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23:33:59

경안군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인조의 손자
경안군 | 慶安君
출생 1644년 11월 3일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665년 10월 22일 (향년 20세)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묘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석견(石堅) → 회(檜)
부모 부친 소현세자
모친 민회빈 강씨
형제자매 3남 5녀 중 3남
자녀 2남
군호 경안군(慶安君)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후손5. 창작물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왕족. 소현세자민회빈 강씨의 3남이다.

2. 생애

아버지 소현세자가 1645년 사망한 후, 어머니 민회빈 강씨마저 1646년 인조의 수라에 독을 넣었다는 혐의로 별궁에 안치되었다가 인조의 미움을 받아 반역죄 누명을 쓰고[1] 사약을 받아 죽는다. 졸지에 부모를 모두 잃은 셈.

이후 큰형 이석철(당시 12세), 작은형 이석린(당시 8세)과 함께 4세의 어린 나이로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한다. 그러나 석철은 결국 1648년 음력 9월 18일, 그 곳에서 장독[2]으로 죽었고, 석린도 같은 해 음력 12월 23일, 병으로 사망했다.

다행히도 석견은 형들과는 달리 살아남아 1650년, 삼촌인 효종이 즉위한 이듬해 강화도로 옮겨갔다가, 1656년에 귀양에서 풀려났다.[3]

이석철과 이석린의 죽음에는 상당히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 소현세자가 죽자 청나라에서 사신으로 온 용골대가 소식을 듣곤 "소현의 아들들은 어떻게 됐습니까?" 라고 묻자, 김자점이 기겁하여 "앓다가 어린 놈 둘이나 죽었는뎁쇼?"라고 거짓말을 했다. 그러자 용골대는 "저런, 그럼 살아남은 큰아이는 우리가 청나라로 데려가서 키우고 싶습니다만?" 이라고 요청하였다.

조정은 발칵 뒤집혔다. 인조는 "석철을 청나라에 보냈다가 나중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 누가 알아?"라고 벌벌 떨고, 김자점은 "그냥 셋 다 죽었다고 할 것을, 내가 미쳤다고 이런 말 실수를 해서…." 라고 후회한다. 결국 청의 추궁을 무릅쓰고 괜히 셋 다 죽었다는 거짓말을 하여 용골대는 빈손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말이 씨가 되었는지 이석철과 이석린이 잇달아 죽은 것이다. 인조는 이 사실을 알고는 "어떻게 둘이나 연달아 죽냐? 수상한데?" 라고 나인들을 국문하여 법석을 떨었지만, 잠깐 뿐이었고, 이석견의 유배를 절대 풀어주지 않았다.

인조 사후에도 이석견의 고통과 귀양살이는 계속되었다. 그래도 기존의 삼촌 효종과 사촌형 현종은 석견의 어머니 강빈에 대한 단호한 입장과 별개로, 석견에겐 꽤나 동정적이어서 유배생활은 나아지기 시작했다.[4] 소현세자를 치료했던 당시 어의 이형익을 귀양보내며 이석견의 마음을 달래주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1659년 윤 3월 4일, 이석견은 경안군으로 복권되었다. 특히 승헌대부라는 관직도 얻게 된다. 이때 허씨와 결혼한 것으로 보인다. 허씨와 결혼한 경안군은 아들 2명을 두었다.

하지만 경안군은 오랜 유배 생활로 인해 겪은 고초와 스트레스 때문인지[5], 6년 후인 1665년에 온천으로 목욕을 가다가 병이 나서 실려온 지 얼마 안 되어 22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만다. 병상 생활이 길었던 탓인지, 전라남도 순천시송광사에 경안군의 쾌유를 비는 관세음보살상을 조성했을 정도. #

3. 가족 관계

4. 후손

지금까지 이어지는 전주 이씨 소현세자파는 모두 경안군의 자손이다. 소현세자의 장남(경선군), 차남(경완군)이 모두 유배 중 어린 나이에 죽었고 경안군만이 유일하게 성인까지 살아남아 후사를 이었기 때문이다.

부인 허씨와의 사이에서 임창군 이혼(臨昌君 李焜), 임성군 이엽(臨城君 李熀)을 두었다. 차남인 임성군은 큰형인 이석철의 양자로 입적시켰는데, 후사를 보지 못하여, 형 임창군의 차남 밀남군(密南君) 감(堪)을 양자로 들여서 소현세자파 - 장자공파의 대가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재의 소현세자파는 모두 3남인 경안군의 후손인 셈이다.[6]

이 둘은 숙종의 치세 초반인 1679년에 "왕실의 종통(宗統)인 임창군을 임금으로 세워야 한다"는 흉서(凶書)가 세간에 나도는 바람에 제주도에 유배당한다. 그러나 대접은 좋았다고 하며, 1684년에 풀려났고, 왕족으로서의 지위도 회복했다. 그러나 차남 임성군은 6년 후 26살의 나이로 사망한다.

이인좌의 난으로 유명해진 밀풍군임창군의 장남이다.[7]

당대에 통용되던 유교적인 가치로 보자면 왕위 계승권을 요구하더라도 이상할 것 없는 집안이라서[8] 그런지 실제로 그의 후손은 반란만 일어났다 하면 추대받는 바람에 여럿 죽어나갔다. 심지어 철종 대에도 그의 후손을 추대하려는 중인, 천민 중심의 역모가 있었다. 그럼에도 자손을 보전해 끝까지 살아남은 잡초같은 집안의 조상이라 하겠다.이렇게라도 후손이 살아남아야 세상에 정의가 있다는걸 알 수 있지 그들을 대신해 왕위에 오른 효종의 직계들이 점점 손이 귀해지다 결국 단절되어 버린 것과 비교된다.[9]

이후 고종 대에 이르러 더이상 왕위를 주장할 수 없을 정도로 촌수가 벌어지자 복권된다.

여담으로 그의 묘 근처엔 조선 왕족들의 묘가 많다. 근처에 태종원경왕후의 4남 성녕대군의 묘, 경혜공주와 그 남편 정종의 묘 등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소현세자파의 사람들이 사실 세종대왕의 4남 임영대군의 후손들이기도 하다. 경안군의 어머니 민회빈 강씨의 모계는 임영대군의 외7대손이기 때문이다.[10]

5. 창작물에서



[1] 조정 대신들은 반대했으나 인조가 크게 화를 내고 서슬을 보이자 이에 눌려서, 은혜를 베풀 것을 청하며 정작 중요한 점인 누명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을 못했다. 기껏해야 이시백 정도가 "홍금적의를 입은 것은 부인의 성품으로 비단을 탐내서 그런 것이 아니겠습니까? 역모죄란 게 지극히 엄한 일인데, 추정으로 사람 죽이면 씁니까?" 라고 변호한 정도다. 그러나 김자점은 "예, 강빈은 역적 맞습니다. 하는 꼴을 보니까 싹수가 노랗습디다." 라고 인조의 궤변에 적극적으로 동조한다.[2] 전염병의 일종이며 장형을 받아 생긴 장독과는 다르다.[3] 이때 넷째 누나인 경녕군주와 다섯째 누나인 경순군주를 10년만에 다시 만난다.[4] 사실 효종이나 현종의 입장에선 강빈을 싫어하지 않아도 왕위 정통성 등의 이유 때문에 단호하게 나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들이 강빈의 아들인 이석견을 우호적으로 대한 걸 보면 표면상의 갈등과는 별개로 내적으론 강빈 가족을 나쁘게 보지 않았을 수도 있다.[5] 석방되었을 때가 1656년이라서 10년 만에 유배에서 벗어났다.[6] 경안군의 둘째 형, 즉 소현세자의 차남인 경완군(이석린)은 후사가 없어 성종의 13남 영산군의 7대손 이의저가 사후 양자가 되어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7] 사실 따지고 보면 이것도 족보가 꼬인 것이다. 형식적으로나마 장자공파(장남 이석철의 가계)가 있으므로 이쪽이 정통성을 가져야 하겠지만, 양자에 양자로 계승한 것에 불과하므로 실제로는 소현세자의 3남의 장남의 장남이 더 직계에 가까웠던것.[8] 실록에서 인조의 조치를 사관이 대놓고 까는 게 두가지인데 하나가 환향녀 건이고, 두번째가 바로 소현세자 가족에 대한 가혹한 처분을 비판한 것이다. 기록 잘못 썼다가 목 날아가는 사관이 대놓고 이렇게 쓸 정도면 다른 건 몰라도 소현세자에 대한 처사는 당시 양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일관되게 비난의 대상이었다는 의미.[9] 임창군의 경우 아들이 밀풍군을 포함해 6남 5녀, 밀풍군은 5남 4녀를 두었는데, 이 때문인지 살아남은 듯하다. 반면 효종의 직계 후손들을 보면 대부분 아들이 1명 ~ 2명, 3명 이상 있다 해도 거의 요절하거나 역모에 휘말려 죽음을 당했으니 점점 손이 귀해질 수 밖에 없다.[10] 가계도: 임영대군중모현주신수근신홍필신영이노춘복신예옥민회빈 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