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03:01:21

임영대군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임영대군 | 臨瀛大君
파일:임영대군묘.jpg
임영대군묘 전경
출생 1420년 1월 29일
조선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사망 1469년 2월 11일 (향년 49세)
묘소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재위기간 조선 임영대군
1428년 7월 28일 ~ 1469년 2월 1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구(璆)
부모 부왕 세종
모친 소헌왕후
형제자매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4남
모후 기준 8남 2녀 중 4남
배우자
3명 [ 펼치기 · 접기 ]
정부인 군부인 의령 남씨
(郡夫人 宜寧 南氏)
1계부인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
(齊安府夫人 全州 崔氏)
2계부인 부부인 안동 안씨
(府夫人 安東 安氏)
자녀
9남 7녀 [ 펼치기 · 접기 ]
[ 전주 최씨 소생 - 5남 2녀 ]
장녀 - 중모현주(中牟縣主)
장남 - 오산군 이주(烏山君 李澍)
차남 - 구성군 이준(龜城君 李浚)
3남 - 정양군 이순(定陽君 李淳)
4남 - 팔계군 이정(八溪君 李淨)
5남 - 환성군 이징(歡城君 李澄)
차녀 - 청하현주(淸河縣主)
[ 안동 안씨 소생 - 4남 5녀 ]
6남 - 영양군 이함(英陽君 李涵)
7남 - 단계부정 이인(丹溪副正 李潾)
8남 - 윤산군 이탁(輪山君 李濯)
9남 - 옥천군 이옥(玉泉君 李沃)
3녀 - 김풍공(金豊公)의 처
4녀 - 전윤식(田允植)의 처
5녀 - 권형(權衡)의 처
6녀 - 민영(閔瑛)의 처
7녀 - 김맹손(金孟孫)의 처
종교 유교 (성리학)
헌지(獻之)
군호 임영대군(臨瀛大君)[1]
시호 정간공(貞簡公)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3.1. 조상3.2. 가족과 후손
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소헌왕후 심씨의 4남이며[2] 전주 이씨 임영대군파의 파시조이다.

2. 생애

평소 성격이 꾸밈이 없고, 검소했다고 전해졌다. 그래서 아버지 세종에게 칭찬을 많이 들었다. 또한 둘째형인 수양대군과 같이 무예에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경회루에서 승마 시범을 보이기도 했으며, 큰형 문종의 요청으로 화차를 제작하기도 했다.

세종 10년 6월에 임영대군에 봉해졌으며 세종 12년 5월에 진평대군, 안평대군과 함께 성균관에 입학했다. 원래 남지의 딸인 남씨와 혼인하였으나 실록에 따르면, "나이가 12세가 넘었는데 아직 오줌을 싸고, 안정(眼精)이 바르지 못하여 혀가 심히 짧고, 행동이 놀라고 미친 듯한 모습"이 있어서 조사를 해보니 원래 '미친병'이 있던 것이 드러나 황희가 이혼을 강력히 주창했고, 세종 15년 윤8월에 새로 간택을 하여 최승녕의 딸과 재혼했다.

그렇지만 여자를 밝히는 데 흠이 있어 세종 20년 4월에 악공 이생의 딸인 기녀를 첩으로 들였다가 허후가 첩을 들이는 것도 좋지 않은데 왜 하필 창기를 첩으로 들이냐고 비판하였고, 이에 세종은 임영대군은 학문을 원래 좋아하지도 않고 자손을 늘일 필요도 있으며, 왕가에서 기첩을 많이 들이니 괜찮지 않냐고 두둔했다. 허후가 집요하게 창기를 쫓아내야 한다고 주장하자 세종은 이미 허락해놓고 다시 내쫓을 수 없다고 거절하였다. 하지만 임영대군의 여색은 끊이지 않아 세종 21년 5월에 내자시 여종 막비와 간통을 하였으며, 막비가 중궁 시녀로 들어가자 거기까지 쫓아가서 또 간통하였다. 그리고 인수부 시녀 금질지와도 또 간통하다가 세종에게 들켜서 세종이 황희, 허조와 의논하여 임영대군의 직첩을 뺏고 먼 지방에 안치하게 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정신을 못차리고 세종 23년 8월에 여자들을 남장시켜 광화문을 통해서 몰래 들이려다가 들켜서 직첩과 과전을 빼앗겼다.

아버지인 세종이 총통 제작을 맡겨 동생인 금성대군과 함께 군기감에서 일하며 총통과 화차를 제작했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는 맏형 문종의 명을 받아 화차를 제작하기도 했다.

문종 사후에는 계유정난에 동참하면서까지 세조를 두둔했고 그가 죽을 때까지 보좌했다. 묘는 경기도 의왕시 백운호수 인근 모락산에 있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임영대군
(臨瀛大君)
<colbgcolor=#fff3e4,#331c00> 세종
(世宗)
<colbgcolor=#ffffe4,#323300> 태종
(太宗)
태조
(太祖)
신의왕후
(神懿王后)
원경왕후
(元敬王后)
여흥부원군 민제
(驪興府院君 閔霽)
삼한국대부인 송씨
(三韓國大夫人 宋氏)
소헌왕후
(昭憲王后)
청천부원군 심온
(靑川府院君 沈溫)


()
삼한국대부인 안씨
(三韓國大夫人 安氏)


3.2. 가족과 후손

4. 대중매체에서


[1] 봉호는 강원도 강릉의 별칭인 '임영(臨瀛)'에서 따왔다.[2] 문종세조, 안평대군의 친동생이고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의 친형이며 단종, 덕종, 예종의 숙부이다.[3] 안평대군의 장남[4] 광평대군의 처인 영가부부인과 내외종 4촌간이고, 함녕군의 부인과 경안공주의 며느리와 금성대군의 부인의 조카[5] 최사강(崔士康)의 아들[6] 월산대군성종이 즉위한 후, 지나칠 정도로 처신을 조심하게 하여 왕위 계승과 관련한 분란의 여지를 일절 남기지 않았다. 그러한 처세의 일환으로 일부러 적자 대신 서자만 둔 것.[7] 구성군은 죄인으로 죽었고, 한참 뒤인 숙종 때에야 복권받았기 때문에 명종이 죽은 직후에는 죄인 신분이었다. 그래서 설령 적자가 있었어도 그의 후손들은 고려 대상이 못 되었을 것. 훗날 광평대군(임영대군의 동생)의 손자 회원군양자로 들어갔지만, 둘 다 죽은지 한참 후인 1872년(고종 9년)에 이루어진 입계였다.[8] 이 때문에 임영대군파의 종손은 가계상 장자(적자든 서자든 관계없이)가 아니라 순수하게 적자 소생 장자로 삼는다. 참고로 임영대군파의 14대 종손 이사묵은 성종의 서자 익양군 가계에서 입적한 사람인데, 그의 할아버지 이현식은 원래 임영대군파 8대 종손 이흡의 현손으로, 익양군파로 입양간 것이기 때문에, 이사묵은 혈연 상으로도 임영대군의 후손이 맞다.[9] 이근이 명종과 같은 항렬이나, 명종의 외아들 순회세자보다 1살 어리므로, 명종의 양자로 갔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말이 안 된다. 나이와 상관없이 양자 입적과 같은 문제는 철저하게 항렬로만 따지는 것이 원칙이다. 차라리 이근이 중종의 양자로 들어가 대통을 계승하고, 이근의 아버지 진천군 이옥정(晉川君 李玉貞, 1513~1583)이 대원군 작위를 받아, 진천대원군으로 승격되었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10] 가계: 임영대군정양군덕림군전주 이씨(성순와 혼인) → 창녕 성씨(박간와 혼인) → 반남 박씨(윤승길와 혼인) → 해평 윤씨(인성군와 혼인) → 모든 인성군파[11] 가계: 임영대군중모현주신수근신홍필신영이노춘복신예옥민회빈 강씨(소현세자와 혼인) → 경안군 → 모든 소현세자파[12] 임영대군정양군덕림군전주 이씨(성순와 혼인) → 창녕 성씨(박간와 혼인) → 반남 박씨(풍산군 이종린와 혼인, 덕양군의 적장남) → 덕양군파의 종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0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