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00d45> 조선 문묘 종사 동국 18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ec8ff> 동무 종향 | <colbgcolor=#78f0ff> 홍유후(弘儒侯) 설총 | <colbgcolor=#fff078> 문창후(文昌侯) 최치원 | <colbgcolor=#ffc821> 서무 종향 |
문성공(文成公) 안유 | 문충공(文忠公) 정몽주 | |||
문경공(文敬公) 김굉필 | 문헌공(文憲公) 정여창 | |||
문정공(文正公) 조광조 | 문원공(文元公) 이언적 | |||
문순공(文純公) 이황 | 문정공(文正公) 김인후 | |||
문성공(文成公) 이이 | 문간공(文簡公) 성혼 | |||
문원공(文元公) 김장생 | 문열공(文烈公) 조헌 | |||
문경공(文敬公) 김집 | 문정공(文正公) 송시열 | |||
문정공(文正公) 송준길 | 문순공(文純公) 박세채 | |||
<colcolor=#373a3c,#ddd> ■ 진한 색: (동무종향) 조선 5현 ■ 진한 색: (서무종향) 조선 5현 {{{#c00d45 적색}}}: 조선 종묘 배향공신 * 문묘에서 동순위인 경우 동배향이 서배향보다 위계가 높음 | }}}}}}}}} |
이이 관련 틀 | |||||||||||||||||||||||||||||||||||||||||||||||||||||||||||||||||||||||||||||||||||||||||||||||||||||||||||||||||||||||||||||||||||||||||||||||||||||||||||||||||||||||||||||||||||||||||||||||||||||||||||||||||||||||||||||||||||||||||||||||||||||||||||||||||||||||||||||||||||||||||||||||||||||||||||||||||||||||||||||||||||||||||||||||||||||||||||||||||||||||||||||||||||||||||||||||||||||||||||||||||||||||||||||||||||||||||||||||||||||||||||||||||||||||||||||||||||||||||||||||||||||||||||||||||
|
<colbgcolor=#e8ad85><colcolor=#566d36> 조선 이조판서 증 영의정 문성공(文成公) 이이 李珥 | Yi I | |
<nopad> | |
이이 표준영정 | |
출생 | 1537년 1월 17일[1] |
강원도 강릉부 오죽헌 (現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동 오죽헌) | |
사망 | 1584년 2월 27일[2] (향년 47세) |
한성부(現 서울특별시) | |
본관 | 덕수 이씨 (德水 李氏)[3] |
부모 | 아버지 이원수, 어머니 신사임당 |
형제자매 | 4남 3녀 중 3남 |
배우자 | 부인 노씨 |
자녀 | 2남 1녀 |
친인척 | 증외고조부 최만리[4] |
자 | 숙헌(叔獻) |
호 |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 |
시호 | 문성(文成) |
학력 | 성균관 (졸업) |
종교 | 유교 (성리학) |
서명 |
[clearfix]
1. 개요
5000원 지폐 속 초상화 |
조선의 천재로 손꼽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장원 급제를 9번이나 하고, 이기일원론을 겨우 23세일 때 정립하였다.
퇴계 이황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유학자이자, 이론에만 몰두하지 않고 현실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한 정치인. 우리나라 오천 원권 지폐의 모델이며, 신사임당이 오만 원권 지폐의 모델이 되며 모자(母子)가 지폐 인물이 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본인은 평생 붕당의 대립 해소에 진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후 서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5] 오랫동안 유학자의 면모만 부각되어 왔지만 정치인으로서도 영향력이 컸다. 생전에 이이의 서얼 차별 완화 등의 개혁 정책은 하나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6] 사후 조선에서 거론된 수많은 정책과 개혁론은 이이의 사상과 정책에 뿌리를 두고 있다.
2. 생애
자세한 내용은 이이(조선)/생애 문서 참고하십시오.3. 평가
자세한 내용은 이이(조선)/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여담
자세한 내용은 이이(조선)/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1] 음력 1536년 12월 26일. 한국은행권 오천원권이나 위인 전기문에는 음력 생일에 맞춰 1536년생으로 표기한다.[2] 음력 1584년 1월 16일.[3] 춘당공파(春塘公派) 13세손 옥(玉)변 항렬이다. 춘당공파의 지파(支派) 중 율곡문성공파(栗谷文成公派)의 파조이다.[4] 할아버지 이천(李蕆)의 외할아버지.[5] 이이의 제자인 김장생-김집-송시열,송준길 라인으로 이어진다.[6] 이른바 사림의 대두 이후 임진왜란 이전 까지의 정치제도 현황을 살펴보면 전근대 행정력의 한계로 수취, 재분배 체계에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연산군이 국역 체제를 심각하게 이완시키면서 걷잡을수 없어졌지만 서로 근간이 되는 사상이 다른 정치세력이 대립하고 중간에서 절대 한쪽손만 들어주지 않는 국왕과 미묘한 눈치게임이 벌어져 문제의식은 있으되 실행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이러던 상황이 초유의 국난을 맞아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어 신속하게 실행된 것이다.