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태조실록 | 정종실록 | 태종실록 | 세종실록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문종실록 | 단종실록 | 세조실록 | 예종실록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성종실록 | 연산군일기 | 중종실록 | 인종실록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명종실록 |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 광해군일기 (중초본·정초본) | 인조실록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효종실록 | 현종실록 (현종개수실록) | 숙종실록 (보궐정오) | 경종실록 (경종수정실록)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순조실록 | 헌종실록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철종실록 | 고종실록 | 순종실록 (순종실록 부록) | }}} }}}}}} |
선조 관련 문서 |
평가 · 목릉 · 선조실록 · 선조수정실록 |
<colbgcolor=#95153E><colcolor=#FFC224> 선조소경대왕실록 | |
분량 | 221권 116책 |
기록시기 | 1567년 7월 ~ 1608년 1월 |
[clearfix]
1. 개요
선조실록(宣祖實錄)은 조선 제14대 국왕인 선조 이연(李昖) 재위(1567년~1608년) 40년 7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총 221권 11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호에 해당한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국가기록원에 소속된 역사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다.2. 내용
국사편찬위원회 선조실록 전문실록의 정식 명칭은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이다.
1567년 7월부터 1608년 1월까지 선조 재위 40년 7개월간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조선왕조실록으로, 1609년(광해군 1년) 7월부터 편찬하기 시작하여 다음 해 11월에 완성하였다.
총 221권 116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나,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이후의 기록이 대부분이고 그전의 기록은 25권 12책에 불과하다. 즉, 1567년부터 1591년까지 약 25년간의 재위 기록이 임진왜란 이후 선조 사망까지 16년간의 재위 기록의 1/10 수준이다. 이는 임진왜란 이전에 작성된 사초들과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등이 왜란의 전화에 홀랑 날아갔기 때문이다. 그래도 선조 재위 초기의 자료들을 어떻게든 기록하려고 사대부들의 일기와 지방에 보관되어있던 조보(朝報)들을 악착같이 뒤져서 겨우겨우 기록한 것이 이 수준이다.
단적으로, 선조 재위 기간에 관측된 두 초신성인 SN 1572와 SN 1604의 기록을 비교해 볼 때 SN 1572는 기록이 아예 없지만(선조수정실록에는 딱 한 줄 기록되어 있다.) 케플러의 초신성이라고도 불리는 SN 1604는 매우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요하네스 케플러가 남긴 기록보다도 더 상세할 정도이다. SN 1604를 관측한 기록이 130회가량 남아 있으며 이 기록은 이 초신성이 Ia형 초신성임을 알아내는 데 상당한 공헌을 했다. 당시 조선에서는 이 초신성 폭발을 하늘의 경고라고 여겨 몹시 불길하게 여겼다. SN 1604의 최초 관측 기록은 10월 9일 이탈리아에서의 관측이며, 이튿날인 10월 10일에는 명나라에서 관측되었고, 그로부터 사흘 후인 10월 13일에는 조선에서 관측되었으며, 10월 17일에는 프라하에서 케플러에 의해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에 대해 선조실록에서는 일본군의 방화로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선조수정실록에서는 당시 사관 네 명이 사초를 불에 태우고 튀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사관 조존세, 김선여, 임취정, 박정현 등이 도망하였다. 존세 등은 좌우 사관으로서 처음부터 호종하면서 침문을 떠나지 않았으므로 상이 자제처럼 대우하였다. 이날 밤 네 사람은 상이 요동으로 건너갈 것을 의논하여 결정하자 도망칠 것을 몰래 의논하고는 먼저 사초책을 구덩이에 넣고 불을 지른 뒤 어둠을 타고 도망하였다. 상이 길에서 자주 돌아보며 사관은 어디 있느냐고 물었는데 모두 보지 못하였다고 대답하자, 상이 이르기를, "김선여가 탄 말이 허약한데 걸어서 오느라 뒤에 처졌는가" 하였다. 새벽이 되어서야 그들이 도망한 것을 알고는 사색이 참담하였다. 따르는 자들이 모두 격분하며 매도하기를 '뒷날 상이 환국하시면 이 무리들이 어떻게 살아나겠는가' 하였다. 네 사람이 각각 영남과 호남 사이에서 가족을 찾았는데 주현에서 먹을 것을 구하며 핑계대기를 '상이 물러가라고 허락하였기 때문에 왔다'고 하였다.
<<선조수정실록>> 25년 6월 1일[1]
<<선조수정실록>> 25년 6월 1일[1]
훗날 1641년(인조 19년)에 기존의 선조실록이 잘못된 점이 많다고[2] 하여 인조가 이식에게 명하여 선조실록을 개수하게 하였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흐지부지되다가 1657년(효종 8년)에 선조수정실록과 선조대왕실록수정청의궤를 최종 완성하였다. 선조수정실록은 기존에 편찬된 실록을 개수한 최초의 사례이다.
3. 외부 링크
[1] 해당 사관들은 훗날 어찌어찌 관직 생활을 이어가긴 했으나 두고 두고 오명을 얻게 되었다. #[2] 권율, 류성룡, 이순신등 S급 거물들은 까내리고, 이이첨만 빨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