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한국사
<colcolor=#FFD400> 민무회 閔無悔 | |
본관 | 여흥 민씨 |
생몰년 | 생년 미상 ~ 1416년(태종 16년) 1월 13일 |
가족 | 아버지: 민제 누나: 원경왕후 형: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인물. 본관은 여흥(驪興). 민제(閔霽)의 아들이자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 4형제 중에는 막내이다.2. 생애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태후 가문 | ||||
경주 김씨 순경태후家 | 정안 임씨 공예태후家 | 경원 이씨 인예태후家 | 안산 김씨 원성태후家 | 당성 홍씨 명덕태후家 | |
재상 가문 | |||||
언양 김씨 김취려家 | 철원 최씨 최유청家 | 해주 최씨 최충家 | 공암 허씨 허재家 | 평강 채씨 채송년家 | |
청주 이씨 이자림家 | 황려 민씨 민영모家 | 횡천 조씨 조영인家 | 파평 윤씨 윤관家 | 평양 조씨 조인규家 |
좌정승 민제의 아들이며 태종비 원경왕후의 동생으로 세종대왕의 외삼촌.
원경왕후의 힘을 얻어 지돈녕부사까지 승진하는 등 외척으로써 권력의 중심에 다가가지만 왕권 강화를 위해 방해가 되는 권신들을 숙청하던 태종 입장에서는 가장 꺼렸던 자들이 바로 외척들인 민씨 집안. 결국 태종이 양위 파동으로 인해 왕명을 거역했다는 죄목으로 두 형 민무질, 민무구가 사사당한다.
두 형이 죽고난 뒤에 태종의 두 타겟은 남은 두 처남이었는데 이때 세자였으며 원경왕후의 의사에 따라 민씨 집안에서 의탁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던 양녕대군에게 하소연을 했던 것[1]을 두고 양녕대군이 태종에게 고자질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여기에 덧붙여 그들이 유배형에 처해진 지 얼마 안 돼서 태종이 효빈 김씨가 임오년에 경녕군을 낳았을 당시에 원경왕후에게 학대당한 일[2]도 밝히면서 더욱 탄핵을 당해 형 민무휼과 본인도 형들이 겪은 것처럼 자결하라는 명령을 받아야만 했다. 결국 그곳에서 교수형으로 죽는다.[3]
민씨 4형제의 숙청 과정에서 보면 가장 빈틈이 많았던 인물,양녕대군에게 한 말도 그렇고 저 말이 드러난 계기도 노비소송에서 패한 염치용이라는 자가 민무회를 찾아가 하소연을 하면서 시작한 것이었는데 문제는 소송 대상이 국가, 즉 왕이었다는 것, 거기다가 그 과정에서 태종의 후궁과 정승인 하륜이 뇌물을 받았다고 하며 심지어 준 사람은 그 노비다. 거기다가 이 말 자체가 거짓말인건 덤 그러니까 염치용은 없는 말을 지어내서 민무회에게 말했는데 민무회는 또 거기에 낚여서 충녕대군에게 충녕대군은 다시 태종에게 보고한 것이다. 졸지에 태종은 노비 뇌물에 판결을 내린 꼴이 되었고 때문에 민무회를 잡아들이고 일이 시작되었다.[4]
3. 대중매체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조인표가 연기했다.[5] 조선 건국부터 조사의의 난으로 이어지는 전반부까지는 등장하지 않다가 형인 민무구와 민무질이 조정 중신으로 권세를 부려 와병 중인 민제의 걱정을 살 무렵 "저 아이들 말고 두 아이가 더 있는데"하는 민제의 대사를 운을 띄운 뒤에 형 민무휼과 함께 등장한다. 태종 즉위까지 많은 공을 세우고 한 때 권세를 누리기라도 했던 형들과 달리 형들이 사사당하고 민씨 가문의 위세가 떨어져 능력이 없지 않음에도[6] 운신의 폭이 매우 좁고 하루하루 전전긍긍하며 살아간다. 형들의 죽음을 억울해하지만 어디가서 대놓고는 말 못하니 집에서 자기들끼리 삭히고 가끔 누나인 원경왕후에게 털어놓고는 했는데 외척의 권세를 믿고 전횡한 죄인의 집안이라 하여 원경왕후를 자주 찾아가지도 못해서 원경왕후의 생일같은 특별한 날에나 초대받아 문안했다. 세자인 양녕대군은 실제 역사와는 달리[7] 그들을 안타깝게 여겨 정치에 대한 환멸로 온갖 일탈을 일삼으면서도 이들에게만큼은 따뜻하게 대하지만 정작 태종의 눈에는 이들 역시 눈엣가시였다. 물론 사적인 감정이야 태종도 이들이 안타까웠겠지만
정말?형들과 마찬가지로 군왕의 눈에는 가슴에 한을 품고 세자를 충동질하며 후일을 도모하는 역적 무리였다. 태종은 그들에게 "외숙을 잃고 마음상해 있을 양녕의 마음을 위로해주라" 해놓고도 한편으로는 프락치 최 내관을 통해 이들의 행각을 낱낱이 주시하고 있었다.[8] 양녕대군이 계속해서 비행을 일삼던 어느 날 양녕대군 및 원경왕후와 이들이 함께 모인 자리에서 신세 한탄을 하며 "언젠가 좋은 날이 올 것"이라는 말을 하게 되는데 이를 엿들은 최 내관이 태종에게 이를 일러바치면서 일이 터지게 된다.[9] 태종은 양녕대군의 계속되는 비행 또한 결국 이들의 존재가 밟혀서라 여겨 완전히 끝을 내야겠다 마음먹고 이 발언을 빌미삼아 이들을 역모로 몰아 국문하게 된다.[10] 이미 죽음을 각오한 두 형제는 "좋은 날이란 무엇인가? 역모를 꾸민게 아니었는가?"라는 위관 유정현의 질문에 역모 사실은 부인하면서도 "했다고 하시구려. 어차피 결론은 정해진 것 아니었소이까?"라며 반항하다 마침내는 "했소이다"라며 거짓으로 이실직고를 하고 투옥된 뒤 얼마 안 가 사형당하게 된다.[11][12][13] 하지만 이들의 죽음은 오히려 양녕대군을 더욱 폭주하게 하였으며 결국 태종은 끝내 양녕대군을 폐세자시키고 충녕대군을 세자로 세워 양위하게 된다.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태종실록에서 등장한다. 어느 날 염치용이란 자가 국가를 상대로 한 노비소송에서 패하면서 민무회를 찾아가는 것으로 첫 등장한다. 염치용이 이 노비소송 얘기를 하자 민무회는 “그래요. 억울하게 되었군요.”라고 그의 편을 들어주는데 근데 민무회가 눈치 없이 이 얘기를 충녕대군에게 전해버리고 만 것이다. 이 얘기를 들은 충녕은 곧장 태종에게 고하는데 이 얘기를 듣고 빡친 태종이 염치용 등 관련자들을 모두 불러 곤장을 치게 했으나 민무회만은 그냥 풀어주었다. 그러나 이를 문제 삼은 대간들이 민무회를 처벌하라고 강력히 주장해 결국 태종은 어쩔 수 없이 민무회의 직첩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양녕대군이 2년 전의 일을 태종에게 말을 하는데 때는 어머니 원경왕후가 몸이 안 좋아서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이 간병하고 있을 때였다. 이때 외삼촌 민무휼과 민무회도 같이 왔는데 세자인 양녕하고만 같이 있게 되자 민무회가 “형님들은 반역을 꾀하지 않았는데도 죽었습니다. 하오나 전하께오서 우리 두 형제는 살려주셨으니 잘 섬기려하옵니다. 세자 저하께서 저희를 불쌍하게 여겨주십시오.”라고 말을하자 양녕이 “민씨 집안은 교만하고 방자하여 법을 어겼으니 화를 입어도 쌉니다.”라며 비꼬는 말을 하자 화가 난 민무회가 “세자 저하께선 어느 집안에서 자라셨습니까?”라는 정신 나간 발언을 한다. 그러자 이 말을 듣고 충격 받은 민무휼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무회가 말을 잘못했습니다. 저하! 부디 이 말을 잊어주소서.”라며 세자 양녕을 달랜다.[15] 이 말을 들은 태종은 세자와 민무휼, 민무회 형제를 공개 대질신문을 했는데 이 얘기가 사실로 받아들여지자 태종은 민무휼의 직첩도 거두게 된다. 그러나 신하들이 민씨 형제를 벌하라고 강력하게 주장을 하나 태종은 “지금은 가뭄이 더 큰 일이니 가뭄 대책에 대한 의견을 말해보오.”라면서 민무휼, 민무회 형제의 처벌을 어물쩍 넘겨버리려 하자 신하들은 가뭄의 이유는 천지간의 어긋난 기운에 있습니다. 신하가 임금에게 불충한 마음을 품는데 어찌 천지의 기거 바로 잡히겠나이까? 저 간악한 민씨 형제를 제거한다면 틀림없이 비가 올 것이옵니다.”라면서 다시 한번 민무휼, 민무회의 처벌을 주장한다. 하지만 태종은 이들의 처벌을 계속 미룬다. 그러다 태종이 13년 전 1402년 5월에 있던 일을 신하들에게 풀어놓는데, 효빈 김씨가 태종의 아이를 가지게 되자 이전부터 남편의 외도에 화가 난 원경왕후가 눈이 뒤집혀 그녀를 옛 집으로 내보내 행랑방에 가두었고 해산이 가까워지자 방앗간 옆에 두게 하여 그곳에서 아이를 낳았다. 때는 혹한의 12월, 아이를 낳자 이불도 없이 어느 오두막에 내팽겨쳐졌다가 교하의 집으로 소에 태워 보내졌다. 다행히 아이와 어미 모두 살았으며 태종은 이 얘기를 마치며 눈물까지 보인다. 이 얘기를 들은 신하들은 힘을 얻어 다시 한 번 민무휼, 민무회의 처벌을 강력히 주장하는데 태종은 앞서 민무구, 민무질 형제와 같이 먼 지방으로 유배를 보내고 계속 신하들이 처형을 주장하자 태종은 “지금 중전이 울며 밥도 먹지 못하고 있는건 노모 송씨 때문인데, 내 어찌 서울에서 형을 집행하겠는가?”라며 처형을 거부하는데 이래도 신하들이 속히 결단을 하라며 말하자 태종은 “무구와 무질이 이미 그리 되었는데, 아… 차마 못하겠다.”라며 또 처형을 거부하고 “내 어찌 그들을 아껴서 보호하겠는가? 단지 어미 노모 송씨가 나이가 많고 중궁이 애석해 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면서 살려주려고 하는 듯했으나 하륜이“끊어야 할 것은 바로 끊어야 한다 하였습니다.”라며 태종에게 민씨 형제 처형을 청한다. 하륜의 말을 듣고 처형을 허락한 태종은 “도망치지 못하게 하고 자진하려 하면 말리지 말라.”라고 말한다. 태종의 말을 파악한 금부도사가 “전하의 뜻이다! 자진하라!”라고 말하고는 1416년 정월, 형들이 죽은지 6년이 지나서 민무휼, 민무회 형제가 자살을 하면서 등장 종료.
[1] 다만 당시의 발언을 보면 해석에 따라 위험해 보일 수도 있는 발언이었다. 물론 양녕대군이 먼저 그들의 형인 민무구, 민무질 형제가 죽은 것은 당연했다고 했지만,[16] 세자에게 '세자는 우리 가문에서 자라지 않으셨습니까?'라는 말을 했으니 말이다. 다만 이 말을 한 것은 민무휼의 동생인 민무회였고, 민무휼은 동생에게서 그 말을 듣자 그 자리를 뜬 양녕대군을 쫓아가서 그 말을 잊어달라 말한 게 전부인지라 약간 억울한 면이 없잖아 있다.[2] 태종 15년 12월 15일 무인 1번째기사[3] 사돈인 심온도 세종이 왕위에 오른 뒤에 숙청된다.[4] 그래도 이 때는 죽이네 마네 소리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양녕대군이 저런 말을 꺼내자 분위기가 죽여버려야 한다로 바뀐다. 저건 아예 세자를 겁박한 것이기에 뭔 변명을 해도 봐줄 수 없는 죄다.[5] 태조 왕건의 김언, 대조영의 손만영 등으로 알려진 배우다.[6] 형들이 사사된 뒤에도 군부에서 고위직은 아니지만 관직을 역임했는데 태종이 신료와 종친들 모두를 동원한 소집 훈련을 실시했을 때 차질없게 잘 준비해 대신들에게 칭찬을 들었다.[7] 실제 역사에서 양녕대군은 이들을 아주 매몰차게 대했으며 죽을 때도 "그래도 싸다"고 냉소적인 반응으로 일관했다.[8] 이 임무를 위해 최 내관은 자기 손이 닿은 상궁 내관들을 중궁전에 집어넣어 중전 민씨의 행적까지 감시했다.[9] 이들이 내뱉은 "좋은 날"이란 특정한 의미없이 그저 암울한 날이 끝날 것이라는 의미에 불과했지만 "절대로 잊지 않겠다"는 민무구의 유언을 그 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뒤끝 쩌는 태종은 가슴의 한을 품은 자들의 역적 모의로 받아들였다.[10] 이 사실을 안 양녕대군은 최 내관에게 발길질을 하며 "언젠간 죄값을 치를 것"이라며 일갈한다. 원래부터 프락치인 최 내관과 사이가 좋지는 않았지만 이 때만큼 험악하게 대한 적은 없었다.[11] 이 때 국문 과정이 정말 모질고 잔인한데 고문이 적나라하게 묘사되는 <용의 눈물>에서도 거의 최고급으로 고문을 당한다. 주리틀기는 물론이며 인두형, 고문 중의 최악이라는 압슬형까지 안 당하는 고문이 없다. 매형이라는 사람한테 남보다 심지어 정적들보다 더 심한 고통을 당한 것. 이들보다 더 심한 고통을 받은 사람은 후에 심온 집안 사람들 정도인데 심온 집안도 압슬형까지 당하는 묘사는 없다.[12] 고문이 끝나고 유배 조치되어 말을 태워서 도성 밖으로 나가게 되는데 민무회가 "웬일로 전하께서 우리를 살려주셨다"고 한다. 하지만 민무휼은 "너 지금 뒤에 의금부 관리가 들고오는 짐짝 못 봤니? 우리는 글렀어..."라고 답하고 이에 민무회는 충격을 받고 어두운 허공을 응시하는 장면이 백미이다.[13] 이 때 형들과 마찬가지로 내금위장 정만쇠가 사형을 집행하게 되었으며 교수형과 사약 중 하나를 친절히 양자택일하게 되는데 형들과는 달리 교수형을 선택하고 도성 뒷산의 나무에 목이 매달려 죽는다. 이 때 정만쇠는 처음으로 눈물을 보였으며 이들의 억울한 죽음을 매우 안타까워하는 모습을 보였다.[14] 용의 눈물에서는 민무휼의 장인 이직 역으로 나왔다. 시대 역행[15] 이때 뒤에서 민무회에게 “왜 그런 정신 나간 발언을 했냐?”라고 하는 표정을 지은 것이 압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