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3:07:42

보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보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어원3. 기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성의 성기음문을 표현하는 한국어의 비속어이다. 더 비속하다고 여겨지는 단어이자 줄임말로는 이 있다. 반대되는 단어로는 남성의 성기인 자지가 있다.

어린아이의 것은 잠지라고 부른다.[1] 영어로는 pussy(푸시), cunt(컨트)등이 있다.

이 문서는 대상이 아니라 단어 자체를 다루며, 이 말이 뜻하는 대상에 관한 내용은 서술한 음문 문서로.

2. 어원

보지라는 단어에 대한 정확한 어원, 유래에 대한 정설은 없다. 옛 우리말의 흔적이 잘 보존되어있는 제주도 방언의 경우 '보댕이'라고 한다.[2]

근세 중국어 추(屄𡲰) 혹은 해당 표현의 은어 빠쯔(八子)가 한국어에 유입되어 생겨난 표현이라는 설도 있다.[3]

이와 관련한 내용으로 이이(조선)이항복의 대담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흔히 '걸어다녀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보장지(步藏之)라는 말이 '보지'로, '앉아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좌장지(坐藏之)가 '자지'로 축약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검색창에 '좌장지 보장지'를 쳐보면 많이 나온다. 이와 관련한 대담은 아래 내용으로.

[ 율곡과 이항복의 대담 / 펼치기 · 접기 ]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문신으로 꼽히는 백사(白沙) 이항복.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 불리는 영의정 자리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끝까지 모시며 나랏일을 챙긴 공로로 부원군에 책봉되는 등 신하로서는 최고의 영예를 누렸다.

‘백사’라는 호보다는 ‘오성(鰲城)’으로 더 유명한 이항복은 이덕형과의 돈독한 우정으로 많은 일화를 남겼는데 ‘오성’은 이항복이 부원군에 책봉될 때 주어진 칭호이다.

하지만 이항복도 젊었을 때는 천하의 난봉꾼으로 부모 속을 꽤나 썩였던 모양이다. 허구한 날 기방만 출입하는 이항복을 두고 보다 못한 어머니가 하루는 이항복을 불러 크게 호통을 쳤다.

“네가 정녕 우리 가문을 욕되게 하려는 게냐? 네 행실이 이러하니 죽어서도 조상님들을 뵐 면목이 없구나.”

어머니의 호된 꾸지람에 정신이 번쩍 든 이항복은 며칠 동안 두문불출하며 지난 자신의 행동을 반했다. 며칠 후 방에서 나온 이항복은 어머니 앞에 꿇어 앉아 진심으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용서를 빌었다. 자식의 반성에 노여움이 풀린 어머니는 이항복에게 율곡 이이를 찾아가 스승으로 모실 것을 권유했다.

다음 날 율곡의 집을 찾아간 이항복은 율곡이 있는 방으로 들어가 큰절을 올렸다. 그런 뒤 제자로 받아들여줄 것을 청하면서 당돌한 질문 하나를 던졌다.

“선생님, 처음 뵙는 자리에서 무례하다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소생이 여태껏 풀지 못하고 품어 온 의문이 하나 있기에 감히 여쭤보려고 합니다.”

“말해 보게. 내 아는 데까지 대답해 주겠네.”

“이제껏 제가 기방을 드나들면서 늘 품어온 의문이 한 가지 있습니다. 사람의 생식기를 일러 남자아이의 것은 자지라 하고 여자아이의 것은 보지라고 하다가 어른이 되면 각각의 명칭이 남자는 , 여자는 으로 변하는 까닭이 무엇인지 참으로 궁금하옵니다.

이 괴한 질문에 크게 웃음을 터뜨린 율곡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하하하! 천하의 난봉꾼이 지금까지 그것도 모른 채 기방을 드나들었단 말인가. 잘 듣게. 우선 여자의 보지는 ‘걸어다녀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보장지(步藏之)라는 말이 잘못 발음된 것이요, 남자의 자지는 ‘앉아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좌장지(坐藏之)’를 잘못 발음한 것일세. 또한 은 별다른 뜻이 있는 게 아니라 다만 ‘마를 조(燥)’와 ‘습할 습(濕)’을 뜻하는 것일세. 이제 알겠는가?”

이항복은 자신의 기이한 질문에 현명하게 답한 율곡 앞에 엎드려 큰절을 올렸다.

“고맙습니다, 스승님. 소생 이제야 십 년 넘게 품어 온 의문이 풀렸습니다. 저를 제자로 받아들여 주십시오. 선생님의 문하생이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알고 성심껏 학문에 임하겠습니다.”

이항복은 그 후 일체 기방 출입을 삼가고 학문을 수련하는 데 정진했다. 그래도 타고난 끼는 어쩔 수 없는 법. 이항복은 벼슬길에 오른 이후에도 포복절도할 일화들을 생애 곳곳에 남겼다.
이 대담의 내용은 인터넷에도 사실처럼 퍼져있다. 하지만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조항범 교수에 따르면 이와 같은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그의 저서 '그런 우리말은 없다.'에는 보지자지라는 어원에 대한 전형적인 한자 부회라고 한다.[4] 이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네이버 지식백과에 나온다. 조항범의 이 저서는 판매되지 않고 있으나, 국회도서관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내용을 게시하고 있다.

3. 기타

파일:external/www.imaeil.com/20120518_172726000.jpg
[ruby(自, ruby=자)][ruby(知, ruby=지)]면 [ruby(晩, ruby=만)][ruby(知, ruby=지)]고 [ruby(補, ruby=보)][ruby(知, ruby=지)]면 [ruby(早, ruby=조)][ruby(知, ruby=지)]다 = 혼자서 알려 하면 늦게 알게 되고 도움 받아 알려 하면 빨리 알게 된다.

4. 관련 문서



[1]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남자아이의 성기'로 등록되어 있으나, 동남방언에서는 여성의 성기를 지칭한다고 되어있으며 근래에 들어선 여성에게 더 많이 사용한다.[2] 남성의 성기는 조쟁이라고 한다.[3] 陳泰夏. (1978). 固有語化된 漢語 接尾辭 「지(子)」에 대하여. 언어학, (3), 227-244.[4] 이렇게 어떤 어휘의 어원에 대해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상상력을 동원해 그럴듯하게 지어내서 풀이한 것을 민간어원이라고 하는데, 쉽게 말해 그냥 썰이다.[5] 단, 표준어 '개오지'는 방언 '개보지', '꼬내기 보지' 등을 순화한 단어이며 공식적으로는 일단 '오지그릇'에서 따왔다고 밝히고 있다.링크[6] 사실 신해혁명 이후의 인명이므로 표준 중국어 발음으로 적는 것이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긴 하다. 다만 이 경우 규정은 북경어 기준인데 현지 발음은 광동어라는 별도의 문제가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1
, 2.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1 (이전 역사)
문서의 r6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