 이유가 없으니 적대하지는 않으나 수양대군에게 져서 역사의 패배자가 되는 것은 견신검과 견금강처럼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