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01:53:37

민무질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태조)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8년 9월 17일 태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1등)
김사형 이거이 이무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이애 이화
조박 조영무 조준 하륜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정사이등공신 (2등)
김로 민무구 민무질 박포
신극례 심종 이복근 이숙번
이양우 이지란 이천우 장담
장사길 장사정 장철 정탁
조온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명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01년 1월 15일 태종에 의해 책록
진충좌명공신 (1등)
민무구1 민무질1 신극례 이거이2 이무3
이숙번4 이애 조영무 하륜
익대좌명공신 (2등)
이래 이천우 이화
익대좌명공신 (3등)
김영렬 류기 마천목 박석명
박은 성석린 윤곤 윤저
이숙 이지란 조희민 황거정5
익대좌명공신 (4등)
권근 김승주 김우 김정경
류량 문빈 서유 서익
송거신 심구령 연사종 윤목
윤자당 이승상 이원6 이응
이종무 이직7 조경 조박8
조온 한규 홍서
1 1407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2 1404년 태종의 왕자들을 죽이고 상왕 정종을 섬기려 한 혐의로 제명
3 1409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후에 신원
4 1416년 불충, 불경죄로 인한 제명
5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임 혐의로 인한 제명
6 1426년 노비 불법 모집 혐의로 인한 제명, 1456년 세조 때 복권
7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8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

<colcolor=#FFD400> 민무질
閔無疾
본관 여흥 민씨
생몰년 생년 미상 ~ 1410년(태종 10년) 3월 17일
가족 아버지: 민제
누나: 원경왕후
형: 민무구
동생: 민무휼, 민무회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인물. 민제의 아들. 민무구의 동생이자 민무휼, 민무회의 형.

2. 생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 김씨
순경태후
정안 임씨
공예태후
경원 이씨
인예태후
안산 김씨
원성태후
당성 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언양 김씨
김취려
철원 최씨
최유청
해주 최씨
최충
공암 허씨
허재
평강 채씨
채송년
청주 이씨
이자림
황려 민씨
민영모
횡천 조씨
조영인
파평 윤씨
윤관
평양 조씨
조인규家
}}}}}}}}}

1398년 호조의랑에 임명되었고 민무구와 함께 이방원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킬 때 이방원과 이숙번이 만나도록 주선했고 이 때의 공으로 여성군에 봉해졌다.

1400년 대장군, 좌승지 등을 지냈고 1401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1402년 서장관, 참지의정부사, 도병마사 등을 지냈다. 1403년 총제, 제조 등을 지냈고 1404년 영락제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지의정부사 겸 좌군 총제에 임명되었다가 1405년 우군 도총제가 되었다.

1406년 우군 총제로 임명되었다가 군직에서 벗어나기를 요청해 면직됐다. 이때 휘하의 진명례 등이 민무질의 유임을 주청하는 상소를 올리자 태종은 "장수도 모두 공가(公家. 왕실)의 장수요, 사병도 모두 공가의 사병인데 너희들은 이미 금병(禁兵)이 되어 가지고 여성군(驪城君)이 있음은 알고 유독 내가 있음을 알지 못하느냐?"며 국문을 명했는데 이미 태종이 민씨 일가를 견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군직에서 벗어난 후에는 사헌부 대사헌, 판의용순금사사 등을 지냈으나 1407년 의안대군 이화으로부터 '민무구, 신극례 등과 함께 외척이 되어 지나치게 교만하고 방자하다'고 해서 탄핵당했다.

결국 국문을 당한 후에 장단으로 유배되었고 이후에도 공신, 백관, 대간, 형조 등으로부터 법에 따라 다스려 민무질을 죽여야 한다는 상소가 계속 올라갔으며 민무구와 함께 직첩이 거둬지고 민제의 요청에 따라 대구로 유배지를 옮겼다.

이후에도 꾸준히 죽여야 한다는 상소가 올라왔고 1408년 10월 삼척에 옮겨졌으며 1409년 10월 민무구와 함께 제주로 유배되었다가 1410년 3월 민무구와 함께 자결하라는 명령을 받아 사사되었다.

그의 혈통 상 17대손이 조선 말기 민씨 척신이었던 민응식이다. 단, 민응식은 인현왕후의 오빠 민진원의 가계로 입양갔기 때문에 법적으로 민무질의 자손은 아니다.[1]

민무질의 직계 후손 가운데 16세기 학봉 김성일의 외할아버지가 있다. 즉 김성일의 어머님이 여흥 민씨이다. 여담으로 민제-민무질 가계와는 촌수가 매우 멀지만, 민제의 직계 조상인 민공규(12세기 고려 재상 민영모의 차남)의 또다른 직계 후손 중에서 정암 조광조의 외할아버지도 있다.

3. 대중매체에서

3.1. 용의 눈물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나한일[2]이 연기했다. 특히 조사의의 난 당시 손효종과 일대일 대결을 벌이는 도중 잠시 손효종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면서 '이 역적' 이라고 외치고 칼을 휘둘러보이는 솜씨가 매우 일품이다. 그리고 잠시 후 손효종을 벤다. 초반부터 등장해 누나인 원경왕후, 형 민무구와 함께 매형의 왕위 등극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돕는데 이 과정에서 아버지 민제의 반대도 무시하고 권근에게 접촉하여 사돈을 맺는 등 세력 불리기에 사활을 걸며 이방원이 권력을 잡는데 온갖 도움을 준다.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기 얼마 전 집안에 숨겨 두었던 무기들을 하인들을 시켜 옮기게 하다가 아버지 민제에게 들킨다. 민제는 민무질의 뺨까지 때리지만, 끝내 아버지의 말을 무시하고 무기를 옮기게 한다. 2번의 왕자의 난 때에는 형과 함께 직접 갑옷을 입고 사병을 끌고 참여했다. 사실상 하륜, 이숙번, 조영무 등과 함께 가장 충성스럽게 이방원을 도운 공신으로 조영무, 이거이 등이 이방원의 사병 혁파에 격분해 반발하다 귀양을 갈 때도 기꺼이 사병 혁파에 찬성하며 사병을 내놓고 조사의의 난 때는 전투 중 부상을 입어가며 분투해 적장 다수를 참하는 등 이방원이 왕위에 오를 때까지의 행보는 분명 원경왕후가 늘상 하는 "아우들이 아니었다면 전하가 왕위에 오르실 수 있었겠느냐"라는 말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정도로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러나 이방원이 태종으로 왕위에 오르고 왕권 강화를 위해 외척을 경계하기 시작하면서 창창해보였던 앞날에도 먹구름이 드리우기 시작한다. 그 징조는 아직 세자위 시기의 이방원이 사병 혁파 과정에서 반발하던 공신들을 귀양보낸 후 가진 민무질과의 술자리에서 나타나는데 민무질은 부귀영화를 누릴 것 같았던 공신들이 쫓겨나자 은근슬쩍 "이제는 처남들에게도 권력을 좀 나눠주십시오."라며 야심을 드러내고 이에 이방원은 "처남, 권력이란게 무엇인지 아는가?"라 묻는데 민무질은 술 기운에 취한듯 "뭐든지 마음대로 하고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이 아니옵니까? 남자라면 응당 가져야 하는 것 아니겠사옵니까? 사내로 태어나 그것 하나 손에 못 쥔다면 그게 어디 사람이겠습니까"라고 답하며 은근슬쩍 권력에 대한 야심을 티냈다. 그러자 기가 찬 이방원은 술자리를 들어엎으며 "나 이방원의 치세에 권력을 가진 자는 죽을 수밖에 없다. 어제의 동지를 헌신짝처럼 버리고 자식도, 형제도, 친족도 내쳤는데 하물며 우리 처남이라고 별 수 있을 것 같은가"라며 꾸짖는다.[3][4] 그러나 민무질은 후에 형과 누이에게 이 발언에 대해 얘기하지만 그 뒤에 숨어있는 무서운 의미에 대해서는 전혀 깨닫지 못했고 권력을 얻은 후의 처신 또한 자신의 답변과 별 다를바 없이 행동하면서 화의 씨앗을 틔우고 만다.

결국 태종이 왕위에 오르자 처신에는 전혀 신경쓰지 않고 권력을 틀어쥐며 부귀영화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엄청난 공이 있는데다 외척이라는 뒷배경까지 있는 이들을 견제하고자 한 이숙번이 태종에게 간언하지만 태종은 "사람이 변했구먼. 제 몸보신을 위해 남을 헐뜯는 법도 배웠는가"라며 무시한다. 하지만 태종은 이미 이전부터 보아둔 이들의 행동이 결국 왕권을 저해할 강력한 외척으로 성장할 것임을 예측하고 있었다.

실제 역사에서는 본인이 자청하여 군을 떠났던 것과는 달리 극 중에서는 본인은 계속 군에 남고 싶었음에도 태종이 군부에 대한 민씨 일가의 영향력을 없애기 위해 우군도총제 직에서 문관직인 대사헌으로 좌천시킨 것으로 묘사되었다. 여기서 정신을 못차린 민무질은 민제에게 찾아가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했고 급기야는 군부의 무관들이 석고대죄하면서 "민무질의 우군도통제 직을 유임하게 해달라."는 시위를 벌이자 태종이 극대노한다.[5]
여담으로 황희는 어린이용 위인전 시리즈에 실리는 한국 위인에 해당된다. 황희 관련 일화 중에, 태종 시기에 왕비의 동생들이 횡포를 부리니까 그들을 몰아내게 하는데 참여했다는 이야기가 위인전에도 나온다. 그리고 황희의 졸기에도 민씨 형제들 숙청에 참여했다는 기록이 있다.

결국 1차 양위 소동을 일으킨 뒤 양위 반대에 소극적이었던[6] 이들의 행동을 트집잡아 "세자를 내세워 권좌를 넘보려 했다"는 역모 혐의를 받고 연안으로 귀양을 가고 만다.[7]

하지만 자신들의 세상이 온 줄 알고 부귀영화를 즐기다 어처구니없는 이유로 귀양을 간데다 이러한 사건의 정치적 의미를 파악할 능력도 없었던 두 사람에게는 그저 억울한 마음 뿐이었고 귀양 도중 민제의 죽음으로 일시적으로 도성으로 오는 것이 허용되어 민제의 장례식에서 매형을 마주한 자리에서 억울한 마음을 숨기지 못하고 실언을 했다가 태종에게 "장인은 훌륭한 분이시지만 그건 그 분에게만 해당되는구만. 어찌하여 장인어른은 자신과 같은 자식들을 얻지 못하셨다는 말인가"라는 사실상의 최후 통첩을 받고 회생의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고 만다. 애초에 민제는 태종의 의도를 이해하고 자식들을 살려보려 자진해서 여흥으로 "귀양지를 옮겨달라"했으며 죽기 직전에도 태종에게 "자식들을 잘 부탁드린다"며 마지막으로 큰절을 올리는 등 여러 노력을 했지만 두 형제의 짧은 식견은 끝내 아버지의 노력을 수포로 돌아가게 한 셈.

결국 장례가 끝난지 얼마 안 되어 옹진진을 거쳐 제주로 옮겨지고 그 곳에서 해안가를 바라보며 형과 함께 "그 때는 참 좋았었지..."라 회상만 하는 처지가 되어버린다.[8] 그러나 두 형제의 기구한 운명은 끝이 아니었으니 제주로 유배간지 얼마 후 태종에게서 사약이 내려오고 만다.[9] 원경왕후가 태종의 면전에서 발악하며 막으려 하고 아들인 효령대군, 충녕대군, 성녕대군도 태종의 발 밑에 엎드리며 외숙들을 구명하려 해보았지만 역부족이었고 둘은 결국 태종을 원망하여 "저승에서 반드시 보게 될 것"이라는 말을 남긴 뒤 사약을 마시고 극 중에서 퇴장한다. 이들이 죽은 뒤 남긴 말을 들은 태종은 "아무렴, 그런 일을 당하고도 그런 생각이 들지 않을리가 있나. 나라도 그랬을게야."라며 복잡한 감정을 내비쳤다가 외척 숙청에 박차를 가한다.

3.2. 그외



[1] 인현왕후와 민진원은 민무질의 큰할아버지 민유의 후손이다.[2] 1989년 KBS 드라마 <무풍지대>에서는 유지광 역. 해동검도의 공동 창시자인데 검도 경력 때문인지 확실히 다른 배우에 비해 검을 휘두르는 폼이 예사롭지 않다. 이 작품 내 블레이드 마스터에 가까운 취급.[3] 유동근은 술상을 엎다가 그릇이 깨져 손을 다쳤는데 돌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유동근은 태연히 애드립을 통해 몰입도를 높였다.[4] 아마 조만간 외척이 될 처가에 대해 잘 처신해서 숙청의 명분을 피하라는 일종의 경고였을 듯.[5] 군부가 들고 일어나 왕에게 시위한 것은 한참 오버한 짓이고 이숙번은 그 상황을 보고 "민무질이 오래 못갈 것"이라 예상하고 황희 역시도 "저게 대체 뭐하는 꼴이냐"면서 인상을 찌푸린다.[6] 반대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고 "저하가 왕이 되면 우리에게 좋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해 양위 파동 직전에 중궁전에 들렀다가 트집잡히기 좋은 이들의 행동에 흠칫한 원경왕후의 꾸지람을 듣고 입궁한 뒤 대신들의 반대 분위기에 마지 못해 반대에 동참했다. 그러나 이미 그들의 속마음을 눈치채고 있었던데다 중궁전에 들렀던 것까지 들켜서 태종에게 꼬투리를 잡히고 만다.[7]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은 듯 일관하다 갑작스레 이들을 무자비하게 숙청하는 태종의 행동에 이숙번마저 "그들을 견제하고자 했지, 파멸시키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며 경악하면서도 한탄한다.[8] 말 안해도 두 형제의 한때는 좋았던 과거랑 비교가 되는데다 그런 말을 하는 제주도 해안가의 분위기가 참으로 처량해서 형제의 심정에 절로 공감이 갈 정도.[9] 사약과 교수형 중 하나를 택하라고 해서 사약을 택한다. 후에 같은 형을 받게 되는 동생들인 민무휼민무회는 교수형을 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